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735B1 -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735B1
KR102313735B1 KR1020190100048A KR20190100048A KR102313735B1 KR 102313735 B1 KR102313735 B1 KR 102313735B1 KR 1020190100048 A KR1020190100048 A KR 1020190100048A KR 20190100048 A KR20190100048 A KR 20190100048A KR 102313735 B1 KR102313735 B1 KR 102313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astewater
food waste
eco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519A (ko
Inventor
이준하
Original Assignee
이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하 filed Critical 이준하
Priority to KR102019010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7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8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y or the form in which the microorganisms are added or do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분쇄기에서 파쇄된 음식폐기물이 포함된 다량의 오폐수를 전달받아 정화 처리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면 하단에 배수구가 구비된 케이싱과; 일측 끝단이 상기 음식물 분쇄기와 연결되어 파쇄된 음식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공급받고, 타측 끝단이 상기 케이싱의 상면을 관통하는 오폐수 공급관과; 상기 오폐수 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흡입해 케이싱 내부에 토출시키는 양수펌프와; 상기 케이싱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구획하고,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 다수의 구획패널과; 상기 구획패널의 상면에 배치되고,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다공질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Eco-Friendly Apparatus of Crushed Food Waste Water}
본 발명은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쇄된 음식폐기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정화한 후 깨끗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나 처리 방법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파쇄하여 배출하거나, 소각하거나, 발효 등의 방법을 통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와 부피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켜 건조시키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건조기가 너무 고가여서 일반적인 소형식당의 사용자나 큰 식당에서는 사용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다량 발생된 오폐수와 함께 불법적으로 배출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004005 (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폐기물 분쇄시에 발생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과 오폐수를 정화시킨 후 깨끗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오폐수를 정화시킨 후 깨끗해진 물을 다시 음식폐기물 분쇄기에 공급함으로써 정화된 물을 음식폐기물 분쇄시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는 음식물 분쇄기에서 파쇄된 음식폐기물이 포함된 다량의 오폐수를 전달받아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서; 일측면 하단에 배수구가 구비된 케이싱과; 일측 끝단이 상기 음식물 분쇄기와 연결되어 파쇄된 음식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공급받고, 타측 끝단이 상기 케이싱의 상면을 관통하는 오폐수 공급관과; 상기 오폐수 공급관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흡입해 케이싱 내부에 토출시키는 양수펌프와; 상기 케이싱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구획하고,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된 다수의 구획패널과; 상기 구획패널의 상면에 배치되고,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다공질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는 메쉬 수로가 형성된 고형물 수집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오폐수 공급관에서 낙하된 오폐수가 상기 메쉬 수로에 의해 고형물이 필터링된 후 상기 다수의 구획패널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되는 구획패널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에는 폭기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구획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오폐수 공급관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오폐수 공급관의 외측면에는 코일 히터가 감겨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는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케이싱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 투입통이 설치되어,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미생물이 자동 공급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측면 하단에는 순환모터가 구비된 순환배관이 설치되어 정화된 물을 상기 음식물 분쇄기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구획패널의 상면에는 메쉬벽이 설치되어, 상기 다공질볼이 솔레노이드 밸브 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는 음식폐기물 분쇄시 발생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과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를 정화한 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폐수가 케이싱 내부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내려가면서 정화과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정화과정이 다수 회에 걸쳐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좀 더 깨끗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화된 물을 다시 음식물 분쇄기로 공급하기 때문에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와 음식물 분쇄기를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를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의 내부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와 음식물 분쇄기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를 보인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의 단면을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의 내부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쇄된 음식폐기물 친환경 처리장치(200)는 음식물 분쇄기(100)에서 파쇄된 음식폐기물이 포함된 다량의 오폐수를 전달받아 정화 처리하는 것으로서,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에 설치되는 오폐수 공급관(220)과, 상기 오폐수 공급관(220)의 관로상에 설치되는 양수펌프(230)와, 상기 케이싱(21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패널(240)과, 상기 구획패널(240)의 상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다공질볼(2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2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면 하단에 배수구(211)가 구비되어 정화가 완료된 오폐수가 배출된다.
상기 배수구(211) 안쪽에는 메쉬가 설치되어 일정한 크기의 고형물은 걸러지고, 필요에 따라 배수구(211)에는 덮개를 설치하거나 또는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배수한다.
상기 오폐수 공급관(220)은 일측 끝단이 음식물 분쇄기(100)와 연결되어 음식물 분쇄기(100)로부터 파쇄된 음식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공급받고, 타측 끝단이 케이싱(210)의 상면을 관통한다.
이러한 오폐수 공급관(220)은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오폐수 공급관(220)은 케이싱(2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케이싱(210) 내부에서 아래에서 위쪽을 향해 연장된 후 상측 부위가 케이싱(210)의 상면을 뚫고 밖으로 나왔다가 다시 케이싱(210)의 상면을 관통하여 그 끝부분이 케이싱(21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오폐수 공급관(220)의 외측면에는 코일 히터(221)가 감겨 설치된다.
