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691A - 활어 수족관 - Google Patents

활어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691A
KR20010054691A KR1019990055595A KR19990055595A KR20010054691A KR 20010054691 A KR20010054691 A KR 20010054691A KR 1019990055595 A KR1019990055595 A KR 1019990055595A KR 19990055595 A KR19990055595 A KR 19990055595A KR 20010054691 A KR20010054691 A KR 2001005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tank
centrifugal
aqua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054B1 (ko
Inventor
강효준
김종석
Original Assignee
조부펑
주식회사 애니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부펑, 주식회사 애니크린 filed Critical 조부펑
Priority to KR101999005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054B1/ko
Priority to KR2019990027382U priority patent/KR200179396Y1/ko
Publication of KR2001005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는 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하측에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형성된 수족관 몸체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상기 수족관 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오존 물방울 생성기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수조의 물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도부재와, 상기 설치공간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 분리장치와, 상기 원심 분리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 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다시 정화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와, 상기 설치공간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상기 오존 물방을 생성기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수온조절장치와, 상기 수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물 속의 잔류 온존을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1 이상의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물을 항시 깨끗하게 유지하고 물속에 적당한 양의 오존만 포함하며, 수족관의 보수 및 유지를 위한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수조의 내부에 별도의 부품이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한다.

Description

활어 수족관{An aquarium for live fish}
본 발명은 활어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의 물을 항시 깨끗하게 유지하고 물속에 적당한 양의 오존만 포함하며, 수족관의 보수 및 유지를 위한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수조의 내부에 별도의 부품이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활어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활어 수족관은 활어가 장시간 동안 생존하기 위하여 적당한 양의 산소와 깨끗하고 적당한 수온의 물이 공급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활어 수족관에 의하면, 산소는 에어 펌프와 연결된 기포 발생기에서 공급되도록 하고, 물은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 순환시키며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오물을 걸러내거나 또는 일정한 주기로 활어 수족관의 물을 전부 교환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활어 수족관은 기포 발생기에 의한 기포의 크기가 너무 큰 관계로 물 속에 충분히 용해되지 못함으로써 산소의 공급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었으며, 그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기포 발생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생산 비용이 증대될 뿐 아니라, 사후 관리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활어 수족관의 내부에는 별도의 여과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물 속에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기는 하지만,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은 걸러내지 못하여, 물의 투명도가 떨어지며, 활어 수족관의 바닥면에 각종 이물질이 퇴적된 상태로 머물게 됨으로써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공고번호 1992년 제9962호에 새로운 형태의 활어 수족관이 알려지고 있다.
상기한 활어 수족관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수족관 수조의 저면에 중앙부가 오목하며 배수구를 가진 경사판과, 다수의 통공이 천공된 다공판을 착설하고, 경사판의 주면에는 자외선등과 기포공급관을 연설하며, 수조의 내부에는 오존 공급관이 연결된 노즐을 단부에 설치한 "U"자형 급수관이 입설되고 기포공급구가 저면에 재치되며 통수공이 측면과 바닥에 형성된 여과기 몸체를 가지는 포말식 여과기를 입설하고, 여과기 몸체의 상단부에 중앙부가 볼록하며 포말구를 가지는 역류방지판과 필터 받침대를 형성하며, 그 필터 받침대의 상부에 필터를 재치하며, 수조의 상부에 자외선등과 형광등을 수조의 전면과 좌우측면에 부착하고, 수족관 몸체의 내부에는 부유물 포집관과 배수구의 단부를 호스로서 가압여과기에 연결하고, 가압여과기, 펌프, 가온기, 냉각기를 직렬로 연결하며, 냉각기와 급수관 단부를 호스로서 연결하고, 오존 발생기의 일측 호스는 에어 펌프에 연결하고 타측 호스는 오존 공급관에 연결하며, 에어 펌프의 일측 호스는 기포 공급구와 연결하고 타측 호스는 기포 공급관의 양단부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활어 수족관은, 오존 및 자외선등을 이용하여 수조의 물을 정화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수조의 물을 살균시키는 역할만 수행할 뿐, 물 속에 포함된 염소, 유기물 및 유기물의 분해가 불가능하여 수조의 물을 깨끗하게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물속에 과량이 오존이 녹아 있어도 별다른 대책을 세울 수가 없는 관계로 물고기들이 과량의 오존을 취함에 따라 물고기의 맛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으며, 오존 발생기의 수명이 단축되어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수조의 중심부에 포말식 여과기를 포함하는 일련의 부품을 세워 설치함으로써 미관을 해치고, 수조에 많은 양의 물고기를 수용할 수 없으며, 물고기들이 노니는 공간을 축소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의 물을 항시 깨끗하게 유지하고 물속에 적당한 양의 오존만 포함할 수 있도록 한 활어 수족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족관의 보수 및 유지를 위한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활어 수족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조의 내부에 별도의 부품이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모든 부품을 수족관 몸체의 보이지 않는 곳으로 수용함으로써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하고, 수조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활어 수족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오존과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
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원심 분리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수온조절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6은 부분 절결 사시도.
