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500B1 - 광원 장착모듈 - Google Patents

광원 장착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500B1
KR100674500B1 KR1020040109112A KR20040109112A KR100674500B1 KR 100674500 B1 KR100674500 B1 KR 100674500B1 KR 1020040109112 A KR1020040109112 A KR 1020040109112A KR 20040109112 A KR20040109112 A KR 20040109112A KR 100674500 B1 KR100674500 B1 KR 10067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base plate
adjusting
irradiation ang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0590A (ko
Inventor
차래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루온
차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루온, 차래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루온
Priority to KR1020040109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50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2Optical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djusting optical elements during the assembly of optic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06F3/042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tracking fingers with respect to a virtual keyboard projected or printed on th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 장착모듈로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고, 광원를 장착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의 조사각 조절을 위한 날개부를 포함하는 광원 장착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날개부 간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날개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광원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조사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잡기 위한 제 1 통공, 상기 광원의 상하방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통공 및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 사이의 위치에 지지공이 형성된 제 1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의 좌우 경사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통공이 형성된 제 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각 조절부는 상기 제 1 통공 내지 제 3 통공을 관통하는 제 1 내지 제 3 관통부재, 상기 제 2 관통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제 3 관통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제 2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 장착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 장착구의 경사각을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광원 및 광원 장착모듈의 정밀성이 없더라도 용이하게 광원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키보드, 가상, 입력, 광원, 레이저, 다이오드, 조사각.

