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359B1 -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 Google Patents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359B1
KR100673359B1 KR1019990033781A KR19990033781A KR100673359B1 KR 100673359 B1 KR100673359 B1 KR 100673359B1 KR 1019990033781 A KR1019990033781 A KR 1019990033781A KR 19990033781 A KR19990033781 A KR 19990033781A KR 100673359 B1 KR100673359 B1 KR 100673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folded
wet
tissu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337A (ko
Inventor
반도다케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24Interfolding sheets, e.g. cigarette or toilet pa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2010/428Details of the folds or interfolds of the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12Packaged tow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속해서 빼낼 수 있는 웨트 티슈 적층체에 있어서,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돌출량을 조정하는 것은 어려웠다.
각 웨트 티슈는 한쪽 단부가 중앙부를 향해서 되접어지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한쪽 단부의 되접힘 방향과 반대측에서 또 중앙부를 향해서 되접어지며, 상기와 같이 되접힌 2개의 접힘편(12,14)과 그 사이의 중간면(13)을 지니고, 상위의 웨트 티슈(1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되접힘부(16)가 다음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 사이에 끼워져서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형성한다. 웨트 티슈를 한장 빼내면, 다음 웨트 티슈의 돌출량을 웨트 티슈의 약 1/4 이하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WET TISSUE LAMINATE AND ARTICLE CONTAINING THE SAME}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의 웨트 티슈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웨트 티슈의 조합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웨트 티슈 제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웨트 티슈 제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웨트 티슈 적층체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웨트 티슈를 잡아 빼내는 과정의 설명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 웨트 티슈 적층체의 다른 실시 형태의 웨트 티슈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웨트 티슈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웨트 티슈 제품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웨트 티슈 제품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 11은 웨트 티슈의 돌출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2의 (a), (b), (c)는 종래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티슈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의 (a), (b)는 종래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티슈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종래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웨트 티슈
12 :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
13 : 웨트 티슈의 중간면
14 :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
15, 16 : 되접힘부
17 : 웨트 티슈의 상측 단부
18 : 웨트 티슈의 하측 단부
30, 31, 32 : 웨트 티슈 적층체
35 : 용기
36 : 취출구
40 : 밀착력이 낮은 면
41 : 밀착력이 높은 면
45 : 간격
46 : 돌기부
46a : 공극
50, 51, 52, 53, 54, 55 : 맞댐부
본 발명은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수용되는 웨트 티슈 적층체, 및 그 웨트 티슈 적층체를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수납한 웨트 티슈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웨트 티슈는 미사용시 또는 사용하지 않고 있을 때에 습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밀봉하여 수납된다. 이러한 웨트 티슈에 있어서는 용기 또는 포장체에 설치된 취출구로부터 순차로 연속해서 빼낼 수 있도록, 복수의 웨트 티슈가 상하로 조합하면서, 또한 서로 겹쳐진 부분을 갖도록 적층되어 있다. 최상부에 위치하는 웨트 티슈를 빼내면,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일부가 용기의 취출구로부터 돌출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팝업 방식이라 불리고 있다. 이 팝업 방식의 웨트 티슈 적층체의 종래예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나타낸 종래의 웨트 티슈 적층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한다. 우선,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트 티슈(61A)를 그 중앙선(64)을 접는 선으로 하여 둘로 접어서,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웨트 티슈(61B)를 얻는다. 도 14에서는 웨트 티슈(61B)를 한장씩 좌우 대칭으로 마주보게 하여, 상위 웨트 티슈(61B)의 하측편(63)을 후속되는 웨트 티슈(61B)의 상측편(62)과 하측편(63) 사이에 끼우는 식으로 적층하고 있다.
상위의 웨트 티슈(61B)를 빼내면 그 웨트 티슈(61B)의 하측편(63)의 취출구측에서 겹쳐져 접촉하고 있는 후속되는 웨트 티슈(61B)의 상측편(62)이 함께 취출구측으로 들어 올려져 취출구로부터 잡아 빼내진다. 따라서, 후속되는 웨트 티슈(61B)의 상측편(62)이 취출구로부터 돌출되어, 취출구로부터 순차로 한장씩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4에서는 상하로 조합되어 있는 웨트 티슈에 있어서, 그 단부에서 서로 겹쳐져 있는 면적이 웨트 티슈 1장 면적의 약 절반 정도로 크게 되어 있다. 즉, 상하의 웨트 티슈의 겹치는 면적이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2이기 때문에, 상위의 웨트 티슈를 빼냈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가 취출구로부터 돌출되는 치수는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2로서 매우 길어진다.
웨트 티슈의 취출구로부터의 돌출량이 길면, 용기 또는 포장체에 통상 설치되어 있는 취출구를 덮는 덮개의 면적 내에 티슈의 돌출부가 수습되지 않게 되어, 덮개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부분이 생긴다. 그리고, 이 비어져 나와 있는 부분에 의해 웨트 티슈가 건조되어 버린다. 또한, 웨트 티슈가 덮개로부터 비어져 나오면 덮개를 확실하게 닫을 수 없게 되어 용기 또는 포장체 내의 밀폐도가 저하되므로, 내부의 웨트 티슈도 건조되기 쉽다.
도 15에는 다른 종래예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웨트 티슈 적층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한다. 도 13(a)에 나타내는 웨트 티슈(71A)를 대략 삼등분하는 선(75, 76)을 접는 선으로 하여, 단부를 각각 반대측 면으로 되접어서,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의 웨트 티슈(71B)를 얻는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의 웨트 티슈(71B)의 하측편(72)이 후속되는 웨트 티슈(71B)의 상측편(74)과 중간면(73)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시킨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상하 웨트 티슈의 단부에 있어서 서로 겹쳐져 있는 면적이 웨트 티슈 1장 면적의 대략 1/3이 되기 때문에,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취출구로부터의 돌출량이 도 14에 나타낸 종래예에 비해 줄어든다. 그러나, 웨트 티슈(71B)가 3번 접혀지기 때문에, 여러 장 겹쳤을 때 적층체가 두껍게 되어 버린다.
