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853B1 - 렌지 - Google Patents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853B1
KR100675853B1 KR1020050038768A KR20050038768A KR100675853B1 KR 100675853 B1 KR100675853 B1 KR 100675853B1 KR 1020050038768 A KR1020050038768 A KR 1020050038768A KR 20050038768 A KR20050038768 A KR 20050038768A KR 100675853 B1 KR100675853 B1 KR 10067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tate
heating means
touch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006A (ko
Inventor
아츠지 우라
신이치로 하타
히로유키 야마다
카스야 히로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touch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어린이에 의한 가열수단의 작동개시 지시를 금지하는 동시에, 어린이에 의한 가열수단의 정지 지시를 허가할 수 있게 한 터치스위치를 구비한 렌지를 제공한다.
렌지를 점화지시가 가능한 운전상태와 점화지시가 불가능한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렌지의 소화지시를 행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운전스위치(10)를 구비하고, 렌지가 소화상태인 때에는 스위치회로(63)에 의해 고저항의 저항소자(61)를 선택하고,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s1인 「저감도설정상태」로 하고, 이것에 의해 대기상태에서 어린이가 터치영역(10a)에 접촉된 때는 운전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금지한다. 한편, 렌지가 연소상태인 때에는 스위치회로(63)에 의해 저저항의 저항소자(62)를 선택하고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sh(>s1)인 「고감도설정상태」로 하며, 이것에 의해 어린이가 터치영역(10a)에 접촉한 때에 버너의 소화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허가한다.
렌지, 렌지본체, 유리천판, 좌버너, 점등제어수단

Description

렌지{range}
도 1은 본 발명의 렌지 외관도이다.
도 2는 유리천판의 표면에 설치된 터치스위치와 표시부의 배치도이다.
도 3은 렌지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터치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터치스위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렌지의 제어플로챠트이다.
도 7은 렌지의 제어플로챠트이다.
도 8은 렌지의 제어플로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지본체 2 : 유리천판
4a : 좌버너 4b : 우버너
6 : 조작부 10 : 운전스위치
11a,11b : 점화준비스위치 12a,12b : 화력다운스위치
13a,13b : 화력업스위치 14a,14b : 점화준비표시부
15a,15b : 화력레벨표시부 16 : 언록표시부
17 : 록표시부 30 : 제어회로기판
31 : 가열제어수단 32 : 점등제어수단
33 : 스위치감도제어수단 50 : 조작회로기판
51d : 전극패턴 60 : 표시회로기판
61,62 : 저항소자 63 : 스위치회로
64 : 발진회로 65 : 검지회로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를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유전가열코일 등의 가열수단이 수용된 내열유리제의 천판 하방에 유전가열코일 등의 가열수단을 설치하고, 이 천판에 올려져 있는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렌지에 있어서,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는 조작스위치로서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를 채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특개2003-272816호 공보 참조).
이렇게 조작스위치로서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천판을 편평하게 할 수가 있으므로 가열조리시에 조작스위치가 방해되지 않아 사용자의 손놀림이 좋아진다.
그러나,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스위치로서 정전용량식 터치 스위치를 채용한 경우 가압버튼스위치나 로터리스위치와 같이 힘을 들여 스위치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 어린이가 장난 또는 잘못하여 가열수단의 작동개시를 지시하는 터치스위치에 접촉된 경우에도 이 터치스위치는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어 가열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는 터치영역에 소정의 역치(??値)를 넘는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가 접촉 또는 접근한 때에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정전용량이 작은 어린이의 손가락이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는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레벨로 상기 역치를 설정하여 터치스위치의 감도를 낮추고, 정전용량이 어린이의 손가락보다 큰 성인의 손가락이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만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 강구되었다.
