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124B1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0124B1 KR102340124B1 KR1020210125408A KR20210125408A KR102340124B1 KR 102340124 B1 KR102340124 B1 KR 102340124B1 KR 1020210125408 A KR1020210125408 A KR 1020210125408A KR 20210125408 A KR20210125408 A KR 20210125408A KR 102340124 B1 KR102340124 B1 KR 1023401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live fish
- sterilization
- tub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4252 protein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58 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or fuel cel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분산기가 내장된 폭기조로부터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살균조를 거쳐 활어수를 유동시킴에 따라, 활어수중의 오염물질을 부유거품 형태로 일차 제거시킨 다음 이를 자외선으로 최종 살균 처리토록 하되, 착탈식 덮개판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장치케이싱 내부 후방 하측에 상기 폭기조를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눕혀서 설치하고, 상기 살균조는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가 내장된 살균가열조로 하여 폭기조의 일측 전방면에 케이싱의 높이 방향으로 직립 설치하며, 상기 폭기조의 타측 전방면 상부에는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 세팅용의 선반식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폭기조의 상부면과 덮개판 사이의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배관라인을 설치하는 한편, 부유거품의 배출을 위한 거품배출관이 살균가열조와 받침대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의 바닥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거품배출관을 장치케이싱의 내부에 위치시켜 살균가열조와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로부터의 방열작용으로 배출거품의 동결방지가 가능토록 하고, 상기 전기히터를 살균조에 배치하여 스케일의 대량 부착에 따른 성능저하와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키며, 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구를 케이싱의 내부에 합리적으로 집적시켜 장치의 소형화와 외관의 향상 및 그 설치작업과 관리의 편의성 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유입관을 거쳐 장치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활어수를 기포분산기가 내장된 폭기조와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살균조를 통하여 순차 공급시킴으로서, 활어수중의 오염물질을 부유거품 형태로 일차 제거시킨 다음 이를 자외선으로 최종 살균 처리토록 하며, 상기 폭기조와 살균조를 거친 활어수는 처리수배출관을 통하여 장치케이싱으로부터 활어수조로 재공급시키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活魚)를 횟감이나 식용으로 판매하는 대부분의 횟집이나 활어가게에서는 비교적 좁은 공간을 이루는 활어수조의 내부에 많은 량의 활어를 고밀도로 저장하여 놓았다가 판매시마다 활어를 낱마리로 꺼내어 손질하는 형태의 영업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이 활어수조의 좁은 공간 내부에 많은 량의 활어를 고밀도로 저장하게 되면, 활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가 급속히 소모됨과 동시에 활어의 배설물에 의하여 각종 부유물과 단백질 및 암모니아와 질소 성분 등이 빠른 시간안에 고농도로 활어수에 축적된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말미암아 활어수조에 저장된 활어수의 수질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악화됨으로서, 활어의 보관상태 및 그 신선도와 상품가치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활어수조에 저장된 활어가 폐사하는 상황까지 발생하게 되므로, 각종 횟집이나 활어가게에서는 활어수의 수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인근 해역의 신선한 해수로 활어수를 자주 갈아주거나, 활어수조의 바닥에 자갈이나 모래 또는 스폰지 등의 여과재를 깔아서 일정 기간동안 활어수를 여과시킨 다음, 해당 여과재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 행하여져 왔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해수의 운반에 따른 수송비와 인건비의 부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소규모의 영세한 횟집이나 활어가게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연안해역과 다소 거리가 먼 내륙지방에는 실질적인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는 여과재 자체의 정화성능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부유물과 단백질이 여과재에 축적되어 부패되는 과정에서도 각종 세균과 독성가스가 발생하는 등, 활어수의 수질 개선과 활어의 폐사 방지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활어수조로부터 여과재를 꺼내어 세척하는 작업 역시 매우 번거로우며, 여과재를 청소하여 활어수조를 다시 사용하는 데 걸리는 시간 동안은 영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유입관을 통하여 장치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활어수를 임펠러가 내장된 폭기조(曝氣槽)와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살균조(殺菌槽)를 거쳐 유동시킴으로서, 활어수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기포와 함께 부유거품 형태로 조성시켜 폭기조 상단의 거품배출관으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활어수중의 용존산소 농도를 높이도록 하고, 폭기조로부터 살균조로 유입된 활어수를 자외선으로 최종 살균 처리하여 활어수조로 재공급시키도록 한 활어수 정화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10-2012-0024960호) 및 특허등록(10-1165020호) 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상기 활어수 정화장치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를 폭기조의 내부에 설치함에 따라 장치의 부피와 무게가 불필요하게 증대될 뿐만 아니라, 모터의 가동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장치케이싱을 이루는 플라스틱 판재 접합부위의 균열과 이로 인한 활어수의 누설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고, 실외의 온도가 매우 낮은 동절기에는 거품배출구의 부유거품이 쉽게 동결(얼어버림)되어 거품배출관이 자주 막히는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부유거품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폭기조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누적됨으로서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튜브에 의하여 에어펌프나 블로워 등의 에어공급기구와 연결되는 기포분산기를 폭기조의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폭기조의 전방면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수온조절기가 내장된 수온조정실(水溫調整室)과 기포차단용 탈기실(脫氣室)을 각각 배치시키며, 상기 수온조정실로부터 활어수가 배출되는 분출구를 부유거품이 모이는 폭기조 상단의 거품챔버 바로 아래에 위치시키고, 상기 탈기실은 폭기조의 하부공간과 완전히 연통시켜 놓은 상태에서 폭기조의 하부 내측으로부터 탈기실의 바닥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기포차단판을 설치한 활어수 정화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10-2018-0046087호) 및 특허등록(10-1921556호) 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또 다른 활어수 정화장치에 따르면, 폭기용 임펠러를 모터와 함께 장치케이싱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모터의 진동에 따른 장치케이싱의 균열과 이에 따른 활어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는 상기 수온조절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활어수를 수온조정실로부터 거품챔버의 직하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부유거품의 동결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기포차단판을 이용하여 폭기조 내부의 기포 성분이 오염물질과 함께 살균조로 유입되는 현상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선출원으로서의 활어수 정화장치에 있어서도 거품배출관을 이루는 배관라인의 대부분이 장치케이싱의 상부면을 거쳐 실외의 외부환경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온조절기를 이용하여 활어수를 적정 수준으로 가열시키더라도 부유거품의 동결현상과 거품배출관의 막힘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활어수의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온조절기가 폭기조보다 앞선 위치의 수온조정실에 배치됨에 따라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어수중의 부유물과 단백질 성분이 수온조절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대량의 스케일(Scale)을 빠르게 