또한, 일본국 특허 공개 평7-213453호 공보에는 연속해서 빼낼 수 있는 웨트 티슈의 접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접힘 구조를 도 16에 나타낸다. 먼저 도 12(b)에 나타낸 웨트 티슈의 하측편(63)을 되접힘부(65)를 따라서 다시 반으로 접어서, 도 12(c)에 나타내는 웨트 티슈(61C)를 얻는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트 티슈(61C)를 한장씩 좌우 대칭으로 마주보게 하여, 상위 웨트 티슈(61C)의 상측편(62)과 중간면(66)에, 후속되는 웨트 티슈(61C)의 상측편(62)을 끼우는 식으로 적층시킨다.
최상위 웨트 티슈(61C1)를 잡아 빼낼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61C2)의 상측편(62) 우측의 반이 최상위 웨트 티슈(61C1)의 중간면(66)과 함께 취출구로 들어 올려져서 빼내진다. 따라서, 웨트 티슈(61C2)의 상측편(62)의 단부측 반 정도가 취출구로부터 돌출된다. 즉, 이 구성에서는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취출구로부터의 돌출이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4이 되어, 돌출량으로서 적절하게 된다. 또한, 여 러장 겹쳤을 때 적층체가 그다지 두껍게 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6에 나타내는 웨트 티슈 적층체를 구성하는 접힌 웨트 티슈(61C)는, 우선 웨트 티슈의 폭 방향 중앙선(64)에서 접은 후, 다시 하측편(63)만을 되접힘부(65)에서 되접어서 형성시킨다. 따라서, 웨트 티슈(61C)의 폭 방향 중심이, 넓어진 상태의 웨트 티슈(61A) 폭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접히기 전의 웨트 티슈(61A)의 중심과 접힌 후의 웨트 티슈(61C)의 중심이 다르면, 접는 공정에 있어 공급하는 웨트 티슈의 중심을 폭 방향으로 어긋나게 안내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라인 상에서 접힘선을 올바른 위치로 조정하여 안정시키는 것이 어렵고, 또한 시간이 대단히 많이 걸린다.
또한, 접는 공정에 있어서 웨트 티슈의 중심이 틀어지기 쉽고, 그 결과 중앙선(64), 또는 되접힘부(65)의 위치가 틀어지기 쉽다. 이와 같이 접힘 선 치수의 어긋남이 생기면, 도 16에 있어서 상하 웨트 티슈의 겹치는 부분이 정확하게 1/4이 되지 않고, 따라서 취출구로부터 웨트 티슈의 돌출량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또한, 도 16에 제시된 적층체에 있어서, 상위 웨트 티슈의 되접힘부(65)와 하위 웨트 티슈의 되접힘부(65)가 겹쳐지는 상태가 발생하여, 그 결과 적층체의 중앙부가 두껍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돌출량이 적은 웨트 티슈의 적층체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돌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는 웨트 티슈 적층체 및 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과제 및 목적은,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연속해서 빼낼 수 있는 형태로 수납되는 웨트 티슈 적층체로서, 각 웨트 티슈는 한쪽 단부가 중앙부를 향해서 되접어지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한쪽 단부의 되접힘 방향과 반대측에서 중앙부를 향해 되접어지며, 되접힌 두개의 접힘편과 그 사이의 중간면을 지니고, 상위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하측 접힘편을 형성하는 되접힘부가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측의 접힘편과 중간면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티슈 적층체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에서는 웨트 티슈를 상측 접힘편으로부터 잡아 빼냈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를 취출구로부터 확실하게 돌출시키고, 또한 돌출되는 양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에서는 웨트 티슈의 각 접힘편의 접는 폭 치수가 모두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웨트 티슈를 상측의 접힘편으로부터 잡아 빼냈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취출구로부터의 돌출량이 웨트 티슈의 폭 치수의 대략 1/4이 되어 돌출량으로서 적절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에서는 상기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의 접는 폭 치수를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5로 하고, 또한 하측 접힘편의 접는 폭 치수를 티슈 폭 치수의 대략 2/5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웨트 티슈의 돌출량은 웨트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5이 되어 돌출량이 줄어들어 보다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웨트 티슈는 한쪽 면이 다른 웨트 티슈에 대한 밀착력이 낮은 면이고, 다른쪽 면이 다른 웨트 티슈에 대한 밀착력이 높은 면인 경우,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그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이 면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상기 밀착력이 높은 면끼리 서로 대면하도록 각 웨트 티슈의 면 방향이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위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하측 접힘편이 면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밀착력이 높은 면끼리를 서로 대면시키면, 상위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과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중간면이 접촉하고 있는 부분은 밀착력이 낮은 면끼리 대면한다. 이로써, 상위 웨트 티슈를 취출구로부터 잡아 빼낼 때 상위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은 그 웨트 티슈의 중간면에 강하게 밀착되고, 또한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용이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만이 취출구로 들어 올려져서 돌출된다. 즉, 웨트 티슈를 잡아 당겼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중간면이 상위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에 밀착되어 취출구로부터 빼내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위 웨트 티슈에 있어서의 중간면과 하측 접힘편을 형성하는 되접힘부가 후속되는 웨트 티슈에 있어서의 상측 접힘편과 중간면을 형성하는 되접힘부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도록 각 웨트 티슈를 조합하여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위 웨트 티슈의 상기 되접힘부와,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기 되접힘부와의 간격이 3∼8 mm가 되도록 각 웨트 티슈를 조합하여 적층체를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는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수납되어 제품으로 판매된다. 