Description

광원 장착모듈{An Module For Mounting Light Source}
도 1은 가상 데이터 입력 장치 및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장착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의 구조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의 구조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가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가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내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를 이용하여 광원의 상하방 조사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를 이용하여 광원의 좌우 경사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0 : 광원 장착구 11 : 본체부
12 : 제 1 날개부 13 : 제 2 날개부
14 : 통공 15 : 고정용 통공
16 : 본체 커버부 20 : 광원
30 : PCB 35 : 디퓨저
40 : 회로부 50 : 광원 유지부
60 : 베이스 플레이트 70 : 클램프
81, 83, 85 : 제 1, 2, 3 관통부재
91, 93 : 제 1, 2 탄성부재
본 발명은 광원 장착구 및 그 장착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 장착구의 경사각을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광원 및 광원 장착모듈의 정밀성이 없더라도 용이하게 광원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원 장착구 및 그 장착모듈에 관한 것이다.
입력장치의 일종인 키보드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선 키보드에서 무선 키보드로 무선 키보드에서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로 진보해나가고 있다. 특히,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는 컴퓨터의 폼 팩터(form factor)가 키보드 같은 통상적인 크기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컴퓨터 장치와 입력 장치 사이의 거리로 인해 컴퓨터 장치에 케이블로 연결된 통상적인 입력 장치의 사용이 적당하 지 않은 경우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 및 그 원리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패턴(230)을 평면 상에 투영하는 패턴 프로젝터(210)와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원부(220)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평면 상에 투영된 키보드 패턴(230) 상에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손가락을 입력하고자 하는 키가 투영된 부분에 접촉시키면 광원부(220)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손가락이 접촉된 위치를 검출하여 접촉된 위치에 상응하는 키 정보를 컴퓨터 등의 처리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손가락의 위치 검출에 따른 키 입력에 있어서 키 입력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광원부(220)가 거의 평면에 닿을 정도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은 광원부(220)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를 장착할 때 상당히 높은 정도의 정밀성을 요구한다. 현재, 이러한 정밀성은 광원부(220) 내부의 레이저 다이오드 장착 모듈의 정밀성과 광원(레이저 다이오드) 장착구의 정밀성을 동시에 요구한다. 즉, 외부적으로는 레이저 다이오드 및 주변기기를 장착하는 광원 장착구가 규격에 따라 정밀하게 제작되고, 내부적으로는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내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장착되는 플레이트가 규격에 따라 정밀하게 제작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밀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제조 단가 및 제조 시간이 증가하고, 양자의 정밀성이 규격을 만족한다고 하더라도 실제 광원의 장착 과정에서의 오차로 인하여 원하는 광원의 조사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도 2는 종래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에 사용되는 광원 장착구(100)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장착구(100)는 전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110), 광원(110)의 전단에 위치하는 PCB(120), PCB(120) 상에 장착되는 회로부(130) 및 광원을 유지하는 광원 유지부(140)를 구비하고, 양측면에는 광원 장착구(100)를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에 장착하기 위한 날개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각 날개부(150)는 장착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홀(150)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이 관통되어 광원 장착구(100)를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 장착구(100)를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에 고정시킬 때 광원 장착구(100)와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 내의 해당 장착부가 정밀하게 제작되더라도 광원 장착구(100)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다소 오차가 발생하여 원하는 조사각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실제 장착 과정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광원 장착구(100)를 움직이면서 원하는 조사각이 얻어지면 광원 장착구(100)를 고정시키는 경우가 많으나 조정 과정이나 고정 과정에서 오차가 많이 일어나 불량품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광원 장착구의 설치 방법에 대한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손쉽게 광원의 조사각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원 장착구의 경사각을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광원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원 장착구 및 그 장착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광원 및 광원 장착모듈의 정밀성이 낮더라도 광원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광원 및 광원 장착모듈 제작의 단가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광원 장착구 및 그 장착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고, 광원를 장착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의 조사각 조절을 위한 날개부를 포함하는 광원 장착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날개부 간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날개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광원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조사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잡기 위한 제 1 통공, 상기 광원의 상하방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통공 및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 사이의 위치에 지지공이 형성된 제 1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의 좌우 경사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통공이 형성된 제 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각 조절부는 상기 제 1 통공 내지 제 3 통공을 관통하는 제 1 내지 제 3 관통부재, 상기 제 2 관통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제 3 관통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제 2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 장착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착모듈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의 구조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의 구조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광원(20)이 장착되는 본체부(16)와 양측면의 날개부(12, 13)로 구성된다.
본체부(11)의 전면부에는 광원 유지부(50)가 장착되고, 광원 유지부(50)에는 광원(20)이 장착되며, 광원(20)의 전단에는 PCB(30) 및 회로부(40)가 결합된다. 본체부(11)의 후면부에는 프리즘(미도시) 및 디퓨저(35)가 장착되고, 본체부(11)의 상면부에는 본체 커버부(11)가 장착된다.
본체부(11)의 양측면에는 제 1 날개부(12) 및 제 2 날개부(13)가 본체부(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날개부(12)에는 중심축을 잡기 위한 제 1 통공(14-1) 및 광원(20)의 상하방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통공(14-3)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날개부(13)에는 광원(20)의 좌우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통공(14-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통공(14-1 내지 14-5)은 내측면에 나사결합을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날개부(12) 및 제 2 날개부(13)가 본체부(1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제 1 날개부(12) 및 제 2 날개부(13)가 별개로 구성되어 본체부(16)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가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내의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가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0내의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60)의 중앙부에는 광원 장착구(10)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65)가 형성되어 있어 광원 장착구(10)의 본체부(11)가 상기 개구부(65)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60)에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60)의 개구부(65) 부근에는 지지판(95) 상에 지지부재(96)가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부재(96)가 광원 장착구(10)의 제 1 날개부(12)의 지지공(15)과 결합하여 광원 장착구(10)를 지지한다.
제1 내지 제 3 통공(14-1, 14-3 및 14-5)에는 수나사 형상의 제 1 내지 제 3 관통부재(81, 83 및 85)가 나사 결합된다. 제 1 관통부재(81)는 지지판(95) 상에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홈(97)에 결합되어 중심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관통부재(83) 및 제 3 관통부재(85)와 베이스 플레이트(60) 간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91, 93)가 위치하여 제 1 날개부(12) 및 제 2 날개부(13)에 상방을 향하는 탄성력을 가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를 이용하여 광원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10)를 이용하여 광원의 상하방 조사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작업자가 드라이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 2 관통부재(83)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제 2 관통부재(83)가 나사 진행방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도 5에서 ① →②), 이에 따라 제 1 탄성부재(91)가 탄성력으로 제 1 날개부(12)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광원 장착구(10)의 전후 경사각이 도면의 ①' →②'로 기울어지게 된다. 즉, 제 1 관통부재(81) 및 제 3 관통부재(85)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중심축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제 1 탄성부재(91)의 탄성력에 의해 광원 장착구(10)의 전면부가 상방으로 들려지게 된다.
광원 장착구(10)의 전후 경사각이 도면의 ①' →②'로 기울어지면 그에 따라 광원(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상방을 향하게 되며, 광원 장착구(10)의 전후 경사각을 적당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레이저 광의 조사각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 장착구를 이용하여 광원의 좌우 경사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작업자가 드라이버(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 3 관통부재(85)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제 2 관통부재(85)가 나사 진행방향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도 6에서 ① →②), 이에 따라 제 2 탄성부재(93)가 탄성력으로 제 2 날개부(13)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광원 장착구(10)의 좌우 경사각이 도면의 ①' →②'과 같이 좌측의 제 1 날개부(12)측이 하강하고 우측의 제 2 날개부(13)측이 상승하도록 기울어 지게 된다. 즉, 제 1 관통부재(81) 및 제 1 관통부재(83)는 고정된 상태이므로 중심축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제 2 탄성부재(93)의 탄성력에 의해 광원 장착구(10)의 제 2 날개부(13)가 상방으로 들려지게 된다.
광원 장착구(10)의 좌우 경사각이 도면의 ①' →②'로 기울어지면 그에 따라 광원(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광이 경사각이 변화되므로, 광원 장착구(10)의 좌우 경사각을 적당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레이저 광의 좌우 경사각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광원 장착구(10)를 가상 데이터 입력장치(200)에 장착하는 동안 조사각을 조절하는 방식이 아니라, 광원 장착구(10)를 베이스 플레이트(60) 상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후 경사각 및 좌우 경사각을 조절하므로 보다 정밀한 조사각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 핵심적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 장착구의 경사각을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광원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광원 장착구 및 그 장착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광원 및 광원 장착모듈의 정밀성이 낮더라도 광원의 조사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광원 및 광원 장착모듈 제작의 단가 및 제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 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장착되고, 광원를 장착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원의 조사각 조절을 위한 날개부를 포함하는 광원 장착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날개부 간에 개재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날개부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상기 광원의 조사각을 조절하는 조사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날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축을 잡기 위한 제 1 통공, 상기 광원의 상하방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통공 및 상기 제 1 통공과 제 2 통공 사이의 위치에 지지공이 형성된 제 1 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의 좌우 경사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제 3 통공이 형성된 제 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각 조절부는 상기 제 1 통공 내지 제 3 통공을 관통하는 제 1 내지 제 3 관통부재, 상기 제 2 관통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제 3 관통부재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간에 개재되는 제 2 탄성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 장착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 장착모듈.
  5. 삭제
  6. 삭제
KR1020040109112A 2004-12-21 2004-12-21 광원 장착모듈 KR10067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112A KR100674500B1 (ko) 2004-12-21 2004-12-21 광원 장착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112A KR100674500B1 (ko) 2004-12-21 2004-12-21 광원 장착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590A KR20060070590A (ko) 2006-06-26
KR100674500B1 true KR100674500B1 (ko) 2007-01-25

