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00B1 -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00B1
KR100913500B1 KR1020090028258A KR20090028258A KR100913500B1 KR 100913500 B1 KR100913500 B1 KR 100913500B1 KR 1020090028258 A KR1020090028258 A KR 1020090028258A KR 20090028258 A KR20090028258 A KR 20090028258A KR 100913500 B1 KR100913500 B1 KR 100913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catalyst
ozone
pipe
oxygen supply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면
Original Assignee
박용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면 filed Critical 박용면
Priority to KR102009002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발생기에 인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존발생기로 공급함으로써 오존발생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오존발생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오존발생기에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고, 처리원수의 살균 상태가 향상되게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 유입관(103)으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측에 수위센서(101)가 설치된 용존조(100)와; 상기 용존조(100)에 저장된 원수가 원수순환관(105)을 통하여 순환되게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설치되는 제1펌프(110)와;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오존투입관(125)을 매개로 오존을 투입하는 제1오존발생기(120)와;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에 제1산소공급관(136)을 매개로 연결되는 광촉매필터부(130)와;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에 제2산소공급관(171)을 매개로 연결되는 산소공급장치(170)와; 상기 용존조(100)에 유출관(181)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에 제1분기관(186)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체형 부 광촉매 장치(185)와; 상기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에 연결되는 액체형 분사장치(190)와; 상기 오존투입관(125)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용존조(100)의 상측에 연결되는 배오존순환관(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존조, 제1오존발생기, 광촉매필터부, 산소공급장치, 온도조절장치

Description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ENVIRONMENT-FRIENDLY WATER QUALITY PURIFICATION STERILIZER USING PHOTOCATALYST AND OZON}
본 발명은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발생기에 인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존발생기로 공급함으로써 오존발생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오존발생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오존발생기에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고, 처리원수의 살균 상태가 향상되게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 하수처리방류수 등에는 자외선살균을 하거나 염소살균을 하고 있으며 특히 하수처리방류수의 자외선램프방식은 물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램프에 이물질이 부착하고 램프의 수명이 짧아 자주 교체하여야하며 바이러스 등은 살균되지 않고 있으며, 염소살균 역시 냄새로 인하여 먹는 물에 적용하기 힘들며, 하수처리에 사용시 조금만 염소가 과다 투입되면 물고기들이 때죽음을 당하고 있는 실정이고 바이러스를 살균하고 유기물을 분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활성탄 등을 물에 뿌려 수질을 정화하고 있으며, 물의 산소 함유량은 극히 낮게 되어 산소의 함유량을 높이도록 별도의 폭기 시설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폭기 시설을 통해 공급되는 물속에는 산소가 용존되지 않아 실효성이 없게 되는 실정이다.
또한, 양어장 또는 축산농가등에 공급되는 원수에 있어서는 원수의 내부에 함유된 바이러스 및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량의 항생제를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은 항생제의 투입은 양어장 또는 축산농가에 항생제의 구입에 따른 많은 비용을 초래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원수에 항생제 과다투여로 인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호수, 강, 취수지, 상수도, 하수도, 중수도 등의 처리원수를 살균시 처리원수에 용존조와,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 액체형 분사장치를 거친 오존수를 직접 투입하여 살균하고, 처리원수의 살균상태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제2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기체상태의 오존을 직접투입함으로써 처리원수의 살균 상태가 향상되게 하는 데 있다.