용기 또는 포장체에 설치되는 웨트 티슈의 취출구는 웨트 티슈를 용이하게 잡아 빼낼 수 있도록, 접힌 웨트 티슈 면의 중앙 부분에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웨트 티슈 적층체는 상측의 접힘편이 취출구에 대면하도록 하여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웨트 티슈 적층체를 하측 접힘편이 취출구에 대면하도록 하여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수납시켜도 좋다. 취출구측의 웨트 티슈를 잡아 빼내면, 후속되는 웨트 티슈가, 하측 접힘편의 단부는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남은 상태에서 하측 접힘편과 중간면의 거의 반 정도의 양이 취출구로부터 루프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 경우,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돌출량이 더욱 적어진다. 또한, 그 돌출 모양이 보기에도 좋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티슈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웨트 티슈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웨트 티슈(11)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 제시된 장방형의 웨트 티슈의 단부를 장변 방향의 단부로부터 대략 1/4에 위치하는 되접힘부(15,16)를 따라서 각각 반대면 측으로 되접는다. 얻어진 웨트 티슈(11)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략 Z자형의 형상이 된다. 웨트 티슈(11)에서는 되접힘부(15,16)를 경계로 하여 상측편을 접힘편(12), 하측편을 접힘편(14)으로 하고, 그 접힘편(12)과 접힘편(14) 사이에 끼인 면을 중간면(13)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웨트 티슈(1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한장씩 좌우 교대로 겹쳐 중첩시킨다. 최상위에 있는 웨트 티슈(1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되접힘부(16)가 위에서 두번째에 위치하는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의 사이에 끼워진다.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웨트 티슈를 순차로 조합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얻는다. 이 적층체(30)는, 예컨대 50장이나 100장 등 다수의 웨트 티슈를 조합하여 구성한다.
도 3에서는 웨트 티슈 적층체(30)가 웨트 티슈의 취출구(36)를 설치한 용기(35)에 수납되어, 웨트 티슈 제품을 구성하고 있다. 취출구(36)에는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상측 접힘편(12)의 단부(17)가 면하고 있다. 취출구(36)로부터 최상위 웨트 티슈(11a)를, 단부(17) 부분을 집어 잡아 빼낸다. 그렇게 하면, 후속되는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이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중간면(13)과 함께 취출구(36)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상측 접힘편(12)이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0)에서 상위에 있는 웨트 티슈를 상측의 접힘편으로부터 잡아 빼내면, 후속되는 웨트 티슈가 순차적으로 취출구로부터 빼내진다. 이 때에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되는 하위 웨트 티슈의 치수는 상위 웨트 티슈의 중간면(13)에 대하여 취출구측에서 겹쳐져 접촉하고 있는 양과 같아진다. 즉, 상측 접힘편(12)의 폭 치수가 티슈 폭 치수의 약 1/4이라면, 취출구(36)로부터의 돌출량도 대략 1/4이 된다.
이와 같이, 상위에 있는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에,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돌출량이 짧고 게다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되는 웨트 티슈가 건조되는 일이 적고, 또한 겉보기에도 좋다. 또한, 취출구(36)의 주위를 덮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서는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된 웨트 티슈가 닫혀진 덮개의 면적 내에 쉽게 수습되어, 취출구(36)를 덮개로 쉽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웨트 티슈(11)의 접힘편(12)과 접힘편(14)이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4이다. 따라서, 상기 웨트 티슈 적층체(30)에서는 그 전체 높이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수의 웨트 티슈를 전부 2번 접어서 겹쳐 쌓은 것보다도 극단적으로 높아지는 일이 없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용기(35)에 수납된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취출구(36)는 용기(35) 상면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용기(35)에 수납된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구성하는 접힌 웨트 티슈 면의 중앙 부분에 대면하는 위치에 취출구(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취출구(36)로부터 웨트 티슈(11)의 단부(17)가 드러나 있다.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은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제품을 처음으로 사용할 때, 웨트 티슈(11)의 단부(17)가 취출구(36)에 드러나 있기 때문에, 그 단부(17)를 집어서 웨트 티슈(11)를 상측 접힘편에서부터 용이하게 잡아 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0)의 제조 공정에서는 긴 띠 모양의 종이재를 연속 공급하고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접는다. 이 띠 모양의 종이재는 여러 장을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조합한 후에, 개개의 적층체(30) 길이로 절단한다.
일반적으로, 3번 접는 웨트 티슈, 예컨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웨트 티슈 적층체는 제조시의 절곡 가공에 있어서 치수에 이상이 생기기 쉽다. 그에 비하여,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구성하는 웨트 티슈(11)는, 접기 전의 웨트 티슈의 중심과 접은 후의 웨트 티슈(11)의 중심이 일치한다. 중앙선이 접히기 전후에 변함이 없기 때문에, 접는 공정으로의 종이재의 공급 경로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고, 블레이드에 의해 절곡부를 정확하면서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절곡시의 치수가 정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0)는 종래의 3번 접는 웨트 티슈 적층체에 비해서 제조 방법이 간단하고, 또한 얻어지는 적층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된다. 즉, 단부에 있어서 겹쳐지는 면적을 대략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돌출량의 변동이 적다.
