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586B1 - 패널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패널 테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586B1
KR100562586B1 KR1020030059291A KR20030059291A KR100562586B1 KR 100562586 B1 KR100562586 B1 KR 100562586B1 KR 1020030059291 A KR1020030059291 A KR 1020030059291A KR 20030059291 A KR20030059291 A KR 20030059291A KR 100562586 B1 KR100562586 B1 KR 100562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est
moving plate
support rod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9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169A (ko
Inventor
전기철
Original Assignee
(주)유비프리시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프리시젼 filed Critical (주)유비프리시젼
Priority to KR1020030059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5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8Monitoring of warpage, curvature, damage, defec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테스트 패널이 점등 검사부로 이송되기 이전에 사전 위치 정열 및 피테스트 패널을 공급해주는 로봇으로부터 피테스트 패널을 받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피테스트 패널을 공급 및 이송할 때 패널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고, 클램핑작업을 단순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는, 피테스트 패널(P)이 공급된 후 이를 흡착하여 지지하는 패널 흡착부(120), 상기 패널 흡착부의 둘레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테스트 패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131)가 구비된 지지로드(130) 및 상기 지지로드를 이송하는 지지로드 이송수단(140)으로 이루어진 패널 수용부(100)를 갖는 패널 공급부와; 상기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부와; 띠 형상의 프레임(211), 상기 프레임의 일측 이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무빙플레이트(212),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패널을 지지하는 캐리어 암(213)으로 이루어진 캐리어(210) 및 상기 캐리어가 패널 공급부와 패널 테스트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20)을 갖는 패널 이송부와; 그리고, 테스트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공급부의 지지로드 이송수단은, 구동모터(142), 상기 지지로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볼스크류(143)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블록(1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구동모터(23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스크류(232) 및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블록(2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엘시디 패널, LCD, 테스트, 캐리어, 볼스크류, 래크, 피니언

Description

패널 테스트장치{APPARATUS FOR TESTING PANE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공급부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의 패널 공급부에 적용된 패널 이송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이송부의 정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의 패널 이송부에 적용된 캐리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공급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이송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캐리어 암의 다른 설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캐리어 암의 또 다른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패널 수용부,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패널 흡착부, 130 : 지지로드
131 : 클램프, 140 : 지지로드 이송수단
141 : 지지플레이트, 142,231 : 구동모터
143,232 : 볼스크류, 144,233 : 이동안내블록
145 : 벨트, 200 : 패널 이송부
210 : 캐리어, 211 : 프레임
212,214 : 무빙플레이트, 213 : 캐리어 암
215,217 : 코일스프링, 216 : 가이드부재
220 : 가이드레일, 230 : 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
본 발명은 패널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테스트 패널(예컨대 엘시디 패널)을 공급 및 이송할 때 패널을 견고하게 클램핑하고, 클램핑작업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패널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시디(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유기 EL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여러 단계의 제조 공정을 거쳐 제조되어지는 바, 이때 각 제조 공정, 예컨대, 납땜 등의 조립공정, 불량 요인의 수리공정 등의 공정이 진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의 점등 상태를 테스트하는 소정의 점등 상태 테스트 공정을 진행하여 항상 일정 수준 이상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양질의 제품만 출하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피테스트 패널(예컨대 엘시디 패널)을 지면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공급부에 공급하면, 공급부가 지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작업자가 테스트부에서 테스트되는 피테스트 패널을 가장 정확하게 볼 수 있는 각도)로 경사지게 회동되고, 이송부는 공급부에 