상기 코일 히터(221)는 실리콘 재질의 코일 히터로서, 오폐수 공급관(220)을 감싸게 설치됨으로써, 온도가 낮은 겨울에 오폐수 공급관(220) 내부의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오폐수 공급관(220)이 구획패널(240)과 후술할 고형물 수집패널(250)을 관통하는 부위에는 오폐수가 새지 않도록 실링 가스켓링을 설치한다.
상기 양수펌프(230)는 오폐수를 흡입해 케이싱(210) 내부에 토출시킨다. 이러한 양수펌프(230)는 오폐수 공급관(220)의 관로상에 설치되면서 케이싱(210)의 상면에 안착 설치된다.
상기 구획패널(240)은 케이싱(2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격 설치되어,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을 다수개로 구획한다. 이러한 구획패널(240) 저면의 한쪽 끝부분에는 오폐수를 배출 또는 배출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설치된다.
부연하면, 구획패널(240)은 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될 때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설치된 쪽을 향해 5도 가량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구획패널(240)의 위쪽에 있는 오폐수는 솔레노이드 밸브(241) 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 내려가기 때문에, 폐쇄되어 있던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방되면 구획패널(240)의 어느 한쪽에 오폐수가 고여 있지 않고 솔레노이드 밸브(241)를 통하여 하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패널(240)의 상면에는 미생물이 포함된 다수의 다공질볼(242)이 배치된다.
상기 다공질볼(242)은 다공질의 실리콘이나 화산석으로 만들어져 내부가 수많은 격자구조로 이루어져 다수의 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모양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울퉁불퉁한 불규칙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할 뿐만 아니라 인과 질소 등을 분해하여 강물의 부영영화를 막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미생물이 포함된 다공질볼(242)을 통해서 오폐수의 정화작용이 이루어진 후 정화된 물이 배수구(211)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되다 보면 케이싱(210) 내부에 미생물의 양이 감소하기 때문에, 케이싱(210) 내부에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케이싱(210)의 상면에 미생물 투입통(21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투입통(212)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미생물이 케이싱(210) 내부에 자동 공급되도록 한다.
더불어, 구획패널(240)의 한 쪽 상면 끝부분에는 메쉬벽(243)이 설치된다.
상기 메쉬벽(243)은 구획패널(240)에 설치되되 솔레노이드 밸브(241)의 상측에 설치된다. 후술하겠지만 케이싱(210)에는 케이싱(21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모터(213)가 설치되는데, 이 폭기 과정 중에 다공질볼(242)이 솔레노이드 밸브(241) 쪽으로 몰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한글의 'ㄱ'자 형태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메쉬벽(243)을 설치한다.
한편, 케이싱(210)의 내부 상측에는 메쉬 수로(251)가 형성된 고형물 수집패널(250)이 설치된다.
상기 고형물 수집패널(250)은 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구획패널(240)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되는 구획패널의 상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오폐수 공급관(220)에서 낙하된 오폐수가 메쉬 수로(251)에 의해 고형물이 필터링된 후 가장 위쪽에 배치되는 구획패널 쪽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케이싱(210)에는 폭기모터(213)가 설치되어, 다수의 구획패널(240)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에 공기가 공급된다. 즉 구획패널(240)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에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폭기모터(213)가 설치된다.
이렇게 폭기모터(213)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오폐수의 정화작용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정화작용 중에 다공질볼(242)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분리된다. 한편 폭기모터(213)가 공기를 공급할 때 폭기모터(213)에 연결되어 케이싱(21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배관의 끝은 하측을 향에 절곡되어 다공질볼(242) 쪽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케이싱(210)의 측면 하단에는 순환배관(260)이 설치된다. 이러한 순환배관(260)의 관로상에는 순환모터(261)가 구비된다.
상기 순환배관(260)은 일측 끝단이 케이싱(210)의 내부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음식물 분쇄기(100)에 연결되어, 순환모터(26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10) 내부에서 정화가 완료된 물을 음식물 분쇄기(100)로 공급한다.
이러한 순환배관(260)에는 오존살균기(262)가 설치되어 케이싱(210) 내부에서 음식물 분쇄기(100)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 및 탈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정화시키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 분쇄기(100)에서 음식물이 분쇄된 후 양수펌프(230)의 작동에 의해 파쇄된 음식폐기물이 포함된 다량의 오폐수가 오폐수 공급관(220)을 통해 케이싱(210) 내부로 공급된다.
오폐수 공급관(220)을 통해 토출된 오폐수는 고형물 수집패널(250)의 메쉬 수로(251) 쪽으로 낙하되고, 메쉬 수로(251)를 유동하면서 고형물은 걸러지며, 오폐수는 하측으로 낙하된다.
메쉬 수로(251)의 하측으로 낙하된 오폐수는 고형물 수집패널(250)의 바로 하측에 배치된 구획패널(240) 쪽으로 낙하된다. 이후, 미생물이 포함된 다공질볼(242)과 폭기모터(213)에 의해 공급된 공기의 작용 등에 의해 오폐수가 정화된다.