그런데, 적층된 웨트 티슈는 액체를 매개로 서로 면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그 개재하는 액체의 표면 장력에 의해 웨트 티슈끼리는 상당히 강하게 밀착되어 있다. 웨트 티슈가 액체를 개재하여 면접촉할 때의 밀착력(계합력)은 티슈 표면의 면 거칠기, 표면 섬유의 친수도(親水度)나 보수도(保水度)의 차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예컨대, 스판 레이스 부직포에서는 워터 제트(섬유를 교락시키기 위한 수류)가 직접 맞닿은 면은 비교적 매끄러운 평활성이 좋은 면(밀착력, 계합력이 낮은 면)이 되고, 그 이면측의 면은 섬유가 보풀이 일어 평활성이 나쁜 면(밀착력, 계합 력이 높은 면)으로 된다. 이것은 습식 초지 공정에 의해 초지된 웨트 티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초지 공정에 있어서 둥근 망에 면하는 쪽이 거친 면(밀착력, 계합력이 높은 면)으로 된다.
또한, 예컨대 웨트 티슈를 구성하는 부직포는, 소수성 섬유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층과, 친수성 섬유가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층을 갖는 부직포 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소수성 섬유가 많이 배치되는 면은 수분을 유지하기 어렵고, 따라서 액의 표면 장력에 의한 밀착성이 저하되어 접촉하고 있는 다른 면에 대하여 비교적 밀착력(계합력)이 낮은 면이 된다. 그 이면에는 친수성 섬유가 많이 배치되지만, 이 면은 수분을 쉽게 유지할 수 있고 액의 표면 장력에 의해 밀착이 생기기 쉬워서, 접촉하고 있는 다른 면에 대하여 밀착력(결합력)이 높은 면이 된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밀착력이 높은 면(도 2에 실선으로 도시된 면; 부호 41)과 밀착력이 낮은 면(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된 면; 부호 40)을 갖는 웨트 티슈로 구성하는 경우, 각 웨트 티슈(11)에 있어 중간면(13)과 그 하측 접힘편(14)이 면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밀착력이 높은 면(실선으로 나타낸 면)끼리가 서로 대면하도록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최상위 웨트 티슈(11a)에 있어서의 중간면(13)과 그 하측 접힘편(14)은 맞댐부(50)에 있어서 밀착력이 높은 면(41)끼리 마주보도록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최상위 웨트 티슈(11a)와 이에 이어지는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사이에서는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하측 접힘편(14)과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중간면(13)이 맞댐부(51)에 있어서 밀착력이 낮은 면(40)끼리 접촉하고 있다. 이하,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웨트 티슈(11)가 적층되어 있고, 맞댐부(50, 52, 54)에 있어서의 웨트 티슈끼리의 밀착력은 맞댐부(51, 53, 55)에 있어서의 밀착력보다 강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최상위 웨트 티슈(11a)를 잡아 빼냈을 때, 맞댐부(50)보다도 맞댐부(51) 쪽이 웨트 티슈끼리 분리되기 쉽다. 따라서,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하측 접힘편(14)은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중간면과 용이하게 분리되고, 또한 웨트 티슈(11a)의 중간면(13)에 밀착된 상태로 취출구(36)로부터 잡아 빼내어진다. 그 때문에,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만이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중간면(13)과 함께 들어 올려져 취출구(36)로부터 빼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하면, 상위의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에,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12)만이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되고, 그 돌출량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일이 없으며 또한 안정적이다. 또한, 상위의 웨트 티슈와 후속되는 웨트 티슈는 밀착력이 낮은 면(40)(파선으로 나타낸 면)끼리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위의 웨트 티슈 전체가 취출구로부터 빼내어진 시점에서 하위의 웨트 티슈와 비교적 용이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웨트 티슈를 빼낼 때의 저항력이 작고,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에 용기(35)가 함께 들어 올려지는 것과 같은 일이 없다.
단, 웨트 티슈 면의 안과 겉 양면 모두에 밀착력 및 계합력이 낮은 부직포를 사용하면, 이상과 같은 밀착력의 차이를 고려한 조합을 고려하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3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로서, 외측의 2개 층에는 소수성 섬유가 비교적 많이 배합되어 있는 부직포를, 중간 층에는 친수성 섬유가 비교적 많이 배합되어 있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직포를 이용하면, 웨트 티슈의 접촉면과 면 사이에 개재된 수분이 소수성 섬유의 존재에 의해 적어지기 때문에, 웨트 티슈의 양면에 있어서 물의 표면 장력에 의한 웨트 티슈면끼리의 밀착력(계합력)이 비교적 약해진다. 따라서, 최상위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 그 중간면(13) 중 취출구측에 겹쳐져 접촉하고 있는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만이 취출구측으로 들어 올려져 돌출되고, 그 이외의 부분은 취출구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3층 구조의 부직포 대신에, 부직포의 안과 겉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상하 웨트 티슈의 면과 면의 접촉에 있어서, 표면의 요철 존재에 의해 면과 면 사이에 공기가 들어가기 쉽고, 물의 개재에 의한 표면 장력이 저하됨으로써 웨트 티슈끼리의 밀착력이 저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의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되접힘부(16)와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되접힘부(15)의 조합 부분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최상위 웨트 티슈(11a)의 되접힘부(16)와,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되접힘부(15) 사이에 간격(4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위 웨트 티슈(1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되접힘부(16)가 후속되는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을 형성하는 되접힘부(15)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측으로 떨어지도록 조합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상위 웨트 티슈(11a)를 취출구(36)로부터 잡아 뺄 때 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와 하위에서 겹쳐진 웨트 티슈의 되접힘부 사이에 간격(45)을 설치한 경우에는, 최상위 웨트 티슈(11a)를 취출구로부터 잡아 빼낼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 사이에 돌기부(46)가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최상위 웨트 티슈(11a)와 두번째 웨트 티슈(11b)가 면접촉하고 밀착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절곡부가 직선형으로 뻗었을 때, 간격(45) 분만큼 두번째 웨트 티슈(11b)에 느슨함이 생김으로써 돌기부(46)가 형성된다.