공급된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부로 이동하며, 테스트부에서는 피테스트 패널과 테스트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신호를 송수신함과 아울러, 피테스트 패널의 후광원이 점등되어 피테스트 패널을 통해 외부로 그 빛을 발산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작업자가 피테스트 패널을 육안으로 보면서 피테스트 패널의 전체적인 색상, 불량 화소율 등을 확인하여 피테스트 패널의 양불을 판정하게 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를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는, 크게, 본체, 피테스트 패널을 공급하는 공급부,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부 및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피테스트 패널을 상기 테스트부로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 공급부는, 도 1 및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 프레임(10)과;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되며 피테스트 패널이 수용되는 패널 수용부(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피테스트 패널을 작업자가 묵시 테스트하기 때문에 테스트의 정확도를 위하여 피테스트 패널의 테스트시에는 피테스트 패널이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하며, 한편, 초기에 피테스트 패널을 패널 수용부(20)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패널 수용부(2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패널 수용부(20)를 수평상태에서 경사지게 회동시키고, 경사진 패널 수용부(20)를 수평상태로 복귀시키는 회동부(30)가 더 포함된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널 수용부(20)는, 회동부(30)와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판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21), 베이스 플레이트(21) 상에 설치되며 패널을 진공 흡착하여 지지하는 패널 흡착부(22), 패널 흡착부(22)의 둘레부에 배치되며 패널의 네 변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두 개로 도시됨)의 클램프(23a)이 구비된 지지로드(23) 및 지지로드(23)를 패널에 대한 클램핑 방향/클램핑 해제방향으로 이송하는 지지로드 이송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로드 이송수단(40)은, 지지플레이트(41), 지지플레이트(41) 상에 지지로드(23)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샤프트(42), 가이드 샤프트(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슬라이딩블록(43), 제1슬라이딩블록(43)을 가이드 샤프트(42) 상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4), 제1슬라이딩 블록(43) 위에 고정되는 에어실린더(45), 에어실린더(45) 위에 엘엠가이드(46) 등의 가이드수단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되며 공압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한편, 지지로드(23)가 고정되는 제2슬라이딩블록(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에어실린더(45)는 그 내부에 제2슬라이딩블록(47)과 연결되는 로드가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양측에 에어순환부(45a,45b)가 각각 구비되어, 에어의 공급방향에 따라 제2슬라이딩블록(47)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패널 테스트부는, 피테스트 패널이 안착되는 워크테이블과, 워크테이블의 배면에 배치되어 워크테이블에 안착된 패널에 빛을 발산하는 광원, 피테스트 패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 위치 검사 카메라, 현미경들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이송부는, 공급부(미도시)에 공급된 피테스트 패널(P)을 클램핑하여 이송하는 캐리어(50) 및 이 캐리어(50)가 공급부와 테스트부(미도시)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리어(50)는 피테스트 패널(P)의 대기시간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테스트 러닝타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두 개가 서로 중첩되지 않고 이동 가능하게 갖추어질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캐리어(50)는, 사각띠 형상의 프레임(51)과, 프레임(11)의 상하(도면 기준) 양측에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무빙플레이트(52)와, 제1무빙플레이트(52)의 일면(도면 기준 배면)에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무빙플레이트(53)와, 제2무빙플레이트(53)에 고정되며 피테스트 패널을 클램핑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두 개로 도시됨)의 캐리어 암(54)과, 제1 및 제2무빙플레이트(52)(53)를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그 일부분에 가이드장공(61)이 구비되며 프레임(51)에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일단은 제1무빙플레이트(5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링크(60) 및 링크(60)의 가이드장공(61)에 슬라이딩 및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면서 프레임(11)에 체결되는 체결구(62)를 포함하여, 제1무빙플레이트(12)의 직선 이동시 링크(60)가 회전하면서 직선 이동하여 제1무빙플레이트(52)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제2무빙플레이트(53)에 연결되며 공압에 의해 제2무빙플레이트(53)를 직선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제1무빙플레이트(52)를 통해 캐리어 암(54)을 대량으로 이동하게 하고, 각 패널의 종류별 크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며, 제2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대량 이동된 제1무빙플레이트(52)에 대해 제2무빙플레이트(53)를 미세하게 이동하여 패널의 클램프 동작??르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피테스트 패널을 공급하기 위해서 패널 수용부(20)는 지면에 대해 수평상태로 배치되어 대기한다.
