KR100675943B1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943B1
KR100675943B1 KR1020050019278A KR20050019278A KR100675943B1 KR 100675943 B1 KR100675943 B1 KR 100675943B1 KR 1020050019278 A KR1020050019278 A KR 1020050019278A KR 20050019278 A KR20050019278 A KR 20050019278A KR 100675943 B1 KR100675943 B1 KR 10067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fish
bubble
chamber
pipe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078A (ko
Inventor
조석찬
Original Assignee
조석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찬 filed Critical 조석찬
Priority to KR102005001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943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부에 활어수가 저장되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임펠러에 의한 폭기실과 정화수배출실로 구획시키고, 케이싱의 상부에는 기포유입실을 형성시켜 폭기실과 기포유입실이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포유도관이 기포유입실의 바닥부를 통하여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하고, 기포유입실로부터 폭기실의 바닥부측으로 연장되는 재처리파이프를 설치함으로서,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되는 활어수에 폭기를 행하여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활어수의 오염원이 되는 각종 이물질을 기포와 함께 연속적으로 응집 및 제거시켜 그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하게 유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재처리파이프를 통하여 폭기실로 재공급시켜 다시 분쇄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기포유입실의 바닥면에 발생하는 스케일과 이로 인한 기포유도관의 폐쇄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스케일에 의한 악취를 방지하고 정화장치에 의한 활어수의 처리기간을 연장시키면서도 그 정화성능은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화장치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어수조, 활어수, 정화장치, 임펠러, 폭기, 용존산소

Description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for a fish rearing tan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기포유입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장치 10 : 케이싱 10a : 격벽
10b : 간격 11 : 모터실 12 : 구동모터
13 : 회전축 14 : 축지지구 15 : 임펠러
15a : 에어분사공 16 : 에어유입관 17 : 기포유도관
18 : 기포유입실 19 : 기포배출관 20 : 폭기실
21 : 활어수유입관 22 : 정화수배출실 23 : 배출구
24 : 체류실 25 : 배출관 26 : 재처리파이프
27 : 경사면
본 발명은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어수에 폭기(爆氣; Aeration)를 행하여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활어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오염원을 기포와 함께 응집 및 제거시킴으로서, 활어수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하여 활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활어를 보다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活魚)라고 하는 것은 식용을 위하여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한 물고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에 들어서는 외식산업의 발달과 활어운반에 따른 비용의 상승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횟집이나 활어가게에서는 비교적 좁은 공간을 형성하는 활어수조의 내부에 많은 량의 활어를 고밀도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활어를 꺼내어 파는 형태의 영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을 형성하는 활어수조의 내부에 많은 량의 활어를 고밀도로 저장하게 되면, 활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가 급속도로 소모됨과 동시에 활어의 먹이와 배설물에 의하여 각종 부유물 또는 단백질이나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 등이 빠른 시간안에 고농도로 활어수에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활어수의 수질이 급속히 악화됨으로서 활어의 생장여건 및 그 신선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활어가 폐사하게 되는 심각한 상황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각종 횟집이나 활어가게에서는 활어수조의 수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인근 해역에서 길어온 신선한 해수로 활어수를 자주 갈아주거나, 활어수조의 바닥에 자갈이나 모래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은 여과재를 깔아서 일 정 기간동안 활어수를 여과시킨 다음 이 여과재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져 왔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해수의 운반에 따른 수송비와 인건비의 부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연안해역과 다소 거리가 먼 내륙지방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또한 여과재에 의한 활어수의 정화능력이 매우 저조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부유물 등이 여과재에 축적되어 부패되는 과정에서 각종 세균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어수의 수질 개선과 활어의 폐사 방지에 그다지 기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하여 활어수에 폭기를 행함으로서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활어수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물과 단백질 성분 및 암모니아와 질소 