이 경우, 최상위 웨트 티슈(11a)에 밀착된 상태로 잡아 당겨지는 두번째 웨트 티슈(11b)는 돌기부(46) 부분에서 취출구(36)의 저항을 강하게 받는다. 또한, 돌기부(46)의 내측에 공극(46a)이 형성되기 쉽다. 돌기부(46)가 취출구(36)로부터 저항을 받는 것과, 공극(46a)에 있어서 웨트 티슈 사이에 공기가 개재하여 젖은 상태에서의 밀착이 이 공극(46a) 부분에서부터 박리되는 것이 쉬워진다. 이에 따라, 상하의 웨트 티슈가 쉽게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두번째 웨트 티슈(11b)의 상측 접힘편(12)이 돌출되고, 나머지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은 용기내에 남는다. 그리고, 최상위 웨트 티슈(11a)만을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되접힘부 사이의 간격(45)은 3∼8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m 정도이다.
이와 같이 하여 되접힘부 사이에 간격을 설치하면, 상하 웨트 티슈의 분리가 용이하고, 취출구(36)로부터 웨트 티슈의 돌출량도 확실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에 있어서 되접힘부 사이에 간격(45)을 설치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트 티슈의 밀착력이 높은 면(41)과 낮은 면(40)의 조합을 조정하지 않더라도 상하 티슈 사이의 분리가 좋아진다.
또한, 되접힘부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키는 경우, 취출구(36)는 돌기부(46)에 저항을 부여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취출구(36)의 개구 폭은 웨트 티슈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취출구(36) 주위의 형상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취출구(36)는, 상위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가 상위의 웨트 티슈에 끌려서 필요 이상으로 취출구(36)로부터 빼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소위 저항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도 7의 (a),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웨트 티슈 적층체를 구성하는 웨트 티슈의 접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그 웨트 티슈의 조합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웨트 티슈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에서는, 장방형 웨트 티슈의 단부를, 장변 방향의 단부로부터 대략 1/5에 위치하는 되접힘부(15)와, 단부로부터 대략 2/5에 위치하는 되접힘부(16)를 따라서 각각 반대면 측으로 되접는다. 얻어진 웨트 티슈(21)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변형된 Z자형의 형상으로 된다. 웨트 티슈(21)에서는 되접힘부(15,16)를 경계로 하여 상측편을 접힘편(12), 하측편을 접힘편(14)으로 하고, 그 접힘편(12)과 접힘편(14) 사이에 끼인 면을 중간면(13)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 웨트 티슈(2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한장씩 좌우 교대로 겹쳐 쌓는다. 최상위에 있는 웨트 티슈(21a)의 중간면(13)과 하측 접힘편(14)을 형성하는 되접힘부(16)가, 위에서 두번째에 위치하는 웨트 티슈(21b)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웨트 티슈(21)의 하측 접힘편(14)의 전면이 그 중간면(13)과 반드시 면접촉하도록 조합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웨트 티슈가 순차로 조합되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웨트 티슈 적층체(31)가 얻어진다.
도 9에서는, 웨트 티슈 적층체(31)가 웨트 티슈의 취출구(36)가 설치된 용기(35)에 수납되어 웨트 티슈 제품을 구성하고 있다. 취출구(36)에는 최상위 웨트 티슈(21a)의 상측 접힘편(12)의 단부(17)가 면하고 있다. 취출구(36)로부터 최상위 웨트 티슈(21a)를 단부(17) 부분을 잡고서 빼낸다. 그렇게 하면, 후속되는 두번째 웨트 티슈(21b)의 상측 접힘편(12)이 최상위 웨트 티슈(21a)의 중간면(13)과 함께 취출구(36)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상측 접힘편(12)이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된다.
이상과 같이, 도 9에 나타내는 웨트 티슈 적층체(31)에서는 웨트 티슈의 돌출량을 웨트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5로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접힌 후의 웨트 티슈의 폭 치수는 티슈 폭 치수의 대략 2/5가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작은 웨트 티슈 제품이 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밀착력이 높은 면(41)과 낮은 면(40)을 갖는 웨트 티슈를 이용하여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1)를 구성하는 경우, 밀착력이 높은 면(41)과 낮은 면(40)을 조정하여, 웨트 티슈에 있어서의 중간면(13) 과 하측 접힘편(14)이 밀착력이 높은 면(41)끼리의 대면이 되도록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확실하게 웨트 티슈의 돌출량을 티슈 폭 치수의 1/5로 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위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이 티슈 폭 치수의 대략 2/5로 길지만,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는 밀착력이 약한 면(40)끼리의 대면이 되기 때문에, 상하의 웨트 티슈가 용이하게 분리되고, 또 그 자신은 중간면(13)과 접힘편(14)이 밀착된 상태에서 취출구(36)로부터 빼내어진다. 따라서, 취출구(36)로부터는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12)만이 돌출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웨트 티슈 적층체(31)에 있어서, 상위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하측 접힘편을 형성하는 되접힘부가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과 중간면을 형성하는 되접힘부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측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도록 하여, 되접힘부 사이에 간격(45)을 형성시켜도 좋다. 이에 따라 밀착력이 높은 면과 낮은 면의 조합을 조정하지 않더라도 돌출량을 대략 1/5로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제품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의 웨트 티슈 제품은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상하 반대로 하여 용기(35)에 수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상하 반대로 용기(35)에 수납된 것을 적층체(32)로 한다. 이 경우, 도 3에 나타낸 적층체(30)에 있어서 가장 하위에 있던 웨트 티슈가 도 10의 웨트 티슈 적층체(32)에 있어서는 취출구(36)에 면하고 있다. 즉, 취출구에 가장 가까운 웨트 티슈(11z)의 접힘편(14)이 취출구(36)에 대면하고 있다. 그리고, 두번째 웨트 티슈(11y)의 접힘편(14)과 중간면(13)을 형성하는 되접힘부(16)가 취출구에 가장 가까운 웨트 티슈(11z)의 상측 접힘편(12)과 중간면(13)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하,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웨트 티슈가 적층되어 있다.