생성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수온조절기의 표면에 대량의 스케일이 부착될 경우, 수온조절기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스케일에 의하여 상당 부분 차단되기 때문에 활어수의 가열성능과 부유거품의 동결방지 기능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온조절기의 가동에 사용되는 전력 또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폭기조의 전방면 상,하측에 추가로 구획되는 수온조정실과 탈기실 및 상기 탈기실 내부의 기포차단판에 의하여 장치케이싱의 구조가 다소 복잡하게 되는 한편, 장치케이싱의 상부면 외측으로 연장되는 거품배출관에 의하여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부피 역시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정화장치의 제작과 설치에 따른 편의성과 공간활용성 및 정화장치의 외관 측면에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포분산기로서 대량의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스톤(Air stone) 등을 사용할 경우, 거품배출관으로 배출되는 부유거품의 량이 과도하게 증대되어 활어수의 낭비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으며, 앞서 설명되어진 제 1선출원에서는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거품배출관의 하부측에 여액회수관을 설치하여 부유거품중의 활어수 여액을 회수토록 하였으나, 상기 여액회수관이 거품배출관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기된 다음 폭기조의 상부면과 다시 연결 설치됨으로서, 부유거품과 여액의 효과적인 분리 및 여액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재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시 말해서, 폭기조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거품배출관 부분에 여액회수관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됨에 따라, 부유거품의 배출방향과 여액의 회수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을 이루지 못하고 90도 각도로 교차됨으로서, 거품배출관을 거쳐 배출되어야 할 부유거품 성분이 여액회수관으로 유도될 뿐만 아니라, 여액회수관을 통하여 폭기조로 유입된 여액중의 부유물이나 단백질 성분이 기포에 의하여 재포집되지 못하고 폭기조 상단측의 배출통로를 거쳐 살균조로 빠져 나간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활어수의 정화성능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특히, 수온조절기 및 자외선램프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기구와 기포분산기의 작동을 위한 에어공급기구가 장치케이싱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장치의 판매자 입장에서는 정화장치의 설치작업시 전력공급기구와 에어공급기구를 장치케이싱과 별도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이를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러움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화장치의 구매자 입장에서는 장치케이싱의 설치를 위한 공간과 전력공급기구 및 에어공급기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동시에 확보해야 함은 물론이고, 장치케이싱과 전력공급기구 및 에어공급기구의 보안성(제 3자의 조작금지)까지 별도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탈식 덮개판이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장치케이싱 내부 후방 하측에 상기 폭기조를 케이싱의 길이 방향으로 눕혀서 설치하고, 상기 살균조는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가 내장된 살균가열조로 하여 폭기조의 일측 전방면에 케이싱의 높이 방향으로 직립 설치하며, 상기 폭기조의 타측 전방면 상부에는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 세팅용의 선반식 받침대를 설치하고, 상기 폭기조의 상부면과 덮개판 사이의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배관라인을 설치하되, 부유거품의 배출을 위한 거품배출관이 살균가열조와 받침대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의 바닥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거품배출관을 장치케이싱의 내부에 위치시켜 살균가열조와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로부터의 방열작용으로 배출거품의 동결방지가 가능토록 하고, 상기 전기히터를 살균조에 배치하여 스케일의 대량 부착에 따른 성능저하와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키며, 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구를 케이싱의 내부에 합리적으로 집적시켜 장치의 소형화와 외관의 향상 및 그 설치작업과 관리의 편의성 등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폭기조의 상부면 중앙에 직립식 분배관을 연결 설치하되, 상기 분배관의 상단측은 청소도구의 입구를 제공하도록 덮개판을 관통하여 돌출되게 하고, 상기 분배관의 하측부는 폭기조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시키며, 상기 폭기조로부터 연장되는 거품유도관을 분배관상에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거품배출관은 거품유도관 바로 위의 분배관상에 연결시킴으로서, 부유거품의 배출방향과 여액의 회수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수된 여액중의 오염물질이 기포분산기측으로 유도되도록 함에 따라, 부유거품과 여액의 분리 및 여액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재처리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덮개판에 형성된 분배관의 관통구멍 직하부에 해당 관통구멍을 에워싸면서 덮개판을 떠받치는 받침트레이를 분배관상에 연결시킴으로서, 분배관의 청소작업시 장치케이싱의 내부로 오염된 물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고, 실외의 차가운 공기에 거품배출관이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키면서도 구조적으로 취약한 덮개판 부분의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투입과 회수를 위하여 살균가열조의 상단면을 개구부로 형성시키되,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케이블라인이 관통되는 수밀용 케이블팩킹을 살균가열조 상단면의 조립홈상에 끼움식으로 조립시키고, 상기 덮개판의 하부면에는 케이블팩킹의 조립홈이 제공된 상태로 살균가열조의 상단면 둘레 전체를 에워싸는 커버프레임을 설치함에 따라,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회수와 수리 및 그 교체나 재설치 작업 등을 덮개판의 분리와 동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장치의 정상가동시 염분을 머금은 습기가 살균가열조로부터 장치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확산되지 않게 하여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의 사용수명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살균가열조의 내측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케이블라인을 걸어둘 수 있는 다수 개의 행거브라켓을 고정 설치함으로서, 살균가열조의 내부로 투입되는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 및 수온센서가 살균가열조 내부의 특정한 방향으로 몰리면서 접촉되지 않고 적절한 배치간격을 유지토록 하며, 이를 통하여 각 기구의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유입관을 거쳐 장치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활어수를 기포분산기가 내장된 폭기조와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살균조를 통하여 순차 공급시키고, 상기 폭기조와 살균조를 거친 활어수가 처리수배출관을 통하여 장치케이싱으로부터 활어수조로 재공급되도록 한 구성이 포함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케이싱은 전면판과 후면판이 좌,우 측판과 바닥판으로 연결 설치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이 되고, 상기 장치케이싱의 상단면에는 착탈식 덮개판이 설치되며, 상기 폭기조는 장치케이싱의 내부 후방 하측에서 장치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폭기조의 상부면과 장치케이싱의 덮개판 사이에는 배관설치용 여유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살균조는 자외선램프가 전기히터와 함께 내장된 살균가열조로 하여 폭기조의 일측 전방면에서 장치케이싱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 배치되고, 상기 살균가열조의 후방면 하단측에 폭기조와 연통되는 배출통로가 제공되며, 상기 폭기조의 상부면에는 기포로 응집시킨 오염물질의 배출을 위한 거품배출관과 기포분산기용 에어튜브의 삽입을 위한 튜브삽입관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활어수유입관은 폭기조의 상부면이나 벽체상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살균가열조가 배치되지 아니한 폭기조의 타측 전방면 상부에는 선반식 받침대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면에는 에어튜브에 의하여 기포분산기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기구와, 케이블라인에 의하여 자외선램프 및 전기히터와 접속되는 전력공급기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거품배출관은 폭기조의 상부면으로부터 살균가열조와 받침대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의 바닥판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관은 살균가열조의 벽체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폭기조의 