도 7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부유물 수거수단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수조의 물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과정을 보인 도 3
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족관 몸체 11 : 수조
12 : 설치공간 20 : 오존 물방울 생성기
21 : 오존 발생기 23 : 회전 유도부재
24 : 개구부 30 : 원심 분리장치
31 : 사이클론 부재 32 : 원심 분리 하우징
33 : 원심 분리 드럼 34 : 구동 모터
35 : 이물질 분리부재 36 : 이물질 수거통
41 : 활성탄 필터 42 : 암모니아 제거 필터
70 : 수온조절장치 71 : 열전 모듈
76 : 직류 고전압 발생기 77 : 수온 감지 센서
80 : 부유물 제거수단 81 : 부유물 제거판
82 : 활성탄 포 83 : 배수공
84 : 받침부 85,86,87 :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에는 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하측에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형성된 수족관 몸체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상기 수족관 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오존 물방울 생성기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수조의 물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도부재와, 상기 설치공간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 분리장치와, 상기 원심 분리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 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다시 정화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와, 상기 설치공간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상기 오존 물방을 생성기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수온조절장치와, 상기 수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물 속의 잔류 온존을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1 이상의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족관이 제공된다.
상기 원심 분리장치는 수조의 바닥판에 형성된 통공과 통하도록 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사이클론 부재와, 상기 사이클론 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원심 분리 하우징과, 상기 원심 분리 하우징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물 안내부재와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원심 분리 드럼과, 상기 원심 분리 드럼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원심 분리 드럼과 구동모터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원심 분리 드럼의 남은 이물질을 분리 수거하는 이물질 분리부재와,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물을 다시 원심 분리 하우징을 통해 배출시키는 이물질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온조절장치는 물이 통과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냉열부 및 온열부가 각각 형성된 열전 모듈과, 상기 열전 모듈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는 직류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수온에 따른 신호를 직류 고전압 발생기로 전달하는 수온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조의 내측면에 수조의 내측면 소정 부위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부유물 제거판과, 상기 부유물 제거판에 얹혀지는 활성탄 포를 포함하는 부유물 수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제거판은 하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탈 방지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조의 물을 항시 깨끗하게 유지하고 물속에 적당한 양의 오존만 포함하며, 수족관의 보수 및 유지를 위한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수조의 내부에 별도의 부품이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전체 구성을 보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결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오존과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은, 상부에는 수조(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11)의 하측에는 소정의 설치공간(12)이 형성된 수족관 몸 체 (10)와, 상기 수조(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오존 물방울 생성기(20)와, 상기 수족관 몸체(10)의 설치공간(12)에 설치되고 상기 오존 물방울 생성기(20)와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는 오존 발생기(21)와, 상기 수조(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오존 물방울 생성기(2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수조(11)의 물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력 부여수단과, 상기 설치공간(1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11)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 분리장치(30)와, 상기 원심 분리장치(30)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 분리장치(3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다시 정화시키는 활성탄 필터(41) 및 암모니아 제거 필터(42)와, 상기 설치공간(12)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활성탄 필터(41) 및 암모니아 제거 필터(42)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상기 오존 물방을 생성기(20)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수온조절장치(70)와, 상기 수조(11)의 내벽에 부착되어 수면에 떠 다니는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부유물 수거수단(8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족관 몸체(10)의 설치공간(12)과 수조(11)를 구획하는 수조 바닥판(13)은 중심부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앙부에 원심 분리장치(30)와 통하는 통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존 발생기(21)는 별도의 콤프레서(22)와 연결되어 있고, 그 콤프레서 (22)는 각각의 오존 물방울 생성기(20)와 호스 등의 부재로 각각 연결되어 있어, 오존 발생기(21)에서 발생된 오존이 오존 물방울 생성기(20)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존 물방울 생성기(20)는 표면에 미세한 크기로 다공(多孔)이 형성된 연질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오존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생성시키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오존 발생기(21)도 오존 발생 효율이 우수한 어떠한 형태의 것을 채택하여 좋다.