작업자는 스테이지부에 패널을 올린 후 이를 캐리어를 사용하여 패널 수용부(20)로 이동하도록 하고, 패널 수용부(20)를 스테이지가 위치한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한 후, 상하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해당 캐리어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고, 위 작업 전에 패널 수용부(20)의 제1슬라이딩블록(43)을 최대로 위치시켜야 하며, 이는 상하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해당 캐리어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패널 수용부(20)를 이동시킬 때 간섭을 피하기 위한 목적이다. 제1슬라이딩블록(43) 위의 에어 실린더를 전진시킨 상태에서 패널이 패널 흡착부(22)에 정위치로 올려지도록 상하 높이 조정을 한 후, 제1슬라이딩블록(43)을 패널측으로 이동 밀착시킨다. 제1슬라이딩블록(43)은 가이드 샤프트(42)를 따라 피테스트 패널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지지로드(23)가 피테스트 패널에 근접하면 고정수단(44)을 조작하여 제1슬라이딩블록(43)을 고정한다. 위의 동작을 4면에 대하여 동일하게 작업하고, 에어 실린더(45)의 전후진을 통해 클램프(23a)가 패널을 흔들림없이 클램프하였는 가를 확인하면 패널 수용부(20)의 셋팅이 종료된다.
피테스트 패널이 수용되면 피테스트 패널의 위치에 따라 에어실린더(45)의 구동 정도가 결정되어 에어실린더(45)에 에어가 공급된다. 에어의 공급방향에 따라 에어실린더(45) 내부의 로드가 슬라이딩되면서 지지로드(23)를 피테스트 패널측으로 이동시켜 피테스트 패널을 클램핑하도록 하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에어의 공급이 중지되면 지지로드(23)의 이동이 정지되어 클램프(23a)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이 클램핑된다. 피테스트 패널의 네 변에 위치한 지지로드(23)가 동작하여 피테스트 패널을 네 변에서 지지하게 된다.
피테스트 패널이 패널 수용부(20)에 클램핑되면 회동부(30)에 의해 패널 수용부(20)가 경사지게 회동되어 패널의 공급을 대기하게 된다.
대기 상태의 패널은 별도의 패널 이송장치에 의해 패널 테스트부로 이송된다.
캐리어(50)가 패널 공급부에 공급된 피테스트 패널과 일치한 상태에서, 제1무빙플레이트(52)를 수동/자동으로 이동하면, 링크(60)가 가이드장공(61)에서 회전 및 슬라이딩되는 체결구(62)를 통해 위치 변위가 발생됨에 따라 제1무빙플레이트(52)가 제2무빙플레이트(53)와 함께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캐리어 암(54)을 대량으로 이동시킨 후, 캐리어 암(54)이 피테스트 패널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70)를 작동시키면, 제2무빙플레이트(53)가 엘엠가이드(55)의 안내를 받아 미세하게 직선 이동하게 되어 캐리어 암(54)이 피테스트 패널을 클램핑하게 된다.
피테스트 패널이 클램핑되면 캐리어(50)는 패널 테스트부로 이동되며, 패널 테스트부에 위치하던 다른 캐리어가 패널 공급부로 이동된다.
패널이 패널 이송장치에 의해 테스트부로 이송되면, 회동부(30)의 역동작에 의해 패널 수용부(20)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복귀되어 새로운 패널의 공급을 대기하게 된다.
패널 테스트부에 피테스트 패널이 이송되면, 피테스트 패널이 워크테이블에 안착되면서 테스트 단자와 패널의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패널 뒤에 위치한 광원에서 빛이 발산되며, 작업자는 육안으로 패널의 화면 상태를 육안관측하여 패널의 양불을 판정한다.
