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005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005B1
KR101004005B1 KR1020080102296A KR20080102296A KR101004005B1 KR 101004005 B1 KR101004005 B1 KR 101004005B1 KR 1020080102296 A KR1020080102296 A KR 1020080102296A KR 20080102296 A KR20080102296 A KR 20080102296A KR 101004005 B1 KR101004005 B1 KR 10100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ood waste
digestion
decomposition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310A (ko
Inventor
서계영
Original Assignee
서계영
서정원
서강욱
정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계영, 서정원, 서강욱, 정미란 filed Critical 서계영
Priority to KR1020080102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0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분해조에 물과 함께 혼합 상태로 인입된 분쇄음식물쓰레기가 가라앉지 않게 저어주면서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공급하고 제2분해조와 폭기조에서 충분히 분해 소화시킴으로써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능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음식물쓰레기가 분해 소화된 액체를 암석조, 우드칩조, 활성탄조 등의 정화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신선한 물로 재생시킴은 물론 미네랄이 녹아 있고 악취 및 부유물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쇄음식물쓰레기를 받아 분해하는 분해조가 마련되고 이 분해조로부터 공급받아 정화하는 정화조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는 상부에 인입파이프가 마련되고 내부의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저어줄 수 있는 임펠러가 마련된 제1분해조, 이 제1분해조의 한쪽에 마련되어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저장하는 미생물저장고, 이 미생물저장고의 미생물을 제1분해조로 품어 올려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공급펌프 및 상기 미생물저장고와 접한 제1분해조의 한쪽에 마련되어 제1분해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재차 분해시키는 제2분해조 및 이 제2분해조로부터 흘러들어온 분해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신선한 물로 재생하는 산화작용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도록 하는 에어펌프와 이 에어펌프로부터 에어호스를 통해 토출된 에어를 잘게 쪼개는 다공체가 마련된 폭기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식물쓰레기, 미생물, 폭기조, 암석, 우드칩, 활성탄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ment of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디스포저(disposer)로 분쇄하여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얻고 이렇게 분쇄한 분쇄음식물쓰레기를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로 분해한 다음 정화하고 악취제거 후에 배출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가정 및 식당의 주방에서는 음식물쓰레기가 발생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는 싱크대의 디스포저(disposer)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배수구를 통해 물과 함께 하수관으로 흘려보낸다. 상기 음식물쓰레기는 유기물인바, 하수관을 따라 흘러가면서 분해되기 때문에 악취는 물론이고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포저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성능이 탁월한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분사하여 배수구를 통해 흘려보내는 기술들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410491호, 특허 제10-0739021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분쇄음식물쓰레기가 배수구를 통해 흘러가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 소멸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음식물쓰레기는 단순히 액상의 물로 변환시켜 흘러가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음식물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심한 악취가 그대로 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0838717호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디스포저로 분쇄하면서 음식물분해용 미생물을 분사하고, 이후에 악취제거용 미생물을 분사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할 때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있다.