또한, 광촉매필터부를 설치하여 오존발생기에 인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존발생기로 공급함으로써 오존발생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오존발생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오존발생기에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원수 유입관(103)으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측에 수위센서(101)가 설치된 용존조(100)와; 상기 용존조(100)에 저장된 원수가 원수순환관(105)을 통하여 순환되게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설치되는 제1펌프(110)와;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오존투입관(125)을 매개로 오존을 투입하는 제1오존발생기(120)와;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에 제1산 소공급관(136)을 매개로 연결되는 광촉매필터부(130)와;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에 제2산소공급관(171)을 매개로 연결되는 산소공급장치(170)와; 상기 용존조(100)에 유출관(181)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에 제1분기관(186)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체형 부 광촉매 장치(185)와; 상기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에 연결되는 액체형 분사장치(190)와; 상기 오존투입관(125)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용존조(100)의 상측에 연결되는 배오존순환관(20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호수, 강, 취수지, 상수도, 하수도, 중수도 등의 처리원수를 살균시 처리원수에 용존조와,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 액체형 분사장치를 거친 오존수를 직접 투입하여 살균하고, 처리원수의 살균상태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제2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기체상태의 오존을 직접투입함으로써 처리원수의 살균 상태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촉매필터부를 설치하여 오존발생기에 인입되는 공기에 함유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하여 오존발생기로 공급함으로써 오존발생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오존발생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하며, 오존발생기에 투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시켜 오존발생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는 원수가 저장되는 용존조와, 제1펌프, 제1오존발생기, 광촉매필터부, 산소공급장치,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 액체형 분사장치, 배오존순환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존조(100)는 일정형상을 갖는 통체로 원수유입관(103)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측 벽면에 수위센서(10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펌프(110)는 상기 용존조(100)에 저장된 원수가 원수순환관(105)을 통하여 순환되게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원수순환관(105)에는 순환하는 원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부(107)가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용존조(100)의 원수가 상기 제1펌프(110)에 의해 순환되고, 후술되는 제1오존발생기(120)로부터 투입되는 오존과 혼합되는 과정에서 수온이 높아지게 되는데, 이처럼 수온이 높아지게 되면 오존 용존량이 낮아져 원수의 살균 효과가 감소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아 오존 용존량이 낮아져 원수의 살균효과가 급격히 감소함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냉각부(107)가 설치되는 것이다.
아래의 표는 원수가 순환되는 시간에 따라 수온이 상승됨을 나타내고, 상승된 수온 변화에 따른 오존용존량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원수 순환시간 1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온도 ℃ 15 19.5 20 22 23 25
오존용존(ppm) 0.7 2.0 2.8 1.95 1.05 0.95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환되는 원수의 적정온도는 20℃가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는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오존투입관(125)을 매개로 오존을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원수순환관(105)과 오존투입관(125)이 만나는 지점에는 인젝터를 설치하여 상기 원수순환관(105)을 순환하는 원수에 오존을 인젝션(injection), 즉 혼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촉매필터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에 제1산소공급관(136)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산소공급장치(170)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에 제2산소공급관(171)을 매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필터부(130)는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의 일측이 내측으로 관통되고 내주면에 광촉매재가 코팅되며 내주면에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개의 램프(132)가 설치된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산소공급관(171)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섬유질의 필터(133)와, 상기 케이스(131)의 하측에 설치되는 드레인관(134)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산소공급장치(17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산소공급관(171)을 거쳐 광촉매필터부(130)로 인입되게 되는데, 이때 인입되는 공기는 섬유질의 상기 필터(133)를 거쳐 수분과 이물질이 제거된 깨끗한 상태로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을 거쳐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로 공급되어, 오존발생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오존발생기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촉매필터부(130)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필터(133)에 수분이 과다하여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 필터(133)에 과다한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31)에 설치된 상기 드레인관(134)을 열어 주고, 상기 필터(133)가 빠른 시간 안에 건조되도록 외부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램프(132)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133)를 건조하면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촉매필터부(130)를 다수개 구비함으로서, 하나의 광촉매필터부(130)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다른 광촉매필터부를 사용하고, 이 또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또 다른 광촉매필터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고로 다시 한번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산소공급관(171)으로부터 분기되는 제1배관(151)이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와 동일한 구조의 제1보조광촉 매필터부(150)에 연결되고, 상기 제1보조광촉매필터(150)와 연결된 제2배관(155)이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과 연결되고, 상기 제1배관(151)으로부터 분기되는 제3배관(161)이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와 동일한 구조의 제2보조광촉매필터부(160)와 연결되고, 상기 제2보조광촉매필터부(160)와 연결된 제4배관(165)이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산소공급관(171)에는 제1밸브(17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의 근접된 위치의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는 제2밸브(13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관(151)에는 제3밸브(161)가 설치되고, 제2배관(155)에는 제4밸브(157)가 설치되며, 제3배관(161)에는 제5밸브(163)가 설치되고, 제4배관(165)에는 제6밸브(167)가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광촉매필터부(130)를 사용하다가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의 필터(133)에 수분이 과다해져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173)와 제2밸브(137)를 닫고 상기 제3밸브(153)와 제4밸브(157)를 열어 상기 제1보조광촉매필터부(150)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제5밸브(163)와 제6밸브(167)는 닫힌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광촉매필터부(150)또한 수분이 과다해져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밸브(153)와 제4밸브(157)를 닫고, 상기 제5밸브(163)와 제6밸브(167)를 열어 상기 제2보조광촉매필트부(160)를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제1밸브(173)와 제2밸브(137)는 닫힌 상태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중의 수분과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광촉매필 터부(130), 제1보조광촉매필터부(150), 제2보조광촉매필터부(160)를 두개씩 짝을 이루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는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온도조절장치(140)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온도조절장치(140)는 일정형상의 내측이 비어있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으로부터 인입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42)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42)의 신호를 감지하는 온도제어부(143)와, 상기 온도제어부(143)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장치(144)와 가열장치(145)로 구성된다.