성분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기포와 함께 응집 및 배출시켜 활어수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 활어수 정화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03년 특허출원 제 69058호(출원일자: 2003년 09월 09일)로 선출원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활어수 정화장치는, 활어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하여 폭기실과 정화수배출실로 구획시킨 상태에서, 폭기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를 회전시켜 외부공기에 의한 활어수의 폭기를 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종 이물질과 함께 활어수의 상부측으로 부유하게 되는 다량의 기포거품은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을 통하여 케이싱 상부측의 기포유입실로 유도 및 배출되도록 하고, 정화된 활어수는 정화수배출실을 거 쳐 활어수조로 재유입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선출원된 활어수 정화장치는 기포유도관을 통하여 기포거품과 함께 기포유입실로 배출되는 이물질 중 그 일부가 입자간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비교적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러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기포유입실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기포유입실의 바닥부로 쉽게 가라앉아 퇴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기포유입실의 바닥면에 스케일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기포유도관으로 역유입되더라도 기포유도관에 발생하는 모세관 압력에 의하여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폭기실로 재유입되지 못하고 다시 기포유입실로 배출됨으로서 이러한 스케일의 발생이 더욱 가속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기포유입실로부터 악취가 쉽게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퇴적되는 스케일의 면적과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확산되어 기포유입실의 바닥면과 연결된 기포유도관의 출구측을 폐쇄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스케일에 의하여 기포유도관이 폐쇄될 경우, 폭기실에서 부유하는 기포거품이 기포유도관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폭기실에 체류하게 됨으로서 활어수의 정화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기포유입실의 빈번한 스케일 제거작업으로 정화장치의 1회 가동에 따른 활어수의 처리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정화장치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또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는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되는 활어수에 폭기를 행하여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활어수의 오염원이 되는 각종 이물질을 기포와 함께 연속적으로 응집 및 제거시켜 그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하게 유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재처리파이프를 통하여 폭기실로 재공급시켜 다시 분쇄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기포유입실의 바닥면에 발생하는 스케일과 이로 인한 기포유도관의 폐쇄 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스케일에 의한 악취를 방지하고 정화장치에 의한 활어수의 처리기간을 연장시키면서도 그 정화성능은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화장치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케이싱의 내부 공간이 "┏" 형태로 절곡되는 격벽에 의하여 활어수유입관을 포함하는 폭기실과 배출구를 포함하는 정화수배출실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의 하단부는 케이싱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폭기실은 정화수배출실을 거쳐 연장되는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에 의하여 케이싱의 상부측에 형성된 기포유입실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포유입실의 일측에는 기포배출관이 설치되며, 상기 폭기실의 내부에는 그 몸체상에 에어분사공이 형성되고 그 몸체의 일측이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며 그 타측이 에어유입관과 연결되는 임펠러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기포유도관은 기포유입실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포유입실과 폭기실의 사이에는 해당 공간을 연통시키는 재처리파이프가 기포유도관과 함께 삽입 설치되며, 상기 재처리파이프는 그 하단부가 격벽을 관통하여 폭기실을 이루는 케이싱의 바닥부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포유입실의 바닥면이 재처리파이프의 입구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기포유입실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활어수조(미도시)로부터 유입된 활어수가 그 내부에 저장되도록 하나의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정화장치(1)의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일측(도면상 우측) 외부에는 정화수의 체류실(24) 및 구동모터(12)가 수납되는 모터실(11)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모터실(11)의 경우는 구동모터(12)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자연 방출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수납실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모터실(11)을 폐쇄된 공간으로 형성시킨 다음 모터실(11)의 측벽상에 별도의 방열팬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체류실(24)의 경우는 일정량 의 정화수가 일시 저장되었다가 그 후방측 배출관(25)을 통하여 활어수조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데, 