상기 특허 제10-0838717호는 음식물쓰레기를 디스포저로 분쇄하면서 음식물분해용 미생물을 단순히 분사하고 이후에 악취제거용 미생물을 분사하여 배수구로 흘려보내는 것인바, 각 가정의 배수구를 통과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가정의 다른 배수구의 오수와 합쳐져 흘러가게 되며, 이로 인하여 미생물의 생존환경이라든가 활성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음식물쓰레기의 분해 및 분해시 발생되는 악취제거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65945호에는 싱크대의 디스포저에서 1차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고 이렇게 분쇄된 분쇄음식물쓰레기가 분쇄조, 분해조, 정화조를 갖는 처리시스템으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 처리시스템의 분쇄조에서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좀 더 잘게 분쇄하고, 분해조의 바이오 링에 착상된 미생물로 분쇄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소멸시킨 다음, 정 화조에서 수질정화제인 토르말린(tourmaline)을 이용하여 정화시켜 배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에 있어서는, 싱크대의 디스포저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조에서 다시 잘게 분쇄하여 용이한 분해를 도모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별도의 분쇄조에 분쇄수단을 마련한 것은 중복 설치로 불합리한 것이며, 분쇄를 하기 위해선 고속 회전시켜야 하므로 소음 및 진동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처리시스템을 이루는 분쇄조 상부의 유입관을 통해 물이나 이와 함께 분쇄음식물쓰레기가 무작위로 유입되게 되고, 이때 분쇄조로의 유입유량이 과다하면 오버플로(Overflow)관인 제1서비스배출관을 통해 단순히 넘치게 되므로 분해되지 않은 분쇄음식물쓰레기 또한 함께 넘치게 되며, 결론적으로 수질오염과 악취로 인한 환경오염문제가 대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처리시스템의 정화조에서 수질정화제인 토르말린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한 후 배수하는 것인바 수질정화가 미흡하고, 특히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면서 발생되는 악취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제1분해조에 물과 함께 혼합 상태로 인입된 분쇄음식물쓰레기가 가라앉지 않게 저어주면서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공급하고 제2분해조와 폭기조 에서 충분히 분해 소화시킴으로써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능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음식물쓰레기가 분해 소화된 액체를 암석조, 우드칩조, 활성탄조 등의 정화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신선한 물로 재생시킴은 물론 미네랄이 녹아 있고 악취 및 부유물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분해조의 인입파이프에 밸브를 마련하여 디스포저가 가동될 때와 정지 후 일정시간동안만 개방되므로 단순히 물만 배수하는 경우 그대로 흘러 보내고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것만을 받아 분해 정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확실하고 완벽하게 처리함은 물론 미생물의 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분해조에 물과 함께 혼합 인입되는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임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혼합조의 내부를 저어주고, 상기 임펠러의 지속적인 회전이 필요한 경우 저속구동모터로 구동시켜 저어줄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음식물쓰레기를 받아 분해하는 분해조가 마련되고 이 분해조로부터 공급받아 정화하는 정화조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는 상부에 인입파이프가 마련되고 내부의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저어줄 수 있는 임펠러가 마련된 제1분해조, 이 제1 분해조의 한쪽에 마련되어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저장하는 미생물저장고, 이 미생물저장고의 미생물을 제1분해조로 품어 올려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공급펌프 및 상기 미생물저장고와 접한 제1분해조의 한쪽에 마련되어 제1분해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재차 분해시키는 제2분해조 및 이 제2분해조로부터 흘러들어온 분해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신선한 물로 재생하는 산화작용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도록 하는 에어펌프와 이 에어펌프로부터 에어호스를 통해 토출된 에어를 잘게 쪼개는 다공체가 마련된 폭기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조는 폭기조의 한쪽에 마련되되 분해오수에 음이온을 발생하고 악취제거를 위한 맥반석, 옥석, 포조란(pozzolan), 다공질체 등이 채워진 암석조; 이 암석조의 한쪽에 마련되되 얇은 장방형의 나무부스러기가 채워진 우드칩조; 이 우드칩조의 한쪽에 마련되되 숯이나 활성탄이 채워져 있는 활성탄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해조의 인입파이프에는 밸브가 부가되며 상기 밸브는 디스포저가 구동되기 시작하면서 정지후 일정시간동안만 일시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전동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분해조에는 상부의 인입파이프가 그 내부로 연장되고, 임펠러는 상기 인입파이프에서 물과 함께 토출되는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물레방아타입의 임펠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지속적인 회전구동을 위한 모터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제1분해조에 물과 함께 혼합 상태로 인입된 분쇄음식물쓰레기가 가라앉지 않게 저어주면서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공급하고 제2분해조와 폭기조에서 충분히 분해 소화시킴으로써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의 분해효능향상을 꾀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음식물쓰레기가 분해 소화된 액체를 암석조, 우드칩조, 활성탄조 등의 정화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신선한 물로 재생시킴은 물론 미네랄이 녹아 있고 악취 및 부유물의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분해조의 인입파이프에 전동기가 구비된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포저가 가동될 때와 정지 후 일정시간동안만 개방되므로 단순히 물만 배수하는 경우 그대로 흘러 보내고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것만을 받아 분해 정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보다 확실하고 완벽하게 처리함은 물론 미생물의 절감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분해조에 물과 함께 혼합 인입되는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임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혼합조의 내부를 저어주고, 상기 임펠러의 지속적인 회전이 필요한 경우 저속구동모터를 연결하여 구동시켜 저어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가 격벽에 의해 7개의 구획공간을 갖도록 2열로 배열된 장방형 육면체의 몸체(100)가 마련되고 이 몸체(100)의 상단에는 상면 전체를 덮는 커버(200)가 기밀이 유지되게 씌워져 있다.
