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2196B1 -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2196B1
KR100672196B1 KR1020050021534A KR20050021534A KR100672196B1 KR 100672196 B1 KR100672196 B1 KR 100672196B1 KR 1020050021534 A KR1020050021534 A KR 1020050021534A KR 20050021534 A KR20050021534 A KR 20050021534A KR 100672196 B1 KR100672196 B1 KR 10067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icroprocessor
regulator
control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968A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멘스 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1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1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integral means to prevent the glass from slipping or tipping-ov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3Underlays for glasses or drinking-vessels

Landscapes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제어유닛의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엔진제어유닛의 전원공급과 연계하여 프로그램 시작을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원을 제공받아 다수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제공 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장품이 동작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제1 전압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전압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시키는 단계; c)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전압 보다 큰 제2 전압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전압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장품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이 제2 전압으로 안정화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레귤레이터의 불안정한 전원 공급으로 인해 발생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오작동으로 인한 전장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전장품, 엔진제어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Description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method of program start up control depend on power supplying status in Engine controll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이 적용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 레귤레이터 13 : 마이크로 프로세서
15 : 엔드게이트 17 : 전장품들
본 발명은 엔진제어유닛의 전원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제어유닛의 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32bit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유닛에 있어, 통상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킨 후 안정화된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로부터 3.3V 및 5V이 공급될 때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동작되고, 이 3.3V의 전압을 수신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웨이크업(wake up)되고, 5V가 수신될 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이 동작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엔진제어유닛의 출력측에 접속된 다수의 전장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 신호를 받은 다수의 전장품은 동작한다.
그러나,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5V의 전압이 입력되기 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동작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제어 신호가 발생되면, 즉 3.3V와 5V 사이의 전압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입력되고 이 전압에 의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동작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불안정하게 동작된다. 따라서, 불안정하게 동작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전장품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이 안정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동작시킴으로써,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불안정한 동작과 불안정하게 동작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한 전장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원을 제공 받아 다수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제공 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장품이 동작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제1 전압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전압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시키는 단계;
c)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전압 보다 큰 제2 전압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전압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장품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이 제2 전압으로 안정화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터의 불안정한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불안정한 동작과,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불안정한 동작으로 인한 전장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원(Vcc)을 제공 받아 다수의 전압을 출력하는 레귤레이터(11)와,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출력측과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출력측에 접속되는 앤드게이트(15)와, 상기 엔드 게이트(15)의 출력측과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전장품(17)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상기 레귤레이터(11)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3.3V)에 의해 웨이크 업(wake up)되고, 상기 제1 전압의 크기 보다 큰 제2 전압(5V)에 의해 전장품(17)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제어 신호를 전장품(17)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앤드게이트(15)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제어 신호의 레벨과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제2 전압의 레벨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고전위 레벨의 출력 신호를 전장품(17)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상기 레귤레이터(11)로부터 3.3V의 제1 전압이 수신되면, 웨이크 업되고, 상기 레귤레이터(11)의 공급 전압이 5V인 제2 전압에 도달되면,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고전위 레벨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고전위 레벨의 제어 신호와 상기 레귤레이터(11)의 5V의 제2 전압이 상기 엔드게이트(15)에 공급되면, 상기 앤드 게이트(15)는 미리 설정된 고전위 레벨의 출력 신호를 전장품(17)으로 공급한다. 상기 앤드 게이트(15)의 고전위 레벨의 출력 신호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13)의 고전위 레벨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전장품 (17)은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우선, 운전자가 시동 걸어 상기 레귤레이터(11)의 3.3V의 제1 전압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3)에 공급되면(단계 101),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제1 전압이 수신되었는 지를 판단하고(단계 103), 판단 결과 제1 전압이 수신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웨이크 업 상태로 된다(단계 105). 그 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레귤레이터(1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수신하여(단계 106) 5V의 제2 전압이 수신되었는 지를 판단하고(단계 107), 판단 결과 제2 전압이 수신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활성화되어(단계 109) 다수의 전장품(17)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단계 111).
한편, 상기 단계(103) 및 단계(107)의 판단 결과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이 각각 수신되지 않은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13)는 상기 단계(103) 및 상기 단계(107)로 각각 진행한다.
상기 단계(109)를 통해 발생된 제어 신호와 상기 레귤레이터(11)의 제2 전압을 받은 앤드 게이트는 고전위 레벨의 출력 신호를 전장품(17)에 공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이 제2 전압으로 안정화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레귤레이터의 불안정한 전원에 의해 발생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불안정한 동작과,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불안정한 동작으로 인한 전장품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공급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베터리 전원을 제공 받아 다수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제공 받아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장품이 동작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제1 전압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전압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웨이크 업시키는 단계;
    c)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을 수신하여 상기 제1 전압 보다 큰 제2 전압인 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전압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제어 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장품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KR1020050021534A 2005-03-15 2005-03-15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KR100672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34A KR100672196B1 (ko) 2005-03-15 2005-03-15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534A KR100672196B1 (ko) 2005-03-15 2005-03-15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968A KR20060099968A (ko) 2006-09-20
KR100672196B1 true KR100672196B1 (ko) 2007-01-19

