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409A - 정화조 - Google Patents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409A
KR20100097409A KR20090016332A KR20090016332A KR20100097409A KR 20100097409 A KR20100097409 A KR 20100097409A KR 20090016332 A KR20090016332 A KR 20090016332A KR 20090016332 A KR20090016332 A KR 20090016332A KR 20100097409 A KR20100097409 A KR 20100097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sewage
main body
processing chamber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1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표
배상기
Original Assignee
강춘표
배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표, 배상기 filed Critical 강춘표
Priority to KR2009001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409A/ko
Publication of KR2010009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생활하수와 각종 오수(汚水) 및 산업폐수,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정화조에 있어 오, 폐수를 여러 단의 정화조를 걸쳐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오, 폐수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킨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처리실(10)과 배기통로(20)로 구획된 본체(1)가 구성되고, 본체(1)의 상부에는 오, 폐수의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 폐수의 유출구(12)가 형성되고, 처리실(10)은 통수공(13a)이 형성된 격벽(13)으로 다단으로 구획되며, 구획된 각 처리실(10)의 상부에는 배기통로(20)와 뚫린 배기구(21)가 각각 형성되고, 각 처리실(10)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기포발생구(14)가 각각 형성되며, 배기통로(20)의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각 처리실(10)의 내부에는 톱밥(15)과 다공질 세라믹볼(16)이 내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오, 폐수, 정화

Description

정화조{A sewa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종 생활하수와 각종 오수(汚水) 및 산업폐수,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정화조에 있어 오, 폐수를 여러 단의 정화조를 걸쳐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오, 폐수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킨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활하수와 분뇨정화조에서 나오는 각종 오수(汚水) 및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은 환경오염 때문에 항시 정수처리를 하여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를 최대한 낮춘 상태에서 배출토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오, 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이나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서는 오, 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만 한다.
이들 각종 오수와 축산폐수 및 염색공장 등에서 방류되는 산업폐수 등에는 하천 또는 해안을 오염시키는 유기물질과 색도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제대로 정화처리 하지 않고 방류하면 하천 및 인근지역의 생태계를 오염시키거나 환경을 파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오, 폐수는 정화처리를 하여 방류하여야 하며, 그 처리장치의 기능성과 효율성은 접촉 산화조에서 폐수의 BOD를 낮추어주는 호기성 미생물을 얼마나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많이 배양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호기성 미생물의 배양효율을 증대시키면 그만큼 오, 폐수 속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협잡물 및 색도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오,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거나 수중에 산소를 공급하여 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폐수 처리장치의 처리조에 정화조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조작을 통하여 산화작용과 호기성 세균에 의한 소화작용을 촉진하게 된다. 미생물은 소화작용에 의해 탄산가스, 황화수소, 메탄가스 등을 제거한다.
즉, 오수에 미생물로 하여금 물을 정화하게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생활하수와 각종 오수(汚水) 및 산업폐수, 축산폐수를 처리하는 정화조에 있어 오, 폐수를 여러 단의 정화조를 걸쳐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오, 폐수에 산소의 용존량을 고속으로 증가시키고, 호기성세균의 증식을 증대시켜, 오, 폐수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킨 정화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처리실(10)과 배기통로(20)로 구획된 본체(1)가 구성되고, 본체(1)의 상부에는 오, 폐수의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 폐수의 유출구(12)가 형성되고, 처리실(10)은 통수공(13a)이 형성된 격벽(13)으로 다단으로 구획되며, 구획된 각 처리실(10)의 상부에는 배기통로(20)와 뚫린 배기구(21)가 각각 형성되고, 각 처리실(10)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기포발생구(14)가 각각 형성되며, 배기통로(20)의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각 처리실(10)의 내부에는 톱밥(15)과 다공질 세라믹볼(16)이 내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여러 단의 처리실을 걸쳐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오, 폐수에 산소의 용존량을 고속으로 증가시키고, 호기성세균의 증식을 증대시켜, 오, 폐수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리실(10)과 배기통로(20)로 구획된 본체(1)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오, 폐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구(11)를 형성하며, 본체(1)의 하부에는 처리된 오, 폐수를 배수하는 유출구(12)를 형성한다.
상기 처리실(10)은 통수공(13a)을 형성한 격벽(13)으로 상하 다단으로 구획한다.
상기 구획한 각 처리실(10)의 상부에는 상기 배기통로(20)와 관통되게 뚫린 배기구(21)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구획한 각 처리실(10)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구(14)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배기통로(20)의 상부에는 기포발생구(14)로 주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2)를 형성한다.
각 처리실(10)의 내부에는 오,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톱밥(15)과 다공질 세라믹볼(16)을 내입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오, 폐수를 본체(1)의 유입구(11)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펌프(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하여 각 처리실(10)의 기포발생구(14)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것이다.
유입구(11)를 통하여 유입된 오, 폐수는 각 처리실(10)의 톱밥(15)과 다공질 세라믹볼(16)에 의해 정화되고 기포발생구(14)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오, 폐수에 산소의 용존량을 고속으로 증가시키고, 호기성세균의 증식시켜 오, 폐수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때 발생되는 폐 가스 등은 각 처리실(10)의 배기구(21)로 배기되어 배기통로(20)를 통해 배출구(22)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정화된 오, 폐수는 각 처리실(10)의 격벽(13)에 형성된 통수공(13a)을 통해 다음 처리실(10)로 배수되어 최종적으로 유출구(12)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처리실(10)을 여러 단으로 구성하여 각 처리실(10)에 톱밥(15)과 다공질 세라믹볼(16)을 내입시키고 각 처리실(10) 별로 공기를 주입하므로 톱밥(15)이 팽창되어 공기의 주입이 원활하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10 : 처리실
11 : 유입구 12 : 유출구
13 : 격벽 13a : 통수공
14 : 기포발생구 15 : 톱밥
16 : 다공질 세라믹볼 20 : 배기통로
21 : 배기구 22 : 배출구

