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905B1 -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905B1
KR940005905B1 KR1019910010732A KR910010732A KR940005905B1 KR 940005905 B1 KR940005905 B1 KR 940005905B1 KR 1019910010732 A KR1019910010732 A KR 1019910010732A KR 910010732 A KR910010732 A KR 910010732A KR 940005905 B1 KR940005905 B1 KR 940005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grill
ignition
tim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685A (ko
Inventor
마나브 도오야마
데쯔오 다데마쯔
하찌로 다께우찌
세이지 모리구찌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00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스테이블에 있어서 시간표시부의 표시 태양을 나타낸 설명도.
제 2 도는 가스테이블의 사시도.
제 3 도는 가스테이블의 제어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제 4 도는 가스테이블의 가스회로도.
제 5 도는 가스테이블의 그릴작동을 설명하는 타이밍 챠트도.
제 6 도, 제 7 도는 가스테이블의 부저 발생음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그릴 4B : 그릴버너
33A : 타이머부(타이머) 33 : 그릴제어부(그릴제어장치)
25 : 시간표시부
본 발명은 동작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 되면 자동적으로 연소를 정지시키기 위한 타이머가 구비된 가스테이블에서의 그릴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58-46949호 공보에는, 소화조작을 잊었을 경우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가스를 점화하고서 소정시간 경과한 후에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회로에 의해 자동적으로 가스의 공급을 정지시켜 소화함과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가스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점화조직에 의해 통전되며, 동시에 타이머의 시간표시가 표시부에 나타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가스그릴은 가스테이블등의 전면에 개폐문을 구비하고 있어, 그릴버너가 연소중인지 아닌지를 외부에서는 용이하게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기술을 가스그릴에 적용하고 그릴버너에 점화했을 경우, 버너가 연소하여 조리가 진행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릴이 조리중인가 아닌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방법은, 그릴버너로의 연료공급 및 그릴버너의 점화, 소화, 연소의 각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설정시간동안 상기 그릴버너를 연소시키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시간수를 표시하는 시간표시부를 구비한 그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간표시부에서의 타이머 설정시간수의 표시태양은, 상기 그릴버너의 착화검지 후에 변화시킨다. 그릴의 연소장치는, 그릴버너에 연료를 공급하고 점화동작을 한다.
연소가 시작되어 그릴버너의 착화가 검지되면, 시간표시부는 타이머 설정시간을 표시 또는 표시태양을 변화시킨다. 또한, 그릴제어장치는 그릴버너의 연소를 유지한다.
설정시간이 경과하여 타이머의 작동이 종료하면, 그릴제어장치는 그릴버너로의 연료공급을 정지하고, 버너의 자동소화를 이행한다.
착화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표시부에 타이머의 설정시간부가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표시태양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착화된 경우에는 타이머의 설정시간수가 표시되고 그 주변의 태양표시상태가 변화한다. 따라서, 조리자가 그릴버너가 착화되어 조리가 행해지고 있는지, 착화되지 않았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종래에는 타이머 설정시간을 점화조작과 동시에 시간표시부에 표시하고, 다른 표시부로 착화표시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타이머의 남은 시간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착화되어 있다고 착각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착화되었을 경우에만 시간표시부에 설정시간을 표시하고, 또 표시태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착화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다른 표시부가 불필요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은 착각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 방법의 일실시예를 제 1 도~제 7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2 도는 가스테이블(1)을 나타낸 것이며, 이 가스테이블(1) 상면에는 2개의 가스곤로(2),(3)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테이블(1) 앞측 정면에는 가스테이블(1) 내부에 그릴실이 설치된 그릴(4)로 조리물을 넣고 빼기 위한 그릴개폐문(4a)과, 각 가스 곤로(2),(3) 및 그릴(4)을 각각 조작하기 위한 점화·소화버튼(5),(6),(7)과 각 가스곤로(2),(3) 및 그릴(4)의 작동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패널(20)이 설치되어 있다.