Family

ID=3763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534A KR100672196B1 (ko) 2005-03-15 2005-03-15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21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5391B2 (ja) 1988-07-12 1998-05-2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過電流保護回路
KR20000003055U (ko) * 1998-07-15 2000-02-15 홍종만 차량의 마이크로 컴퓨터 전원 회로
US6340852B1 (en) 1999-05-27 2002-01-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oltage generating circuit capable of stably supplying power supply voltage less than rated voltage
KR100333304B1 (ko) 2000-07-24 2002-04-25 윤종용 스위칭 전원회로의 웨이크업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5391B2 (ja) 1988-07-12 1998-05-20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過電流保護回路
KR20000003055U (ko) * 1998-07-15 2000-02-15 홍종만 차량의 마이크로 컴퓨터 전원 회로
US6340852B1 (en) 1999-05-27 2002-01-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oltage generating circuit capable of stably supplying power supply voltage less than rated voltage
KR100333304B1 (ko) 2000-07-24 2002-04-25 윤종용 스위칭 전원회로의 웨이크업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968A (ko) 200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7237A1 (en) Switching power supply,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4498851B2 (ja) 電源装置
JP2016085527A (ja) 制御装置
KR100672989B1 (ko) 파워다운 모드에서 레귤레이터에 의한 전력 소모를방지하는 전자장치 및 전력 소모 방지 방법
KR100672196B1 (ko) 엔진제어유닛의 전원 상태에 따른 프로그램 시작 제어 방법
KR20070121332A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KR100726595B1 (ko) 엔진제어유닛의 재가동 장치 및 방법
JP2014073070A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モータ駆動方法
JP5049817B2 (ja) 電力変換器制御装置
JP2006320060A (ja) 電源供給装置
KR100672195B1 (ko) 엔진제어유닛의 셧다운 방법
KR100781879B1 (ko) 엔진 구동 장치
KR101282263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 시스템
JP4510509B2 (ja) 直流電源装置及び直流電源装置を備えたエアバッグ装置
KR101876734B1 (ko) 차량용 제어기기 및 그의 ig 상태를 인식하는 방법
US6507423B1 (en) Energy conserving device for a remote controlled apparatus
JP6301663B2 (ja)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09060690A (ja) 電源制御装置
JP2003199334A (ja) 電源回路及び電力供給方法
KR100781878B1 (ko) 자동차의 전장품 제어 장치
KR100444799B1 (ko) 전원양호신호구동장치및그방법
KR200384166Y1 (ko) 정전압 발생장치
KR101294153B1 (ko) 전동커튼 제어장치
KR20060008776A (ko)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WO2011033561A1 (ja) 消費電力低減回路、消費電力低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