그러나, 1개의 터치스위치에 의해 가열수단의 작동개시와 정지를 지시하는 사양인 때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터치스위치의 감도를 낮추면 가열수단의 작동 중에 터치스위치를 조작하여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에도 어린이에 의한 터치스위치의 조작은 접수되지 않아 어린이에게 가열수단을 정지시키도록 부탁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어린이에 의한 가열수단의 작동개시 지시를 금지하는 동시에 어린이에 의한 가열수단의 정지 지시를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스위치를 구비한 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수단과, 가열수단을 수용하는 렌지본체의 전면패널 또는 이 렌지본체의 상면을 덮는 천판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와 가열수단을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를 행하는 정전용량식의 터치스위치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는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는 상기 터치스위치를 터치영역에 소정의 제1기준용량 이상의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가 접촉 또는 접근한 때에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는 저감도설정상태로 하고,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는 상기 터치스위치를 터치영역에 상기 제1기준용량보다도 작은 제2기준용량이상의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가 접촉 또는 접근한 때에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는 고감도설정상태로 하는 스위치감도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감도변경수단에 의해 상기 터치스위치 는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는 상기 저감도설정상태가 되고,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는 상기 고감도설정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정전체가 상기 터치스위치에 접촉된 때에는,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는 정전체의 정전용량의 하한치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는 상기 제1기준용량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는 상기 제1기준용량보다도 작은 제2기준용량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저감도설정상태에서는 정전용량이 작은 어린이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위치의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의 실행이 금지되고, 상기 고감도설정상태에서는 어린이의 손가락이 상기 터치스위치의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가열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처리가 실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위치는 전면패널 또는 상기 천판의 소정개소에 설정된 터치영역과, 상기 전면패널 또는 상기 천판을 통해 상기 터치영역과 대향하여 설치된 갭을 갖는 전극과, 이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저항소자와, 상기 터치영역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정전체의 정전용량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전극간의 용량과 상기 저항소자의 저항치를 곱한 시정수(時定數)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발진회로를 가지며, 상기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주파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터치영역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정전체를 검지하고, 상기 스위치감도변경수단은 상기 저항소자의 저항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저감도설정상태와 상기 고 감도설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극과 접속된 상기 저항소자의 저항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소정의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가 상기 터치스위치의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 상기 발진회로에서 출력되는 상기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상기 저항소자의 저항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기준주파수가 되는 정전체의 정전용량의 레벨을 변경시키고 상기 터치스위치를 상기 저감도설정상태와 상기 고감도설정상태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지 외관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리천판의 표면에 설치된 터치스위치와 표시부의 배치도, 도 3은 렌지의 제어블럭도, 도 4는 터치스위치의 단면도, 도 5a, 5b는 터치스위치의 구성도, 도 6 ~ 도 8은 렌지의 제어플로챠트이다.