각 곤로버너(2a),(3a) 및 그릴개폐문(4a)내에 설치되어 조리물에 대하여 상하로 각각 배치된 2개로 버너로 이루어지는 그릴버너(4b)에는, 제 4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연료가스의 공급구와 접속된 가스관(8)에서 분기되어 설치된 연료공급관(8a),(8b),(8c)이 접속되어 있다.
또, 각 버너(2a),(3a),(3b)에는 점화하기 위해서 불꽃방전을 하는 점화전극(2d),(3d),(4d)과, 연소열을 감지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서모커플(2e),(3e),(4e)이 구비되어 있다.
각 연료공급관(8a),(8b),(8c)에는 연료가스차단 및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일체로 구성한 밸브기구(11),(12),(13)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밸브기구(11),(12),(13)를 구성하는 밸브기능부로서는, 각각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연료조절밸브(11a),(12a),(13a), 메인밸브(11b),(12b),(13b), 전자안전밸브(11c),(12c),(13c)가 있다.
각 연료조절밸브(11a),(12a),(13a)는 가스테이블(1) 정면에 설치된 가스량 조절레버(5a),(6a),(7a)에 의해서 밸브의 열림정도가 변화되어 각 버너로의 연료공급량을 조절한다.
메인밸브(11b),(12b),(13b)는 가스테이블(1) 정면에 설치된 점화·소화버튼(5),(6),(7)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는 것이며, 점화·소화버튼(5),(6),(7)의 누름조작에 의해서 열림상태와 닫힘상태가 서로 변경되는 캠기구를 가지고 있다.
전자안전밸브(11c),(12c),(13c)는, 각 메인밸브(11b),(12b),(13b)의 개폐동작에 연관되어서 개폐된다. 즉, 메인밸브(11b),(12b),(13b)가 닫힘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닫힘상태로 유지되고, 메인밸브(11b),(12b),(13b)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변경할 경우 점화·소화버튼(5),(6),(7)의 점화누름 조작이 그대로 유지된 경우에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며, 이 누름조작이 해제(정지)되어 캠기구에 의해서 메인밸브(11b),(12b),(13b)를 열림상태로 하는 밸브열림 위치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별도 설치된 코일에 서모커플(2e),(3e),(4e)로부터의 일정이상의 전류가 통전되어 있을 경우에만 열림상태를 유지하며, 전류치가 작은 경우에는 닫힘상태로 되어 가스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또, 밸브기구(11),(12),(13)에는 이것외에 메인밸브(11b),(12b),(13b)가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변경될 때의 점화·소화버튼(5),(6),(7)의 점화누름 조작이 행해져 있는 경우에는 접점을 닫는 점화스위치(11d),(12d),(1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점화·소화버튼(5),(6),(7)에는 각 메인밸브(11b),(12b),(13b)를 열림상태로 하는 밸브열림위치를 검지하기 위해서, 밸브열림위치 검출용의 신호스위치(11e),(12e),(13e)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된 가스테이블(1)에 있어서, 각 버너는 가스테이블(1)내에 설치된 제어회로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회로(30)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것으로, 제 3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버너에 대응하여 곤로제어부(31),(32)와 그릴제어부(33)의 각 기능부로 이루어진다.
각 곤로제어부(31),(32)는 점화·소화버튼(5),(6)에 연동하는 점화스위치(11d),(12d)가 접점을 닫았을 때, 점화전극(2d),(3d)으로 불꽃방전을 하여 각 곤로버너(2a),(3a)에서의 연소를 개시한다.
또, 각 곤로버너(2a),(3a)가 연소중일 때에는, 서모커플(2e),(3e)로부터의 출력에 의하여 전자안전밸브(11c),(12c)의 코일을 통전시키므로서 밸브체를 흡착하여 열림상태로 유지한다. 각 곤로버너(2a),(3a)가 피조리물의 국물등에 의해서 실화되어, 서모커플(2e),(3e) 출력이 떨어진 경우에는 전자안전밸브(11c),(12c)로의 통전전류가 떨어져서 밸브체를 흡착할 수 없기 때문에, 실화검지상태로 되어 전자안전밸브(11c),(12c)가 닫히며, 연료가스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릴제어부(33)에 의한 그릴(4)의 제어에는, 상기 각 곤로버너(2a),(3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릴버너(4b)에 대하여 서모커플(4e)에 의한 실화등의 검출에 따라 안전제어가 행해지는 한편, 과열에 대해서는 온도검지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가열시간을 제어하므로서 안전을 확보한다. 그러므로, 그릴제어부(33)에는 타이머부(33a)가 구비되어 있다.