즉, 상기 광촉매필터부를 지나온 공기가 상기 온도조절장치(140)의 몸체(141)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공기의 온도가 적정온도범위 이하이면 온도제어부(143)에서 온도감지센서(142)의 신호를 감지하여 가열장치(145)를 가동함으로써 유입된 공기가 적정온도범위에 들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가 적정온도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냉각장치(144)를 가동하여 유입된 공기가 적정온도범위에 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는 5℃~20℃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는 상기 용존조(100)에 유출관(181)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에 제1분기관(186)을 매개로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관(181)에는 제2펌프(18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는 일정형상의 통체로 내주면에 광촉매재가 도포되고, 내측에는 상기 광촉매재를 반응시키는 LED램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유출관(181)으로부터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로 오존수가 유입되면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상기 제1분기관(186)을 통해 상기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로 이동하여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다시 한번 제거함으로써 살균력이 향상된다.
아래 표는 광촉매장치와 오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광촉매장치 없음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 액체형 주, 부 광촉매장치
오존발생량(ppm) 1.01 1.15 1.23
처리 1분 경과 0.95 0.85 0.68
처리 2분 경과 0.9 0.65 0.35
처리 3분 경과 0.8 0.3 0.05
처리 5분 경과 0.5 0.03 0
처리 10분경과 0.03 0 0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를 설치하면 오존량을 증가하여 순간적으로 살균하고 반감기가 짧아 잔류오존이 오존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거의 0의 상태로 되지만,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를 설치하지 않으면 오존량은 증가하지 않고 순간적으로 살균하고 반감기가 길어져 잔류오존이 오존발생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잔류오존이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체형 분사장치(190)는 상기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에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를 통해 인입된 오존수를 외부로 유출하게 된다.