상부면 중앙측에는 수직 방향의 분배관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분배관의 하부측은 폭기조의 바닥면과 인접하는 위치까지 폭기조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분배관의 상단측은 장치케이싱의 덮개판에 제공된 관통구멍을 거쳐 장치케이싱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장치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분배관의 상단측에는 착탈식 밀폐캡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살균가열조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폭기조의 일측 상부면으로부터 거품유도관이 연장되고, 상기 거품유도관이 분배관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튜브삽입관은 거품유도관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폭기조의 타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거품배출관은 거품유도관이 연결되는 지점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분배관측으로부터 살균가열조와 받침대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의 바닥판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품배출관이 연장되는 지점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분배관측에는 장치케이싱의 덮개판이 놓여지는 받침트레이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받침트레이는 상단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트레이가 되며, 상기 분배관은 받침트레이의 바닥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트레이의 상단면은 덮개판에 제공된 분배관의 관통구멍을 외부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가열조의 상단면은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투입 또는 회수를 위하여 개구된 상태가 되고, 상기 살균가열조의 일측 상단면에는 "U"자 형태의 조립홈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에는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케이블라인이 중앙부로 관통되는 수밀용 케이블팩킹이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팩킹의 좌,우측면과 하부면에는 살균가열조의 조립홈 내주면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凹"자형 단면의 끼움조립부가 제공되며, 상기 덮개판의 하부면에는 살균가열조의 상단 외측면을 에워싸는 커버프레임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살균가열조의 조립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커버프레임의 하측부에도 케이블팩킹의 좌,우측면을 따라 끼워지는 "∩"자 형태의 조립홈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살균가열조의 내부에는 수온센서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수온센서용 케이블라인도 케이블팩킹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살균가열조의 내부 상측면에는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와 수온센서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매달아 놓을 수 있도록 3개의 행거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행거브라켓은 살균가열조의 내측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대와, 상기 장착대의 전방면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핏팅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핏팅튜브는 케이블라인의 끼움식 장착을 위한 파이프 형태가 되고, 상기 핏팅튜브의 몸통상에는 케이블라인의 끼움 작업을 위한 노치형 절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튜브삽입관에도 수밀용 튜브팩킹이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기포분산기용 에어튜브는 튜브팩킹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튜브팩킹의 바닥면 둘레 방향을 따라 튜브삽입관의 끼움조립홈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조립홈은 튜브삽입관의 길이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육면체 형상의 장치케이싱 내부 후방 하측에 폭기조를 길이 방향으로 눕혀서 설치하고,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가 내장된 살균가열조는 폭기조의 일측 전방면에서 장치케이싱의 높이 방향으로 직립 설치하며, 폭기조의 타측 전방면 상부에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의 받침대를 설치하고, 부유거품의 배출을 위한 거품배출관은 폭기조의 상부면으로부터 살균가열조와 받침대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의 바닥측을 향하도록 설치하는 구조적 개선방안을 통하여, 장치케이싱의 내부에 거품배출관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살균가열조와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로부터의 방열작용으로 배출거품의 자연스러운 동결방지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폭기조를 지난 위치에 해당하는 살균가열조의 내부에 전기히터를 배치시킴으로서, 부유물과 단백질 성분이 제거되지 아니한 상태의 활어수가 전기히터와 접촉됨에 따른 스케일의 대량 부착 및 이에 따른 전기히터의 성능저하와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키는 한편, 적절한 가열온도의 확보를 통하여 배출거품의 동결방지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정화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구를 장치케이싱의 내부에 합리적으로 집적시켜 장치의 소형화와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정화장치의 설치작업과 관리(보안성)에 따른 편의성을 판매자와 구매자 입장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폭기조의 상부면 중앙에 직립 설치된 분배관상에 거품배출관과 거품유도관을 상,하로 연결시키고, 분배관의 상단측은 청소도구의 입구를 제공하도록 덮개판을 거쳐 외부로 돌출시키는 한편, 분배관의 하측부는 폭기조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시킴에 따라, 부유거품의 배출방향과 여액의 회수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수된 여액중의 오염물질이 기포분산기측으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부유거품과 여액의 분리 및 여액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재처리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분배관의 상단측 입구를 이용하여 분배관의 청소작업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덮개판에 형성된 분배관의 관통구멍 직하부에 해당 관통구멍을 에워싸면서 덮개판을 떠받치는 받침트레이를 배치시킴에 따라, 분배관의 청소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된 물이 덮개판의 관통구멍을 거쳐 장치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받침트레이의 내부로 전량(全量) 유도 및 저장되게 함으로서, 장치케이싱 내부의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 및 케이블라인 등을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실외의 차가운 공기에 거품배출관이 노출되는 상황을 받침트레이로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덮개판 부분의 지지력은 받침트레이로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케이블라인이 관통되는 수밀용 케이블팩킹을 살균가열조의 개구된 상단면에 끼움 조립시키고, 덮개판의 하측에는 케이블팩킹의 조립홈이 제공된 상태로 살균가열조의 상단면 둘레 전체를 에워싸는 커버프레임을 설치함에 따라,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의 회수와 수리 및 그 교체나 재설치 작업 등을 덮개판의 분리와 동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정화장치의 정상가동시 염분을 머금은 습기가 살균가열조로부터 장치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확산되지 않게 하여 염분에 취약한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의 사용수명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살균가열조의 내측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케이블라인을 걸어둘 수 있는 다수 개의 행거브라켓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살균가열조의 내부로 투입되는 자외선램프와 전기히터 및 수온센서가 살균가열조 내부의 특정한 방향으로 몰리면서 접촉되지 않고 적절한 배치간격을 유지토록 함으로서, 각 기구의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에어공급기구를 기포분산기와 연결하는 에어튜브 역시 수밀식 튜브팩킹을 이용하여 폭기조의 튜브삽입관에 끼움식으로 설치함으로서, 활어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조건으로 기포분산기의 회수와 수리 및 그 교체와 재설치 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 정화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덮개판을 제거시킨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튜브팩킹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행거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평면도.