도 1은 렌지본체(1)의 상면에 내열성이 뛰어난 광투과성의 결정화유리로 형성된 유리천판(2)을 장착한 드롭인 타입 렌지를 나타내고 있다. 유리천판(2)에는 좌우에 한 쌍의 렌지개구(3a,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지본체(1) 내부에는 각 렌지개구(3a,3b)를 향하고 있는 좌버너(4a) 및 우버너(4b)(본 발명의 가열수단에 해당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지개구(3a,3b)에는 조리용기를 올려놓는 오덕(5a,5b)이 배치되고, 유리천판(2)의 상면 전방측에는 좌버너(4a) 및 우버너(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조작부(6)에는 렌지본체(1)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좌 버너(4a) 및 우버너(4b)의 작동지시가 가능한 「운전상태」와, 작동지시가 불가능한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운전스위치(10)(본 발명의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와 가열수단을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를 행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에 해당됨)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좌버너(4a)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좌버너(4a)를 점화준비상태로 하는 점화준비스위치(11a)(본 발명의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와 가열수단을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를 행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에 해당됨)가, 좌버너(4a)의 화력을 5단계(레벨 1 ~ 레벨 5)로 전환시키는 화력다운스위치(12a)와 화력업스위치(13a), 좌버너(4a)가 점화준비상태인 때와 좌버너(4a)의 작동 중에 점등되는 점화준비표시부(14a), 및 좌버너(4a)의 화력설정을 표시하는 화력레벨표시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좌버너(4a)가 점화준비 상태인 때에 화력업스위치(13a)가 조작된 때에는 좌버너(4a)의 점화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좌버너(4a)의 연소 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a) 또는 운전스위치(10)가 조작된 때에는 좌버너(4a)의 소화(消火)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동일하게, 우버너(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우버너(4b)를 점화준비상태로 하는 점화준비스위치(11b)(본 발명의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와 가열수단을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를 행하는 정전용량식 터치스위치에 해당됨), 우버너(4b)의 화력을 5단계(레벨 1 ~ 레벨 5)로 전환시키는 화력다운스위치(12b)와 화력업스위치(13b), 우버 너(4b)가 점화준비상태인 때와 우버너(4b)의 작동 중에 점등되는 점화준비표시부(14b), 및 우버너(4b)의 화력설정을 표시하는 화력레벨표시부(15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우버너(4b)가 점화준비상태인 때에 화력업스위치(13b)가 조작된 때에는 우버너(4b)의 점화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우버너(4b)의 연소 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b) 또는 운전스위치(10)가 조작된 때에는 우버너(4b)의 소화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조작부에는 「운전상태」에 있을 때에 점등되는 언록표시부(16)와, 운전스위치(10)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4초) 이상 연속해서 조작되어 모든 스위치의 조작이 불가능한 차일드록 상태가 된 때에 점등되는 록표시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부(6)의 각 스위치는 유리천판(2)의 뒷면에 배치된 정전용량검출부와, 이 정전용량검출부의 전극패턴(상세한 것은 후술함)과 대향하는 유리천판(2)의 표면부분에 프린트된 각 스위치마크 부분의 터치영역으로 구성된 무접점형 터치스위치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터치영역에 정전체가 놓여져 있을 때에는 정전용량검출부에 의해 해당 정전체가 검출되어 터치스위치는 on상태(본 발명의 검지상태에 해당됨)가 된다. 한편, 상기 터치영역에 정전체가 놓여 있지 않으면 정전용량검출부에 의해 해당 정전체가 검출되지 않고 터치스위치는 off상태(본 발명의 비검지상태에 해당됨)가 된다.
또한, 조작부(6)의 각 표시부는 유리천판(2)의 뒷면에 배치된 엘이디(LED)와, 이 엘이디와 대향되는 유리천판(2)의 표면부분에 프린트된 프린트부분으로 구 성된다. 그리고, 엘이디를 on했을 때 표시부가 점등상태로 되고, 엘이디를 off했을 때 표시부가 소등상태로 된다.
또한, 화력레벨표시부(15a)는 좌버너(4a)의 화력레벨(레벨 1 ~ 레벨 5)을 도시하지 않은 5개의 점등부분으로 이루어진 바표시의 좌측에서부터 점등부분의 점등개수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이 1인 때에는 바표시의 좌단 점등 부분만이 점등되고,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이 5인 때에는 바표시의 5개의 점등부분이 모두 점등된다. 이와 동일하게, 화력레벨표시부(15b)는 우버너(4b)의 화력레벨(레벨 1 ~ 레벨 5)을 도시하지 않은 5개의 점등부분으로 이루어진 바표시의 좌측에서부터 점등부분의 점등개수로 표시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렌지본체(1) 내에는 렌지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30)이 구비되고, 유리천판(2)의 배면에 조작회로기판(50)과 표시회로기판(60)이 양면테이프로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6)의 각 스위치(운전스위치10, 점화준비스위치11a,11b, 화력다운스위치12a,12b, 화력업스위치13a,13b)의 터치영역에 대응하여 조작회로기판(50)에 배치된 정전요량검출부인, 운전스위치검출부(20), 좌버너용점화준비스위치검출부(21a), 좌버너용화력업스위치검출부(23a), 좌버너용화력다운스위치검출부(22a), 우버너용점화준비스위치검출부(21b), 우버너용화력업스위치검출부(23b) 및 우버너용화력다운스위치검출부(22b)에 의해 정전체의 검출신호가 제어회로기판(30)에 입력된다.
