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7842B1 -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7842B1
KR100697842B1 KR1020050014097A KR20050014097A KR100697842B1 KR 100697842 B1 KR100697842 B1 KR 100697842B1 KR 1020050014097 A KR1020050014097 A KR 1020050014097A KR 20050014097 A KR20050014097 A KR 20050014097A KR 100697842 B1 KR100697842 B1 KR 10069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 fish
bubble
chamber
casing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9173A (ko
Inventor
조석찬
Original Assignee
조석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찬 filed Critical 조석찬
Priority to KR102005001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7842B1/ko
Publication of KR2005002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에 의한 폭기실의 내측 상부에 기포 유도용 덕트를 설치하여 상기 덕트가 인접하는 기포저장실과 연결되도록 하고, 기포저장실의 직하방에는 정화수의 배출실이 구획되도록 한 상태에서 기포저장실의 바닥부를 거쳐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폭기실로 재공급되어 분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활어수의 오염원이 되는 각종 부유물 또는 단백질이나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 등을 기포와 함께 연속적으로 응집 및 제거시켜 활어수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하게 유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활어수 정화장치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시키면서도 그 처리능력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포와 함께 응집되는 이물질을 매우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여 이물질의 퇴적에 따른 악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장치의 청소주기 및 활어수의 처리기간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활어수 정화장치의 제조나 설비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활어수조, 활어수, 정화장치, 임펠러, 폭기, 용존산소

Description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for a fish rearing tan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부분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화장치 10 : 케이싱 10a : 중앙격벽
10b : 경사격벽 11 : 모터실 12 : 구동모터
13 : 회전축 14 : 축지지구 15 : 임펠러
15a : 에어분사공 16 : 에어유입관 17 : 간격
18 : 정화수 배출실 19 : 정화수 배출통로 19a : 배출구
19b : 배출관 20 : 폭기실 21 : 활어수 유입관
22 : 기포유도덕트 23 : 엘보관 24 : 기포저장실
25 : 재처리구 26 : 기포배출관
본 발명은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어수에 폭기(爆氣; Aeration)를 행하여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활어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오염원을 기포와 함께 응집 및 제거시킴으로서, 활어수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하여 활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활어를 보다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活魚)라고 하는 것은 식용을 위하여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한 물고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에 들어서는 외식산업의 발달과 활어운반에 따른 비용의 상승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횟집이나 활어가게에서는 비교적 좁은 공간을 형성하는 활어수조의 내부에 많은 량의 활어를 고밀도로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활어를 꺼내어 파는 형태의 영업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좁은 공간을 형성하는 활어수조의 내부에 많은 량의 활어를 고밀도로 저장하게 되면, 활어수에 포함된 용존산소가 급속도로 소모됨과 동시에 활어의 먹이와 배설물에 의하여 각종 부유물 또는 단백질이나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 등이 빠른 시간안에 고농도로 활어수에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활어수의 수질이 급속히 악화됨으로서 활어의 생장여건 및 그 신선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활어가 폐사하게 되는 심각한 상황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각종 횟집이나 활어가게에서는 활어수조의 수질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인근 해역에서 길어온 신선한 해수로 활어수를 자주 갈아주거나, 활어수조의 바닥에 자갈이나 모래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은 여과재를 깔아서 일 정 기간동안 활어수를 여과시킨 다음 이 여과재를 세척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져 왔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해수의 운반에 따른 수송비와 인건비의 부담이 매우 크기 때문에 연안해역과 다소 거리가 먼 내륙지방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 또한 여과재에 의한 활어수의 정화능력이 매우 저조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및 부유물 등이 여과재에 축적되어 부패되는 과정에서 각종 세균들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어수의 수질 개선과 활어의 폐사 방지에 그다지 기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임펠러에 의하여 활어수에 폭기를 행함으로서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활어수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물과 단백질 성분 및 암모니아와 질소 성분 등을 기포와 함께 응집 및 배출시켜 활어수의 정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활어해수 정화시스템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49649호(등록일자: 2004년 04월 27일 등록)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활어해수 정화시스템은 장치의 내측 하부공간에서 임펠러에 의한 활어수의 폭기 및 공급을 행하고, 이 과정에서 활어수의 상부측으로 부유하게 되는 다량의 