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361B1 - 웨트 시이트 적층체 - Google Patents

웨트 시이트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361B1
KR100673361B1 KR1019990043159A KR19990043159A KR100673361B1 KR 100673361 B1 KR100673361 B1 KR 100673361B1 KR 1019990043159 A KR1019990043159 A KR 1019990043159A KR 19990043159 A KR19990043159 A KR 19990043159A KR 100673361 B1 KR100673361 B1 KR 100673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sheet
wet
sheet
fold lin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883A (ko
Inventor
반도다케시
다나카요시카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7203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7336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28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4Interfolding sheets, e.g. cigarette or toilet pa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2010/428Details of the folds or interfolds of the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트 시이트를 뽑아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를 임의의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속해서 뽑아낼 수 있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서는 하위의 시이트가 상위의 시이트에 밀착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위의 시이트를 뽑아내면 하위의 시이트가 지나치게 돌출하게 된다.
웨트 시이트를 순서대로 상측으로 뽑아낼 수 있게 조합된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있어서, 상위의 웨트 시이트(11a)의 접힘부에서 하측 접힘편(14)이, 하위 웨트 시이트(11b)의 접힘부에서 상측 접힘편(12)이 형성되고, 상위 웨트 시이트(11a)의 접힘부가 하위 웨트 시이트(11b)의 접힘부 내측에 끼워져 웨트 시이트 끼리 밀착하며, 상위 웨트 시이트(11a) 접힘부의 접힘선(16)과, 하위 웨트 시이트(11b) 접힘부의 접힘선(15) 사이에 간격(45)이 비워져 있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는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11b)의 돌출량을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트 시이트 적층체{WET SHEET LAMINATES}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의 웨트 시이트를 접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웨트 시이트의 조합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제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5의 웨트 시이트를 꺼내는 과정의 설명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의 다른 실시 형태의 웨트 시이트의 접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웨트 시이트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웨트 시이트
12 : 웨트 시이트의 상측 접힘편
13 : 웨트 시이트의 중간면
14 : 웨트 시이트의 하측 접힘편
15 : 상측 접힘선
16 : 하측 접힘선
17 : 웨트 시이트의 상측 단부
18 : 웨트 시이트의 하측 단부
30 : 웨트 시이트 적층체
35 : 용기
36 : 취출구
45 : 간격
46 : 돌기부
46a : 공극
본 발명은 웨트 시이트를 뽑아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를 임의의 길이로 돌출시킬 수 있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웨트 티슈나 웨트 타올 등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는 미사용시 또는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에 습윤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밀봉하여 수납한다. 이러한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있어서는, 용기 또는 포장체에 설치된 취출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뽑아낼 수 있도록, 접어 포개진 복수의 웨트 시이트가 상하로 조합되고, 또한 서로 겹쳐진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있다. 취출구에 위치하는 상위의 웨트 시이트를 뽑아내면, 다음에 연속하는 하위 웨트 시이트의 상단부가 용기의 취출구로부터 돌출한다.
이 때, 웨트 시이트는 액체를 함침시킨 상태로 서로 조합되어 있기 때문에, 시이트 끼리는 액체를 개재시켜 면 접촉하고 있고, 이 시이트 사이의 액체 표면 장력이 시이트 사이에 강한 밀착력(결합력)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상위의 웨트 시이트를 뽑아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상단부만을 돌출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에 있어서 상측의 웨트 시이트가 밀착하고 있는 부분의 전부, 즉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상단부 뿐만 아니라 그 밖의 부분까지가 상측의 웨트 시이트에 밀착한 상태로 취출구로 꺼내지게 된다. 따라서,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이 과잉되는 경우가 있었다.