상기 몸체(100)의 구획공간은 위에서 보았을 때 상부엔 미생물저장고(130), 제2분해조(120), 폭기조(140) 및 활성탄조(170)가 마련되고 하부엔 제1분해조(110), 암석조(150), 우드칩조(16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저장고(130)를 포함하여 제1분해조(110), 제2분해조(120), 폭기조(140)는 분해조이고 상기 암석조(150), 우드칩조(160) 및 활성탄조(170)는 정화조이다.
상기 제1분해조(110)는 몸체(100)를 이루는 좌측외벽(108)의 상부에 싱크대 등의 배수구에 설치된 디스포저로부터 분쇄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기 위한 인입파이프(112)가 마련되고 내부공간의 중앙하부에서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저어줄 수 있는 임펠러(11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113)는 직립회전축(114)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직립회전축(114)의 상부가 커버(200)를 관통한 상태로 저속회전 구동되는 모터(115)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분해조(110)의 제1격벽(101) 상부에는 제2분해조(120)로 흘러넘치는 제1유출구(10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분해조(110)의 인입파이프(112)에는 밸브(11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116)는 싱크대 등에 별도로 마련된 디스포저가 구동되기 시작하면서 개방되고 정지되면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 닫히는 전동기(11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분해조(120)는 제1분해조(110)로부터 넘쳐 흘러들어온 오수를 일시적으로 정체시켜 제1분해조(110)에서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 즉 분쇄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도록 하며 제2격벽(102)의 상부에 제2유출구(10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저장고(130)는 고농축 액체종균제이고 호기성과 혐기성 박테리아를 포함한 박테리아균제인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며, 그 내부공간에 저장된 미생물을 품어 올려 제1분해조(110)로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공급펌프(13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미생물공급펌프(131)는 미생물저장고(130)의 바닥으로부터 흡입하여 제1분해조(110)로 토출할 수 있는 흡입호스와 토출호스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미생물저장고(130) 위치의 좌측외벽(111)에는 내부의 미생물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32)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기조(140)는 그 상단의 커버(200)에 에어펌프(14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에어펌프(141)로부터 연장된 에어호스(142)의 끝단엔 에어펌프(141)로부터 토출된 에어를 잘게 쪼개는 다공체(143)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분해조(120)의 제2유출구(102a)로부터 흘러들어온 분해오수에 에어를 충분하게 공급하여 신선한 물로 재생하는 산화작용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상기 폭기조(140)의 제3격벽(103) 하단부분에는 암석조(150)로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제3유출구(10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석조(150)는 제3격벽(103)의 제3유출구(103a) 위에 수평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제1망판부재(151)가 마련되고 상기 제1망판부재(151) 위에는 소정높이로 분해오수에 음이온을 공급하고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암석(152)이 채워져 있다.
상기 암석(152)은 통상 맥반석, 옥(玉) 등의 자연석이나 포조란(pozzolan), 다공질체 등의 인조석을 사용하나, 이 외에 다른 여러 가지의 암석을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맥반석은 1㎤당 3~15만개의 미세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한다.