도 9는 케이블팩킹이 설치된 살균가열조 상단측에 대한 덮개판의 커버프레임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모식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단면도.
도 4는 덮개판을 제거시킨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튜브팩킹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행거브라켓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평면도.
도 9는 케이블팩킹이 설치된 살균가열조 상단측에 대한 덮개판의 커버프레임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모식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 정화장치(100)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되어진 선출원들과 마찬가지로, 미도시된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유입관(7)을 거쳐 장치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된 활어수를 기포분산기(22)가 내장된 폭기조(10)와 자외선램프(24)가 내장된 살균조를 통하여 순차 공급시키고, 상기 폭기조(10)와 살균조를 거친 활어수가 처리수배출관(29)을 통하여 장치케이싱(1)으로부터 활어수조로 재공급되도록 하는 순환시스템을 그 기본적인 베이스로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장치케이싱(1)은 전면판(2)과 후면판(6)이 좌,우 측판(3)과 바닥판(5)으로 연결 설치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이 되고, 상기 장치케이싱(1)의 상단면에는 착탈식 덮개판(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판(2)에는 부유거품의 배출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 측판(3)의 하측부에는 활어수유입관(7)의 도입과 드레인배관(9)의 설치 및 조작을 위한 힌지도어(3a)가 경첩에 의하여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활어수유입관(7)과 드레인배관(9)은 폭기조(10)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장치케이싱(1)에 제공되는 개구부(2a)와 힌지도어(3a)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와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a)를 필요시에 한하여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2a)의 양측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한 상태에서 해당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는 셔터판(개폐판)을 삽입시켜 놓을 수도 있고, 상기 힌지도어(3a)를 적용시키는 대신에 활어수유입관(7)과 드레인배관(9)이 장치케이싱(1)의 벽체 부분을 관통하여 폭기조(10)와 연결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부유거품의 배출통로 역시 개구부(2a) 형태가 아니라 장치케이싱(1)의 벽체 하단측이나 바닥판(5)측에 거품배출관(13)의 출구가 관통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케이싱(1)은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플라스틱 판재(板材)를 이용하여 전면판(2)과 후면판(6) 및 좌,우 측판(3)과 바닥판(5)을 각각 형성시킨 다음, 이들을 수밀용(水密用) 접착제로 연결 및 접합시켜 제작하는 방식이 가장 바람직하고, 상기 덮개판(4)의 경우에도 동일한 재질의 판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되, 그 가장자리를 따라 장치케이싱(1)의 상단 외측면과 밀착되는 테두리부(4a)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얇은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장치케이싱(1)과 덮개판(4)을 용접방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제 1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 내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케이싱(1)의 내부 후방 하측에 장치케이싱(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폭기조(10)를 배치함으로서, 상기 폭기조(10)의 수처리 용량을 유지토록 하면서도 폭기조(10)의 상부면과 장치케이싱(1)의 덮개판(4) 사이에 배관설치용 여유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살균조는 자외선램프(24)가 전기히터(25)와 함께 내장된 살균가열조(30)로 하여 폭기조(10)의 일측(도 2의 좌측) 전방면에서 장치케이싱(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 배치하는 것이며, 상기 폭기조(10)와 살균가열조(30)를 연통시키는 배출통로(37)는 살균가열조(30)의 후방면 하단측 중앙부(도 5 및 도 7 참조)에 제공된다.
따라서, 기포로 응집시킨 오염물질을 부유거품 형태로 배출시키기 위한 상기 거품배출관(13)과 기포분산기(22)용 에어튜브(21)의 삽입을 위한 튜브삽입관(11)은 폭기조(10)의 상부면에 각각 연결 설치될 것이고, 상기 활어수유입관(7)은 폭기조(10)의 상부면이나 벽체상에 연결 설치될 것이며, 상기 드레인배관(9)은 밸브기구(9a)를 구비한 상태로 폭기조(10)의 바닥면과 인접한 벽체상에 연결 설치될 것이고, 상기 처리수배출관(29)은 살균가열조(30)의 벽체상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활어수조측으로 연장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살균가열조(30)가 배치되지 아니한 폭기조(10)의 타측(도 2의 우측) 전방면 상부에는 선반식 받침대(17)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17)의 상부면에는 에어튜브(21)에 의하여 기포분산기(22)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기구와, 케이블라인(18b)에 의하여 자외선램프(24) 및 전기히터(25)와 접속되는 전력공급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품배출관(13)은 폭기조(10)의 상부면으로부터 살균가열조(30)와 받침대(17)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1)의 바닥판(5)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공급기구는 에어펌프(20)나 블로워 등과 같이 기포분산기(22)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가 사용되더라도 무방하고, 상기 기포분산기(22)의 경우도 에어스톤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력공급기구는 전류안정기(18)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전류 및 전압의 조정기 또는 해당 기능이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의 제어기능과 함께 제공된 컨트롤러 등의 다양한 종류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공급기구의 입력측이 메인케이블(18a)에 의하여 미도시된 전원과 접속되는 한편, 상기 전력공급기구의 출력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라인(18b)이 에어공급기구와 자외선램프(24) 및 전기히터(25)와 각각 접속되는 것이고, 상기 메인케이블(18a)을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마다 하나씩 개별적으로 접속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며, 상기 메인케이블(18a)은 미도시된 전원으로부터 장치케이싱(1)의 임의 위치를 관통하여 장치케이싱(1)의 내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기구를 기포분산기(22)와 연결하는 에어튜브(21)의 경로상에 공지의 에어분배기(19)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에어분배기(19)의 몸체 일측에는 에어공급기구로부터 연장되는 다수 개의 에어튜브(21)를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유입포트가 제공되고, 해당 몸체의 타측에는 기포분산기(22)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에어튜브(21)를 각각 연결시키기 위한 배출포트가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에는 에어의 유동경로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미도시된 소형의 레버식 밸브기구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요부를 이루는 구조적 개선방안에 따르면, 장치케이싱(1)의 내부에 거품배출관(13)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살균가열조(30)와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로부터의 방열작용으로 배출거품의 자연스러운 동결방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폭기조(10)를 지난 위치에 해당하는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 