패널 테스부에서 패널의 테스트가 완료되면, 캐리어에 의해 테스트가 완료된 패널은 패널 공급부로 복귀되고, 피테스트 패널은 패널 테스트부로 이송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에어실린더(45,70)를 통해 지지로드(23)와 무빙플레이트(52)를 각각 이동시킬 때 잦은 기종 변경으로 그 위치 변화가 잦으면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빈번히 제2슬라이딩블록(47)과 제2무빙플레이트(53)를 옮겨야 하며, 이를 셋팅하는 시간도 상당히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전체적인 테스트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장비의 가동율을 떨어뜨리고 셋팅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패널이송의 안정성이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압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P)을 미세 조정하는 과정에서 피테스트 패널(P)이 정지할 때 관성에 의해 유동이 발생됨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 정지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캐리어 역시 수동으로 셋팅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 숙련도에 따라 클램프한 패널의 상태가 차이가 발생되어 이를 단축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며, 캐리어의 셋팅불량은 이동 중 패널을 떨어뜨려 피테스트 패널의 파손이 야기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테스트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물의 이동을 위한 구조가 단순하고, 기종 변화시 피테스트 패널의 사이즈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 패널 테스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테스트 패널을 공급 및 이송하기 위한 클램핑작업을 단순하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테스트 패널을 클램핑할 때 피테스트 패널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는, 피테스트 패널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패널 흡착부, 상기 패널 흡착부의 둘레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테스트 패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가 구비된 지지로드 및 상기 지지로드를 이송하는 지지로드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패널 수용부를 갖는 패널 공급부와; 상기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부와; 띠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 이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무빙플레이트,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테스트 패널을 지지하는 캐리어 암으로 이루어진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가 패널 공급부와 패널 테스트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갖는 패널 이송부와; 그리고, 테스트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 공급부의 지지로드 이송수단은, 구동모터, 상기 지지로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스크류 및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는, 본체와, 피테스트 패널을 공급하는 패널 공급부와;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부와; 그리고, 패널 공급부에 공급되는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부에 이송함과 아울러, 테스트부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패널을 패널 공급부로 복귀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는, 그 내부에 패널 공급부, 테스트부 및 이송부가 갖추어진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의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 적으로 설명한다.
패널 공급부는, 베이스 프레임(미도시)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피테스트 패널이 수용되는 패널 수용부(100)(도 6 및 도 7참조)로 이루어지며, 부가적으로 패널 수용부(100)를 수평상태에서 경사지게 회동시키고, 경사진 패널 수용부(100)를 수평상태로 복귀시키는 회동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패널 수용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도 7참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에 다수개(도면에는 4개로 도시됨)가 설치되며 피테스트 패널(P)(도 7에 도시됨)을 진공 흡착하여 지지하는 패널 흡착부(120), 패널 흡착부(120)의 둘레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테스트 패널(P)의 네 변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도면에는 두 개로 도시됨)의 클램프(131)가 구비된 지지로드(130) 및 지지로드(130)를 피테스트 패널(P)에 대한 클램핑 방향/클램핑 해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로드 이송수단(14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둘레부 예컨대, 네 변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지지로드(130)가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41), 지지플레이트(141)에 고정되는 구동모터(142), 지지플레이트(141) 상에 지지로드(130)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그 양단부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142)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4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143) 및 지지로드(130)에 고정되면서 볼스크류(143)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로드(130)의 이동을 안 내하는 이동안내블록(1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142)와 볼스크류(143)의 연결구조는 예컨대, 구동모터(142)와 볼스크류(143)가 나란히 배치되면서 상호간에 벨트(145)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142)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얻어지는 피테스트 패널의 위치값을 근거로 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142)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경우 컨트롤러(미도시)는 피테스트 패널(P)과 지지로드(130)의 위치편차에 따른 지지로드(130)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구동모터(142)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지지로드(130)가 피테스트 패널(P)을 클램핑하면 구동모터(142)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로드 이송수단(140)에 따르면, 볼스크류(143)의 피치에 따라 지지로드(130)의 이동거리가 결정되므로 지지로드(130)의 이동거리를 쉽게 예측할 수 있고, 지지로드(1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공급부에서 지지로드(130)는 