Claims (1)

  1. 처리실(10)과 배기통로(20)로 구획된 본체(1)가 구성되고, 본체(1)의 상부에는 오, 폐수의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오, 폐수의 유출구(12)가 형성되고, 처리실(10)은 통수공(13a)이 형성된 격벽(13)으로 다단으로 구획되며, 구획된 각 처리실(10)의 상부에는 배기통로(20)와 뚫린 배기구(21)가 각각 형성되고, 각 처리실(10)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기포발생구(14)가 각각 형성되며, 배기통로(20)의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22)가 형성되고, 각 처리실(10)의 내부에는 톱밥(15)과 다공질 세라믹볼(16)이 내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KR20090016332A 2009-02-26 2009-02-26 정화조 KR20100097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6332A KR20100097409A (ko) 2009-02-26 2009-02-26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16332A KR20100097409A (ko) 2009-02-26 2009-02-26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409A true KR20100097409A (ko) 2010-09-03

Family

ID=4300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16332A KR20100097409A (ko) 2009-02-26 2009-02-26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40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39B1 (ko) * 2014-08-21 2015-04-14 화승개발 주식회사 하수처리장치
KR20210020519A (ko) * 2019-08-16 2021-02-24 이준하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39B1 (ko) * 2014-08-21 2015-04-14 화승개발 주식회사 하수처리장치
KR20210020519A (ko) * 2019-08-16 2021-02-24 이준하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64436A (ja) スラッジ処理の方法
KR101226547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CN102942292A (zh) 水产养殖废水组合净化处理流程及装置
JP5166014B2 (ja) 嫌気性処理における溶存硫化水素の除去装置
CN204661509U (zh) 一种移动式全封闭医院污水处理装置
KR20100097409A (ko) 정화조
JP2006320778A (ja) 膜分離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CN209178185U (zh) 一种厌氧、好氧、气提回流污水处理装置
CN203781988U (zh) 一种一体化水处理装置
CN210393863U (zh) 一种养殖废水臭氧处理设备
RU178554U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ков
KR101074838B1 (ko) 폭기조
CN207330494U (zh) 一种曝气生物滤池
KR100913500B1 (ko)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KR20190004164A (ko) 정화조 장치시스템
KR101366260B1 (ko) 밀폐형 생물반응장치
JPH10249365A (ja) 汚水処理装置
JP2015160188A (ja) 水処理設備、及び有機性排水の生物処理方法
RU15653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RU1552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2269578U (zh) 一种工业废水的低温厌氧处理装置
CN208856995U (zh) 一种厌氧、好氧一体化处理污水的设备
KR101334273B1 (ko) 미세 공기방울 및 처리수 순환에 의한 유기성 폐수의 호기성 및 혐기성 미생물 처리장치
CN211595182U (zh) 厌氧-缺氧-好氧复合滤池系统
JP2010158647A (ja) 有機廃水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