타이머부(33a)는, 점화·소화버튼(7)의 점화누름조작이 행해져서 그릴버너(4b)가 착화되고, 서모커플(4e)에 의하여 검지되는 온도가 소정온도 이상이 되어 착화가 검지되었을 때 작동을 개시하며, 통상적으로 8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전자안전밸브(13c)를 닫아 연료가스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타이머부(33a)는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조작패널(20)에 증가 및 감소용 타이머 설정키(24a),(24b)와 작동시간을 2단위의 아라비아숫자로 액정표시하는 시간표시부(25)를 구비하고 있으며, 15분이내에서 임의의 증가 또는 감소시간을 작동시간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착화가 검지되면 시간표시부(25)에 8분을 표시하는 숫자가 나타난다. 그후, 증가용의 타이머 설정키(24a)의 누름조작이 있으면 설정시간이 9분이 되며, 그후 다시 타이머 설정키의 누름조작이 1회 있을 때마다 1분씩 설정시간이 증가하며, 최대로 15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소용의 타이머 설정키(24b)를 눌러 조작한 경우에는 1분씩 설정시간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착화검지가 있었을 때에만 시간표시부(25)에 표시가 나타나기 때문에, 그릴버너(4b)가 착화되어 조리가 행해지고 있는지 착화되어 있지 않은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화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시간표시부(25)의 작동시간을 분단위로 표시되며, 30초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는 초단위로 표시된다. 또한, 이때 작동시간의 연장조작이 행해지면 최초의 조작에 1분이 설정되며, 이후 분단위로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머부(33a)의 작동시간을 용이하게 연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그릴버너(4b)에 의한 가열의 종료가 가까워졌음을 알리기 위한 알림수단으로서 부저(3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저(34)는, 타이머부(33a)에 의해서 그릴버너(4b)의 소화작동이 행해질 30초전에 알림동작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저(34)에 의한 경보음을 듣고 타이머 설정키(24a)를 조작하면 필시 그릴버너(4b)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릴버너(4b)를 계속해서 사용하고 싶은데도 불구하고 깜박잊고 있다가 그릴버너(4b)가 소화되어 버리는 일은 없게 된다.
또, 부저(34)는 타이머(33a)의 작동종료를 알림과 작동종료후에도, 점화·소화버튼(7)에 의한 메인밸브(13b)의 밸브닫음조작(소화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1분경과할 때마다 반복해서 경보음을 울리므로서,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조작(메인밸브(13b)의 밸브닫음조작)을 재촉한다.
그릴제어부(33)에서는, 점화·소화버튼(7)에 의한 메인밸브(13b)의 밸브닫음 조작이 행해지지 않아서 신호스위치(13e)가 접점을 닫은 상태로 있는데에도 실화검출등에 의하여 전자안전밸브(13c)가 닫혀진 경우에는 부저(34)를 울려서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가스테이블(1)의 정면에 설치된 로크레바(9)는 연소자들이 점화조작을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 각 점화·소화버튼(5),(6),(7)의 누름조작이 되지 않도록 로크하는 것이다.
다음은,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인 가스테이블(1)에 있어서의 그릴(4)의 작동을 제 5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시간 t1에서, 사용자가 점화·소화버튼(7)을 누르면, 메인밸브(13b)가 열린상태로 됨과 동시에, 전자안전밸브(13c)가 열린상태로 되어, 그릴버너(4b)로 연료가스가 공급된다. 이때, 신호스위치(13e) 및 점화스위치(13d)가 접점을 닫으며, 그릴제어부(33)에서는 신호스위치(13e)의 닫음동작에 대응하여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발생회로에 의해서 점화전극(4d)에서 불꽃방전이 일어난다.