피테스트 패널(P)의 네 변에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테스트 패널(P)의 한 변 또는 두 변 또는 세 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테스트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피테스트 패널이 안착되는 워크테이블과, 워크테이블의 배면에 배치되어 워크테이블에 안착된 패널에 빛을 발산하는 광원과, 피테스트 패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와, 위치 검사 카메라, 패널의 화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현미경과,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이송부(200)는, 캐리어(210) 및 이 캐리어(210)가 패널 공급부와 패널 테스트부 사이를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캐리어(210)는 가이드레일(220)에 하나만 설치될 수도 있고, 테스트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두 개가 직선 왕복 이동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캐리어(210)는, 사각띠 형상의 프레임(211)과, 프레임(211)의 상하(도면 기준) 양측에 서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212)와,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212)의 마주보는 부분에 하나 이상(도면에는 2개로 도시됨) 설치되며 피테스트 패널(P)을 이송하기 위하여 클램핑하는 캐리어 암(213)과, 그리고, 무빙플레이트(212)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230)은, 프레임(211)의 일측 예컨대, 도면 기준 우측 중앙부에 한 쌍의 무빙플레이트(212)와 각각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231), 일단은 구동모터(231)의 구동축(미도시)에 연결되며 타단은 프레임(2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스크류(232) 및 무빙플레이트(212)의 우측 단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볼스크류(232)에 각각 직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안내블록(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모터(231)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위치감지센서(미도시)를 통해 얻어지는 피테스트 패널의 위치값을 근거로 하여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231)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경우 컨트롤러는 피테스트 패널(P)과 캐리어 암(213)의 위치편차에 따른 무빙플레이트(212)의 이동거리를 계산하여 구동모터(231)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캐리어 암(213)이 피테스트 패널(P)을 클램핑하면 구동모터(231)가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된 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230)에 따르면, 볼스크류(232)의 피치에 따라 무빙플레이트(212)의 직선 이동거리가 결정되므로 무빙플레이트(212)의 이동거리를 쉽게 예측할 수 있고, 무빙플레이트(212)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적용된 패널 이송부(200)에서 무빙플레이트(2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프레임(211)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구동모터(231)와 볼스크류(232) 셋트는 무빙플레이트(212)의 양측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무빙플레이트(212)의 양측 저부와 프레임(211)의 사이에는 무빙플레이트(212)가 비틀림없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엘엠가이드(23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로드(130)와 무빙플레이트(212)의 이동을 위하여 각각의 에어실린더가 더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캐리어 암(213)이 피테스트 패널(P)을 클램핑할 때 접촉부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캐리어 암(213)은 캐리어 프레임(211)에 탄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무빙플레이트(212)의 배면에는 제2무빙플레이트(214)가 제1무빙플레이트(212)에 대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캐리어 암(213)은 제2무빙플레이트(214)에 고정된다. 제2무빙플레이트(214)의 결합구조로 예컨대, 제2무빙플레이트(214)의 일측 이상에는 제2무빙플레이트(214)를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215) 등의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즉, 캐리어 암(213)이 제2무빙플레이트(214)를 통해 탄성 결합되어 피테스트 패널(P)을 클램핑할 때 제2무빙플레이트(214)가 코일스프링(215)의 탄성력에 의해 밀리게 되어 캐리어 암(213)과 피테스트 패널(P) 사이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한 쌍의 제1무빙플레이트(212) 중 하나(도면 기준 상측)에만 제2무빙플레이트(214)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2무빙플레이트(214)는 캐리어 암(213)을 갖는 모든 제1무빙플레이트(21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캐리어 암(213)의 탄성결합을 보이는 다른 예시도로서, 상술한 것은 캐리어 암(213)이 별도의 제2무빙플레이트(214)를 통해 탄성 결합되는 것이며, 도 10은 캐리어 암(213)이 무빙플레이트(212)에 직접 탄성결합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캐리어 암(213)은 가이드부재(216)를 통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캐리어 암(213)과 가이드부재(216)의 사이에는 캐리어 암(213)을 탄력 지지하는 코일스프링(217) 등의 탄성부재가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무빙플레이트(212)가 이동하다가 캐리어 암(213)이 피테스트 패널(P)을 클램핑하면 코일스프링(217)이 탄성 변형되면서 캐리어 암(213)과 피테스트 패널(P)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상술한 캐리어 암(213)의 탄성구조는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두 가지가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1무빙플레이트 위에 에어실린더로 구동되는 제2무빙플레이트를 두어 제1무비플레이트는 기종 변화되는 패널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하고, 에어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2무빙플레이트의 동작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의 클램프 동작을 수행하게 할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테스트 장치의 작용은 패널 공급과정, 패널 이송과정 및 패널 테스트과정으로 구분되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패널 공급과정
작업자는 피테스트 패널(P)을 패널 흡착부(120)에 의해 흡착되어 지지되도록 정위치에 올리고, 구동모터(142)를 구동시킨다. 구동모터(142)는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구동되거나 피테스트 패널의 유무, 위치 등을 감지하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142)가 구동되면 벨트(145)를 통해 구동모터(142)의 회전력이 볼스크류(143)에 전달되어 볼스크류(143)가 회전한다.