기포거품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을 통하여 장치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기포배출공간으로 유도시키며, 정화된 활어수는 해수상승관으로부터 상기 기포유도관이 통과하는 장치의 내측 중앙부 공간을 통하여 활어수조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활어해수 정화시스템은 활어수의 폭기과정에서 발생한 기포거품을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을 통하여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서 기포거품의 배출구조가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활어수의 폭기공간과 기포거품 및 정화수의 배출공간이 3단 적층식 구조를 가지면서 비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부피 또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활어해수 정화시스템은 그 제조단가가 비교적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정화시스템을 활어수조와 함께 설비하는 데에 따른 공간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화된 활어수의 공급통로가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에 의하여 복잡한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시스템의 수리나 내부 스케일의 청소 또한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활어수의 폭기공간과 기포거품의 배출공간이 다수 개의 기포유도관으로 연결됨에 따라 기포거품의 배출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됨으로서, 많은 량의 기포거품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폭기공간에 체류하여 활어수의 처리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그 중 일부가 정화된 활어수와 함께 배출되는 과정에서 해당 통로상에 존재하는 기포유도관의 외측면에 스케일의 형태로 부착됨으로서 활어수의 2차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포유도관을 통하여 기포거품과 함께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는 이물질 중 그 일부는 입자간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비교적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형성하게 되는 데, 이러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기포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공간의 바닥부로 쉽게 가라앉아 퇴적됨으로서, 기포배출 공간으로부터 악취가 쉽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기포배출공간의 빈번한 스케일 제거작업으로 시스템의 1회 가동에 따른 활어수의 처리주기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정화시스템의 사용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또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는 임펠러에 의한 폭기실의 내측 상부에 기포 유도용 덕트를 설치하여 상기 덕트가 인접하는 기포저장실과 연결되도록 하고, 기포저장실의 직하방에는 정화수의 배출실이 구획되도록 한 상태에서 기포저장실의 바닥부를 거쳐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폭기실로 재공급되어 분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고 활어수의 오염원이 되는 각종 부유물 또는 단백질이나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 등을 기포와 함께 연속적으로 응집 및 제거시켜 활어수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하게 유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활어수 정화장치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소형화시키면서도 그 처리능력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포와 함께 응집되는 이물질을 매우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여 이물질의 퇴적에 따른 악취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장치의 청소주기 및 활어수의 처리기간을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활어수 정화장치의 제조나 설비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 어수에 산소공급과 이물질 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화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그 바닥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중앙격벽에 의하여 2개의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일측 외부에는 구동모터가 수납되는 모터실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인접하는 케이싱의 일측 내부공간은 활어수 유입관에 의하여 활어수조와 연결되고, 그 하부측에는 에어분사공을 구비하는 임펠러가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고, 그 상부측에는 기포유도덕트가 설치되는 폭기실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부공간은 폭기실의 기포유도덕트 하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격벽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부공간이 폭기실의 기포유도덕트와 엘보관으로 연결되는 기포저장실로 형성되고, 그 하부공간은 중앙격벽이 형성하는 간격과 케이싱의 후방측 배출구에 의한 정화수 배출실을 형성하며, 상기 폭기실 내부의 임펠러는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에어유입관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기포저장실의 양측벽을 이루는 케이싱의 상부측과 중앙격벽의 하단에는 기포배출관과 재처리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정화수 배출실은 배출구에 의하여 케이싱의 내측 후방에서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정화수 배출통로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 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부분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중 미설명된 부호 11a는 모터실(11)의 개폐도어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활어수가 저장되도록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며 정화장치(1)의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일측(도면상 우측) 외부에는 구동모터(12)가 수납되는 모터실(1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은 그 바닥면과 일정한 간격(17)으로 이격되는 중앙격벽(10a)에 의하여 좌,우측 2개의 공간으로 분리 형성된다.