그릴버너(4b)에서는, 공급된 연료가스가 점화되므로서 착화되고, 이것에 의해서 서모커플(4e)이 가열된다.
시간 t2에서, 서모커플(4e)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면 서모커플(4e)의 출력에 의거하여 착화검지상태로 되어, 시간표시부(25)에 8분을 표시하는 숫자가 나타남과 동시에, 타이머부(33a)가 작동을 개시하고, 또 전자안전밸브(13c)가 흡착되어 열림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타이머의 초기설정을 8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그릴의 조리시간(생선요리등)이 7분~9분이기 때문에, 그릴(4)를 사용할 때마다 타이머의 설정을 크게 고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또한, 타이머부(33a)의 작동중에는 제 1(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표시부(25)내의 숫자 우측하단에 있는 도트(dot)(251)가 점멸한다.
사용자가 시간표시부(25)의 표시에 대응하여 점화·소화버튼(7)의 누름조작을 해제하면, 캠기구에 의해서 메인밸브(13b)가 열림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전자안전밸브(13c)가 열림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가스는 계속해서 그릴버너(4b)로 공급된다.
그릴버너(4b)의 착화가 확인된 다음, 사용자가 그릴(4)의 사용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타이머 설정키(24a),(24b)를 조작하면, 시간표시부(25)의 시간이 변화되며, 타이머부(33a)의 동작시간은 이것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타이머부(33a)의 작동시간 T가 설정되며, 이것에 대응하여 타이머부(33a)의 작동종료 시각이 예를 들면, 시간 tn으로 설정된다.
그릴(4)에 의해서 조리가 행해지는 동안, 타이머부(33a)의 작동시간 T가 시간이 경과하므로서 차차 감소되며, 이것에 대응하여 시간표시부(25)의 표시시간이 감소한다. 타이머부(33a)의 남은 동작시간 T가 1분을 지나 남은시간이 30초(시간 t3)이 되면 부저(34)에 의해서 알림이 행해진다.
이때, 부저(34)는 예를 들면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스폭이 작은 5개의 펄스신호에 의해서 구동되며, 사용자가 타이머부(33a)의 작동시간 종료가 가까워졌음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시간 tn이 되면, 타이머부(33a)의 작동시간 T가 종료되고, 시간표시부(25)의 표시시간은 0분이 되며, 전자안전밸브(13c)가 닫혀져서 그릴버너(4b)의 소화동작이 실시된다.
이때, 부저(34)로 소화동작이 행해짐을 알린다.
이 경우에서의 부저(34)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펄스폭이 크게된 5개의 펄스신호에 의해서 구동되기 때문에 부저음의 발생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점화·소화버튼(7)에 의한 메인밸브(13b)의 밸브닫음 조작을 재촉하는데 적절하다.
