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776A -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776A
KR20060008776A KR1020040058028A KR20040058028A KR20060008776A KR 20060008776 A KR20060008776 A KR 20060008776A KR 1020040058028 A KR1020040058028 A KR 1020040058028A KR 20040058028 A KR20040058028 A KR 20040058028A KR 20060008776 A KR20060008776 A KR 2006000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lay
power supply
saving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4005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8776A/ko
Publication of KR2006000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전자장치로의 교류전원의 인가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는 AC 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후단의 각 부하로 스탠드바이 전원을 인출시키는 SMPS 회로부와, 상기 스탠드바이 전원에 의해 전압이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정류부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릴레이와,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으며 상기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류부, 직류전원, 전력, 충전부, 릴레이, 마이콤

Description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POWER SUPPLY APPARATUS FOR POWER SAVING USING RELA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발명에 의한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리모콘 20 : 교류전원
30 : 전력공급회로 31 : 마이콤
32 : 충전부 33 : 릴레이
34 : SMPS 회로부 35 : 정류부
본 발명은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전자장치로의 교류전원의 인가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력공급장치에서는 전자장치의 각 부하의 동작을 위해 사용되는 스탠드바이 전원을 직접 온/오프 시킴으로써 전자장치를 구동시키거나 그 동작을 정지시켰다.
그러나 스탠드바이 전원을 오프 시켜 전자장치의 동작이 수행되고 있지 않더라도 전자장치가 AC 플러그를 통해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있으면, 교류전원이 계속적으로 인가되어 불필요한 전력을 낭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되 것으로서, 전자장치가 AC 플러그를 통해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미동작 상태에서는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는 AC 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후단의 각 부하로 스탠드바이 전원을 인출시키는 SMPS 회로부와, 상기 스탠드바이 전원에 의해 전압이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정류부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릴레이와,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으며 상기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의 개략적인 내부 블럭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30)는 크게 마이콤(31), 충전부(32) 및 릴레이(33)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콤(31)은 충전부(32)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고, 리모콘(10)의 원격 조정에 의해 동작되어 릴레이(33)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마이콤(31)은 충전부(32)의 충전 전압을 체크하여 충전전압이 일정한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릴레이(33)를 온 시켜서 교류전원(20)을 내부로 인가함으로써 충전부(32)가 재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충전부(32)는 마이콤(31)의 구동원으로서, 교류전원(20)을 소스로 하여 마이콤(31)의 구동을 위한 전압을 충전한다. 이 충전부(32)에 의해 교류전원(20)이 인가되지 않더라고 마이콤(31)이 동작될 수 있다.
릴레이(33)는 전자장치의 내부로 교류전원(20)을 인가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전자 스위치 소자로서, 마이콤(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의 상세한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의 내부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 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플러그를 통해 전자장치 내부의 전력공급장치에 교류전원(20)이 연결된 상태에서, 리모콘(10)을 통해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마이콤(31)이 구동되어 릴레이(33)를 온 시킨다.
릴레이(33)는 교류전원(20)과 정류부(35) 사이에 설치되어, 정류부(35)에 교류전원(20)이 입력되도록 하거나 원천적으로 교류전원(20)의 인가를 차단한다.
릴레이(33)가 온 됨으로써 교류전원(20)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압(전류)은 정류부(35)에서 정류되어 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정류부(35)를 통해 정류된 직류전원은 SMPS 회로부(34)에 입력되고, SMPS 회로부(34)에서는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후단의 각 부하(미도시)로 스탠드바이 전원을 인출시킨다.
여기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회로부는 1차 정류된 직류전압을 각종 전자기기의 조건에 맞도록 변환시켜주는 장치로서, 전기로 구동되는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220V로 공급되는 전기가 200V로 낮게 공급되거나 240V로 높게 공급되기도 한다. 이렇게 불규칙한 전력의 공급은 전자기기 고장의 원인과 정밀성을 요하는 장비의 성능 저하로 발생시킬 수 있는데, SMPS가 그러한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해 준다. 즉, SMPS는 입력 전압에 변동이 있더라도 출력 전압을 변동 없이 일정하게 공급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다.
SMPS 회로부(34)에서 출력된 일정한 스탠드바이 전원은 마이콤(31)을 포함하여 SMSP 회로부(34)의 후단에 연결된 각 장치(미도시)를 동작시키고, 교류전원(20) 의 차단 시 마이콤(31)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충전부(32)를 충전시킨다.
이와 같이, 릴레이(33)가 온 되어 교류전원(20)이 인가되는 동안에 충전부(32)에서는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릴레이(33)가 오프 되어 교류전원(20)이 차단되더라도, 충전부(32)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마이콤(31)의 동작이 유지될 수 있다.
전자장치의 동작 중 리모콘(10)을 통해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마이콤(31)이 제어신호를 보내어 릴레이(33)를 오프 시킴으로써 교류전원(20)의 인가를 차단한다.
릴레이(33)가 교류전원(20)과 정류부(35)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릴레이(33)가 오프 되면, 교류전원(20)이 정류부(35)에 인가되지 않아 정류부(35) 후단의 SMPS 회로부(34)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충전부(34)에는 전자장치의 동작 중 이미 충전이 되어 있기 때문에, SMPS 회로부(34)로부터 스탠드바이 전원이 출력되지 않더라도 마이콤(31)의 동작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따라서 리모콘(10)의 전원 스위치를 눌러 전자장치를 구동시킬 때 마이콤(31)이 작동하여 릴레이(33)를 다시 온 시킬 수 있다.
한 편, 전자장치를 장시간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써 교류전원(20)이 장시간 차단되면, 충전부(32)의 충전전압이 재충전되지 못하여 마이콤(31)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콤(31)은 일정한 주기로 충전부(32)의 충전전압을 체크하여 만약 충전전압이 일정한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릴레이(33)를 온 시켜서 교류전원(20)을 공급 받아 충전부(32)가 재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교류전원과 정류부 사이에 릴레이를 설치하고 마이콤에 의해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전자장치가 AC 플러그를 통해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있더라도 미동작 상태에서는 교류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AC 플러그로부터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정류부와,
    상기 직류전원을 정전원으로 변환하여 후단의 각 부하로 스탠드바이 전원을 인출시키는 SMPS 회로부와,
    상기 스탠드바이 전원에 의해 전압이 충전되는 충전부와,
    상기 교류전원과 상기 정류부를 연결 또는 단선시키는 릴레이와,
    상기 충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으며 상기 릴레이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은 상기 충전부의 전압을 체크하여 충전 전압이 일정한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릴레이를 온 시켜서 상기 충전부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가 오프 되어 상기 교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을 통해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마이콤이 구동하여 상기 릴레이를 온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KR1020040058028A 2004-07-24 2004-07-24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KR20060008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028A KR20060008776A (ko) 2004-07-24 2004-07-24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028A KR20060008776A (ko) 2004-07-24 2004-07-24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776A true KR20060008776A (ko) 2006-01-27