볼스크류(143)의 회전에 의해 이동안내블록(144)이 볼스크류(143)를 따라 직선 이동되어 지지로드(130)를 피테스트 패널(P)측으로 이동시킨다.
지지로드(130)의 클램프(131)가 피테스트 패널(P)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면, 구동모터(142)의 구동이 정지되어 클램프(131)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P)이 패널 수용부(100)에서 클램핑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로드(130)의 이동안내블록(144)과 볼스크류(143)가 나사 체결되어 지지로드(130)가 정지되는 순간 지지로드(130)는 관성에 의한 유동없이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피테스트 패널(P)이 패널 수용부(100)에 클램핑되면 회동부에 의해 패널 수용부(100)가 경사지게 회동되어 패널의 공급을 대기하게 된다.
(2) 패널 이송과정.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공급부에 피테스트 패널이 공급되면, 캐리어(210)가 피테스트 패널(P)을 패널 테스트부로 이송하기 위하여 클램핑한다. 예컨대, 구동모터(231)를 수동/자동으로 조작하여 무빙플레이트(212)를 이동함으로써 캐리어 암(213)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P)이 클램핑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모터(231)가 구동되면, 볼스크류(232)가 회전하게 되고, 볼스크류(232)의 회전에 의해 이동안내블록(233)이 볼스크류(232)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212)가 이동안내블록(233)과 함께 피테스트 패널(P)측으로 이동되며, 캐리어 암(213)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이 클램핑되면 구동모터(231)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때, 무빙플레이트(212)의 이동안내블록(233)과 볼스크류(232)가 나사 체결되어 무빙플레이트(212)의 정지시 무빙플레이트(212)는 관성에 의한 유동없이 정해진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캐리어(210)에 의한 패널(P)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캐리어(210)는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패널 테스트부로 이송된다.
한편, 패널 이송부(200)에 의해 패널 수용부(100)의 패널이 테스트부로 이송되면, 회동부의 역동작에 의해 패널 수용부(100)가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복귀되어 새로운 패널의 공급을 대기하게 되며, 이어서, 상술한 패널 공급과정에 의해 새로운 테스트용 피테스트 패널을 패널 수용부(100)에 공급한다.
(3) 테스트 과정.
패널 이송부(200)에 의해 피테스트 패널이 테스트부로 이송되면, 후광원이 발광하여 조명을 하게 됨과 동시에 점등 테스트부의 접촉니들과 피테스트 패널의 접촉패드가 접촉한 후, 점등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피테스트 패널 전체에 대한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점등 상태에서 작업자는 피테스트 패널의 점등 상태를 목시 테스트함과 동시에 현미경을 통하여 정밀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작업자는 테스트된 피테스트 패널이 정상상태이면 테스트 컨트롤러를 통하여 정상상태라고 판별 입력하고, 불량상태라고 판별되면 테스트 컨트롤러에 불량상태로 판별 입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로드(130) 및 무빙플레이트(212)가 각각 볼스크류(143,232), 이들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이동되어 대량 위치값을 정확히 컨트롤러에 저장시키고, 앞서 기술한 것처럼기종 변화된 패널에 자동 대응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패널의 기종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로드(130) 및 무빙플레이트(212)와 볼스크류(143,232)의 연결구조상 이동상태의 지지로드(130) 및 무빙플레이트(212)가 정지하는 순간 종래와 같이 관성에 의한 흔들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캐리어 암(213)이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피테스트 패널(P)에 접촉될 때 종래와 같이 피테스트 패널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피테스트 패널(P)로 엘시디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는 엘시디 패널용 테스트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패널 등 모든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테스트장치에 의하면, 기종 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장비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지로드와 캐리어 암이 정지되는 순간 관성에 의한 유동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피테스트 패널을 파손없이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암과 피테스트 패널 사이에 충격이 방지되어 피테스트 패널의 파손, 균열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패널 이송장치로서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피테스트 패널(P)을 흡착하여 지지하는 패널 흡착부(120), 상기 패널 흡착부의 둘레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피테스트 패널을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클램프(131)가 구비된 지지로드(130) 및 지지로드를 이송하는 지지로드 이동수단(140)으로 이루어진 패널 수용부(100)를 갖는 패널 공급부와; 상기 피테스트 패널을 테스트하는 테스트부와; 띠 형상의 프레임(211), 상기 프레임의 일측 이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무빙플레이트(212),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테스트 패널을 지지하는 캐리어 암(213)으로 이루어진 캐리어(210) 및 