웨트 시이트의 취출구로부터의 돌출량이 길면, 용기 또는 포장체에 통상 설치되어 있는 취출구를 덮는 덮개의 면적 내에 시이트의 돌출부가 수납되지 않게 되어 덮개로부터 밀려 나오는 부분이 생긴다. 그리고, 이 밀려 나와 있는 부분의 웨트 시이트는 건조되어 버린다. 또한, 웨트 시이트가 덮개로부터 밀려 나오면 덮개를 확실하게 닫을 수 없게 되고, 용기 또는 포장체 내의 밀폐도가 저하되어 내부의 웨트 시이트도 건조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위의 웨트 시이트를 꺼내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하위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과제 및 목적은 상위의 웨트 시이트와 하위의 웨트 시이트를 순 서대로 상측으로 뽑아낼 수 있도록 조합된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있어서,
상위 웨트 시이트는 접힘부에서 하측으로 접혀 하측 접힘편을 형성하고,
하위 웨트 시이트는 접힘부에서 상측으로 접혀 상측 접힘편을 형성하며,
상위 웨트 시이트의 상기 접힘부가 하위 웨트 시이트의 접힘부 내측에 끼워져 상위 웨트 시이트와 하위 웨트 시이트가 밀착하고,
상위 웨트 시이트의 접힘부의 접힘선과, 하위 웨트 시이트 접힘부의 접힘선 사이에 간격이 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의해 달성된다. 이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서는, 상위 웨트 시이트를 꺼내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하위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을 조절하여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위 웨트 시이트의 하측 접힘선 접힘편을 형성하는 접힘부의 접힘선과,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상측 접힘선 접힘편을 형성하는 접힘부의 접힘선과의 간격이 3 mm 내지 8 ㎜가 되도록 각 웨트 시이트를 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량의 조정이 쉬워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시이트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에 도시하는 웨트 시이트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용기에 수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웨트 시이트의 접힘선의 부분 단면 확대도이며, 도 5는 웨트 시이트를 꺼낼 때의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시이트(11)에 대해서 설명하 기로 한다. 도 1의 (a)에 도시한 직사각형 웨트 시이트의 단부를 긴 변 방향의 단부로부터 거의 1/4에 위치하는 접힘선(15, 16)을 따라 각각 반대면 측으로 되접어 꺾어 접힘부를 형성한다. 접어 포개진 웨트 시이트(11)는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거의 Z자형의 형상이 된다. 웨트 시이트(11)의 접힘부에서는, 접힘선(15)과 접힘선(16)을 경계로 하여 상측 접힘편(12)과 하측 접힘편(14)이 형성된다. 이 접힘편(12)과 접힘편(14) 사이에 끼워지는 면을 중간면(13)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웨트 시이트(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장씩 좌우 교대로 중첩된다. 최상위에 있는 웨트 시이트(1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접힘부가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는 웨트 시이트(1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을 형성하는 접힘부의 내측에 끼워진다. 즉, 최상위 웨트 시이트(11a)의 하측 접힘선(16)이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는 웨트 시이트(11b) 접힘부의 상측 접힘선(15)을 형성하는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의 내측에 끼워진다.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의 웨트 시이트가 순서대로 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트 시이트 적층체(30)를 얻는다. 이 적층체(30)는 예컨대 50장이나 100장 등, 다수의 웨트 시이트를 조합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측에 취출구(36)를 설치한 용기(35)에 수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의 최상위 웨트 시이트(11a)의 하측 접힘선(16)과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의 상측 접힘선(15)의 조합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최상위 웨트 시이트(11a)의 하측 접힘선(16)과,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의 상측 접힘선(15) 사이에 간격(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와 같이, 상위 웨트 시이트(1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하측 접힘선(16)이,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11b)의 상측 접힘선(15)을 형성하는 접힘편(12)과 중간면(13)을 형성하는 접힘선(15)으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 측으로 벗어나도록 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웨트 시이트 적층체(30)에 있어서, 취출구(36)가 설치되어 있는 상측으로부터 순차 웨트 시이트가 1장씩 뽑아진다. 이하에서는 웨트 시이트를 뽑아낼 때의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위의 웨트 시이트(11a)를 취출구(36)로부터 꺼낼 때의 상태를 제시한 것이다. 적층된 웨트 시이트는 액체를 통해 서로 면 접촉하고 있지만, 그 개재하는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해 웨트 시이트 끼리 상당히 강하게 밀착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를 취출구로부터 꺼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 사이에 돌기부(46)가 형성된다. 상술하면,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와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가 면 접촉하고 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접힘선(16)이 직선형으로 신장했을 때, 간격(45) 분만큼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에 느슨함이 생김으로써 돌기부(46)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6)의 내측에는 공극(46a)이 형성되기 쉽다. 공극(46a)이 형성되면, 공극(46a)에 있어서 웨트 시이트 사이에 공기가 개재되어 웨트 시이트 끼리의 밀착이 이 공극(46a) 부분으로부터 더욱 박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를 꺼낼 때, 그것에 밀착한 상태로 꺼내어 지는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는 돌기부(46) 부분에서 분리되기 쉽게 된다.