상기 모터실(11)의 경우는 구동모터(12)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자연 방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 수납실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모터실(11)을 폐쇄된 공간으로 형성시킨 다음 모터실(11)의 측벽상에 별도의 방열팬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격벽(10a)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분리되는 2개의 공간 중 상기 구동모터(12)와 인접하는 케이싱(10)의 우측 내부공간은 가상선(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활어수 유입관(21)에 의하여 활어수조(미도시)와 연결되고, 그 하부측에는 에어분사공(15a)을 구비하는 임펠러(15)가 케이싱(10)을 관통하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과 연동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측에는 깔때기 형상의 기포유도덕트(22)가 설치되는 폭기실(20)로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15)는 에어분사공(15a)을 구비하는 파이프 형태의 몸체 외주면에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됨으로서, 에어유입관(16)을 거쳐 유입된 외부공기를 미 세한 기포의 형태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모터실(11)로부터 폭기실(20)의 내부로 관통되는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은 베어링을 개재시킨 축지지구(14)에 의하여 그 회전이 지지되고, 상기 축지지구(14)와 케이싱(10)의 사이에는 수밀(水密)을 위한 팩킹 등이 설치되며, 상기 기포유도덕트(22)는 그 하단 외주연부가 폭기실(20)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중앙격벽(10a)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좌측 내부공간은 폭기실(20)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격벽(10b)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2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는 데, 상기 경사격벽(10b)이 중앙격벽(10a)과 연결되는 위치는 폭기실(20)의 기포유도덕트(22)보다 하부측에 해당하는 지점이 된다.
또한, 상기 경사격벽(10b)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부측에 해당하는 공간은 폭기실(20)의 기포유도덕트(22) 상단부와 엘보관(23)으로 연결되는 기포저장실(24)로 형성되며, 그 하부측에 해당하는 공간은 중앙격벽(10a)이 케이싱(10)의 바닥부와 이루는 간격(17)에 의하여 폭기실(20)의 하부측과 연통됨과 동시에 케이싱(10)의 바닥부 후방측에 구비된 배출구(19a)에 의하여 정화수 배출통로(19)와 연통되는 정화수 배출실(18)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폭기실(20) 내부의 임펠러(15)는 그 일측이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과 연동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그 타측이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폭기실(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에어유입관(16)과 연결되는 데, 임펠러(15)와 에어유입관(16)과의 연결부위 또한 임펠러(15)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상에서는 상기 에어유입관(16)이 폭기실(20)의 내측 상부와 기포저장실(24) 및 정화수 배출실(18)을 거쳐 임펠러(15)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임펠러(15)의 회전에 따라 외부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에어유입관(16)의 설치 형태나 그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되어질 수 있고, 케이싱(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에어유입관(16)의 단부측에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필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포저장실(24)의 일측벽을 이루는 중앙격벽(10a)에는 경사격벽(10b)과의 연결부위에 재처리구(25)가 관통되어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폭기실(20)의 내부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타측벽을 이루는 케이싱(10)의 상부측에는 기포저장실(24)로 유입된 기포거품을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기포배출관(26)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 배출실(18)은 배출구(19a)에 의하여 케이싱(10)의 내측 후방에서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정화수 배출통로(19)와 연통되는 데, 상기 정화수 배출통로(19)는 케이싱(10)의 후방에서 그 내측을 향하여 일정 폭만큼 돌출되는 챔버(Chamber)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 3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전방측에는 폭기실(20)과 연결되는 활어수 유입관(21)이 관통 설치되어 있고, 그 양측으로는 기포배출관(26) 및 에어유입관(16)이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실(11)의 전방측에는 개폐도어(1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나)에서 보다 더 확실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내측 후방에는 정화수 배출통로(19)가 별도의 챔버(Chamber) 형태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정화수 배출통로(19)의 후방벽을 이루는 케이싱(10)의 상부측에는 배출관(19b)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정화장치(1)를 작동시키기 이전에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이루는 폭기실(20)과 정화수 배출실(18) 및 기포저장실(24)을 통하여 활어수조에 저장된 활어수가 일정 수위만큼 저장되도록 활어수 유입관(21)을 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로 활어수를 공급시키게 되는 데, 케이싱(10)의 