점화·소화버튼(7)으로 밸브닫음 조작을 하면, 메인밸브(13b)의 열린로크가 해제되어 닫혀지게 됨과 동시에, 신호스위치(13e)가 오프(OFF)되고, 시간표시부(25)의 표시가 사라진다.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릴버너(4b)가 착화되고, 서모커플(4e)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여, 착화검지상태가 되는 시간 t2가 되었을 때, 시간표시부(25)에 표시가 나타나기 때문에 착화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기가 필요없게 됨과 아울러, 그릴버너(4b)가 착화되어 조리가 행해지고, 있는지, 착화되어 있지 않은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착화검지 상태가 되는 시간 t2가 되었을 때, 타이머부(33a)가 작동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 tn에서 부저(34)에 의한 열림이 있었을 때, 조리는 반드시 진행되고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연소시키지 않은채 타이머부(33a)만이 작동하고, 타이머 종료시(tn)에 부저(34)로 알리므로서 사용자를 당황하게 하는 일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착화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기가 필요없게 됨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원을 건전지로 하는 경우, 건전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타이머 설정키(24a),(24b)에 의한 작동시간 설정조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점화조작 후 일정한 작동시간, 예를 들면 8분이 지나면 그릴버너(4b)가 자동적으로 소화되기 때문에, 타이머부(33a)의 작동시간이 남아있을 때, 조리물을 그릴(4)내에서 꺼내고, 이때 점화·소화버튼(7)의 소화조작을 잊어버렸다 하더라도 타이머부(33a)의 동작종료와 동시에, 전자안전밸브(13c)가 닫혀지므로 그릴(4)이 과열되는 일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타이머부(33a)의 작동개시는, 상기 실시예에서 착화검지시간인 t2이며, 시간표시부(25)에 의한 설정시간 표시와 동시로 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점화·소화버튼(7)에 의한 점화조작시간인 t1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c) 도와 같이 착화검지를 했을 때에 시간표시부(25)에 표시가 나타나도록 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 1(a) 도와 같이 착화검지를 했을 때에 표시숫자를 점멸에서 점등으로 한다든지, 제 1(b) 도와 같이 점등에서 점멸로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가스테이블의 있어서의 가스그릴을 나타냈으나, 연료인 석유를 기화시킨 가스를 연소시키는 방식의 그릴이어도 좋다.

Claims (1)

  1. 그릴버너로의 연료공급 및 그릴버너의 점화· 소화 연소의 각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설정시간동안 상기 그릴버너를 연소시키는 타이머와 ; 상기 타이머의 시간수를 표시하는 시간표시부를 구비한 그릴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간표시부에 설치되어 타이머의 설정시간수을 표시하는 표시태양은, 상기 그릴버너의 착화가 검지된 후부터 변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KR1019910010732A 1989-12-22 1991-06-26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KR940005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01989 1989-12-22
JP90-248117 1990-09-18
JP2248117A JPH03236817A (ja) 1989-12-22 1990-09-18 グリル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85A KR920006685A (ko) 1992-04-28
KR940005905B1 true KR940005905B1 (ko) 1994-06-24

Family

ID=6751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732A KR940005905B1 (ko) 1989-12-22 1991-06-26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236817A (ko)
KR (1) KR940005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2330U (ja) * 1991-03-19 1992-09-30 パロマ工業株式会社 ガステーブルのグリル使用報知装置
JP2001141244A (ja) * 1999-11-10 2001-05-25 Osaka Gas Co Ltd コンロ
JP4646961B2 (ja) * 2007-09-28 2011-03-09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JP7254655B2 (ja) * 2019-07-18 2023-04-10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685A (ko) 1992-04-28
JPH0565171B2 (ko) 1993-09-17
JPH03236817A (ja) 199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2352B1 (en) Gas burner system
WO1998050736A1 (en) Gas-saving arrangements for gas-fired cooking equipment
KR940005905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KR940002746B1 (ko) 그릴 제어장치
JP4181674B2 (ja) 燃焼装置
JP3407997B2 (ja) ガス燃焼器の安全装置
KR940005904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JP3636238B2 (ja) 燃焼装置
KR100293802B1 (ko) 가열조리기
KR100202105B1 (ko) 가스오븐렌지의 렌지버너 가스누설 경보방법
JP4004363B2 (ja) ガスコンロ
JP5175784B2 (ja) ガスコンロ
JP3204498B2 (ja) 調理器用制御装置
JPH07167428A (ja) 燃焼制御装置
KR940009060B1 (ko) 그릴 제어장치
JP4520627B2 (ja) グリル調理器
KR940002719B1 (ko) 온도센서를 가진 조리기
KR950007401B1 (ko) 조리장치
JP3693197B2 (ja) グリル付ガス調理器
KR950002922B1 (ko) 연소기기의 점화제어장치
JPS6362657B2 (ko)
JP2024000786A (ja) 燃焼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940004004B1 (ko) 다목적 조리기기의 잔여시간수 표시방법
JP2024036256A (ja) 燃焼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00337637A (ja) ガス加熱調理機器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4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406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409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4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4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5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6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