상기 회전력 부여수단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오존 물방을 생성기(2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회전 유도부재(23)로 구성한다.
상기 회전 유도부재(23)는 오존 물방울 생성기(20)와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한 곡률로 라운딩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회전 유도부재(23)는 동일한 방향성을 갖고 일측에 개구부(24)를 형성하여, 그 개구부(24)로 물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조(11)의 물에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심 분리장치(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 바닥판(13)의 통공(14)과 통하도록 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사이클론 부재(31)와, 상기 사이클론 부재(31)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원심 분리 하우징(32)과, 상기 원심 분리 하우징 (32)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물 안내부재(31)와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원심 분리 드럼(33)과, 상기 원심 분리 드럼(3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34)와, 상기 원심 분리 드럼(33)과 구동 모터(34)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원심 분리 드럼(33)의 남은 이물질을 분리 수거하는 이물질 분리부재(35)와,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35)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을 수거하는 이물질 수거통(3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물질 수거통(36)은 손잡이(36a)가 형성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이물질을 폐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이클론 부재(31)는 회전 유도부재(23)에 의한 물의 회전으로 수조 (11)의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14)을 통해 중심으로 모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원심 분리 드럼(33) 및 이물질 분리부재(35)의 표면에는 미세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 분리 드럼(33)의 미세공 보다 이물질 분리부재(35)의 미세공이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원심 분리 드럼(33)으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비교적 큰 입자의 이물질은 원심 분리 드럼(33)의 미세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 분리부재(35)를 향하는 동시에, 물은 원심 분리 드럼(33)의 미세공을 통해 원심 분리 하우징(31)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35)로 향하는 이물질은 비교적 직경이 큰 미세공을 통해 이물질 수거통(36)으로 수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온조절장치(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열전 모듈(71)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한 열전 모듈(71)은 직류 고전압 발생기(76)를 이용하여 고전압을 인가하면, 일측면(72)은 냉열을 발생시키고 타측면(73)은 온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수조(11)의 내부 소정 부위에 설치한 수온 감지 센서(77)의 신호에 따라 직류 고전압 발생기(76)를 적당하게 온/오프함으로써 수온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전 모듈(71)은 물이 지나가는 배수관(78)의 상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전 모듈(71)의 일측면(72)의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냉각핀(7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면(73)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방열핀(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유물 수거수단(8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11)의 내측면 소정 부위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는 부유물 제거판(81)과, 상기 부유물 제거판(81)에 얹혀지는 활성탄 포(8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유물 제거판(81)은 하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공(83)이 형성된 받침부(8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84)의 외측면을 따라서 이탈 방지벽(8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기 받침부(84)에 활성탄 포(82)가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물 제거수단(80)이 설치되지 않은수조 (11)의 3면에는 수조(11)에 채워진 물에 포함된 잔류 오존을 분해하기 위한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85)(86)(87)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수조(11)의 내부를 조명하는 역할을 겸용하도록 하였다.
상기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85)(86)(87)은 258nm의 스펙트럼을 내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물 속에 과량의 오존이 녹아 있을 경우 물고기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물 속의 잔류 오존을 분해함으로써 물고기들이 과량의 오존을 먹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8은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펌프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수조(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설치된 오존 물방울 생성기(21)로부터 오존과 물이 공급되며, 그 내부에서 서로 반응을 하여, 오존을 물방울 형태로 생성하게 된다.
이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존 발생기(21)로부터 오존이 함유된 물이 배출하게 되는데, 상기 오존 발생기(21)는 각각 회전 유도부재(23)에 의해 감싸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물은 개구부(24)를 통해 수조(11)의 내부로 각각 흘러들게 된다.
따라서, 물의 흐름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존 발생기(21)로부터 배출되면서 일정한 방향성을 갖게 되므로, 수조(11)의 내부에서 물은 마치 소용돌이와 같은 회전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물의 회전력은 물고기들에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니며, 수조(11)의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가운데로 모으는 정도의 적당한 회전력이다.