또한 취출구(36)의 개구 폭을 비교적 짧게 해 두면, 웨트 시이트(11a)를 꺼낼 때 상기 돌기부(46)가 취출구(36)의 저항을 강하게 받기 쉬워진다. 따라서,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는 상측 접힘편(12)이 취출구(36)로부터 돌출한 시점에서, 돌기부(46)가 취출구(36)에서 저항을 받아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와 분리되고,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만이 꺼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를 꺼내면, 두 번째 웨트 시이트(11b)의 상측 접힘편(12)이 돌출되고, 돌기부(46)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은 용기 내에 남겨진다. 그리고,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11a)만을 확실하게 손에 쥘 수 있다. 따라서, 상위에 있는 웨트 시이트를 꺼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일이 없고, 또한 돌출량이 안정되기 때문에, 취출구(36)로부터 돌출하는 웨트 시이트가 건조되는 경우가 적고, 나아가서는 외관적인 면에서 좋다. 용기(35)에 취출구(36) 주위를 덮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취출구(36)로부터 돌출한 웨트 시이트가 닫혀진 덮개 면적 내에 수납되기가 쉽고, 취출구(36)를 덮개로 밀봉하기 쉽다.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 조절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웨트 시이트 중에서 뽑아 내어지는 웨트 시이트의 하측 접힘선과,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상측 접힘선과의 간격(45)이 3 mm 내지 8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정도이다.
또한, 취출구(36)는 돌기부(46)에 저항을 부여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취출구(36)의 개구 폭은 웨트 시이트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구(36)는 상위 웨트 시이트를 꺼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가 상위의 웨트 시이트에 질질 끌려 필요 이상으로 취출구(36)로부터 꺼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위 저항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시이트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그 웨트 시이트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의 (a)에서는, 직사각형 웨트 시이트의 단부를, 긴 변 방향의 단부로부터 거의 1/5에 위치하는 접힘선(15)과, 단부로부터 거의 2/5에 위치하는 접힘선(16)을 따라 각각 반대면 측으로 되접어 꺾어 접힘부를 형성한다. 얻어진 웨트 시이트(21)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된 Z자형의 형상이 된다. 웨트 시이트(21)의 접힘부에서는, 접힘선(15, 16)을 경계로 하여 상측 접힘편(12)과 하측 접힘편(14)이 형성된다. 이 접힘편(12)과 접힘편(14) 사이에 끼워지는 면을 중간면(13)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웨트 시이트(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장씩 좌우 교대로 중첩된다. 최상위에 있는 웨트 시이트(2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접힘부의 하측 접힘선(16)이,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하는 웨트 시이트(21b) 접힘부의 상측 접힘선(15)을 형성하는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과 내측에 끼워진다. 또한, 웨트 시이트(21)의 하측 접힘편(14) 전면이 그 중간면(13)과 반드시 면 접촉하도록 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위 웨트 시이트(21a)의 하측 접힘선(16)과, 하위 상측 접힘선(15)과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이 비워지도록 하여 복수의 웨트 시이트를 순서대로 조합해서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얻는다.
취출구로부터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21a)를 단부(17) 부분을 잡고 꺼낼 때, 도 3에 도시한 웨트 시이트 적층체(30)와 같이 하위 웨트 시이트의 상측 접힘선(15) 부분에 돌기부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내에는 공극이 형성되고, 이 부분에서 웨트 시이트 끼리 분리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21a)를 꺼낼 때, 그것에 밀착한 상태로 꺼내어지는 두 번째 웨트 시이트(21b)는 돌기부(46) 부분에서 분리되기 쉽고, 또한 취출구(36)에 의한 저항도 강하게 받기 쉬워진다. 따라서, 두 번째 웨트 시이트(21b)는 상측 접힘편(12)이 취출구(36)로부터 돌출한 시점에서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21a)와 분리되어, 최상위의 웨트 시이트(21a)만이 꺼내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서는,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을 웨트 시이트 폭 치수의 거의 1/5로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웨트 시이트(11, 21)는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종이이다.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습윤 강도가 높은 스판 레이스 부직포이다. 웨트 시이트(11)의 크기는 사용 목적이나 용기 또는 포장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크기가 달라진다. 웨트 시이트(11, 21)에는 물, 알콜, 보습제, 계면활성제, 향료, 방부제, 방미제 등이 함침되어 있다.