상기 옥은 경옥(硬玉: Jade)과 연옥(軟玉: nephrite)이 있으며, 경옥은 알칼리 휘석(輝石)의 하나로 규산(硅酸), 산화알루미늄(Oxidation Aluminum), 소다로 된 광물을 말하며, 연옥은 각섬석으로 된 것과 양기석(陽奇石)으로 된 것이 있고, 경옥에 비하여 질이 무르고 규산염(Silicate)광물로 흑갈색, 유백색 또는 연녹색의 길쭉한 결정체를 이루며, 특히 양기석(陽起石)은 무수규산과 산화마그네슘(Oxidation Magnesium)이 주성분인바, 음이온발생과 원적외선방사로 향균 작용은 물론 세립상(細粒狀)의 치밀한 집합체로 악취제거에 사용된다.
상기 포조란은 다공성의 화산석으로 스펀지와 같이 물체를 흡착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각종 유기물과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게르마늄 함량이 풍부하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 온열효과가 높은 암석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향균, 탈취, 정수, 해독작용이 우수하고 음이온 발생이 탁월하다.
상기 암석조(150)의 제4격벽(104) 상단부분에는 우드칩조(160)로 넘쳐 흘러들어가도록 하는 제4유출구(10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드칩조(160)는 제5격벽(105)의 하단에 제5유출구(10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5유출구(105a)의 상부에 수평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제2망판부재(16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망판부재(162) 위에 소정높이로 얇은 장방형의 나무부스러기인 우드칩(161)이 채워져 있고 상기 우드칩(163)의 상면에 우드칩(161)의 비중이 물보다 낮아 수면상부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망판부재(16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우드칩(161)은 통상 나무 중에서 삼나무를 사용하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12㎜정도이고 그 두께는 1~2㎜가 바람직하다. 상기 우드칩(161)이 6㎜이하로 잘게 되면 제3망판부재(163)의 구멍을 통해 빠져나감은 물론 여과기능은 좋으나 여과량에 제약이 따르며, 12㎜이상이면 분해오수가 여과기능이 저하되어 악취제거 및 정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활성탄조(170)는 제5격벽(105)의 제5유출구(105a) 상부에 수평으로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제4망판부재(17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4망판부재(174) 위에 소정크기의 입자로 된 활성탄(172)이 채워져 있고 상기 활성탄(172)의 상면에 활성탄(172)의 비중이 물보다 낮으므로 수면상부로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5망 판부재(17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활성탄조(170)는 몸체(100)를 이루는 우측외벽(109)의 상부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분해 소멸되고 정화되어 깨끗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7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171)는 제2분해조(120), 암석조(150)의 수위보다 활성탄조(170)의 수위가 낮아져 자연스럽게 흘러내려가도록 제2분해조(120) 및 암석조(150)의 제2, 제4격벽(102,104) 상부에 마련되는 제2, 제4유출구(102a,104a)보다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탄(172)은 목탄, 갈탄, 이탄(泥炭) 등을 활성화제인 염화아연이나 인산과 같은 약품으로 처리하여 건조시키거나 목탄을 수증기로 활성화시켜 만든 것이다. 이는 흡착성이 강하고, 대부분의 구성 물질이 탄소질로 된 것이어서 기체나 습기를 흡수시키기 흡착제로 사용된다. 상기 활성탄은 숯으로 대체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활성탄조(170)와 접한 폭기조(140)의 제6격벽(106)에는 폭기조(140)에 급격하게 유입유량이 증가되었을 경우 활성탄조(170)로 넘치도록 하는 오버플로구멍인 제6유출구(106a)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유출구(106a)는 폭기조(140)의 일정수위를 초과한 분해오수만이 활성탄조(170)로 넘치도록 제2분해조(120)의 제2격벽(102)에 형성된 제2유출구(102a)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6과 같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s)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싱크대(s)의 배수구에 설치된 디스포저(d)의 배출구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이루는 제1분해조(110)의 인입파이프(112)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인입파이프(112)는 T자 형상으로 그 중간의 교차부분에 전동기(117)를 갖는 밸브(116)가 마련되어 있다.