정화수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화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측벽 부분을 필요에 따라 개폐식 도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은 그 하부측에서 "┏" 형태로 절곡되는 격벽(10a)에 의하여 폭기실(20)과 정화수배출실(22)로 구획되는 데, 폭기실(20)을 이루는 케이싱(10)의 후방벽에는 활어수유입관(21)이 연결 설치되고, 정화수배출실(22)을 이루는 케이싱(10)의 측벽에는 체류실(24)과 연통되는 배출구(23)가 형성되며, 상기 격벽(10a)의 하단부는 케이싱(10)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10b)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폭기실(20)과 정화수배출실(22)이 상기 간격(10b)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폭기실(20)을 이루는 상부 격벽(10a)으로부터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17)이 정화수배출실(22)을 거쳐 케이싱(10)의 상부측에 구비된 기포유입실(18)로 연장됨으로서 폭기실(20)과 기포유입실(18)의 내부 공간이 기포유도관(17)에 의하여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포유입실(18)의 일측에는 정화장치(1)의 외부로 기포거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기포배출관(1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폭기실(20)의 내부에는 에어분사공(15a)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태의 몸체 외주면에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임펠러(15)가 케이싱(10)의 측벽을 관통하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임펠러(15)의 타측에는 케이싱(10)의 상부 외측으로부터 케이싱(10)을 관통하여 정화수배 출실(22)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다음 상기 폭기실(20)을 이루는 격벽(10a)을 관통하는 에어유입관(16)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15)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과 연동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서 에어유입관(16)을 거쳐 유입된 외부공기를 미세한 기포의 형태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임펠러(15)와 에어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 또한 임펠러(15)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을 지지하는 축지지구(14)와 케이싱(10)의 사이에는 수밀(水密)을 위한 팩킹 등이 설치된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상기 에어유입관(16)이 케이싱(10)의 상부 외측으로부터 케이싱(10)을 관통하여 정화수배출실(22)을 따라 하부로 연장된 다음 폭기실(20)을 이루는 격벽(10a)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임펠러(15)의 회전에 따라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에어유입관(16)의 설치 형태나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되어질 수 있고,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유입관(16)의 단부측에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폭기실(20)과 기포유입실(18)을 연결하는 상기 기포유도관(17)은 기포유입실(18)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데, 이는 기포유도관(17)을 통하여 기포유입실(18)로 배출되는 이물질이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에 스케일을 형성시키더라도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기포유도관(17) 의 출구측이 폐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기포유도관(17)의 돌출길이는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는 스케일의 두께를 고려하여 최소 0.5cm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포유입실(18)이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피할 수 있도록 기포유도관(17)이 돌출되는 최대 길이는 8c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화장치(1)에 의한 정화수의 처리용량 및 정화장치(1)의 설계여건에 따라 임의대로 조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유입실(18)과 폭기실(20)을 연통시키기 위한 재처리파이프(26)가 기포유도관(17)과 함께 정화수배출실(22)에 삽입 설치되는 데, 상기 재처리파이프(26)는 그 하단부가 격벽(10a)을 관통하여 폭기실(20)을 이루는 케이싱(10)의 바닥부와 인접하도록 연장 설치됨으로서, 기포유도관(17)을 통하여 기포유입실(18)로 배출되는 이물질 중 그 입자가 비교적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기포유입실(18)로부터 폭기실(20)의 내부로 재공급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재처리파이프(26)의 관경 즉, 그 내부직경은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압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기포유도관(17)의 2배 내지 6배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재처리파이프(26)의 내부에 모세압이 발생하여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라 하더라도 폭기실(20)로의 배출이 어려워지거나, 재처리파이프(26)가 필요 이상으로 크게 형성되어 정화장치(1)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도 3의 (나)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포유 입실(18)의 바닥면을 재처리파이프(26)의 입구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27)으로 형성시키게 되면,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상기 경사면(27)을 따라 재처리파이프(26)측으로 보다 더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됨으로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 배출과 그 처리에 있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1)를 작동시키기 이전에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폭기실(20)과 