또한, 제어회로기판(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렌지본체(1)로 연료 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가스원밸브(40),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좌버너용개폐밸브(41a),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변경시키는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 좌버너(4a)의 점화전극(미도시)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방전이 생기게 하는 좌버너용이그나이터(43a), 우버너(4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우버너용개폐밸브(41b), 우버너(4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변경시키는 우버너용화력조절밸브(42b), 우버너(4b)의 점화전극(미도시)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방전이 생기게 하는 우버너용이그나이터(43b)의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제어회로기판(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조작부(6)에 구비된 각 표시부(점화준비표시부14a,14b, 화력레벨표시부15a,15b, 언록표시부16, 록표시부17)의 프린트부분에 대응하여 표시회로기판(60)에 구비된 엘이디(미도시)의 on/off와, 부저(18)의 on/off가 제어된다.
또한, 제어회로기판(30)에는 좌버너(4a)와 우버너(4b)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31)과, 조작부(6)에 구비된 각 표시부의 점등/소등의 제어와, 부저(18)에 의해 보고를 행하는 점등제어수단(32)과, 각 터치스위치의 감도를 제어하는 스위치감도제어수단(33)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회로기판(30)에서 조작회로기판(50)으로 출력되는 감도전환신호(sch_sig)에 의해 각 터치스위치의 감도가 전환된다.
다음에, 도 4는 운전스위치(10)의 단면도이고, 운전스위치마크(10a)가 설치된 유리천판(2)의 요철을 갖는 배면에 비전도성 양면테이프(95)를 통해 조작회로기 판(50)이 점착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천판(2)을 통해 운전스위치마크(10a)와 대향되는 조작회로기판(50)의 부분에 전극패턴(51d)(본 발명의 갭을 갖는 전극에 해당됨)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전체인 사용자의 손가락(F)이 운전스위치마크(10a)에 접근 또는 접촉되었을 때에 전극패턴(51d)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한다. 또한, 다른 스위치마크와 대향되는 조작회로기판(50)의 부분에도 같은 전극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5a를 참조하여, 운전스위치검출부(20)는 전극패턴(51d)의 일단과 접속되는 저항소자(61,62)와, 이 저항소자(61,62)를 선택적으로 발진회로(64)로 도통시키는 스위치회로(63)와, 검지회로(6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발진회로(64)는 전극패턴(51) 간의 정전용량(C)과, 스위치회로(63)에 의해 전환되는 저항소자(61) 또는 저항소자(62)의 저항치(R)를 곱한 시정수(τ)(=C·R)의 역수에 비례하는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저항소자(61)의 저항치는 저항소자(62)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검지회로(65)에 있어서는 전극패턴(51d) 간의 정전용량이 어린이의 손가락을 상정(想定)하여 설정된 기준용량(본 발명의 제2기준용량에 해당됨)이고, 스위치회로(63)에 의해 저저항의 저항소자(62)가 선택된 때에 발진회로(64)에서 출력된 펄스신호의 주파수는 이미 기준주파수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검지회로(65)는 발진회로(64)에서 출력된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기준주파수 이하로 된 때에는 검지신호(sch_sig)를 제어회로기판(30)의 입력포트I/O_2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회로기판(30)에서는 검지신호(sch_sig)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운전스위치(10)가 검지상태인지 비검지상태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스위치회로(63)는 제어회로기판(30)의 출력포트I/O_1에서 출력되는 감도전환신호(sch_sig)의 유무에 대응하여 저항소자(61)를 선택한 상태(저항소자61가 발진회로64에 도통된 상태) 또는 저항소자(62)를 선택한 상태(저항소자62가 발진회로64에 도통된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펄스신호의 주파수는 시정수(τ)의 역수에 비례하기 때문에 스위치회로(63)에 의해 고저항의 저항소자(61)가 선택된 때가 저저항의 저항소자(62)가 선택된 때보다도 발진회로(64)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파수는 낮게 된다. 그러므로, 스위치회로(63)에 의해 고저항의 저항소자(61)가 선택된 때가 저저항의 저항소자(62)가 선택된 때보다도 비교적 작은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의 접촉으로 인해 발진회로(64)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파수가 기준주파수 이하가 되어 검지회로(65)에서 검지신호(sch_sig)가 출력된다.