내부에 저장되는 활어수의 적정 수위는 도 2에 도시된 정화수 배출통로(19)의 배출관(19b) 높이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활어수를 적정 수위로 저장시킴과 동시에, 활어수 유입관(21)과 정화수 배출관(19b)을 통하여 활어수가 정화장치(1)와 활어수조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세팅한 상태에서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키게 되면, 폭기실(20) 내부의 임펠러(15)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에어유입관(16)을 거쳐 유입된 외부공기가 임펠러(15)의 에어분사공(15a)을 통하여 미세한 기포의 형태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실(20)의 내부에서 임펠러(15)의 회전에 의한 미세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폭기실(20) 내부의 활어수에 함유된 각종 부유물이나 단백질 또는 암모니아 및 질소 성분과 같은 이물질이 기포에 흡착되어 기포거품의 형태로 부상하게 되고, 폭기 및 이물질의 제거가 행하여진 처리수 즉, 정화수는 중앙격벽(10a)의 하단에 형성된 간격(17)을 통하여 정화수 배출실(18)과 정화수 배출통로(19) 및 그 배출관(19b)을 거쳐 활어수조로 재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수 배출통로(19) 및 그 배출관(19b)을 거쳐 활어수조로 재공급되는 정화수는 폭기에 의한 용존산소량의 증가와 각종 이물질의 제거를 통하여 우수한 수질의 활어수로 조성되며, 이와 같이 정화 처리된 신선한 활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활어수조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활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활어를 보다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폭기실(20)의 상부로 부상하게 되는 다량의 기포거품은 임펠러(15)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미세기포에 의하여 그 거품의 층이 두터워지면서 기포유도덕트(22) 및 엘보관(23)을 통하여 기포저장실(24)로 자동 배출되는 데, 폭기실(20)에서 발생한 기포거품의 전량(全量)이 기포유도덕트(22)의 내부로 유도됨으로서, 미배출되는 기포거품의 량과 이에 따른 폭기실(20) 내부의 이물질 체류량을 최소화시켜 활어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포유도덕트(22)로부터 엘보관(23)을 거쳐 기포저장실(24)로 공급되는 기포거품은 기포저장실(24)에 기존재하는 활어수의 상부로 부상하여 쌓이게 되는 데, 기포거품에 포함된 이물질 중 그 입자가 미세한 이물질과 각종 유해가스 성분은 기포거품과 함께 기포배출관(26)을 통하여 케이싱(10)의 외부로 자동 배출 되고, 그 중 일부는 입자간의 뭉침현상으로 인하여 비교적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그 자중에 의하여 기포저장실(24)의 바닥측으로 가라앉게 되는 데, 기포저장실(24)의 바닥부가 경사격벽(10b)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경사격벽(10b)에 의하여 폭기실(20)측으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중앙격벽(10a)과 경사격벽(10b)의 연결부측에 형성된 재처리구(25)를 통하여 폭기실(20)의 내부로 재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폭기실(20)의 내부로 재공급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은 임펠러(15)의 회전력과 분사되는 기포에 의하여 미세한 입자로 다시 분쇄된 다음 기포와 함께 폭기실(20)의 상부 즉, 기포유도덕트(22)의 내부로 부유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거침으로서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장치의 내부에 퇴적되지 않고 미세입자로 분쇄되어 기포거품과 함께 기포저장실(24) 및 기포배출관(26)을 거쳐 케이싱(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포저장실(24)의 바닥부를 이루는 경사격벽(10b)상에 이물질의 퇴적에 의한 스케일과 악취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고, 기포거품과 함께 부유하는 이물질이 미세입자의 형태를 조성되어 기포배출구(26)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됨으로서, 기포저장실(24)의 청소(스케일 제거)주기 및 이로 인한 활어수의 처리주기를 최대한으로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 정화장치(1)는 폭기과정에서 발생한 기포거품의 전량(全量)이 하나의 기포유도덕트(2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기포거 품의 배출구조를 매우 단순하게 구성하면서도 활어수의 처리효율은 최대한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어수의 폭기공간과 기포거품 및 정화수의 배출공간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콤펙트하고도 효과적인 공간배치를 이루도록 하여 정화장치(1)의 전체적인 부피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화장치(1)의 제조에 따른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정화장치(1)를 활어수조와 함께 설비하는 데 따른 공간확보가 용이하도록 하여 그 설비에 따른 비용 또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스케일 제거와 같은 정화장치(1)의 전체적인 청소나 정화장치(1)의 결함에 따른 유지보수를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그 사용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는,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어수에 폭기를 행하여 활어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활어수에 함유된 각종 이물질을 제거시킨 신선한 활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됨으로서, 활어수의 수질을 장기간 동안 우수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활어의 폐사를 방지하고 활어를 보다 싱싱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폭기실에서 발생한 기포거품의 전량(全量)이 기포유도덕트의 내부로 유도되도록 하여, 미배출되는 기포거품의 량과 이에 따른 폭기실 내부의 이물질 체류량을 최소화시킴으로서 활어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덩 어리 형태의 이물질을 폭기실의 