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4494B1 -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4494B1
KR100674494B1 KR1020040073228A KR20040073228A KR100674494B1 KR 100674494 B1 KR100674494 B1 KR 100674494B1 KR 1020040073228 A KR1020040073228 A KR 1020040073228A KR 20040073228 A KR20040073228 A KR 20040073228A KR 100674494 B1 KR100674494 B1 KR 100674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feeder
wire harness
axis feed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4481A (ko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
Priority to KR102004007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44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4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된 각각의 와이어의 단선(통전) 여부 및 단자밀림, 시일, 리테이너 등 각종 부품의 유무체크를 검사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디 프레임(100)에 지그판(110)이 장착되고, 상기 지그판(110)에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를 꽂을 수 있는 검사구멍(141)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지그 브라켓(140)이 장착되고, 상기 지그판(110)의 하부에 검사핀(210a, 210b)이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어태치먼트(200a, 200b)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X축 이송장치(300a), 제 1 Y축 이동장치(400a), 및 제 1 Z축 이송장치(500a)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U축 회전장치(600a)에 의해 U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어태치먼트(200b)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X축 이송장치(300b), 제 2 Y축 이송장치(400b), 및 제 2 Z축 이송장치(500b)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U축 회전장치(600b)에 의해 U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system for testing circuit of wire harn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도 5에 자세하게 도시된 X축 이송장치, Y축 이송장치, Z축 이송장치 및 U축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지그판을 분해 도시한 개략도
도 2b는 도 2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지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a의 제 1 Z축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a의 X축 이송장치, Y축 이송장치, Z축 이송장치 및 U축 회전장치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지그판에 꽂힌 커넥터의 단자핀의 위치값를 세팅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도 6의 위치값이 제어부의 메모리에 기록되고 화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바디 프레임 110 : 지그판
130 : 와이어 하네스 140 : 지그 브라켓
200a, 200b: 제 1 및 2 어태치먼트
210a, 210b : 검사핀
300a, 300b : 제 1 및 제 2 X축 이송장치
400a, 400b : 제 1 및 제 2 Y축 이동장치
500a, 500b : 제 1 및 제 2 Z축 이송장치
600a, 600b : 제 1 및 제 2 U축 회전장치
700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된 각각의 와이어의 단선(통전) 여부 및 단자밀림, 시일, 리테이너 등 각종 부품의 유무체크를 검사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검사핀이 어태치먼트가 지그 브라켓에 검사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의 단자핀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어태치먼트의 검사핀이 커넥터의 단자핀과 접속되므로서,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된 각각의 와이어들의 통전(단선)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검사핀의 이송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459937호(2004년 7월 1일 등록)에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는 커넥터가 접속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접속구가 형성되며, 상기 접속구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곡구에 접속된 커넥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수단과, 상기 접속구의 타측에 형성된 탈/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잠금부재의 잠금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잠금부재 검사수단으로 이루어진 제1지그판과;
상기 제1지그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1지그판에 접속된 커넥터의 단자에 첩촉되어 통전검사를 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지그핀이 설치된 제2지그판과;
상기 제2지그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2지그판의 제2지그핀에 접촉되어 단자밀림을 검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지그핀이 설치된 제3지그판과;
상기 제3지그판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2 및 제3지그판을 에어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에어공급원이 설치된 제4지그판과;