Family

ID=3711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028A KR20060008776A (ko) 2004-07-24 2004-07-24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8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70B1 (ko) * 2009-06-19 2010-01-06 김창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22262B1 (ko) * 2019-03-05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970B1 (ko) * 2009-06-19 2010-01-06 김창호 전자제품의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0147298A1 (en) * 2009-06-19 2010-12-23 Chang Ho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product
KR102122262B1 (ko) * 2019-03-05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813B1 (ko) 전기 기기의 대기 전력 절감 회로
KR100438695B1 (ko)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73439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소모 저감 장치 및 방법
KR20070069178A (ko) 초저전력 대기 전원
EP2509203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62976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electric power in a display system
US8983330B2 (en) Power supply, image forming device, and power supply method
US9262708B2 (en) Low-capacity power supply, power supply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78812B1 (ko) 전기기기의 저소비전력 대기전원회로
KR20060008776A (ko) 릴레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력공급장치
JP2006254655A (ja) 電源制御装置
JP2004274897A (ja) 省待機電力電源装置
KR20060007919A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위한 대기전력 절감 장치
JP5277706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8167629A (ja) 電源制御システム
KR200365406Y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위한 대기전력 절감 장치
KR200197412Y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구동 제어회로
JP200231531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2820795B (zh) 用于为插入式交通工具充电的离线供电电源和装置
KR200269288Y1 (ko) 절전기기를 위한 스위칭 장치
KR20100010134A (ko) 대기전원을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의 절전회로
KR102172423B1 (ko) 대기 전력 절감 방법
JPH0795496A (ja) 電源装置
JP4720013B2 (ja) 電子電気機器
JP597122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