외부로 유출되는 오존수를 하천, 호수, 강, 취수지, 상수도, 하수도, 중수도 등의 처리원수에 직접 혼합하여 처리원수의 녹조 및 적조등의 유기물을 제거함은 물론 불쾌한 냄새를 탈취시키고 바이러스와 세균을 살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오존순환관(200)은 상기 오존투입관(125)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용존조(100)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원수가 제1오존발생기(120)로부터 유입되는 오존과 혼합 및 순환되면서 상기 용존조(100)의 상단에 기체상태의 배오존이 생성되는데, 이를 재활용하기위해 상기 오존투입관(125)과 용존조(100)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는 제3산소공급관(215)을 매개로 제2오존발생기(2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에 제1오존유출관(225)을 매개로 기체형 주 광촉매장치(2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형 주 광촉매장치(220)에 제2분기관(235)을 매개로 기체형 보조광촉매장치(230)가 연결되고, 상기 기체형 보조광촉매장치(230)에 기체형 분사장치(250)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에는 보조오존투입관(240)의 일측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조오존투입관(240)의 타측단이 상기 유출관(181)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유출관(181)을 유동하는 오존수에 다시한번 오존을 혼합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산소공급장치(17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서 상기 제3산소공급관(215)을 통해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로 이동하여,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에서 생성된 오존은 상기 제1오존유출관(225)을 매개로 상기 기체형 주 광촉매장치(220)를 거쳐 상기 기체형 보조광초매장치로 이동하 여 상기 기체형 분사장치(25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여기서, 상기 기체형 주광촉매장치(220)와 기체형 보조광촉매장치(230)는 상기 액체형 주광촉매장치(180)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주면에는 광촉매재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광촉매재를 반응시키는 LED램프가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오존투입관(240)은 상기 용존조(100)로부터 상기 유출관(181)으로 유출되는 오존수에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에서 생성된 오존을 인젝터를 이용하여 재차 혼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발명의 살균장치를 이용하여 하천, 호수, 강, 취수지, 상수도, 하수도, 중수도 등의 처리원수를 살균하는 경우 처리원수에 상기 용존조와,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 액체형 분사장치를 거친 오존수를 직접 투입하여 살균을 할 수도 있으며, 처리원수의 살균상태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제2오존발생기에서 생성된 기체상태의 오존을 직접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처리원수의 살균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축사 및 가축과 양어장, 원예, 농작물등에 공급되는 물과 공기를 살균하여 공급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농산물과 원예작물을 얻을 수 있고, 가축의 경우 더욱 건강하고 튼튼하게 길러질 수 있으며, 물고기들이 더욱 건강한 상태에서 양식되어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을거리를 생산자에게는 높은 소득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촉매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존조 101: 수위센서 103: 원수유입관
105: 원수순환관 110: 제1펌프 120: 제1오존발생기
125: 오존투입관 130: 광촉매 필터부 131: 케이스
132: 램프 133: 필터 134: 드레인관
136: 제1산소공급관 137: 제2밸브 140: 온도조절장치
141: 몸체 142: 온도감지센서 143: 온도제어부
144: 냉각장치 145: 가열장치
150: 제1보조광촉매필터부 151: 제1배관
153: 제3밸브 155: 제2배관 157: 제4밸브
160: 제2보조광촉매필터부 161: 제3배관
163: 제5밸브 165: 제4배관 167: 제6밸브
170: 산소공급장치 171: 제2산소공급관 173: 제1밸브
180:액체형 주 광촉매장치 181: 유출관
183: LED램프 185: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
186: 제1분기관 190: 액체형 분사장치 200: 배오존 순환관
210: 제2오존발생기 215: 제3산소공급관
220: 기체형 주 광촉매장치 225: 제1오존유출관
230: 기체형 보조 광촉매장치 235: 제2분기관
240: 보조오존투입관 250: 기체형 분사장치

Claims (6)

  1. 원수 유입관(103)으로부터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고, 내측에 수위센서(101)가 설치된 용존조(100)와;
    상기 용존조(100)에 저장된 원수가 원수순환관(105)을 통하여 순환되게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설치되는 제1펌프(110)와;
    상기 원수순환관(105)에 오존투입관(125)을 매개로 오존을 투입하는 제1오존발생기(120)와;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에 제1산소공급관(136)을 매개로 연결되는 광촉매필터부(130)와;
    상기 광촉매필터부(130)에 제2산소공급관(171)을 매개로 연결되는 산소공급장치(170)와;
    상기 용존조(100)에 유출관(181)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에 제1분기관(186)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체형 부 광촉매 장치(185)와;
    상기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에 연결되는 액체형 분사장치(190)와;
    상기 오존투입관(125)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용존조(100)의 상측에 연결되는 배오존순환관(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는 상기 제1오존발생기(120)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게 온도조절장치(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필터부(130)는,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의 일측이 내측으로 관통되고, 광촉매재가 도포된 내주면에 다수개의 램프(132)가 설치된 케이스(131)와; 상기 케이스(13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의 일측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산소공급관(171)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섬유질의 필터(133)와; 상기 케이스(131)의 하측에 설치되는 드레인관(1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140)는, 일정형상의 내측이 비어있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으로부터 인입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42)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42)의 신호를 감지하는 온도제어부(143)와; 상기 온도제어부(143)에 의해 작동되는 냉각장치(144)와 가열장치(1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형 주 광촉매장치(180)와 액체형 부 광촉매장치(185)는 일정형상의 통체로 내주면에 광촉매재가 도포되고, 내측에는 상기 광촉매재를 반응시키는 LED램프(18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소공급관(136)에 제3산소공급관(215)을 매개로 연결되는 제2오존발생기(210)와;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에 제1오존유출관(225)을 매개로 연결되는 기체형 주 광촉매장치(220)와; 상기 기체형 주 광촉매장치(220)에 제2분기관(235)을 매개로 연결되는 기체형 보조광촉매장치(230)와; 상기 기체형 보조광촉매장치(230)에 연결되는 기체형 분사장치(250)와; 상기 제2오존발생기(21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상기 유출관(181)에 연결되는 보조오존투입관(240)이 더 포함 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살균장치.