전기히터(25)를 배치시킴으로서, 부유물과 단백질 성분이 제거되지 아니한 상태의 활어수가 전기히터(25)와 접촉됨에 따른 스케일의 대량 부착 및 이에 따른 전기히터(25)의 성능저하와 전력낭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전기히터(25)에 의한 살균가열조(30) 내부의 적절한 온도상승 및 방열작용을 유도하여 배출거품의 동결방지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거품배출관(13)과 에어공급기구 및 전력공급기구에 이르기까지 정화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구를 장치케이싱(1)의 내부에 합리적으로 집적시켜 장치의 소형화 및 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기구와 에어공급기구가 내장된 장치케이싱(1)을 활어수조와 연결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정화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고, 덮개판(4)과 힌지도어(3a)에 잠금장치를 두는 것만으로도 정화장치 전체의 보안성이 확보되는 등, 판매자(설치)와 구매자(관리)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상 상기 활어수유입관(7)의 입구측과 거품배출관(13)의 출구측에 플렉시블호스(Flexible hose)(8)를 설치함으로서, 장치케이싱(1)을 활어수조와 연결시키는 작업 및 거품배출관(13)의 출구를 부유거품의 최종 배출통로와 연계시키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하였는 바,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처리수배출관(29)과 드레인배관(9)의 출구측에도 플렉시블호스(8)를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드레인배관(9)의 밸브기구(9a)는 볼밸브가 바람직하지만,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17)와 폭기조(10)의 연결부위에는 보강대(17a)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폭기조(10)는 장치케이싱(1)의 바닥판(5)과 후면판(6) 및 좌측 측판(3)을 베이스로 하여 그 상부측과 전방측 및 우측에 칸막이판(10a)을 덧대는 방식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살균가열조(30)의 경우에도 장치케이싱(1)의 전면판(2)과 바닥판(5) 및 좌측 측판(3)을 베이스로 하여 그 후방측과 우측에 칸막이판(30a)을 덧대는 방식으로 구획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폭기조(10)와 살균가열조(30)를 독립된 케이스로 별도 제작한 다음, 이를 장치케이싱(1) 내부의 정해진 위치에 맞추어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는 해당 공간에 저장되는 활어수의 수위 및 이에 따른 부유거품의 배출량을 조정하기 위한 수위조절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선출원에 적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살균가열조(30)의 후방측 벽체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서 살균가열조(30)의 좌,우 벽체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3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3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프레임(32)의 사이에 걸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설치되는 수위조절판(33)과, 상기 수위조절판(33)의 상단측 중앙부에 연결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조절막대(34)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32)의 전방측에는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 저장되는 활어수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소정 높이의 칸막이형 차단판(3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는 차단판(31)의 전방측에 해당하는 살균가열조(3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조절막대(34)는 덮개판(4)에 제공된 관통구멍(34b)을 거쳐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절막대(34)에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위치조정공(34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폭기조(10)와 연결된 거품배출관(13)의 내부에 다량의 부유거품이 적체될 경우에는 상기 조절막대(34)를 이용하여 수위조절판(33)을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폭기조(10) 내부의 활어수 수위를 상승시켜 다량의 부유거품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게 하고, 부유거품의 배출량이 과도하게 증대되어 활어수의 낭비가 우려될 경우에는 상기 조절막대(34)를 이용하여 수위조절판(33)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폭기조(10) 내부의 활어수 수위를 하강시켜 부유거품의 배출량을 줄이도록 한다는 것이며, 상기 수위조절판(33)의 위치 고정은 덮개판(4)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막대(34)의 위치조정공(34a)으로 걸림핀 등을 삽입시키는 조작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차단판(31) 부분과 살균가열조(30)의 후방측 칸막이판(30a) 부분을 투명아크릴판으로 설치하게 되면, 자외선램프(24)로부터 조사(照射)되는 자외선의 살균영역을 살균가열조(30)로부터 폭기조(10)에 이르기까지 보다 더 광범위하게 확보함으로서 활어수의 살균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폭기조(10)의 내부 표면에 치패(稚貝: 어린조개)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폭기조(10)와 살균가열조(30)를 연통시키는 배출통로(37)가 부착생물에 의하여 막히거나, 폭기조(10) 내부의 활어수 저장공간이 부착생물에 의하여 줄어드는 현상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내용 역시 선출원에 모두 기재되어 있는 사항이다.
본 발명의 제 2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기조(10)의 상부면 중앙측에 수직 방향의 분배관(14)을 연결시키되, 상기 분배관(14)의 상단측이 장치케이싱(1)의 덮개판(4)에 제공된 관통구멍(14a)을 거쳐 장치케이싱(1)의 외부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분배관(14)의 하부측은 폭기조(10)의 바닥면과 인접하는 위치까지 폭기조(10)의 내부로 연장시킨 것이며, 상기 장치케이싱(1)의 외부로 돌출된 분배관(14)의 상단측에는 나사체결식 또는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밀폐캡(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살균가열조(30)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폭기조(10)의 일측(도 5의 좌측) 상부면으로부터 거품유도관(12)을 연장시킨 다음 해당 거품유도관(12)을 분배관(14)과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튜브삽입관(11)은 거품유도관(12)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폭기조(10)의 타측(도 5의 우측) 상부면에 설치하고, 상기 거품배출관(13)은 거품유도관(12)이 연결되는 지점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분배관(14)측으로부터 살균가열조(30)와 받침대(17)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1)의 바닥판(5)측으로 연장시킨 것이며, 상기 거품유도관(12)이 연장되는 폭기조(10)의 일측 상부면은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되는 거품챔버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요부를 이루는 구조적 개선방안에 따르면, 거품유도관(12)으로부터 분배관(14)측으로 유입된 부유거품은 상부측의 거품배출관(13)으로 유도되게 하고, 부유거품중에 포함된 활어수의 여액 성분은 분배관(14)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유도되게 함으로서, 부유거품의 배출방향과 여액의 회수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회수된 여액중의 오염물질은 분배관(14)의 하단 출구를 거쳐 기포분산기(22)측으로 유도 및 재포집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부유거품과 여액의 분리 및 여액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재처리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밀폐캡(16)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분배관(14)의 상단측 입구로 청소도구를 밀어 넣어 분배관(14)의 청소작업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품배출관(13)이 