이 후, 수조(11)의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은 수조(11)의 바닥판(13)에 형성된 통공(14)을 통해 설치공간(12)의 원심 분리장치(30)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원심 분리장치(30)는 사이클론 부재(31)가 바닥판(13)의 통공(14)과 통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수조(11)의 통공(14)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원심 분리장치(30)의 사이클론 부재(31)로 유입된 이물질을 포함한 물은 원심 분리 드럼(33)으로 유입되어, 상기 원심 분리 드럼(33)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은 원심 분리 드럼(33)에 남고 물은 미세공을 통해 곧바로 원심 분리 하우징(31)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한 이물질은 원심력에 의해 이물질 분리 부재(35)로 향하게 된다. 그 이물질은 이물질 분리 부재(35)의 비교적 큰 직경의 미세공을 통해 이물질 수거통(36)으로 수거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물질 수거통(36)에 저장되는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폐기 처분을 하게 된다.
이 후, 원심 분리장치(30)에 의하여 1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물은 다시 활성탄 필터(41) 및 암모니아 제거 필터(42)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및 암모니아를 제거하게 되며, 다시 수온조절장치(70)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수온조절장치(70)은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면, 일측면(72)에서는 냉열을 발생시키고 타측면(73)은 온열을 발생시키는 열전 모듈(71)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수조(11)에 설치된 수온 감지 센서(77)의 신호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온조절장치(79)를 통과한 깨끗이 정화되고 적절한 수온을 갖는 물은 다시 각각의 오존 물방울 생성기(20)로 공급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통상적인 오존 발생기(21)의 작용으로 발생된 오존은 콤프레서(22)를 통하여 가압된 후, 수조(11)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오존 물방울 생성기(20)로 각각 공급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 수조(11)의 내측면 소정 부위에는 부유물 제거판(81)이 고정되어 있고, 그 상면에 활성탄 포(82)가 얹혀져 있으므로, 수면에 떠서 다니는 부유물이 부유물 제거판(82)의 활성탄 포(82)를 지나면서 걸러지게 되며, 부유물이 걸러진 물은 부유물 제거판(82)의 배수공(83)을 통해 하측으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은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항 및 그 종속항의 창작적 개념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활어 수족관은, 상부에는 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하측에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형성된 수족관 몸체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상기 수족관 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오존 물방울 생성기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수조의 물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도부재와, 상기 설치공간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 분리장치와, 상기 원심 분리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 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다시 정화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와, 상기 설치공간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상기 오존 물방을 생성기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수온조절장치와, 상기 수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물 속의 잔류 온존을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1 이상의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로 구성함으로써 수조의 물을 항시 깨끗하게 유지하고 물속에 적당한 양의 오존만 포함하며, 수족관의 보수 및 유지를 위한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하고, 또한 수조의 내부에 별도의 부품이 세워지는 것을 방지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에는 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하측에는 소정의 설치공간이 형성된 수족관 몸체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세워져 설치되는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상기 수족관 몸체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오존 물방울 생성기와 각각 통하도록 연결되는 오존 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오존 물방울 생성기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어 수조의 물에 일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도부재와,
    상기 설치공간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 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원심 분리장치와,
    상기 원심 분리장치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원심 분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거된 물을 다시 정화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필터와,
    상기 설치공간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며 상기 오존 물방을 생성기로 통하도록 연결되는 수온조절장치와,
    상기 수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물 속의 잔류 온존을 분해하기 위한 적어도 1 이상의 오존 분해용 자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족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분리장치는 수조의 바닥판에 형성된 통공과 통하도록 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사이클론 부재와, 상기 사이클론 부재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원심 분리 하우징과, 상기 원심 분리 하우징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물 안내부재와 통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원추 형상의 원심 분리 드럼과, 상기 원심 분리 드럼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원심 분리 드럼과 구동 모터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원심 분리 드럼의 남은 이물질을 분리 수거하는 이물질 분리부재와,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와 통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이 분리된 물을 다시 원심 분리 하우징을 통해 배출시키는 이물질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족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조절장치는 물이 통과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냉열부 및 온열부가 각각 형성된 열전 모듈과, 상기 열전 모듈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는 직류 고전압 발생기와, 상기 수조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수온에 따른 신호를 직류 고전압 발생기로 전달하는 수온 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족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측면에 수조의 내측면 소정 부위에 가로방향으로 고정되는 부유물 제거판과, 상기 부유물 제거판에 얹혀지는 활성탄 포를 포함하는 부유물 수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제거판은 하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의 외측면을 따라 이탈 방지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 수족관.