이 웨트 티슈 제품에 있어서, 취출구(36)에 가장 가까운 웨트 티슈(11z)를 취출구(36)로부터 잡아 빼내면, 접힘편(12)이 취출구측으로 들어 올려질 때에, 두번째 웨트 티슈(11y)의 접힘편(14)과 중간면(13)의 대략 좌측 반 정도가 함께 들어 올려져 취출구(36)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18)는 용기(35) 내에 남게 되고, 두번째 웨트 티슈(11y)의 되접힘부(16)가 정점이 되도록 하여, 루프형으로 웨트 티슈가 돌출된다. 이 때, 돌출량은 티슈 폭 치수의 대략 1/4이 된다. 또한, 웨트 티슈가 돌출된 부분은 루프형으로 되어 겉보기에도 좋게 된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웨트 티슈 적층체(32)를 밀착력이 높은 면과 낮은 면을 갖는 스판 레이스 부직포 등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웨트 티슈의 중간면(13)과 접힘편(14)이 면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밀착력이 높은 면(41)끼리 서로 대면하도록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밀착력이 높은 면(41)과 낮은 면(40)의 조합 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웨트 티슈의 적층체(30)와 동일하다.
이 경우, 취출구에 가장 가까운 웨트 티슈(11z)의 중간면(13) 및 접힘편(12)과, 두번째 웨트 티슈(11y)의 접힘편(14) 및 중간면(13)은 밀착력이 낮은 면(40)끼리 대면한다. 또한, 웨트 티슈(11y)의 접힘편(14)과 중간면(13)은 밀착력이 높은 면(41)끼리 대면한다. 따라서, 웨트 티슈(11z)를 잡아 빼냈을 때, 두번째 웨트 티 슈(11y)의 접힘편(14)과 중간면(13)이 밀착한 상태로 취출구(36)로부터 루프형으로 돌출된다. 또한, 웨트 티슈(11z)는 취출구(36)로부터 나온 시점에서 용이하게 웨트 티슈(11y)와 분리된다.
단, 전술한 밀착력이 높은 면과 낮은 면을 갖는 부직포를 이용하는 대신에, 양면 모두 밀착력이 낮은 웨트 티슈를 이용하여 웨트 티슈 적층체(32)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웨트 티슈를 루프형으로 돌출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웨트 티슈의 단부(18)가 용기(35)내에 확실하게 남도록 웨트 티슈의 겹치는 부분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위의 웨트 티슈의 접힘편(12)보다,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접힘편(14)의 길이가 중앙 부분을 향해 길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나타낸 웨트 티슈 적층체(31)에서는 취출구에 가장 가까운 웨트 티슈(11z)의 단부(17) 위치가 두번째 웨트 티슈(11y)의 단부(18) 위치로부터 간격(47)만큼 떨어져 있다. 웨트 티슈(11z)를 잡아 빼내면, 두번째 웨트 티슈(11y)의 접힘편(14)과 중간면(13)은 웨트 티슈(11z)의 단부(17)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부분(굵은 선으로 나타냄)만큼 취출구로부터 돌출된다. 즉, 웨트 티슈(11y)는 단부(18)로부터 간격(47) 부분이 용기 내에 남겨지고, 돌출부는 반드시 루프형으로 된다. 돌출부를 반드시 루프형으로 하기 위해서, 간격(47)의 길이는 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웨트 티슈의 돌출부를 루프형으로 하기 위해서,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웨트 티슈 적층체(31)를 상하 반대로 함으로써, 하측 접힘편이 취출구에 면하 도록 하여 용기에 수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웨트 티슈(11,12)는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종이이다.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습윤 강도가 높은 스판 레이스 부직포이다. 웨트 티슈(11,12)의 크기는, 예컨대 150×200 mm 정도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용기 또는 포장체의 크기에 따라서 크기를 적절하게 바꿀 수 있다. 웨트 티슈(11,12)에는 물, 알콜, 보습제, 계면 활성제, 향료, 방부제, 방미제 등이 함침되어 있다.
용기(35)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로 형성된 비교적 경질의 것이다. 취출구(36)에는 돌출된 웨트 티슈가 건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용기 전체를 밀봉할 수 있도록 덮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질 용기(35) 대신에, 불투액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포장체를 이용하여 웨트 티슈 적층체를 수납해도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가 수납된 포장체를 추가로 경질의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는, 소위 리필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에 있어서는, 절곡시에 제조상의 다소의 변동이 생기는 것이 있더라도 상관없다. 웨트 티슈 적층체(30)를 구성하는 웨트 티슈(11)의 되접힘부는 항상 단부로부터 정확히 1/4 또는 1/5 위치인 것은 아니고, 그 이하 또는 1/4이나 1/5 정도가 되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에 있어서는 되접힘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그 돌출량을 용도에 부합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되접힘부의 위치는 단부로부터 1/4이나 1/5이 아니어도 괜찮다. 예컨대, 1/3이나 1/6에 위치하고 있 어도 좋다. 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웨트 티슈의 돌출량으로서는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되접힘부의 위치가 단부로부터 1/4이나 1/5인 경우에는, 웨트 티슈 적층체에 있어서 웨트 티슈의 각 접힘편이 좌우로 안분(按分)되기 때문에, 적층체의 형태가 가지런하게 되어 보기에도 좋다.