먼저, 싱크대(s)에서 설거지를 하고난 후 배수시키면 싱크대(s)의 배수구와, 디스포저(d), 호스(h1) 및 인입파이프(112)의 밸브(116)를 통해 곧바로 호스(h2)로 배수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설거지를 마무리한 후 싱크대(s)의 배수구에 설치된 디스포저(d)에는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 만이 걸려 잔존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포저(d)를 가동시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이와 동시에 수돗물을 틀어 수돗물과 함께 흘려보내게 된다.
상기 디스포저(d)가 가동됨과 동시에 인입파이프(112)의 밸브(116)가 전동기(117)에 의해 전환되므로 디스포저(d)에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제1분해조(11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제1분해조(110)로 유입되게 되면 임펠러(113)가 모터(115)에 의해 회전되므로 제1분해조(110) 내의 오수(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가 혼합된 상태의 물)를 저어주게 된다. 이렇게 제1분해조(110) 내의 오수를 저어주는 상태에서 미생물펌프(131)가 일시적으로 구동되면서 미생물저장고(130) 내의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품어 올려 제1분해조(110)로 공급한다.
상기 미생물은 보령제약의 엔조에프(ENZO-F)라는 상품명의 미생물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미생물은 향기로운 향을 갖는 녹색의 액체이고, PH는 6.6±0.5이고, 비중은 1.06±0.05인 호기성과 혐기성 박테리아가 절반씩 포함한 고농축 액체종균제이다.
상기 제1분해조(110) 내의 오수는 혐기성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 소멸되기 시작하고 이렇게 분해 소멸된 유기물은 부유물질로 되어 수면위로 떠오르게 되며, 이렇게 부유물질과 함께 일부의 오수는 제1격벽(101)의 제1유출구(101a)를 통해 제2분해조(120)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2분해조(120)로 유입된 오수는 일정시간동안 정체되게 되는데, 이때 부유물질 중에 남아 있는 소량의 섬유질을 혐기성 박테리아가 다시 분해 소멸시킨다. 이때,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가 분해되면서 악취를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 제2분해조(120)에 2차로 분해된 오수는 제2격벽(102)의 제2유출구(102a)를 통해 폭기조(140)로 유입되게 되며, 이렇게 폭기조(140)로 유입된 오수는 지속적으로 가동되는 에어펌프(141)에 의해 토출되는 에어가 에어호스(142) 끝단의 다공체(143)를 통해 토출되므로 에어와 충분하게 접촉한다. 이렇게 분해오수는 에어와 충분하게 접촉되므로 신선한 물로 재생하는 산화작용은 물론 호기성 박테리아의 미생물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도록 한다.
상기 폭기조(140)에서 정화된 분해오수는 제3격벽(103) 하단의 제3유출구(103a)를 통해 암석조(15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암석조(150) 내의 분해오수는 그 내부에 채워진 자연석이나 인조석의 하부로부터 그 상부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자연석이나 인조석에서 발생되는 음이온과 원적외선방사로 항균작용은 물론 자연석이나 인조석의 미세공에 부유물질 및 악취가 흡착되어 여과되고 정화되게 된다.
상기 암석조(150)에서 정화된 분해오수는 제4격벽(104)의 제4유출구(104a)를 통하여 우드칩조(160)의 상부로 공급되게 되며, 이렇게 상기 우드칩조(160)로 공급된 분해오수는 우드칩(161)의 상부로부터 그 하단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우드칩(161)에 부유물질, 악취 등이 2차로 흡착되면서 여과되므로 악취제거 및 정화가 이뤄지게 된다.