연결되는 지점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분배관(14)상에 장치케이싱(1)의 덮개판(4)이 놓여지는 받침트레이(15)를 적용시키되, 상기 받침트레이(15)를 상단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트레이(Tray)로 제작한 상태에서 상기 분배관(14)이 받침트레이(15)의 바닥면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받침트레이(15)의 상단면이 덮개판(4)에 제공된 분배관(14)의 관통구멍(14a)을 외부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도 5를 기준으로 할 경우, 상기 받침트레이(15)가 분배관(14)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위치의 분배관(14) 외측면에 받침트레이(15)를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플랜지형 돌출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받침트레이(15)의 바닥면 중앙부에 분배관(14)의 관통구멍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받침트레이(15)를 분배관(14)을 따라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상기 받침트레이(15)의 상단면에 탄성 소재의 밀폐링을 설치하여 받침트레이(15)와 덮개판(4)의 밀착(밀봉) 성능을 보다 더 향상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요부를 이루는 구조적 개선방안에 따르면, 분배관(14)의 청소작업시 발생하는 오염된 물이 덮개판(4)의 관통구멍(14a)을 거쳐 장치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받침트레이(15)의 내부로 전량(全量) 유도 및 저장되게 함으로서, 장치케이싱(1) 내부의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 및 케이블라인(18b) 등을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실외의 차가운 공기에 거품배출관(13)이 노출되는 상황을 받침트레이(15)로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덮개판(4) 부분의 지지력은 받침트레이(15)로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며, 받침트레이(15)의 내부에 고인 물은 관통구멍(14a)을 통하여 자연 건조시킬 수도 있고, 덮개판(4)을 분리시킨 다음 마른 수건으로 깨끗히 닦아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4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가열조(30)의 상단면은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의 손쉬운 투입과 회수를 위하여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살균가열조(30)의 일측(도 2의 우측) 상단면에는 "U"자 형태의 조립홈(35)을 절개 형성시키며, 상기 조립홈(35)에는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의 케이블라인(18b)이 중앙부로 관통되는 수밀용 케이블팩킹(Cable packing)(27)을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덮개판(4)의 하부면에는 살균가열조(30)의 개구된 상단면 외측부를 에워싸는 커버프레임(36)을 연결 설치하되, 상기 살균가열조(30)의 조립홈(35)과 마주보는 위치에 맞추어 커버프레임(36)의 하측부에도 케이블팩킹(27)의 좌,우측면을 따라 끼워지는 "∩"자 형태의 조립홈(36a)을 절개 형성시킨 것이며, 상기 커버프레임(36)은 장치케이싱(1)의 전면판(2)과 좌측 측판(3)을 제외한 살균가열조(30)의 나머지 칸막이판(30a) 상단측 부분을 에워싸는 "ㄱ"자 형태의 프레임을 이루고 있다.
상기 케이블팩킹(27)은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지는 팩킹바디(27a)의 몸통 좌,우측면과 하부면에 걸쳐 살균가열조(30)의 조립홈(35) 내주면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凹"자형 단면의 끼움조립부(27d)가 제공된 것이고, 상기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용 케이블라인(18b)은 팩킹바디(27a)의 몸통 전방면과 후방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케이블튜브(27b)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팩킹(27)은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블튜브(27b)의 중앙부에 제공된 관통구멍 내측에는 케이블라인(18b)이 관통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실리콘 등의 충진제(27c)를 이용하여 수밀 가능하게 밀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케이블튜브(27b)를 따라 케이블라인(18b)의 개수에 맞춘 관통구멍을 개별적으로 형성시킨 다음, 각각의 관통구멍을 따라 해당 케이블라인(18b)을 수밀 가능하게 끼움식으로 관통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며, 상기 커버프레임(36)의 조립홈(36a) 부분은 살균가열조(30)의 외부로 돌출되는 팩킹바디(27a)의 좌,우측면과 상단면을 따라 그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끼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요부를 이루는 구조적 개선방안에 따르면, 장치케이싱(1)으로부터 덮개판(4)을 분리하는 즉시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를 케이블팩킹(27)과 함께 살균가열조(30)로부터 손쉽게 꺼낼 수 있는 한편, 정화장치의 정상가동시 염분을 머금은 습기가 살균가열조(30)로부터 장치케이싱(1)의 내부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덮개판(4)의 커버프레임(36)이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의 회수와 수리 및 그 교체나 재설치 작업 등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염분에 취약한 에어공급기구와 전력공급기구의 사용수명 또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커버프레임(36)을 덮개판(4)의 하측에 설치하지 않고 앞서 설명되어진 받침트레이(15)와 같이 살균가열조(30)의 개구된 상단면이 덮개판(4)의 하측면과 직접 밀착되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단순 접촉식 구조만으로는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서 발생한 습기가 장치케이싱(1)의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급적 상기 커버프레임(36)을 이용한 차단구조를 적용시키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습기는 덮개판(4)에 형성된 조절막대(34)의 관통구멍(34b)을 거쳐 외부로 자동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2 내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 전기히터(25)의 제어를 위한 수온센서(26)를 추가로 설치하는 한편, 살균가열조(30)의 내부 상측면에는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와 수온센서(26)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매달아 놓을 수 있도록 3개의 행거브라켓(Hanger bracket)(28)을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수온센서(26)용 케이블라인(18b)도 앞서 설명된 케이블팩킹(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것이고, 상기 수온센서(26)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도 2개의 행거브라켓(28)을 이용하여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를 살균가열조(30)의 내부공간에 매달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행거브라켓(28)의 대표적인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가열조(30)의 내측면 임의 위치상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대(28a)와, 상기 장착대(28a)의 전방면에 연결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거치대(28b)와, 상기 거치대(28b)의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핏팅튜브(Fitting tube)(28c)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핏팅튜브(28c)는 케이블라인(18b)의 끼움식 장착을 위한 파이프 형태가 되고, 상기 핏팅튜브(28c)의 몸통상에는 케이블라인(18b)의 끼움 작업을 위한 노치(Notch)형 절개부(28d)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요부를 이루는 구조적 개선방안에 따르면, 살균가열조(30)의 내부로 투입되는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 및 수온센서(26)가 살균가열조(30) 내부의 특정한 방향으로 