Family

ID=3716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112A KR100674500B1 (ko) 2004-12-21 2004-12-21 광원 장착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1818A1 (it) 2016-03-18 2017-09-18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mems proiettivo per un picoproiettore di tipo flying spot e relativo metodo di fabbricazi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703A (ja) * 1991-08-19 1993-02-26 Fuji Photo Film Co Ltd 測距用投光器の取付け装置
KR940011978A (ko) * 1992-11-23 1994-06-22 정용문 광학 시스템의 출사각 조절장치
JP2000019382A (ja) 1998-07-01 2000-01-21 Nikon Corp 焦点検出ユニット取付構造
JP2002244803A (ja) 2000-12-15 2002-08-30 Nokia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機能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3272181A (ja) 2002-03-20 2003-09-26 Shinano Kenshi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光ピックアップの光ディスクへのレーザ光線照射角度調節機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703A (ja) * 1991-08-19 1993-02-26 Fuji Photo Film Co Ltd 測距用投光器の取付け装置
KR940011978A (ko) * 1992-11-23 1994-06-22 정용문 광학 시스템의 출사각 조절장치
JP2000019382A (ja) 1998-07-01 2000-01-21 Nikon Corp 焦点検出ユニット取付構造
JP2002244803A (ja) 2000-12-15 2002-08-30 Nokia Corp 電子機器における機能を遂行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03272181A (ja) 2002-03-20 2003-09-26 Shinano Kenshi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における光ピックアップの光ディスクへのレーザ光線照射角度調節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590A (ko) 2006-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2410B2 (en) Photoelectric sensor with deflection angle adjustment arrangement
KR100674500B1 (ko) 광원 장착모듈
KR20040036169A (ko) 광 커서 제어장치
US820178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support mechanism
US7808481B2 (en) Optical pointing device
US11668559B2 (en) Optical measurement apparatus
US20060227817A1 (en) Laser module for projecting a linear laser beam
CN212110072U (zh) 光学多功能展示机用检测组件
JP2011061301A (ja) 撮像装置
US8116017B2 (en) Reduced vibration optical system with inexpensive precision positioning assembly
US20090115728A1 (en) Optical image detecting structure with multiple function
JP2002221416A (ja) 墨出し装置
JP2900131B2 (ja) レーザー光放射装置
JP4549181B2 (ja) レーザー墨出し器
CN213814261U (zh) 一种反射镜可调装置
JPH1163996A (ja) レーザ表示器およびこのレーザ表示器の調整方法
CN218179876U (zh) 一种激光摄像装置
JP2769397B2 (ja) 測距用投光器の取付け装置
KR20100037837A (ko) 컴퓨터용 카메라 조립체
KR101806237B1 (ko) 광 출사 장치 및 화상 표시 시스템
TWI533180B (zh) 光幕裝置
JP2544318Y2 (ja) 位置決めピン装置
KR200395315Y1 (ko) 붐카메라 크레인의 붐선단부 수평판 설치구조
JPH11281358A (ja) レーザー光発光素子を備えた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及びこの取付構造を有する墨出し用レーザー装置
CN113552959A (zh) 一种光电ic位置可调节的鼠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