상기 우드칩조(160)에서 정화된 정화수는 제5격벽(105) 하단의 제5유출구(105a)를 통해 활성탄조(170)로 공급되게 되고, 상기 활성탄조(170)에 채워진 활성탄(172)의 하부로부터 그 상단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활성탄(172) 자체의 미세공에 부유물질이나 악취 등이 흡착되어 3차로 정화되므로 깨끗한 물로 된다.
이렇게 암석조(150)와 우드칩조(160) 및 활성탄조(17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3차에 걸쳐 정화된 깨끗한 물은 우측외벽(109)의 배출구(171)와 호스(h3)를 통해 배수되게 되므로 하수구의 오염이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제1분해조(110)의 인입파이프(112)를 통해 제1분해조(110)로 인입되는 유량이 과다하게 되면 제1분해조(110)에서 제2분해조(120)를 거쳐 폭기조(140)로 공급되고, 상기 폭기조(140) 측의 제6격벽(106)의 제6유출구(106a)를 통해 활성탄조(170)로 흘러넘쳐 들어가 활성탄조(170)의 배출구(171)와 호스(h3)를 통해 배수되게 된다. 따라서 인입파이프(112)를 통해 과다하게 오수가 들어오더라도 안정적 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제1분해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여기서는, 제1분해조(110)의 좌측외벽(108)에 마련된 인입파이프(112)를 그 내부로 연장시킨 연장파이프(116)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인입파이프(112) 및 연장파이프(116)에서 물과 함께 토출되는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임펠러(117)가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임펠러(117)는 물레방아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임펠러(117)의 수평회전축(118)에는 임펠러(117)의 지속적인 회전구동을 위한 모터(119)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음식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분해조(110)로 물과 함께 음식물쓰레기가 인입파이프(112)와 연장파이프(116)를 통해서 흘러내려가 그 끝단에서 토출될 때 임펠러(117)의 날개에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임펠러(117)가 회전되게 되면서 제1분해조(110) 내의 오수를 저어주므로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가 가라앉지 않는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물을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로 분해 소멸시키고 이렇게 분해된 유기물을 다단계에 걸쳐 정화시켜 깨끗한 물로 만든 후 배수구나 정화조 등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분야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분해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10: 제1분해조 112: 인입파이프
113: 임펠러 114: 직립회전축 115: 펌프
120: 제2분해조 130: 미생물저장고 131: 미생물공급펌프
132: 투시창 140: 폭기조 141: 에어펌프
150: 암석조 151: 암석 160: 우드칩조
161: 우드칩 170: 활성탄조 172: 활성탄
200: 커버

Claims (5)

  1. 분쇄음식물쓰레기를 받아 분해하는 분해조가 마련되고 이 분해조로부터 공급받아 정화하는 정화조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는 상부에 인입파이프가 마련되고 내부의 분쇄음식물쓰레기를 저어줄 수 있는 임펠러가 마련된 제1분해조, 이 제1분해조의 한쪽에 마련되어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을 저장하는 미생물저장고, 이 미생물저장고의 미생물을 제1분해조로 품어 올려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공급펌프 및 상기 미생물저장고와 접한 제1분해조의 한쪽에 마련되어 제1분해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재차 분해시키는 제2분해조 및 이 제2분해조로부터 흘러들어온 분해오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신선한 물로 재생하는 산화작용은 물론 미생물에 의한 소화 작용을 촉진하도록 하는 에어펌프와 이 에어펌프로부터 에어호스를 통해 토출된 에어를 잘게 쪼개는 다공체가 마련된 폭기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분해조의 인입파이프에는 밸브가 부가되며 상기 밸브는 디스포저가 구동되기 시작하면서 개방되고 디스포저가 정지후 일정시간 경과된 다음 폐쇄시킬 수 있는 전동기가 마련되며,