상기 제1 및 제4지그판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및 제3지그판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샤프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는 와이어 하네스의 모델(특히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 모델)이 변경될 때마다 지그핀이 설치된 지그판 전체를 바꾸어야 하고, 지그핀과 단자핀이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지그핀과 단자핀의 위치고정(위치설정)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를 검사 하기 위한 비용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검사핀이 어태치먼트(attachment)가 지그 브라켓에 검사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의 단자핀 위치로 이동됨과 동시에 어태치먼트의 검사핀이 커넥터의 단자핀과 접속되므로서,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된 각각의 와이어들의 통전(단선)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어태치먼트에 장착된 검사핀의 이송이 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단자핀의 위치로 지그핀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커넥터 및 단자핀의 위치설정이 용이하고, 지그핀을 커넥터의 단자핀을 감지하는 고정 지그핀을 지그판(또는 지그판에 장착되는 지그 브라켓)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지그판 및 지그 브라켓을 제작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a, 도 2b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도 7에 자세하게 도시된 X축 이송장치, Y축 이송장치, Z축 이송장치 및 U축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지그판을 분해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프레임에서 X축 이송장치, Y축 이송장치, Z축 이송장치 및 U축 이송장치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 2a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는 바디 프레임(100)에 지그판(110)이 장착되고, 상기 지그판(110)에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를 꽂을 수 있는 검사구멍(141)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지그 브라켓(140)이 장착되고, 상기 지그판(110)의 하부에 검사핀(210a, 210b)이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어태치먼트(200a, 200b)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X축 이송장치(300a), 제 1 Y축 이동장치(400a), 및 제 1 Z축 이송장치(500a)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U축 회전장치(600a)에 의해 U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어태치먼트(200b)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X축 이송장치(300b), 제 2 Y축 이송장치(400b), 및 제 2 Z축 이송장치(500b)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U축 회전장치(600b)에 의해 U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의 검사핀(210a)이 상기 지그 브라켓(140)에 꽂힌 와이어 하네스(130)의 어느 한 커넥터(131a)의 단자핀(135a)의 위치로 이동되어 접촉되고, 동시에 제 2 어태치먼트(200b)의 검사핀(210b)이 상기 커넥터(131a)의 단자핀(135a)에 대응되는 커넥터(131b)의 단자핀(135b)의 위치로 이동되어 접촉되므로서, 제 1 어태치먼트(200a)의 검사핀(210a)의 검사전류가 와이어 하네스(130)의 와이어를 통해 제 2 어태치먼트(200b)의 검사핀(210b)으로 공급되는가를 제어부(700)에서 판단하여 와이어 하네스(130)의 통전(단선)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지그판(110)은 다수개의 볼트(115)에 의해 바디 프레 임(100)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볼트(115)의 록킹을 해제하면, 지그판(110)을 바디 프레임(100)에 분리할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130)의 모델이 변경될 경우, 지그판(110)을 교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그 브라켓(140)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검사구멍(141)의 둘레면에 걸림턱(143)이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가 검사구멍(141)에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131)의 걸림턱(133)이 상기 걸림턱(143)에 걸리게 되고, 상기 검사구멍(141)의 둘레면에 삽입감지센서(150)가 장착되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145)에 의해 지그판(110)에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가 지그 브라켓(140)의 검사구멍(141)에 삽입될 때, 상기 삽입감지센서(150)가 상기 커넥터(131)를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신호를 전송하므로서, 제어부(700)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 장착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의 형상이 변경될 경우, 상기 커넥터(131)와 동일한 형상의 장착구멍이 성형된 지그 브라켓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넥터(131)를 지그 브라켓(140)의 장착구멍(141)에 꽂으면, 제 1 어태치먼트(200a) 및 제 2 어태치먼트(200b)에 장착된 검사핀(210a, 210b)이 이동하면서 커넥터의 단자핀과 접속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각각의 와이어의 통전을 검사하기 때문에, 대한민국 특허 제459937호의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에 소개된 바와같이 지그판의 접속구에 고정 지그핀을 설치할 필 요가 없어지며, 이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 및 단점을 완전 해결할 수 있다.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X축 이송장치(300a)에는 X축 이동경로선상에 제로세팅감지센서(301a)와,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303)가 장착되어, 제로세팅감지센서(301a) 및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303a)에 의해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X축이동이 제어되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에 로드(401)가 장착되고, 제 2 Y축 이송장치(400b)에 로드감지센서(403)가 장착되어, 로드감지센서(401a)가 로드(403)를 감지하므로서, 제 1 Y축 이송장치(400a)와 제 2 Y축 이송장치(400b)가 화살표(801, 803) 방향으로 이동될 때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에는 Y축 이동경로선상에 2개의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405a, 407a)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405a, 407a) 사이에 제로세팅 감지센서(409a)가 배치되어,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405a, 407a) 및 제로세팅 감지센서(409a)에 의해 제 1 Z축 이송장치(500a)의 Y축 이동이 제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Z축 이송장치(500a) 또한 Z축 이동경로선상에 2개의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501, 503)와 제로세팅 감지센서(505)가 배치되어, 검사핀(210a)이 장착된 제 1 어태치먼트(200a)의 Z축 이동이 제어된다.