몰리면서 접촉되지 않고 적절한 배치간격을 유지토록 함으로서, 자외선램프(24)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이 전기히터(25)에 의하여 과도하게 가려져 차단되거나, 수온센서(26)가 자외선램프(24)나 전기히터(25)의 표면과 직접 접촉되어 정확한 수온측정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등,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 및 수온센서(26) 각각의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 상기 살균가열조(30)에 설치되는 케이블팩킹(27)과 일맥 상통하는 관점에서, 상기 에어공급기구를 기포분산기(22)와 연결하는 에어튜브(21)의 경우에도 도 6에서와 같이, 수밀식 튜브팩킹(23)과 함께 폭기조(10)의 튜브삽입관(11)에 끼움식으로 조립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에어튜브(21)가 관통되는 튜브삽입관(11)의 통로구멍 자체를 충진제로 밀봉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활어수의 누설을 방지하는 조건으로 기포분산기(22)의 회수와 수리 및 그 교체와 재설치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도면상 상기 튜브팩킹(23)은 원통형 몸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해당 몸통의 중앙부를 따라 에어튜브(21)의 관통구멍(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튜브(21)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관통구멍(23a)의 나머지 공간에도 실리콘 등의 충진제(23c)가 주입되어 있고, 상기 튜브팩킹(23)의 바닥면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튜브삽입관(11)의 끼움조립홈(23b)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조립홈(23b)은 튜브삽입관(11)의 길이(도면상 높이)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팩킹(23)의 경우도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튜브팩킹(23)상에 에어튜브(21)의 개수에 맞춘 관통구멍(23a)을 개별적으로 형성시킨 다음, 각각의 관통구멍(23a)을 따라 해당 에어튜브(21)를 수밀 가능하게 끼움식으로 관통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폭기조(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기포분산기(22)의 개수는 튜브삽입관(11)을 통하여 투입 및 회수가 가능한 개수의 범위내에서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고, 폭기조(10)의 내부에 2개 이상의 기포분산기(22)를 설치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되어진 에어분배기(19)를 이용하여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기포분산기(22)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기초로 하여 현재까지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최적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상기 최적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행하여지는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한 사항이라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최적 실시예를 기초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이후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재사항을 바탕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1 : 장치케이싱 2 : 전면판 2a : 개구부
3 : 측판 3a : 힌지도어 4 : 덮개판
4a : 테두리부 5 : 바닥판 6 : 후면판
7 : 활어수유입관 8 : 플렉시블호스 9 : 드레인배관
9a : 밸브기구 10 : 폭기조 10a,30a : 칸막이판
11 : 튜브삽입관 12 : 거품유도관 13 : 거품배출관
14 : 분배관 14a,34b : 관통구멍 15 : 받침트레이
16 : 밀폐캡 17 : 받침대 17a : 보강대
18 : 전류안정기 18a : 메인케이블 18b : 케이블라인
19 : 에어분배기 20 : 에어펌프 21 : 에어튜브
22 : 기포분산기 23 : 튜브팩킹 23a : 관통구멍
23b : 끼움조립홈 23c,27c : 충진제 24 : 자외선램프
25 : 전기히터 26 : 수온센서 27 : 케이블팩킹
27a : 팩킹바디 27b : 케이블튜브 27d : 끼움조립부
28 : 행거브라켓 28a : 장착대 28b : 거치대
28c : 핏팅튜브 28d : 절개부 29 : 처리수배출관
30 : 살균가열조 31 : 차단판 32 : 가이드프레임
33 : 수위조절판 34 : 조절막대 34a : 위치조정공
35,36a : 조립홈 36 : 커버프레임 37 : 배출통로
100 : 활어수 정화장치
3 : 측판 3a : 힌지도어 4 : 덮개판
4a : 테두리부 5 : 바닥판 6 : 후면판
7 : 활어수유입관 8 : 플렉시블호스 9 : 드레인배관
9a : 밸브기구 10 : 폭기조 10a,30a : 칸막이판
11 : 튜브삽입관 12 : 거품유도관 13 : 거품배출관
14 : 분배관 14a,34b : 관통구멍 15 : 받침트레이
16 : 밀폐캡 17 : 받침대 17a : 보강대
18 : 전류안정기 18a : 메인케이블 18b : 케이블라인
19 : 에어분배기 20 : 에어펌프 21 : 에어튜브
22 : 기포분산기 23 : 튜브팩킹 23a : 관통구멍
23b : 끼움조립홈 23c,27c : 충진제 24 : 자외선램프
25 : 전기히터 26 : 수온센서 27 : 케이블팩킹
27a : 팩킹바디 27b : 케이블튜브 27d : 끼움조립부
28 : 행거브라켓 28a : 장착대 28b : 거치대
28c : 핏팅튜브 28d : 절개부 29 : 처리수배출관
30 : 살균가열조 31 : 차단판 32 : 가이드프레임
33 : 수위조절판 34 : 조절막대 34a : 위치조정공
35,36a : 조립홈 36 : 커버프레임 37 : 배출통로
100 : 활어수 정화장치
Claims (6)
- 활어수조로부터 활어수유입관(7)을 거쳐 장치케이싱(1)의 내부로 유입된 활어수를 기포분산기(22)가 내장된 폭기조(10)와 자외선램프(24)가 내장된 살균조를 통하여 순차 공급시키고, 상기 폭기조(10)와 살균조를 거친 활어수가 처리수배출관(29)을 통하여 장치케이싱(1)으로부터 활어수조로 재공급되도록 한 구성이 포함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장치케이싱(1)은 전면판(2)과 후면판(6)이 좌,우 측판(3)과 바닥판(5)으로 연결 설치된 육면체 형상의 케이싱이 되고, 상기 장치케이싱(1)의 상단면에는 착탈식 덮개판(4)이 설치되며,
상기 폭기조(10)는 장치케이싱(1)의 내부 후방 하측에서 장치케이싱(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눕혀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폭기조(10)의 상부면과 장치케이싱(1)의 덮개판(4) 사이에는 배관설치용 여유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살균조는 자외선램프(24)가 전기히터(25)와 함께 내장된 살균가열조(30)로 하여 폭기조(10)의 일측 전방면에서 장치케이싱(1)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 배치되고, 상기 살균가열조(30)의 후방면 하단측에 폭기조(10)와 연통되는 배출통로(37)가 제공되며,
상기 폭기조(10)의 상부면에는 기포로 응집시킨 오염물질의 배출을 위한 거품배출관(13)과 기포분산기(22)용 에어튜브(21)의 삽입을 위한 튜브삽입관(11)이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활어수유입관(7)은 폭기조(10)의 상부면이나 벽체상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살균가열조(30)가 배치되지 아니한 폭기조(10)의 타측 전방면 상부에는 선반식 받침대(17)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17)의 상부면에는 에어튜브(21)에 의하여 기포분산기(22)와 연결되는 에어공급기구와, 케이블라인(18b)에 의하여 자외선램프(24) 및 전기히터(25)와 접속되는 전력공급기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거품배출관(13)은 폭기조(10)의 상부면으로부터 살균가열조(30)와 받침대(17)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1)의 바닥판(5)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배출관(29)은 살균가열조(30)의 벽체상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10)의 상부면 중앙측에는 수직 방향의 분배관(14)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분배관(14)의 하부측은 폭기조(10)의 바닥면과 인접하는 위치까지 폭기조(10)의 내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분배관(14)의 상단측은 장치케이싱(1)의 덮개판(4)에 제공된 관통구멍(14a)을 거쳐 장치케이싱(1)의 외부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장치케이싱(1)의 외부로 돌출된 분배관(14)의 상단측에는 착탈식 밀폐캡(16)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살균가열조(30)의 후방측에 해당하는 폭기조(10)의 일측 상부면으로부터 거품유도관(12)이 연장되고, 상기 거품유도관(12)이 분배관(14)과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튜브삽입관(11)은 거품유도관(12)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폭기조(10)의 타측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거품배출관(13)은 거품유도관(12)이 연결되는 지점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분배관(14)측으로부터 살균가열조(30)와 받침대(17) 사이를 경유하여 장치케이싱(1)의 바닥판(5)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배출관(13)이 연장되는 지점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분배관(14)측에는 장치케이싱(1)의 덮개판(4)이 놓여지는 받침트레이(15)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받침트레이(15)는 상단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의 트레이(Tray)가 되며,