따라서, 제어회로기판(30)에 구비된 스위치감도제어수단(33)은 감도전환신호 (sch_sig)의 출력에 의한 스위치회로(63)에서 선택되는 저항소자(저항소자61 또는 저항소자62)를 전환시킴으로써 운전스위치(10)의 감도를 전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회로(63)에 의해 고저항의 저항소자(61)가 선택된 때에는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높은「고감도설정상태」가 되고, 스위치회로(63)에 의해 저저항의 저항소자(62)가 선택된 때에는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낮은 「저감도설정상태」가 된다.
또한, 「저감도설정상태」에서는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는 정전체의 정전용량의 하한치가 본 발명의 제1기준용량에 해당되고, 「고감도설정상태」에서의 운전스위치(10)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는 정전체의 정전용량의 하한치가 본 발명의 제2기준용량에 해당된다. 또한, 다른 스위치검출부(도 3 참조)에 대해서도 동양(同樣)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회로기판(30)에 구비된 스위치감도제어수단(33)과, 조작회로기판(50)에 구비된 각 터치스위치의 스위치전환회로(63)와, 저항소자(61,62)에 의해 본 발명의 스위치감도변경수단이 구성된다.
다음에, 도 6 ~ 도 8에 나타낸 플로챠트를 참조하여, 제어회로기판(30)에 의한 좌버너(4a)의 작동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우버너(4b)의 작동제어도 같은 형태로 실행된다.
렌지본체(1)에 전원이 투입되어 제어회로기판(30)으로 전원공급이 개시되면 제어회로기판(30)은 작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6의 스텝1에서 스위치감도제어수단(33)은 감도전환신호(sch_sig)의 출력을 정지시켜 각 스위치(운전스위치10, 좌버너용점화준비스위치11a, 좌버너용화력업스위치13a, 좌버너용화력다운스위치12a, 우버너용점화준비스위치11b, 우버너용화력업스위치13b, 우버너용화력다운스위치12b)를 「저감도설정상태」로 만든다.
이것에 의해, 조작부(6)에 설정된 각 스위치영역에 어린이가 손가락을 접촉하여도 각 터치스위치는 비검지상태로 유지되는 상태가 되고, 어린이가 장난 등 잘못하여 터치스위치에 접촉된 때에는 스텝2에서 도 7의 스텝18까지 좌버너(3a)의 점화에 이르는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금지시킨다.
한편, 어른이 운전스위치(10)의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는 「저감도설정상태」이어도 스텝2에서 운전스위치가 on상태로 되어 스텝3으로 진행된다. 스텝3 ~ 스텝4는 점등제어수단(32)(도 3 참조)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3에서 부저(18)(도 3 참조)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4에서 언록표시부(16)(도 2 참조)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대기상태」에서 「운전상태」로 전환된 것을 알린다.
그리고, 가열제어수단(31)은 다음의 스텝5와 스텝6으로 이루어진 루프를 실행하여 스텝5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거나 스텝6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5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30으로 분기된다. 스텝30 ~ 스텝31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30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31에서 언록표시부(16)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대기상태」로 된 것을 알리고 스텝2로 돌아간다.
한편, 스텝6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7로 진행한다. 스텝7 ~ 스텝8은 점등준비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7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8에서 점등준비표시부(14a)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화력업스위치(13a)의 조작에 의한 좌버너(4a)의 점화표시가 가능한 「점화준비상태」가 된 것을 알린다.
그리고, 가열제어수단(31)은 계속해서 스텝9 ~ 스텝11로 이루어진 루프를 실행하여 스텝9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되거나, 스텝10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되거나, 스텝11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되는 것을 기 다린다.
스텝9에서 점화준비스위치가 on상태로 된 때는 스텝40으로 분기된다. 스텝40 ~ 스텝41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40)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41에서 점등준비표시부(14a)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점등준비상태」가 해제된 것을 알리고 스텝5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10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된 때는 스텝50으로 분기된다. 스텝50 ~ 스텝52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50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51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소등시키고, 스텝52에서 언록표시부(16)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점등준비상태」와 「운전상태」가 해제된 것을 알리고 스텝2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11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도 7의 스텝12로 진행된다. 스텝12 ~ 스텝13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12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13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점화시의 좌버너(4a)의 화력레벨에 대응되는 레벨4로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점화조작이 접수된 것을 알린다.