용기(3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비교적 경질의 것이다. 취출구(36)에는, 돌출한 웨트 시이트를 건조시키지 않기 위해, 용기 전체를 밀봉할 수 있도록 덮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의 용기(35) 대신에 불투액성의 필름으로 형성되는 포장체를 이용하여 웨트 시이트 적층체를 수납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가 수납된 포장체를 더욱 경질의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소위 리필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있어서는, 웨트 시이트의 접힘선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그 돌출량을 용도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접힘부, 즉 접힘선의 위치는 단부로부터 1/4이나 1/5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예컨대, 1/3이나 1/6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웨트 시이트를 네 부분 내지 다섯 부분으로 접어 포개서, 그 웨트 시이트를 조합하여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트 시이트 적층체는 웨트 시이트 끼리 강하게 밀착하고 있어도, 웨트 시이트를 꺼냈을 때 다음에 연속하는 웨트 시이트의 돌출량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 장의 웨트 시이트가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수납되어 용기 또는 포장체의 취출구로부터 순서대로 상측으로 자유롭게 뽑아내도록 조합된 웨트 시이트 적층체에 있어서,
    각각의 웨트 시이트는, 그의 변과 평행한 제1 접힘선과 제2 접힘선에서 접혀지고, 제1 접힘선과 제2 접힘선 사이에 끼워진 중간면과, 제1 접힘선을 통해 상기 중간면의 상측으로 되접어 꺾인 상측 접힘편과, 제2 접힘선을 통해 상기 중간면의 하측으로 되접어 꺾인 하측 접힘편을 지니고,
    상기 중간면과 상기 하측 접힘편이 동일한 크기이며, 상측 접힘편이 상기 중간면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고,
    상위 웨트 시이트의 제2 접힘선이 하위 웨트 시이트의 중간면과 상측 접힘편 사이에 끼워져 상위 웨트 시이트의 중간면과 하위 웨트 시이트의 상측 접힘편이 밀착하고, 또한 상위 웨트 시이트의 하측 접힘편과 하위 웨트 시이트의 중간면이 밀착하도록 각각의 웨트 시이트가 중첩되고 있고,
    상위 웨트 시이트의 제2 접힘선이 하위 웨트 시이트의 제1 접힘선의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위 웨트 시이트의 제2 접힘선과 하위 웨트 시이트의 제1 접힘선 사이에 간격이 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시이트의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힘선은 웨트 시이트 변의 한쪽 단부로부터 변 전체 길이의 1/5 만큼 내측으로 위치해 있고, 상기 제2 접힘선은 상기 변의 다른쪽 단부로부터 변 전체 길이의 2/5 만큼 내측으로 위치해 있는 웨트 시이트의 적층체.
KR1019990043159A 1998-10-09 1999-10-07 웨트 시이트 적층체 KR100673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87678 1998-10-09
JP28767898A JP3730030B2 (ja) 1998-10-09 1998-10-09 ウェットシートの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883A KR20000028883A (ko) 2000-05-25
KR100673361B1 true KR100673361B1 (ko) 2007-01-24

Family

ID=1772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159A KR100673361B1 (ko) 1998-10-09 1999-10-07 웨트 시이트 적층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299016B1 (ko)
EP (1) EP0992210B1 (ko)
JP (1) JP3730030B2 (ko)
KR (1) KR100673361B1 (ko)
CN (1) CN1119114C (ko)
AU (1) AU746977B2 (ko)
BR (1) BR9904487A (ko)
CA (1) CA2282131C (ko)
DE (1) DE69917727T2 (ko)
ID (1) ID26002A (ko)
MY (1) MY122457A (ko)
SG (1) SG84548A1 (ko)
TW (1) TW39826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0105B2 (ja) * 2000-10-04 2005-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包装体
US6595386B2 (en) * 2001-09-27 2003-07-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ing
US6753058B2 (en) * 2001-10-23 2004-06-22 Sca Hygiene Products Ab Pile of hygiene- or wiping material
US20050011906A1 (en) * 2003-07-15 2005-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product
US7125457B2 (en) * 2003-12-31 2006-10-2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removing oxide from cracks in turbine components
US8757432B2 (en) * 2004-11-12 2014-06-24 Sca Tissue North America Llc Top-dispensing absorbent sheet dispenser
US20090236952A1 (en) * 2008-02-19 2009-09-24 Michael De Giulio Paper towel construction and dispenser
MX2011001995A (es) * 2008-08-28 2011-05-25 Georgia Pacific Consumer Prod Material en hoja plegado y agrupacion de materiales en hoja plegados.