상기 분배관(14)은 받침트레이(15)의 바닥면 중앙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받침트레이(15)의 상단면은 덮개판(4)에 제공된 분배관(14)의 관통구멍(14a)을 외부측에서 에워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가열조(30)의 상단면은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의 투입 또는 회수를 위하여 개구된 상태가 되고, 상기 살균가열조(30)의 일측 상단면에는 "U"자 형태의 조립홈(35)이 절개 형성되며,
상기 조립홈(35)에는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의 케이블라인(18b)이 중앙부로 관통되는 수밀용 케이블팩킹(27)이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팩킹(27)의 좌,우측면과 하부면에는 살균가열조(30)의 조립홈(35) 내주면과 끼움식으로 맞물리는 "凹"자형 단면의 끼움조립부(27d)가 제공되며,
상기 덮개판(4)의 하부면에는 살균가열조(30)의 상단 외측면을 에워싸는 커버프레임(36)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살균가열조(30)의 조립홈(35)과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하는 커버프레임(36)의 하측부에도 케이블팩킹(27)의 좌,우측면을 따라 끼워지는 "∩"자 형태의 조립홈(36a)이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가열조(30)의 내부에는 수온센서(26)가 추가로 설치되고, 상기 수온센서(26)용 케이블라인(18b)도 케이블팩킹(2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살균가열조(30)의 내부 상측면에는 자외선램프(24)와 전기히터(25)와 수온센서(26)를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매달아 놓을 수 있도록 3개의 행거브라켓(28)이 설치되고,
상기 행거브라켓(28)은 살균가열조(30)의 내측면상에 고정 설치되는 장착대(28a)와, 상기 장착대(28a)의 전방면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28b)와, 상기 거치대(28b)의 선단에 연결 설치되는 핏팅튜브(28c)로 구성되며,
상기 핏팅튜브(28c)는 케이블라인(18b)의 끼움식 장착을 위한 파이프 형태가 되고, 상기 핏팅튜브(28c)의 몸통상에는 케이블라인(18b)의 끼움 작업을 위한 노치형 절개부(28d)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삽입관(11)에는 수밀용 튜브팩킹(23)이 끼움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고, 상기 기포분산기(22)용 에어튜브(21)는 튜브팩킹(23)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튜브팩킹(23)의 바닥면 둘레 방향을 따라 튜브삽입관(11)의 끼움조립홈(23b)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조립홈(23b)은 튜브삽입관(11)의 길이에 해당하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5408A KR102340124B1 (ko) | 2021-09-22 | 2021-09-22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5408A KR102340124B1 (ko) | 2021-09-22 | 2021-09-22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0124B1 true KR102340124B1 (ko) | 2021-12-15 |
Family
ID=7886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5408A KR102340124B1 (ko) | 2021-09-22 | 2021-09-22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012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2078A (ko) * | 2005-03-08 | 2005-04-06 | 조석찬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KR101058492B1 (ko) * | 2009-04-23 | 2011-08-24 | 성준 |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
KR101165020B1 (ko) | 2011-12-02 | 2012-07-13 | 조석찬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KR101921556B1 (ko) | 2018-04-20 | 2018-11-23 | 조석찬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
2021
- 2021-09-22 KR KR1020210125408A patent/KR10234012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32078A (ko) * | 2005-03-08 | 2005-04-06 | 조석찬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KR101058492B1 (ko) * | 2009-04-23 | 2011-08-24 | 성준 |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
KR101165020B1 (ko) | 2011-12-02 | 2012-07-13 | 조석찬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KR101921556B1 (ko) | 2018-04-20 | 2018-11-23 | 조석찬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54424A (en) | Aquarium ecosystem | |
AU2016392368B2 (en) | Aquaponics system, and fish and shellfish rearing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the aquaponics system | |
US4807565A (en) | Gravity filter system aquarium | |
KR930002425Y1 (ko) | 관상물고기용 어항 | |
KR20160045245A (ko) |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 |
US20080190374A1 (en) | Water dispenser for pets | |
US453714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ainted shellfish | |
EP1321031A2 (en) | Aquarium cleaning system | |
KR20200059950A (ko) | 다층 생장 장치 | |
JPWO2007108146A1 (ja) | 水槽用オーバーフロー装置 | |
JP2019180347A (ja) | 家庭用観賞用水槽の水槽水循環脱塩濾過装置 | |
KR20150033253A (ko) |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 |
KR102340124B1 (ko)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
CA2075540A1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use in the depuration of bivalves | |
KR101058492B1 (ko) |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 |
US9408374B2 (en) | Hang on glass upflow algae scrubber embodiments | |
KR101921556B1 (ko)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
KR20210012015A (ko) | 수족관용 통합 컨트롤 여과장치 | |
NO884542L (no) | Anordning ved oppdrettsanlegg for marine dyr, saerlig fisk. | |
ZA200502733B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20150115573A (ko) |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 | |
JP2013021980A (ja) | 植物栽培装置 | |
KR20160074795A (ko) | 전복 및 해삼 양성기 | |
KR20200119002A (ko) |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 |
AU2007229362A1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