계속해서 스텝14 ~ 스텝18은 가열제어수단(31)에 의한 좌버너(4a)의 점화처리이다. 가열제어수단(31)은 스텝14에서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를 레벨4로 설정하고, 스텝15에서 이그나이터(43a)에 도통되어 방전전극(미도시)에 불꽃방전이 생긴 상태가 되게 한다.
계속해서 스텝16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가스원밸브(40)와 좌버너용개폐밸 브(41a)를 on(밸브 열림)시켜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을 개시하고, 스텝18에서 좌버너(4a)의 점화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좌버너(4a)의 점화가 확인된 때에는 스텝18로 진행하여 좌버너용이그나이터(43a)를 off시켜 좌버너(4a)의 점화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17에서 좌버너(4a)의 점화를 확인할 수 없어 점화가 실패된 때에는 스텝60으로 분기된다. 스텝60 ~ 스텝62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며,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60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61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점멸시키고 스텝62에서 점등준비표시부(14a)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좌버너(4a)의 점화 실패를 보고한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63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가스원밸브(40)와 좌버너용개폐밸브(41a)를 닫고,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여, 스텝64에서 에러해제(운전스위치10의 조작에 의한)가 검지된 때에 스텝65로 진행된다. 스텝65 ~ 스텝66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65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시키며, 스텝66에서 언록표시부(16)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대기상태」가 된 것을 알리고 도 6의 스텝1로 돌아간다.
좌버너(4a)의 점화가 확인된 때에는 스텝19에서 스위치감도제어수단(33)은 감도전환신호(sch_sig)를 출력하여 좌버너(4b)의 소화지시가 가능한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를 「고감도설정상태」로 만든다. 이것에 의해, 어린이가 점화준비스위치(11a) 및 운전스위치(10)의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도 이들 터치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열제어수단(31)은 계속해서 도 8의 스텝20 ~ 스텝22의 루프를 실행하여 점화준비스위치(11a), 운전스위치(10), 화력다운스위치(12) 및 화력업스위치(13a) 중 어느 하나가 on상태로 되는 것을 기다린다.
스텝20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70으로 분기된다. 스텝70 ~ 스텝72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70에서 부저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71에서 점등준비표시부(14a)를 소등시키며, 스텝72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좌버너(4a)의 소화지시가 접수된 것과 「운전상태」로 전환된 것을 보고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73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가스원밸브(40)와 좌버너용개폐밸브(41a)를 닫아 좌버너(4a)를 끄고 도 6의 스텝5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21에서 운전스위치(10)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80으로 분기된다. 스텝80 ~ 스텝83은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80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81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소등시키며, 스텝82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시키고, 스텝83에서 언록표시부(16)를 소등시켜 사용자에게 좌버너(4a)를 소화지시가 접수된 것과 「대기상태」로 전환된 것을 보고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84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가스원밸브(40)와 좌버너용개폐밸브(41a)를 닫아 좌버너(4a)를 소화시켜 도 6의 스텝1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11에서 화력업스위치(13a) 또는 화력다운스위치(12a)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23으로 진행된다. 스텝23 ~ 스텝24는 점등제어수단(32)에 의한 처리 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23에서 부저(18)를 울리는 동시에 스텝24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의 표시레벨을 변경(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된 때는 1단계 레벨을 올리고, 화력다운스위치12a가 on상태로 된 때는 1단계 레벨을 내린다)시켜 사용자에게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의 변경지시가 접수된 것을 보고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25에서 가열제어수단(13)은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의 설정레벨을 변경(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된 때는 1단계 레벨을 올리고, 화력다운스위치12a가 on상태로 된 때는 1단계 레벨을 내린다)시켜 스텝26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스텝26에서 좌버너(4a)의 실화(失火) 등 이상이 생긴 때는 스텝26으로 분기되어 상술한 스텝60 ~ 스텝66의 처리가 행해져 이상보고와 좌버너(4a)의 소화를 수행한다. 한편, 스텝26에서 이상이 생기지 않은 때는 스텝20으로 돌아간다.