상기 제 1 U축 회전장치(600a)에는 구동장치(603)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 샤프트(60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제 1 어태치먼트(200a)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X축 이송장치(300b), 제 2 Y축 이송장치(400b), 제 2 Z축 이송장 치(500b) 및 제 2 U축 회전장치(600b)에도 제 1 X축 이송장치(300a), 제 1 Y축 이송장치(400a), 제 1 Z축 이송장치(500a) 및 제 1 U축 회전장치(600a)와 같은 역할을 하는 센서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제로세팅감지센서(301a, 405a, 407a) 및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303a, 409)는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로드감지센서(403)는 광센서 또는 포토커플러 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센서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의 이송장치들의 이동이 제어되고, 검사핀(210a, 210b)의 영점이 세팅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는 제 1 U축 회전장치(600a)의 회전 샤프트(601)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U축 회전장치(600a)가 "ㄴ"형상의 제 1 브라켓(610)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610)이 제 1 Z축 이송장치(500a)의 리드 스크류(510)에 장착된 상하 왕복대(520)의 수직부(521) 상단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Z축 이송장치(500a)의 하우징(530)이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수평 왕복대(411) 및 슬라이더(413)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왕복대(411) 및 슬라이더(413)가 가동 프레임(420)에 장착된 리드 스크류(415) 및 가이드 레일(417)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가동 프레임(420)이 제 1 X축 이송장치(300a)의 타이밍 벨트(310, 320)에 장착된다.
상기 제 1 X축 이송장치(300a)는 우측 타이밍 벨트(310)와 좌측 타이밍 벨트(320)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동력전달 샤프트 (340)의 양단에 구동 타이밍 풀리(341, 343)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341, 343)에 의해 상기 좌우측 타이밍 벨트(310, 320)가 동시에 같은 속도 및 같은 방향으로 작동되므로서, 타이밍 벨트(310, 320)에 양단이 장착된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가동 프레임(420)이 X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X축 이송장치(300a)는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가동 프레임(420)이 타이밍 벨트(310, 320)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때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가동 프레임(420)의 X축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351, 35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는 제 1 X축 이송장치(300a)의 타이밍 벨트(310, 320)에 양단이 장착된 가동 프레임(420)에 구동모터(43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4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리드 스크류(415)가 상기 가동 프레임(420)의 내부에 가이드 레일(417)과 함께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415) 및 가이드 레일(420)에 수평 왕복대(411) 및 슬라이더(413)가 각각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모터(430)에 의해 리드 스크류(415)가 회전하면, 상기 리드 스크류(415)를 따라 수평 왕복대(411)가 Y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어, 상기 수평 왕복대(411)에 장착된 제 1 Z축 이송장치(500a)가 Y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 1 Z축 이송장치(500a)는 하우징(530)의 내부에 구동모터(540) 및 리드 스크류(510)가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구동모터(540)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550)에 의해 리드 스크류(510)로 전달되므로서, 상기 리드 스크류(510)가 작동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510)에 장착된 수직 왕복대(520)가 Z축 방향으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제 1 U축 회전장치(600a)는 제 1 Z축 이송장치(500a)의 수직 왕복대(520)의 수직부(521) 상단에 "ㄴ" 형상의 브라켓(610)이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610)에 구동모터(603)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603)의 회전 샤프트(601)에 제 1 어태치먼트(200a)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가 회전 샤프트(60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제 2 X축 이송장치(300b), 제 2 Y축 이송장치(400b), 제 2 Z축 이송장치(500b) 및 제 2 U축 회전장치(600b ; 도 5에 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제 