KR1019990055595A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KR100317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95A KR100317054B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KR2019990027382U KR200179396Y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95A KR100317054B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82U Division KR200179396Y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691A true KR20010054691A (ko) 2001-07-02
KR100317054B1 KR100317054B1 (ko) 2001-12-24

Family

ID=196240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82U KR200179396Y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KR1019990055595A KR100317054B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382U KR200179396Y1 (ko) 1999-12-07 1999-12-07 활어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93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136A (ko) * 2002-03-20 2002-04-26 김성환 토네이도(tornado)원심분리 장치에 의한 해수의순환여과장치와 그 제조법
KR100697842B1 (ko) * 2005-02-21 2007-03-20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CN106172160A (zh) * 2016-08-31 2016-12-07 广州鱼歌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养殖池
CN108739566A (zh) * 2018-04-28 2018-11-06 金华市凌特水产养殖技术有限公司 节能环保的螃蟹养殖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451B1 (ko) * 2015-04-23 2018-03-16 주식회사 리빙케어 고전압을 이용한 온도제어시스템
CN111887192A (zh) * 2020-08-06 2020-11-06 河北创鲜水产科技有限公司 智能化节能减排高效养殖水罐
CN114467838B (zh) * 2022-01-28 2022-11-25 连云港市瑞日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水族箱用主动循环换水装置及其换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131A (ko) * 1989-06-30 1991-01-31 김광호 순차처리방식의 다중데이터 처리용 카운터
JPH0697931B2 (ja) * 1990-04-24 1994-12-07 佐内 藤田 養殖魚水槽
JPH0499430A (ja) * 1990-08-15 1992-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JPH1033084A (ja) * 1996-07-22 1998-02-10 Gutsupii:Kk 浄化装置
KR200144129Y1 (ko) * 1996-12-03 1999-06-15 박강동 수족관을 이용한 공기정화 및 가습장치
KR19980067547U (ko) * 1997-05-27 1998-12-05 전원근 수족관 물정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136A (ko) * 2002-03-20 2002-04-26 김성환 토네이도(tornado)원심분리 장치에 의한 해수의순환여과장치와 그 제조법
KR100697842B1 (ko) * 2005-02-21 2007-03-20 조석찬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CN106172160A (zh) * 2016-08-31 2016-12-07 广州鱼歌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养殖池
CN106172160B (zh) * 2016-08-31 2022-06-17 韩定根 一种一体化养殖池
CN108739566A (zh) * 2018-04-28 2018-11-06 金华市凌特水产养殖技术有限公司 节能环保的螃蟹养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396Y1 (ko) 2000-04-15
KR100317054B1 (ko) 200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0177A (en) Water purifier with an ozone generating device
KR0122505B1 (ko) 여러 정제도를 갖는 정수기
KR100317054B1 (ko) 활어 수족관
KR20080001082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KR200445428Y1 (ko) 이동식 중수 및 정수 시스템
JP3864124B2 (ja) イオン交換スクラバー
JP4909194B2 (ja) 活魚水槽装置
KR100280975B1 (ko) 부정수중 슬러지를 원심분리하는 청정장치
KR101790872B1 (ko) 고도 정수처리 시스템
KR100986636B1 (ko) 자연 가습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920009962B1 (ko) 활어 수족관
KR100342244B1 (ko) 오존을 이용한 정수기
KR20190037799A (ko) 공기청정기
CN212504386U (zh) 安装于水管上的自启动水过滤杀菌装置
KR200356099Y1 (ko) 물 정화장치
JPH10323516A (ja) 水浄化用濾過装置
KR200361148Y1 (ko) 수중공기정화장치
KR200201144Y1 (ko) 저수탱크용 정수장치
KR20180123389A (ko) 공기정화용 사이클론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링모듈
KR100489631B1 (ko) 하·폐수 정화장치
KR100350351B1 (ko) 수처리장치
KR100403122B1 (ko) 슬러지 분리탱크의 정수장치
KR20050096642A (ko)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3835283B2 (ja) 電解水生成装置
KR100312244B1 (ko)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