또한, 스텝2에 있어서 운전스위치(10)의 조작과 스텝9에 있어서 점화준비스위치(11a)의 조작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에 해당된다. 또한, 스텝20에서의 점화준비스위치(11a)의 조작과 스텝21에서의 운전스위치(10)의 조작은 본 발명의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지시에 해당된다.
도 5a는 이상 설명한 도 6 ~ 도 8의 처리이며, 스텝1에서 모든 터치스위치를 「저감도설정상태」로 하고 스텝19에서 좌버너(4a)의 소화지시가 가능한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를 「고감도설정상태」로 한 경우에 있어서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의 감도의 추이를 나타낸 것이며, 종축은 점화준비스 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의 감도를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t)을 나타낸 것이다.
우선, t10에서 제어회로기판(30)의 작동이 개시되면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저감도설정상태」에 대응하는 s1이 된다. 그리고, 좌버너(4a)가 점화된 t11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고감도설정상태」에 대응되는 sh가 되고, 그 후, 좌버너(4a)가 소화된 t12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고감도설정상태」에 대응하는 sh가 된다.
이것에 의해, 좌버너(4a)가 소화상태인 t10 ~ t11과 t12 이하에서는 점화준비스위치(11a)와 운전스위치(10)의 감도가 낮아져서 어린이가 터치스위치에 접촉되었을 때 좌버너(4a)의 점화처리가 개시되는 것을 금지시킨다. 또한, 좌버너(10)의 감도가 높아져서 어린이가 점화준비스위치(11a) 또는 운전스위치(10)의 터치영역에 접촉된 때에는 좌버너(4a)의 소화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으로써 가스버너(4a,4b)를 구비한 렌지를 나타냈지만, 전기히터 등 다른 종류의 가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리천판(2)에 터치스위치가 구비된 렌지를 나타냈지만, 렌지의 전면패널에 터치스위치를 구비한 렌지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전극패턴(10)과 접속되는 저항소자(61,62)를 선택적으로 전환시켜 발진회로(64)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변경시키고, 이것에 의해 터치스위치의 감도를 변경시켰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 터치스위치의 감도를 변경시켜도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지는 어린이에 의한 가열수단의 작동개시 지시를 금지하는 동시에 어린이에 의한 가열수단의 정지 지시를 허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2)

  1. 가열수단과, 이 가열수단을 수용하는 렌지본체의 전면패널 또는 이 렌지본체의 상면을 덮는 천판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가열수단을 정지상태에서 작동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와 가열수단을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지시를 행하는 정전용량식의 터치스위치와,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는 상기 가열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 상기 터치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을 정지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이 정지상태인 때에는 상기 터치스위치를 터치영역에 소정의 제1기준용량 이상의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가 접촉 또는 접근한 때에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는 저감도설정상태로 하고,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는 상기 터치스위치를 터치영역에 상기 제1기준용량보다도 작은 제2기준용량이상의 정전용량을 갖는 정전체가 접촉 또는 접근한 때에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는 고감도설정상태로 하는 스위치감도변경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위치는 전면패널 또는 상기 천판의 소정개소에 설정된 터치영역과, 상기 전면패널 또는 상기 천판을 통해 상기 터치영역과 대향하 여 설치된 갭을 갖는 전극과, 이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저항소자와, 상기 터치영역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정전체의 정전용량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전극간의 용량과 상기 저항소자의 저항치를 곱한 시정수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발진회로를 가지며, 상기 펄스신호의 주파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주파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터치영역에 접촉 또는 접근하는 정전체를 검지하고,
    상기 스위치감도변경수단은 상기 저항소자의 저항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저감도설정상태와 상기 고감도설정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KR1020050038768A 2004-05-18 2005-05-10 렌지 KR100675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47251 2004-05-18
JP2004147251A JP4131960B2 (ja) 2004-05-18 2004-05-18 コン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006A KR20060046006A (ko) 2006-05-17
KR100675853B1 true KR100675853B1 (ko) 2007-01-30

Family

ID=3493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768A KR100675853B1 (ko) 2004-05-18 2005-05-10 렌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0649B2 (ko)