1 X축 이송장치(300a), 제 1 Y축 이송장치(400a), 제 1 Z축 이송장치(500a) 및 제 1 U축 회전장치(600a)와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여 설명의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에서,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를 지그판(110)에 꽂아 상기 커넥터(131)의 각각의 단자핀의 위치를 세팅하고자 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자가 커넥터(130)의 단자핀 및 검사핀의 위치를 관찰할 수 있도록 지그판(110)이 장착된 바디 프레임(100)을 180도 회전시킨 후, 작업자가 제어부(700)의 죠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제 1 어태치먼트(200a)에 장착된 검사핀(210a)을 X, Y, Z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커넥터(131a)의 제 1 단자핀(135a)의 위치값을 찾고, 제 2 어태치먼트(200b)에 장착된 검사핀(210b)을 X, Y, Z축 방향으 로 이동시켜 상기 제 1 커넥터(131a)의 제 1 단자핀(135a)에 대응되는 제 2 커넥터(131b)의 제 1 단자핀(135b)의 위치값을 찾는다. 이와같이 찾은 제 1 커넥터(131a)의 제 1 단자핀(135a)의 위치값과 제 2 커넥터(131b)의 제 1 단자핀(135b)의 위치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700)의 메모리의 어느 한 어드레스로 함께 저장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모든 커넥터의 단자핀의 위치값을 세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단자핀의 위치값이 세팅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의 통전검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작업자가 각각의 지그 브라켓(140)에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를 꽂으면, 상기 지그 브라켓(140)의 삽입감지센서(150 ; 도 3 참조)가 상기 커넥터(131)를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700)로 전송하므로서, 제어부(700)가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가 지그 브라켓(140)에 삽입된 것을 인지하게 되고, 와이어 하네스(130)의 모든 커넥터가 해당되는 지그 브라켓에 모두 삽입되면, 세팅된 위치값으로 제 1 어태치먼트(200a) 및 제 2 어태치먼트(200b)를 이동시켜, 제 1 어태치먼트(200a) 및 제 2 어태치먼트(200b)에 장착된 프로브를 이용하여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가 지그 브라켓(140)에 올바르게 장착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이후, U축 회전장치(600a, 600b)를 이용하여 제 1 어태치먼트(200a) 및 제 2 어태치먼트(200b)에 장착된 검사핀(210a, 210b)을 검사위치로 회전시킨 후,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값으로 검사핀을 이동시켜 와이어 하네스의 통전(단선)을 검사하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어어 하네스의 와이어가 통전되면 상기 와이어의 통전을 인지하는 제어부(700)의 화면(710)에서 상단에 위치한 램 프 아이콘(720, 730)이 녹색으로 변경되어 화면(710)의 램프 아이콘들이 모두 녹색으로 변경되면 검사가 완료된다. 그리고, 화이어 하네스의 커넥터가 해당 지그 브라켓에 올바르게 장착되지 않았거나 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가 단선되어 있으면, 이에 해당되는 램프 아이콘(720, 730)이 적색으로 변경되어 작업자가 와이어 하네스의 단선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단선된 와이어 하네스의 고유넘버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는 검사핀이 X, Y, Z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커넥터의 단자핀을 검침하므로서, 와이어 하네스에 포함된 각각의 와이어들의 통전(단선)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의 모든 모델에 대해 통전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단자핀의 위치로 지그핀을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커넥터 및 단자핀의 위치설정이 용이하고, 종래의 기술과 같이 커넥터의 단자핀을 감지하는 고정 지그핀을 지그판(또는 지그판에 장착되는 지그 브라켓)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지그판 및 지그 브라켓을 제작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바디 프레임(100)에 지그판(110)이 장착되고, 상기 지그판(110)에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를 꽂을 수 있는 검사구멍(141)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지그 브라켓(140)이 장착되고, 상기 지그판(110)의 하부에 검사핀(210a, 210b)이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어태치먼트(200a, 200b)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X축 이송장치(300a), 제 1 Y축 이동장치(400a), 및 제 1 Z축 이송장치(500a)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U축 회전장치(600a)에 의해 U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어태치먼트(200b)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X축 이송장치(300b), 제 2 Y축 이송장치(400b), 및 제 2 Z축 이송장치(500b)에 의해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U축 