정화수배출실(22) 및 그 외부의 체류실(24)을 통하여 활어수조에 저장된 활어수가 일정 수위만큼 저장되도록 활어수유입관(21)을 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로 활어수를 공급시키게 되는 데, 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되는 활어수의 적정 수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5)의 높이보다 다소 높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활어수를 적정 수위로 저장시킴과 동시에, 활어수유입관(21)과 배출관(25)을 통하여 활어수가 정화장치(1)와 활어수조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세팅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키게 되면, 폭기실(20) 내부의 임펠러(15)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에어유입관(16)을 거쳐 유입된 외부공기가 임펠러(15)의 에어분사공(15a)을 통하여 미세한 기포의 형태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실(20)의 내부에서 임펠러(15)의 회전에 의한 미세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폭기실(20) 내부의 활어수에 함유된 각종 부유물이나 단백질 또는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과 같은 이물질이 기포에 흡착되어 기포거품의 형태로 부상하게 되고, 폭기 및 이물질의 제거가 행하여진 처리수 즉, 정화수는 격벽(10a)의 하단에 형성된 간격(10b)을 통하여 정화수배출실(22)로 1차 배출된 다음, 그 배출구(23)를 거쳐 체류실(24)에 일정 시간 체류되었다가 배출관(25)을 통하여 활어수조로 재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활어수조로 재공급되는 정화수는 폭기에 의한 용존산소량의 증가와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통하여 우수한 수질의 활어수로 조성되며, 이와 같이 정화 처리된 신선한 활어수를 정화장치(1)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활어수조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켜 활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활어를 보다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임펠러(15)에 의한 폭기과정에서 폭기실(20)의 상부로 부상하게 되는 다량의 기포거품은 기포유도관(17)에서 발생하는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기포유입실(18)로 자동 유입되며, 이와 같이 유입되는 기포거품의 층이 점차 두터워지면서 기포거품이 기포배출관(19)을 통하여 최종 배출되는 데, 기포거품에 포함된 이물질 중 그 입자가 미세한 이물질과 각종 유해가스 성분은 기포배출관(19)을 통하여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되고, 그 중 일부는 입자간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비교적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그 자중에 의하여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되는 데,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1)의 경우 상기 기포유도관(17)이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기 때 문에,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에 스케일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스케일에 의하여 기포유도관(17)의 출구측이 폐쇄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기포유도관(17)으로 역유입되는 현상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폭기실(20)에서 발생하는 기포거품이 기포유입실(18)로 배출되지 못하고 폭기실(20)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정화장치(1)에 의한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1)의 경우 기포유입실(18)의 바닥부로 가라앉게 되는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 대부분이 재처리파이프(26)를 통하여 폭기실(20)의 내부로 재공급되는 데, 상기 재처리파이프(26)가 기포유도관(17)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세압에 의한 저항없이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재처리파이프(26)를 통하여 폭기실(20)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실(20)의 내부로 재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임펠러(15)의 회전력과 분사되는 기포에 의하여 미세한 입자로 다시 분쇄된 다음 기포거품과 함께 기포유도관(17)을 거쳐 기포유입실(18)로 재유입되며,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거침으로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미세입자로 분쇄되어 기포거품과 함께 기포배출관(19)을 거쳐 케이싱(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상에 이물질의 퇴적에 의한 스케일 및 그로 인한 악취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고, 기포거품과 함께 부유하는 이물질이 미세입자로 조성되어 기포배출관(19)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됨으로서,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향상시키고 기포유입실(18)의 청소(스케일 제거)주기 및 이로 인한 활어수의 처리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을 재처리파이프(26)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7)으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으로 가라앉게 되는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거의 완벽하게 재처리파이프(26)측으로 유도하여 미세입자로 재분쇄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포유입실(18)의 청소주기 및 이로 인한 활어수의 처리주기를 최대한으로 연장시켜 정화장치(1)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는,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어수에 폭기를 행하여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활어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시킨 신선한 