KR1020090028258A 2009-04-01 2009-04-01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KR100913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258A KR100913500B1 (ko) 2009-04-01 2009-04-01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258A KR100913500B1 (ko) 2009-04-01 2009-04-01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500B1 true KR100913500B1 (ko) 2009-08-25

Family

ID=4121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258A KR100913500B1 (ko) 2009-04-01 2009-04-01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38B1 (ko) 2011-01-06 2011-08-31 주식회사 현진기업 바이러스 및 세균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 관리 시스템
KR101869382B1 (ko) * 2017-09-25 2018-07-19 이재철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 정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971A (ja) 1999-05-19 2000-11-28 Kyodo Oxygen Co Ltd 汚染水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119980A (ja) 2000-10-16 2002-04-23 Toyobo Co Ltd 連続水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80007956A (ko) * 2006-07-19 2008-01-23 (주)종합엔텍 광촉매 분해장치를 이용한 정수기용 살균장치
KR20090009493A (ko) * 2007-07-20 2009-01-23 조경복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5971A (ja) 1999-05-19 2000-11-28 Kyodo Oxygen Co Ltd 汚染水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119980A (ja) 2000-10-16 2002-04-23 Toyobo Co Ltd 連続水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80007956A (ko) * 2006-07-19 2008-01-23 (주)종합엔텍 광촉매 분해장치를 이용한 정수기용 살균장치
KR20090009493A (ko) * 2007-07-20 2009-01-23 조경복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738B1 (ko) 2011-01-06 2011-08-31 주식회사 현진기업 바이러스 및 세균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 관리 시스템
KR101869382B1 (ko) * 2017-09-25 2018-07-19 이재철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 정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4678U (ja) 生活汚水処理装置
KR100864806B1 (ko)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고도수처리시스템
CN104944707B (zh) 一种医院污水处理mbr工艺
KR100828435B1 (ko) 바이러스 및 세균제거용 친환경 소독장치
KR102054625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KR20170114205A (ko) 물과 공기 겸용 플라즈마 처리장치
CN209383586U (zh) 一种节能环保型化工污水生产处理设备
KR100913500B1 (ko) 광촉매와 오존을 이용한 친환경 수질정화 고도처리 살균장치
KR101062388B1 (ko) 화장실의 중수도 시스템
JP2014064976A (ja) 水処理装置
CN205953659U (zh) 一种地埋式除臭净化冲厕污水处理槽
CN101538881B (zh) 自吸式全自动二次水处理回用装置
CN111606468A (zh) 用于河道排口病毒防控的多级处理系统及运行方法
JP2017176149A (ja) オゾン処理と生物ろ過処理とを併存させた閉鎖循環型陸上養殖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100901794B1 (ko) 수 처리장치
CN203229444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102189633B1 (ko) 배양기
JP2008093650A (ja) 排水処理装置
US20130118969A1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BOD reduction apparatus
KR101547300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CN203807224U (zh) 水处理用压力式臭氧消毒装置
CN203890189U (zh) 一种污水回收处理装置
CN203513434U (zh) 一体化中水回用设备
KR20110019912A (ko) 생활배수의 처리방법 및 생활배수 처리장치
CN202279754U (zh) 低能耗中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