회전장치(600b)에 의해 U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판(110)은 다수개의 볼트(115)에 의해 바디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상기 볼트(115)의 록킹을 해제하면, 지그판(110)을 바디 프레임(100)에 분리할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130)의 모델이 변경될 경우, 지그판(110)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브라켓(140)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검사구멍(141)의 둘레면에 걸림턱(143)이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가 검사구멍(141)에 삽입될 때 상기 커넥터(131)의 걸림턱(133)이 상기 걸림턱(143)에 걸리게 되고, 상기 검사구멍(141)의 둘레면에 삽입감지센서(150)가 장착되고, 체결수단(145)에 의해 지그판(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축 이송장치(300a)에는 X축 이동경로선상에 제로세팅감지센서(301a)와,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303)가 장착되어, 제로세팅감지센서(301a) 및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303a)에 의해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X축이동이 제어되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에 로드(401)가 장착되고, 제 2 Y축 이송장치(400b)에 로드감지센서(403)가 장착되어, 로드감지센서(401a)가 로드(403)를 감지하므로서, 제 1 Y축 이송장치(400a)와 제 2 Y축 이송장치(400b)가 이동될 때 서로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에는 Y축 이동경로선상에 2개의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405a, 407a)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405a, 407a) 사이에 제로세팅 감지센서(409a)가 배치되어,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405a, 407a) 및 제로세팅 감지센서(409a)에 의해 제 1 Z축 이송장치(500a)의 Y축 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Z축 이송장치(500a) 또한 Z축 이동경로선상에 2개의 이동범위제한 감지센서(501, 503)와 제로세팅 감지센서(505)가 배치되어, 검사핀(210a)이 장착된 제 1 어태치먼트(200a)의 Z축 이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U축 회전장치(600a)에는 구동장치(603)에 의해 작동되는 회전 샤프트(601)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감지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제 1 어태치먼트(200a)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는 제 1 U축 회전장치(600a)의 회전 샤프트(601)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U축 회전장치(600a)가 "ㄴ"형상의 제 1 브라켓(610)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610)이 제 1 Z축 이송장치(500a)의 리드 스크류(510)에 장착된 상하 왕복대(520)의 수직부(521) 상단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Z축 이송장치 (500a)의 하우징(530)이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수평 왕복대(411) 및 슬라이더(413)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왕복대(411) 및 슬라이더(413)가 가동 프레임(420)에 장착된 리드 스크류(415) 및 가이드 레일(417)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가동 프레임(420)이 제 1 X축 이송장치(300a)의 타이밍 벨트(310, 32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X축 이송장치(300a)는 우측 타이밍 벨트(310)와 좌측 타이밍 벨트(320)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구동모터(330)에 의해 작동되는 제 1 동력전달 샤프트(340)의 양단에 구동 타이밍 풀리(341, 343)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 타이밍 풀리(341, 343)에 의해 상기 좌우측 타이밍 벨트(310, 320)가 동시에 같은 속도 및 같은 방향으로 작동되므로서, 타이밍 벨트(310, 320)에 양단이 장착된 제 1 Y축 이송장치(400a)의 가동 프레임(420)이 X축 방향으로 전후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Y축 이송장치(400a)는 제 1 X축 이송장치(300a)의 타이밍 벨트(310, 320)에 양단이 장착된 가동 프레임(420)에 구동모터(430)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4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리드 스크류(415)가 상기 가동 프레임(420)의 내부에 가이드 레일(417)과 함께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415) 및 가이드 레일(420)에 수평 왕복대(411) 및 슬라이더(413)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Z축 이송장치(500a)는 하우징(530)의 내부에 구동모터(540) 및 리드 스크류(510)가 높이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구동모터(540)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550)에 의해 리드 스크류(510)로 전달되므로서, 상기 리드 스크류(510)가 작동되어 상기 리드 스크류(510)에 장착된 수직 왕복대(520)가 