    상기 제1분해조 상부의 인입파이프가 제1분해조의 내부로 연장된 연장파이프가 마련되며, 상기 임펠러는 연장파이프에서 물과 함께 토출되는 분쇄음식물쓰레기가 구동시킬 수 있는 물레방아 타입의 임펠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그 중앙의 수평회전축에 지속적인 회전구동을 위한 모터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폭기조의 한쪽에 마련되되 분해오수에 음이온을 발생하고 악취제거를 위한 맥반석, 옥, 포조란(pozzolan), 다공질체 중의 어느 하나가 채워진 암석조; 이 암석조의 한쪽에 마련되되 얇은 장방형의 나무부스러기가 채워진 우드칩조; 이 우드칩조의 한쪽에 마련되되 숯이나 활성탄이 채워져 있는 활성탄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80102296A 2008-10-20 2008-10-2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0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296A KR101004005B1 (ko) 2008-10-20 2008-10-2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296A KR101004005B1 (ko) 2008-10-20 2008-10-2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10A KR20100043310A (ko) 2010-04-29
KR101004005B1 true KR101004005B1 (ko) 2010-12-31

Family

ID=4221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296A KR101004005B1 (ko) 2008-10-20 2008-10-20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0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295A (ko) * 2014-04-28 2015-11-05 최석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4296A (ko) * 2014-04-28 2015-11-05 최석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61174A (ko) 2018-11-23 2020-06-02 최현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210020519A (ko) 2019-08-16 2021-02-24 이준하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679B1 (ko) * 2017-05-30 2019-08-13 유한회사 에코인더스트리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CN108941164A (zh) * 2018-07-17 2018-12-07 北京首创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垃圾快速腐熟化装置及处理方法
CN109047298A (zh) * 2018-09-30 2018-12-21 广东惜福环保科技有限公司 集中式餐厨垃圾分级消化工艺
CN113417859B (zh) * 2021-07-30 2024-01-02 江苏凯泉泵业制造有限公司 带通风道的分离杂物型污水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4295A (ko) * 2014-04-28 2015-11-05 최석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4296A (ko) * 2014-04-28 2015-11-05 최석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3B1 (ko) *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9966B1 (ko) * 2014-04-28 2015-12-28 포엠이노텍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61174A (ko) 2018-11-23 2020-06-02 최현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210020519A (ko) 2019-08-16 2021-02-24 이준하 파쇄된 음식폐기물의 오폐수 친환경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10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00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994935B (zh) 一种酒店污水处理回用的无臭节能微氧生物处理组合工艺系统
JP2010000498A (ja) スクリーン処理装置
KR101256956B1 (ko) 순환 수세형 이동식화장실의 오수 재활용 정화처리장치
KR100757686B1 (ko) 음식물 찌꺼기 분쇄 소멸기
KR101889687B1 (ko)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 오수 정화처리장치
JP7406265B2 (ja) 廃水処理装置
JP4611466B2 (ja) 発酵分解処理及び水中分解処理両用の有機廃棄物分解処理装置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TW202325687A (zh) 利用微生物的食物垃圾液態發酵處理裝置
JP4863179B2 (ja) 無放流型水循環式簡易水洗トイレ、及び無放流型水循環式簡易水洗トイレにおける汚水の浄化方法
JP2001293460A (ja) 分解水処理槽を持っ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有機廃棄物分解消滅装置、及び分解処理剤と分解媒体材。
TWI768169B (zh) 淨化處理系統
JP2011251264A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7061473B2 (ja) 廃水処理装置
KR100450148B1 (ko) 소변 정화 처리장치
JP4037111B2 (ja) 生ゴミ処理装置
WO2014207814A1 (ja) 汚水処理装置、生ごみや汚水を処理するために使用される菌床、及び菌床を用いた汚水処理方法
JP3663021B2 (ja) 生ゴミ処理システム
JP4009012B2 (ja) 多孔性無機質分解媒体材を使用し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生ごみ分解消滅機
CN217962046U (zh) 一种污水池除臭密封收集装置
CN214244080U (zh) 一种工业用污水处理装置
JP2003074104A (ja) 水洗式簡易トイレ
JP7028640B2 (ja) バイオトイ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