JP5484978B2 (ja) * 2009-07-03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の製造方法、及び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の製造装置
MY163391A (en) * 2011-05-18 2017-09-15 Procter & Gamble Kit for assessing the fragrance intensity of a fabric care product
AU2011373054B2 (en) * 2011-07-13 2015-06-1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Stack of interfolded hygiene products
US11071419B2 (en) * 2017-04-28 2021-07-27 Novex Products Incorporated Tabbed easy sliding interfolded dispenser napkin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964A (en) * 1978-08-10 1980-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for a pop-up type sheet product dispensing package having a restrictive dispensing orifice
US4221304A (en) * 1978-10-16 1980-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and method for a pop-up type dispensing packaging for interleaved pre-moistened sheets
US4725469A (en) * 1987-02-17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folded multi-panel clip
JPH0889439A (ja) * 1994-09-22 1996-04-09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の重畳構造
EP0555577B1 (en) * 1992-02-11 1997-07-30 G.H. Wood + Wyant Inc. Dispenser for folded paper towels
EP0747313B1 (en) * 1994-01-26 1998-05-06 Katsu Yoneyama Multiple folded paper for continuous disposal
KR20010012921A (ko) * 1997-05-23 2001-02-26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습식 닦음재를 위한 접힘 및 적층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0709A (en) 1922-10-03 Paper package and process of forming same
US2772021A (en) * 1952-01-16 1956-11-27 Richard C Kettles Towel dispensing device
US3207360A (en) 1961-07-28 1965-09-21 Scott Paper Co Sheet packaging arrangements
US3679095A (en) * 1970-06-01 1972-07-25 Kimberly Clark Co Folded sheet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4181225A (en) * 1972-02-22 1980-01-01 Salva S.A. Wet-tissue pack
US4138034A (en) * 1976-08-05 1979-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 for discrete pre-moistened interleaved sheets and the pop-up dispensing thereof
US4638921A (en) * 1985-09-16 1987-01-27 Kimberly-Clark Corporation Device for dispensing individual sheets from an array of stacked sheets
US5868276A (en) * 1997-05-14 1999-02-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sheet material web and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e
JP3821587B2 (ja) 1998-08-31 2006-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積層体及びこれが収納された製品
JP3838788B2 (ja) * 1998-09-04 2006-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積層体並びにこれが収納された製品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964A (en) * 1978-08-10 1980-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for a pop-up type sheet product dispensing package having a restrictive dispensing orifice
US4221304A (en) * 1978-10-16 1980-09-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and method for a pop-up type dispensing packaging for interleaved pre-moistened sheets
US4725469A (en) * 1987-02-17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folded multi-panel clip
EP0555577B1 (en) * 1992-02-11 1997-07-30 G.H. Wood + Wyant Inc. Dispenser for folded paper towels
EP0747313B1 (en) * 1994-01-26 1998-05-06 Katsu Yoneyama Multiple folded paper for continuous disposal
JPH0889439A (ja) * 1994-09-22 1996-04-09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の重畳構造
KR20010012921A (ko) * 1997-05-23 2001-02-26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습식 닦음재를 위한 접힘 및 적층 구조
KR20010012777A (ko) * 1997-05-23 2001-02-26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습식 닦음재를 위한 접힘 및 적층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356599A (en) 2000-04-13
BR9904487A (pt) 2000-09-12
SG84548A1 (en) 2001-11-20
CN1250640A (zh) 2000-04-19
MY122457A (en) 2006-04-29
CN1119114C (zh) 2003-08-27
TW398268U (en) 2000-07-11
EP0992210A2 (en) 2000-04-12
ID26002A (id) 2000-11-16
JP2000107071A (ja) 2000-04-18
CA2282131C (en) 2005-02-22
EP0992210A3 (en) 2001-01-31
KR20000028883A (ko) 2000-05-25
DE69917727D1 (de) 2004-07-08
CA2282131A1 (en) 2000-04-09
AU746977B2 (en) 2002-05-09
JP3730030B2 (ja) 2005-12-21
EP0992210B1 (en) 2004-06-02
US6299016B1 (en) 2001-10-09
DE69917727T2 (de)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359B1 (ko)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KR100673361B1 (ko) 웨트 시이트 적층체
KR100673360B1 (ko) 웨트 티슈의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JP6277177B2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100673358B1 (ko) 물티슈 적층체와 이것이 수납된 제품
US4181225A (en) Wet-tissue pack
JP4094466B2 (ja) 開閉フラップを備えたフィルム包装体
JP2000159223A (ja) 開口維持構造付き上蓋カートン
US20170057698A1 (en) Bag
JP3124191B2 (ja) ウェットティシュー詰め替え容器
KR200412593Y1 (ko) 미용팩의 수납구조
JPH10262855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7248452B2 (ja) シート包装体
KR100627206B1 (ko) 박형 내용물용 용기
JP2022070173A (ja) 包装箱及び包装体
JP2654759B2 (ja) 懐 紙
US1247239A (en) Waterproof package.
JPS5914376Y2 (ja) 携帯用袋入ぬれテイツシユ−
JP2000128157A (ja) 蓋付き包装箱
JP2017105535A (ja) 貼箱
KR20160119349A (ko) 농산물용 포장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