상기 캐리어가 패널 공급부와 패널 테스트부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20)을 갖는 패널 이송부와; 그리고, 테스트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패널 테스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 공급부의 지지로드 이송수단은, 구동모터(142), 상기 지지로드의 이동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볼스크류(143) 및 상기 지지로드에 고정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로드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블록(1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 이송수단은, 구동모터(23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볼스크류(232) 및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블록(2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테스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 이송수단의 구동모터와 볼스크류는 나란히 배치되며서 벨트(145)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테스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암은 상기 피테스트 패널측으로 탄력 지지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테스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암은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에 가이드부재(217)를 통해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후방에는 상기 피테스트 패널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테스트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암은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무빙플레이트(214)에 고정되고,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의 일측 이상에는 상기 제2무빙플레이트를 상기 피테스트 패널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테스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암은 상기 제1무빙플레이트에 에어실린더로 구동되도록 설치되는 제2무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테스트장치.
KR1020030059291A 2003-08-26 2003-08-26 패널 테스트장치 KR10056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91A KR100562586B1 (ko) 2003-08-26 2003-08-26 패널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291A KR100562586B1 (ko) 2003-08-26 2003-08-26 패널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169A KR20050021169A (ko) 2005-03-07
KR100562586B1 true KR100562586B1 (ko) 2006-03-22

Family

ID=3722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9291A KR100562586B1 (ko) 2003-08-26 2003-08-26 패널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5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415B1 (ko) * 2010-05-14 2011-05-20 (주)인벤티홀딩스 무한 연결형 단축 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88B1 (ko) * 2008-05-02 2009-08-20 (주)유비프리시젼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용 워크테이블의 다규격 패널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415B1 (ko) * 2010-05-14 2011-05-20 (주)인벤티홀딩스 무한 연결형 단축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169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281B1 (ko) 외팔보 패널 이송장치
KR100784274B1 (ko) 표시용 패널의 검사장치
KR100598277B1 (ko) 표시 패널의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616564B1 (ko) 프로브 이동장치
CN113552468B (zh) 一种pcb板的质量检测使用方法
KR100625510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장치의 패널공급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서브 테이블
KR100562586B1 (ko) 패널 테스트장치
CN208906166U (zh) 一种光学检测设备
KR100562587B1 (ko) 패널 공급장치
KR101839059B1 (ko) 대형 lcd 패널용 오토 프로브의 수직 반송 캐리어
KR100354103B1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수평반송장치
KR100354104B1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KR20180091510A (ko) 디스플레이 셀의 검사 장치
CN109078863B (zh) 一种光学检测设备
KR100358707B1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수직반송장치
KR100562583B1 (ko) 패널 이송장치
JP4849744B2 (ja) 表示用基板の検査装置
CN111220075A (zh) 一种芯片引脚共面性检测装置
KR100562584B1 (ko) 패널 이송장치
KR100358704B1 (ko) 액정디스플레이패널 검사장치의 패널공급장치
CN219592480U (zh) 一种摄像头测试装置
CN211785180U (zh) 一种背光源自动光学检测设备
KR100492638B1 (ko) 점등검사를 위한 액정패널 장전방법 및 그 장전장치
CN111122144B (zh) 一种双工位扭转测试装置
CN211401078U (zh) 一种芯片引脚共面性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