활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활어수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활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활어를 보다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포거품의 배출을 위한 기포유도관이 기포유입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하여,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기포유도관으로 역유입되는 현상 및 스케일에 의한 기포유도관의 폐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폭기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거품을 기포유입실로 원할하게 배출시켜 폭기실의 내부에서 체류하는 기포거품의 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포유입실의 바닥부로 가라앉게 되는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재처리파이프를 통하여 폭기실의 내부로 원활하게 재공급되도록 함으로서 기포유입실 내부의 스케일 발생과 그로 인한 악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기포거품과 함께 부유하는 이물질을 미세입자로 조성시켜 그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보다 크게 향상시키고 기포유입실의 청소주기 및 활어수의 처리주기를 최대한으로 연장시켜 정화장치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이 "┏" 형태로 절곡되는 격벽(10a)에 의하여 활어수유입관(21)을 포함하는 폭기실(20)과 배출구(23)를 포함하는 정화수배출실(22)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10a)의 하단부는 케이싱(10)의 바닥면과 일정 간격(10b)을 두고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폭기실(20)은 정화수배출실(22)을 거쳐 연장되는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17)에 의하여 케이싱(10)의 상부측에 형성된 기포유입실(18)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포유입실(18)의 일측에는 기포배출관(19)이 설치되며, 상기 폭기실(20)의 내부에는 그 몸체상에 에어분사공(15a)이 형성되고 그 몸체의 일측이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과 연결되며 그 타측이 에어유입관(16)과 연결되는 임펠러(15)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기포유도관(17)은 기포유입실(18)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포유입실(18)과 폭기실(20)의 사이에는 해당 공간을 연통시키는 재처리파이프(26)가 기포유도관(17)과 함께 삽입 설치되며,
    상기 재처리파이프(26)는 그 하단부가 격벽(10a)을 관통하여 폭기실(20)을 이루는 케이싱(10)의 바닥부와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유입실(18)의 바닥면은 재처리파이프(26)의 입구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27)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20050019278A 2005-03-08 2005-03-08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067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278A KR100675943B1 (ko) 2005-03-08 2005-03-08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278A KR100675943B1 (ko) 2005-03-08 2005-03-08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078A KR20050032078A (ko) 2005-04-06
KR100675943B1 true KR100675943B1 (ko) 2007-01-29

Family

ID=3723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278A KR100675943B1 (ko) 2005-03-08 2005-03-08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68B1 (ko) 2009-10-13 2010-02-17 김태관 수질 정화용 폭기장치
KR101298691B1 (ko) 2010-09-17 2013-08-21 최우열 수족관 정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24B1 (ko) * 2021-09-22 2021-12-15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68B1 (ko) 2009-10-13 2010-02-17 김태관 수질 정화용 폭기장치
KR101298691B1 (ko) 2010-09-17 2013-08-21 최우열 수족관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078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3981B2 (en) Sewage treatment system having a trickling filter with wash unit
KR101375912B1 (ko) 침전물 배출수단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7130585A (ja) 活性炭吸着装置
KR100675943B1 (ko)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JP2009133173A (ja) グリーストラップ装置
KR100697842B1 (ko)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JPH11289911A (ja) 水族館等における水質淨化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処理システム
JPH1118620A (ja) 水槽装置
JP2004033847A (ja) 浮上ろ材を用いた浮体式水質浄化装置
JPH09154433A (ja) 活魚輸送用の水槽装置
KR100714237B1 (ko) 엘씨알 순환 여과 유니트
JP2006255678A (ja) 生ごみの粉砕処理装置
JP2001170616A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4369804B2 (ja) 有機性廃水の浮上分離処理方法
JPH1128470A (ja) 貯水槽の活水装置
WO2003089375A1 (en) Apparatus for stock raising
JP4013123B2 (ja) 好気処理槽の運転方法、好気処理槽及び汚水浄化槽
JPH0710384B2 (ja) 汚水類処理装置
JPH11216307A (ja) 濾過槽のオーバーフロー管
JP2007021303A (ja) 汚水浄化装置
JP2018176093A (ja) 有機系被処理物分解処理機
KR102313735B1 (ko)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JP2000061460A (ja) 泡除去装置
KR102053706B1 (ko) 복층형 어류 양식 사육수용 여과 시스템
JP2540760Y2 (ja) 活魚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