Z축 방향으로 상하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태치먼트(200a) 및 제 2 어태치먼트(200b)에 장착된 프로브를 이용하여 와이어 하네스(130)의 커넥터(131)가 지그 브라켓(140)에 올바르게 장착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KR1020040073228A 2004-09-14 2004-09-14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KR100674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228A KR100674494B1 (ko) 2004-09-14 2004-09-14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228A KR100674494B1 (ko) 2004-09-14 2004-09-14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481A KR20060024481A (ko) 2006-03-17
KR100674494B1 true KR100674494B1 (ko) 2007-01-29

Family

ID=3713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228A KR100674494B1 (ko) 2004-09-14 2004-09-14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44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799A (zh) * 2011-09-16 2012-02-22 苏州天浩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线束组测试仪
KR101448267B1 (ko) * 2013-04-25 2014-11-12 주식회사 하닉스 하네스 제조 과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65B1 (ko) * 2008-04-28 2010-07-16 이성규 와이어링하네스의 자동검사기
KR101255789B1 (ko) * 2011-07-22 2013-04-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 하니스의 회로검사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검사판
KR101518430B1 (ko) * 2014-06-17 2015-05-07 (주) 대하전선 하네스 자동 통전검사장치
KR101518428B1 (ko) * 2014-06-17 2015-05-07 (주) 대하전선 하네스 자동이송장치
CN104374537B (zh) * 2014-11-27 2017-04-12 惠州住成电装有限公司 一种全方位线束疲劳测试治具
KR101888042B1 (ko) * 2017-04-26 2018-08-13 천일테크윈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회로검사용 검사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524A (ja) * 1993-10-21 1995-05-12 Yazaki Corp コネクタ検査方法及びコネクタ検査具
KR20000010459U (ko) * 1998-11-21 2000-06-15 오창기 공압식 하네스 검사장치
KR20000010458U (ko) * 1998-11-21 2000-06-15 오창기 하네스 검사장치
KR100439973B1 (ko) 2004-02-13 2004-07-12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524A (ja) * 1993-10-21 1995-05-12 Yazaki Corp コネクタ検査方法及びコネクタ検査具
KR20000010459U (ko) * 1998-11-21 2000-06-15 오창기 공압식 하네스 검사장치
KR20000010458U (ko) * 1998-11-21 2000-06-15 오창기 하네스 검사장치
KR100439973B1 (ko) 2004-02-13 2004-07-12 주식회사 세원이씨에스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검사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799A (zh) * 2011-09-16 2012-02-22 苏州天浩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线束组测试仪
KR101448267B1 (ko) * 2013-04-25 2014-11-12 주식회사 하닉스 하네스 제조 과정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481A (ko) 2006-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97388B (zh) 用来检测主机板的自动化检测系统
US6259265B1 (en) Unified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s
KR100674494B1 (ko) 와이어 하네스 회로검사장치
TW200928374A (en) Circit board inspection device
CN102087102A (zh) 一种小型微钻刃面检测机
CN211826357U (zh) 芯片测试装置和系统
KR100802436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소자 접속장치
CN108000137A (zh) 电子设备组装装置以及电子设备组装方法
CN109031009B (zh) 应用机器手臂之记忆体模组智能检测系统
KR100737013B1 (ko) 차량의 도어인너모듈 검사장치
CN109959841B (zh) 一种rs232串口线交叉直连类型自动检测和标记装置
CN218973818U (zh) 检测设备
JPH11174107A (ja) 自動化取り付け具検査機
CN213210371U (zh) 一种飞针检测装置
CN213210373U (zh) 一种首件检测装置
KR102496930B1 (ko) 웨이퍼 테스트 장치
JP2772914B2 (ja) 弾球遊技機用遊技盤
CN211700898U (zh) 一种用于电连接器插拔装置的自动对中装置
KR20100052401A (ko) 전기적 검사를 위한 프로브 유닛, 전기적 검사장치 및 점등 검사장치
KR102570532B1 (ko)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CN113600511A (zh) 一种usb线测试机
KR102591648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비전 및 통전 자동검사장치
JP2002168906A (ja) テストヘッドの接続装置
KR100562586B1 (ko) 패널 테스트장치
KR20170062230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