EP (1) EP1598597B8 (ko)
JP (1) JP4131960B2 (ko)
KR (1) KR100675853B1 (ko)
CN (1) CN100538187C (ko)
DE (1) DE602005011886D1 (ko)
TW (1) TWI2757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701B2 (ja) * 2005-10-13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7527072B2 (en) * 2005-12-02 2009-05-05 Robertshaw Controls Company Gas cook-top with glass (capacitive) touch controls and automatic burner re-ignition
JP4646841B2 (ja) * 2006-03-23 2011-03-09 三洋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8247744B2 (en) * 2007-01-22 2012-08-21 Panasonic Corporation Cooking device
US8389905B2 (en) * 2007-06-07 2013-03-05 Panasonic Corporation Heating appliance for cooking
KR20090030902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세탁장치의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100938B2 (en) * 2008-12-08 2018-10-1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Variable flow gas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4948578B2 (ja) * 2009-08-12 2012-06-0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1639229B (zh) * 2009-08-21 2010-11-17 东北大学 续弧式高能静电点火器及其控制方法
WO2013021459A1 (ja) * 2011-08-09 2013-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調理器
DE102013110193A1 (de) * 2013-09-16 2015-03-19 Ration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s kapazitiven berührungssensitiven Bedienfeldes eines Gargeräts sowie Gargerät mit einer Steuerung und einem kapazitiven berührungssensitiven Bedienfeld
EP3410016A1 (en) * 2017-06-02 2018-12-0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ser interface for a hob
CN107845247A (zh) * 2017-11-30 2018-03-27 无锡迪富智能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防水智能遥控器
US11605284B2 (en) * 2020-06-26 2023-03-14 Midea Group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alert energization of cooking appliance surface burn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463A (en) 1989-06-05 1993-08-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46000T3 (es) 2001-05-07 2006-02-01 E.G.O. Elektro-Geratebau Gmbh Disposicion de interruptores tactiles y procedimiento de mando del interruptor tactil.
JP3741667B2 (ja) 2002-03-15 2006-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6843243B2 (en) 2002-10-11 2005-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Motorized gas lockout valve for gas ran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463A (en) 1989-06-05 1993-08-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597B8 (en) 2009-04-08
DE602005011886D1 (de) 2009-02-05
JP2005331116A (ja) 2005-12-02
CN100538187C (zh) 2009-09-09
JP4131960B2 (ja) 2008-08-13
KR20060046006A (ko) 2006-05-17
CN1699828A (zh) 2005-11-23
EP1598597B1 (en) 2008-12-24
US7370649B2 (en) 2008-05-13
TW200538683A (en) 2005-12-01
TWI275752B (en) 2007-03-11
US20050257785A1 (en) 2005-11-24
EP1598597A1 (en)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853B1 (ko) 렌지
US7428901B2 (en) Cooking stove
KR100662708B1 (ko) 렌지
US7335861B2 (en) Cooking stove
JP4445456B2 (ja) 加熱調理機器
US7176418B2 (en) Cooking stove
US7422010B2 (en) Cooking stove
KR100598545B1 (ko) 렌지
KR100371224B1 (ko) 연소장치
JPH08145348A (ja) ガス燃焼器の安全装置
KR20060045050A (ko) 렌지
TWI275748B (en) Cookstove
KR940005905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KR100202105B1 (ko) 가스오븐렌지의 렌지버너 가스누설 경보방법
CN219955404U (zh) 具操作指引及状态显示的面板装置
JP3606485B2 (ja) 燃焼制御装置
JPH1151389A (ja) 調理器用制御装置
KR0178349B1 (ko) 가스오븐렌지의 제어방법
JP2023032054A (ja) 加熱調理器
JP2022047718A (ja) コンロ
KR100225623B1 (ko) 가스렌지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7167428A (ja) 燃焼制御装置
JP2002106837A (ja) ガス調理機器
JP2001330251A (ja) ガス調理器
JPH09196365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