이상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는, 웨트 티슈를 잡아 빼냈을 때 후속되는 웨트 티슈를 확실하게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돌출량을 웨트 티슈의 약 1/4이나 약 1/5 이하 등의 적은 양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적층체는 접힘 선 치수의 변동이 적고, 제품으로서 안정한 것을 공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웨트 티슈 제품은 취출구를 설치하는 장소를 바꿈으로써, 웨트 티슈의 돌출을 루프형으로 할 수 있어 보기에도 좋은 웨트 티슈 제품이 된다.

Claims (8)

  1.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연속해서 빼낼 수 있는 형태로 수납되는 웨트 티슈 적층체로서,
    각 웨트 티슈는, 한쪽 단부가 중앙부를 향해서 되접어지고 다른쪽 단부가 상기 한쪽 단부의 되접힘 방향과 반대측에서 중앙부를 향해 되접어져, 되접힌 두개의 접힘편과 그 사이의 중간면을 가지며,
    상위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하측 접힘편을 형성하는 되접힘부가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과 중간면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웨트 티슈의 상측 접힘편의 접힘 폭 치수가 티슈 폭 치수의 1/5이고, 또한 하측 접힘편의 접힘 폭 치수가 티슈 폭 치수의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티슈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트 티슈의 각 접힘편의 접힘 폭 치수가 모두 티슈 폭 치수의 1/4인 웨트 티슈 적층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웨트 티슈는, 한쪽 면이 다른 웨트 티슈에 대한 밀착력이 낮은 면이고, 다른쪽 면이 다른 웨트 티슈에 대한 밀착력이 높은 면이며, 웨트 티슈의 중간면과 그 웨트 티슈의 하측 접힘편이 면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 상기 밀착력이 높은 면끼리 서로 대면하도록 각 웨트 티슈의 면 방향이 정해져 있는 웨트 티슈 적층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위 웨트 티슈에 있어서 중간면과 하측 접힘편을 형성하는 되접힘부가, 후속되는 웨트 티슈에 있어서의 상측 접힘편과 중간면을 형성하는 되접힘부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는 웨트 티슈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위 웨트 티슈의 되접힘부와, 후속되는 웨트 티슈의 되접힘부의 간격이 3∼8 mm인 웨트 티슈 적층체.
  7.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웨트 티슈 적층체를 수납한 웨트 티슈 제품으로서,
    용기 또는 포장체는 취출구를 갖고 있고,
    웨트 티슈 적층체는 상측 접힘편이 취출구에 대면하도록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티슈 제품.
  8. 용기 또는 포장체 내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웨트 티슈 적층체를 수납한 웨트 티슈 제품으로서,
    용기 또는 포장체는 취출구를 갖고 있고,
    웨트 티슈 적층체는 하측 접힘편이 취출구에 대면하도록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티슈 제품.
KR1019990033781A 1998-08-31 1999-08-17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KR1006733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481398A JP3821587B2 (ja) 1998-08-31 1998-08-31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積層体及びこれが収納された製品
JP98-244813 199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37A KR20000017337A (ko) 2000-03-25
KR100673359B1 true KR100673359B1 (ko) 2007-01-24

Family

ID=1712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781A KR100673359B1 (ko) 1998-08-31 1999-08-17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96390B1 (ko)
EP (1) EP0983739B1 (ko)
JP (1) JP3821587B2 (ko)
KR (1) KR100673359B1 (ko)
CN (1) CN1123317C (ko)
AU (1) AU735523B2 (ko)
BR (1) BR9903965A (ko)
CA (1) CA2280392C (ko)
DE (1) DE69904002T2 (ko)
ID (1) ID24244A (ko)
SG (1) SG78380A1 (ko)
TW (1) TW49230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47002B2 (en) * 1998-03-16 2002-05-09 Abc Tissue Products Pty Limited Towel dispenser
JP3730030B2 (ja) 1998-10-09 2005-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シートの積層体
JP3717331B2 (ja) * 1999-03-30 2005-1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3730105B2 (ja) * 2000-10-04 2005-1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包装体
JP2002160781A (ja) * 2000-11-21 2002-06-04 Uni Charm Corp シート包装体
US6946413B2 (en) 2000-12-29 2005-09-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material with cloth-like feel
US20020132543A1 (en) 2001-01-03 2002-09-19 Baer David J. Stretchable composite sheet for adding softness and texture
US6604651B2 (en) 2001-01-24 2003-08-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orage and dispensing package for wipes
JP3761075B2 (ja) * 2001-05-10 2006-03-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シート収納体
US6595386B2 (en) 2001-09-27 2003-07-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ing
US7176150B2 (en) 2001-10-09 2007-0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ternally tufted laminates
US20030221931A1 (en) * 2002-02-28 2003-12-04 Steve Marsh Sliding device
US6910579B2 (en) 2002-05-28 2005-06-28 Georgia-Pacific Corporation Refillable flexible sheet dispenser
SE0301296D0 (sv) * 2003-05-05 2003-05-05 Sca Hygiene Prod Ab Dispenser
US20050136531A1 (en) * 2003-12-17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substrate with applied chemistry
DE102005004342B4 (de) * 2005-01-25 2015-06-03 Paul Hartmann Ag Anordnung von einer Mehrzahl befeuchteter kosmetischer Pads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342360B2 (en) * 2005-04-22 2013-01-01 Leslie Thomas Long Stack of interfolded sheets
US20070215629A1 (en) * 2006-03-16 2007-09-20 Arthur Wong Sheets having inverting dispensing pattern, dispenser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JP5547534B2 (ja) * 2010-03-31 2014-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ワイプ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9017790B2 (en) 2011-03-02 2015-04-28 Cascades Canada Ulc Absorbent sheet products and method for folding same