이렇게 가장 위쪽의 구획패널(240) 상측에서 오폐수가 일정시간동안 정화된 이후에는, 폐쇄되었던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열려 아래쪽에 위치한 구획패널(240) 쪽으로 오폐수가 낙하된다. 구획패널(240)이 다수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가장 하측에 배치된 구획패널(240)의 아래쪽으로 낙하된 정화 완료된 물은 순환배관(260)을 통해 음식물 분쇄기(100)로 공급된다.
100: 음식물 분쇄기
200: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210: 케이싱 211: 배수구
212: 미생물 투입통 213: 폭기모터
220: 오폐수 공급관 221: 코일 히터
230: 양수펌프 240: 구획패널
241: 솔레노이드 밸브 242: 다공질볼
243: 메쉬벽 250: 고형물 수집패널
251: 메쉬 수로 260: 순환배관
261: 순환모터 262: 오존살균기

Claims (8)

  1. 일측면 하단에 배수구(211)가 구비된 케이싱(210)과;
    일측 끝단이 음식물 분쇄기(100)와 연결되어 파쇄된 음식물이 포함된 오폐수를 공급받고, 타측 끝단이 상기 케이싱(210)의 상면을 관통하며, 외측면에 코일 히터(221)가 감긴 오폐수 공급관(220)과;
    상기 오폐수 공급관(220)의 관로상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흡입해 케이싱(210) 내부에 토출시키는 양수펌프(230)와;
    상기 케이싱(210) 내부공간을 다수개로 구획하고, 오폐수를 배출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저면 한쪽 끝부분에 설치된 다수의 구획패널(240)과;
    상기 구획패널(240)의 상면에 배치되고,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포함된 다공질볼(242)과;
    일측 끝단이 상기 케이싱(210)에 연결되고 타측 끝단이 음식물 분쇄기(100)에 연결되어 순환모터(261)의 작동에 의해 케이싱(210) 내부에서 정화된 물을 음식물 분쇄기(100)로 공급하는 순환배관(260);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패널(240)은 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될 때 솔레노이드 밸브(241)가 설치된 쪽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기 구획패널(240)의 상면에는 'ㄱ'자 형태의 메쉬벽(243)이 설치되되 솔레노이드 밸브(24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배관(260)에는 오존살균기(26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 상측에는 메쉬 수로(251)가 형성된 고형물 수집패널(250)이 설치되어, 상기 오폐수 공급관(220)에서 낙하된 오폐수가 상기 메쉬 수로(251)에 의해 고형물이 필터링된 후 상기 다수의 구획패널(240) 중 가장 위쪽에 배치되는 구획패널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10)에는 폭기모터(213)가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구획패널(240)에 의해 구획되는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에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공급관(220)은 상기 케이싱(210)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10)의 상면에는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케이싱(210)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 투입통(212)이 설치되어,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미생물이 자동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90100048A 2019-08-16 2019-08-16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KR10231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48A KR102313735B1 (ko) 2019-08-16 2019-08-16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48A KR102313735B1 (ko) 2019-08-16 2019-08-16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19A KR20210020519A (ko) 2021-02-24
KR102313735B1 true KR102313735B1 (ko) 2021-10-15

Family

ID=7468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48A KR102313735B1 (ko) 2019-08-16 2019-08-16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7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8491A (ja) * 1995-03-03 1996-09-17 O K Kikaku Kenkyusho:Kk 生ごみ・汚水合併処理装置
KR100701877B1 (ko) * 2005-06-17 2007-04-02 김석복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분해 여과장치
KR101004005B1 (ko) 2008-10-20 2010-12-31 서계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97409A (ko) * 2009-02-26 2010-09-03 강춘표 정화조
KR101285655B1 (ko) * 2011-12-19 2013-07-11 주식회사 대경트라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분해방식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519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29066B1 (en) On-sit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4250040A (en) Method for purifying septic tank effluent
US4104166A (en) Apparatus for purifying septic tank effluent
US10570026B2 (en) Leachate treatment and redu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5506903A (ja) 流動性及び非流動性の有機廃棄物を嫌気的に処理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1557121B1 (ko) 고효율 약액 반응 탈취장치
US3630377A (en) Sewage filter unit
KR101134677B1 (ko) 음식쓰레기 하수처리 시스템
KR102313735B1 (ko)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RU2228915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01062404A1 (fr) Systeme de traitement de dechets biodegradables
KR101066993B1 (ko)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인, 질소 제거용 정화장치
CN103011415B (zh) 大型湿地简易水处理回收装置
KR100937577B1 (ko) 공기정화장치
JPH11347313A (ja) 毛管現象を利用した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JP6529238B2 (ja) 砂ろ過装置
JP2002263683A (ja) 上向流嫌気性処理装置
KR0134918B1 (ko) 정수처리 장치
RU197273U1 (ru) Компактный усреднитель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08776524U (zh) 食品生产重油污水处理系统
KR101794302B1 (ko)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CN206512064U (zh) 自动高效除臭的地埋式一体化污水处理装置
WO2010092600A1 (en) Water purification by ozone
US7662277B1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