내부로 재공급하여 미세입자로 분쇄되도록 함으로서, 이물질이 장치의 내부에 퇴적되지 않고 기포거품과 함께 장치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물질의 퇴적에 의한 스케일과 악취를 방지함과 동시에 스케일 제거주기 및 이로 인한 활어수의 처리주기를 최대한으로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포거품의 배출구조를 덕트의 형태로 매우 단순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활어수의 폭기공간과 기포거품 및 정화수의 배출공간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콤펙트하고도 효과적인 공간배치를 이루도록 하여 정화장치의 전체적인 부피 또한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정화장치의 제조와 설비 및 그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활어수조로부터 유입된 활어수에 산소공급과 이물질 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화장치는 그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이 바닥면과 일정 간격(17)으로 이격되는 중앙격벽(10a)에 의하여 2개의 공간으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일측 외부에는 구동모터(12)가 수납되는 모터실(11)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12)와 인접하는 케이싱(10)의 일측 내부공간은 활어수 유입관(21)에 의하여 활어수조와 연결되고, 그 하부측에는 에어분사공(15a)을 구비하는 임펠러(15)가 구동모터(12)의 회전축(13)과 연결 설치되고, 그 상부측에는 기포유도덕트(22)가 설치되는 폭기실(20)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0)의 타측 내부공간은 폭기실(20)의 기포유도덕트(22) 하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격벽(10b)을 기준으로 하여, 그 상부공간이 폭기실(20)의 기포유도덕트(22)와 엘보관(23)으로 연결되는 기포저장실(24)로 형성되고, 그 하부공간은 중앙격벽(10a)이 형성하는 간격(17)과 케이싱(10)의 후방측 배출구(19a)에 의한 정화수 배출실(18)을 형성하며,
    상기 폭기실(20) 내부의 임펠러(15)는 케이싱(10)의 외부로부터 연장되는 에어유입관(16)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기포저장실(24)의 양측벽을 이루는 케이싱(10)의 상부측과 중앙격벽(10a)의 하단에는 기포배출관(26)과 재처리구(25)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정화수 배출실(18)은 배출구(19a)에 의하여 케이싱(10)의 내측 후 방에서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정화수 배출통로(19)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20050014097A 2005-02-21 2005-02-21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069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097A KR100697842B1 (ko) 2005-02-21 2005-02-21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097A KR100697842B1 (ko) 2005-02-21 2005-02-21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173A KR20050029173A (ko) 2005-03-24
KR100697842B1 true KR100697842B1 (ko) 2007-03-20

Family

ID=37385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097A KR100697842B1 (ko) 2005-02-21 2005-02-21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7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20B1 (ko) 2011-12-02 2012-07-13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91A (ko) * 1999-12-07 2001-07-02 조부펑 활어 수족관
KR20040030006A (ko) * 2004-02-12 2004-04-08 김문달 활어해수 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91A (ko) * 1999-12-07 2001-07-02 조부펑 활어 수족관
KR20040030006A (ko) * 2004-02-12 2004-04-08 김문달 활어해수 정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020B1 (ko) 2011-12-02 2012-07-13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173A (ko)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356B2 (en) Autotrofic sulfur denitration chamber and calcium reactor
KR101375912B1 (ko) 침전물 배출수단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0400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9133173A (ja) グリーストラップ装置
CN104986885B (zh) 页岩气开采中压裂液的返排液回收处理装置
KR100675943B1 (ko)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0697842B1 (ko)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JP3772028B2 (ja) 嫌気性水処理装置
JP2007130620A (ja) 排水浄化と有機物処理機
KR101015618B1 (ko) 하수에 함유된 인 제거용 여과시스템 및 그 여과방법
JPH11289911A (ja) 水族館等における水質淨化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並びに処理システム
JP2004033847A (ja) 浮上ろ材を用いた浮体式水質浄化装置
JPH1118620A (ja) 水槽装置
JP2008068247A (ja) 集泥用濁水処理装置
JPH09154433A (ja) 活魚輸送用の水槽装置
JP4122957B2 (ja) 沈降性懸濁物含有水の濾過方法及び濾過設備
JPH0239956B2 (ko)
JP2006255678A (ja) 生ごみの粉砕処理装置
JP2006007221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1266959B1 (ko) 해수정화장치
JPH1128470A (ja) 貯水槽の活水装置
KR100450148B1 (ko) 소변 정화 처리장치
JP4896694B2 (ja) 浄化装置
JP2007151500A (ja) 海苔貯蔵槽の海水循環システム
KR102313735B1 (ko)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