MY163391A (en) * 2011-05-18 2017-09-15 Procter & Gamble Kit for assessing the fragrance intensity of a fabric care product
CA2836995C (en) * 2011-07-13 2016-02-02 Sca Hygiene Products Ab Stack of interfolded first and second sheets
CA2937786A1 (en) * 2014-01-27 2015-07-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system for sanitary tissue products
US9226627B2 (en) 2014-03-31 2016-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s container with flexible dispensing orifice
US10743726B2 (en) 2016-01-25 2020-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stack of tissues
KR101847851B1 (ko) 2016-04-29 2018-04-11 이시홍 물티슈 적층 구조
US9844305B1 (en) * 2016-11-29 2017-12-19 Hobokela Jackson Kit of toiletry items
JP6317011B1 (ja) * 2017-04-07 2018-04-25 健二 野口 内包袋収容体
CN113978043B (zh) * 2021-10-23 2024-01-19 郑州维普斯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湿巾自动化生产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964A (en) * 1978-08-10 1980-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for a pop-up type sheet product dispensing package having a restrictive dispensing orifice
US4725469A (en) * 1987-02-17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folded multi-panel clip
JPH0889439A (ja) * 1994-09-22 1996-04-09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の重畳構造
EP0747313A1 (en) * 1994-01-26 1996-12-11 Katsu Yoneyama Multiple folded paper for continuous disposal
EP0555577B1 (en) * 1992-02-11 1997-07-30 G.H. Wood + Wyant Inc. Dispenser for folded paper towels
KR20010012777A (ko) * 1997-05-23 2001-02-26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습식 닦음재를 위한 접힘 및 적층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0709A (en) * 1922-10-03 Paper package and process of forming same
US4181225A (en) * 1972-02-22 1980-01-01 Salva S.A. Wet-tissue pack
US4512476A (en) * 1983-12-29 1985-04-23 Mobil Oil Corporation Plastic bag dispenser
US5531325A (en) * 1992-03-13 1996-07-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o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products packed in a sealed pouch
CA2094630A1 (en) * 1993-01-19 1994-07-20 John Leroy Herzberg Facial tissue pocket pack
US5368188A (en) * 1993-09-17 1994-11-29 Meridian Industries, Inc. Folded product with indicator for facilitating removal
JP3180114B2 (ja) * 1995-03-17 2001-06-25 中村 憲司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US5540332A (en) * 1995-04-07 1996-07-30 Kimberly-Clark Corporation Wet wipes having improved dispensability
JP3183818B2 (ja) 1996-02-29 2001-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ウェットティッシュ積層体
US5964351A (en) * 1996-03-15 1999-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ck of folded wet wipes having improved dispensability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7964A (en) * 1978-08-10 1980-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rter means for a pop-up type sheet product dispensing package having a restrictive dispensing orifice
US4725469A (en) * 1987-02-17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folded multi-panel clip
EP0555577B1 (en) * 1992-02-11 1997-07-30 G.H. Wood + Wyant Inc. Dispenser for folded paper towels
EP0747313A1 (en) * 1994-01-26 1996-12-11 Katsu Yoneyama Multiple folded paper for continuous disposal
EP0747313B1 (en) * 1994-01-26 1998-05-06 Katsu Yoneyama Multiple folded paper for continuous disposal
JPH0889439A (ja) * 1994-09-22 1996-04-09 Daio Paper Corp ウェットティシュの重畳構造
KR20010012777A (ko) * 1997-05-23 2001-02-26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습식 닦음재를 위한 접힘 및 적층 구조
KR20010012921A (ko) * 1997-05-23 2001-02-26 제이콥스 코르넬리스 라세르 습식 닦음재를 위한 접힘 및 적층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0392A1 (en) 2000-02-29
DE69904002D1 (de) 2003-01-02
CN1123317C (zh) 2003-10-08
US6196390B1 (en) 2001-03-06
CA2280392C (en) 2004-12-07
DE69904002T2 (de) 2003-05-08
JP2000070175A (ja) 2000-03-07
JP3821587B2 (ja) 2006-09-13
CN1246317A (zh) 2000-03-08
AU4488899A (en) 2000-03-16
TW492303U (en) 2002-06-21
KR20000017337A (ko) 2000-03-25
ID24244A (id) 2000-07-13
EP0983739A3 (en) 2001-01-03
EP0983739B1 (en) 2002-11-20
EP0983739A2 (en) 2000-03-08
AU735523B2 (en) 2001-07-12
BR9903965A (pt) 2000-09-26
SG78380A1 (en) 2001-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359B1 (ko) 웨트 티슈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KR100673358B1 (ko) 물티슈 적층체와 이것이 수납된 제품
KR100673360B1 (ko) 웨트 티슈의 적층체 및 이것이 수납된 제품
KR100807646B1 (ko) 시트 포장체
JP3730105B2 (ja) シート包装体
KR100673361B1 (ko) 웨트 시이트 적층체
JP5841463B2 (ja) 汚れ拭きシート、汚れ拭きシート包装体、及び汚れ拭き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2160781A (ja) シート包装体
US6745917B2 (en) Sheet package
JP4094466B2 (ja) 開閉フラップを備えたフィルム包装体
US11432688B2 (en) Wet-sheet laminated body, wet-sheet package, and production method for wet-sheet laminated body
RU2782836C2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блок влажных листов, пачка с влажными листами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блока влажных лис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