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531B1 -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531B1
KR100671531B1 KR1020050056066A KR20050056066A KR100671531B1 KR 100671531 B1 KR100671531 B1 KR 100671531B1 KR 1020050056066 A KR1020050056066 A KR 1020050056066A KR 20050056066 A KR20050056066 A KR 20050056066A KR 100671531 B1 KR100671531 B1 KR 10067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sh
songpyeon
fish meat
ramie l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5462A (ko
Inventor
강석언
Original Assignee
강석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언 filed Critical 강석언
Priority to KR1020050056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53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선을 할복하여 머리와 내장을 제거후 몸통 부분을 확보한 뒤 세척후 2일간 음건하는 단계(S10); 상기한 몸통을 통상의 찜솥에서 찜을 한 후, 순살(어육)만 발췌하고 찜솥 밑에 남은 엑기스는 송편피 반죽에 사용할 준비를 하는 단계(S20); 상기 발췌한 어육을 참깨, 땅콩, 건새우, 마늘, 생강, 양파와 함께 거칠게 파쇄한 후 고추장, 올리고당, 간장, 인삼 분말을 넣고 배합하여 송편 소를 완성하는 단계(S30); 모시잎을 채취하여 섭씨 80-100℃의 소금물에서 살짝 데친후 세척하는 단계(S40); 상기한 모시잎과 물에 불린 쌀, 소맥분, 생선엑기스를 넣고 분쇄후 반죽을 하여 송편 피를 성형하는 단계(S50); 상기 성형된 송편피 내부에 속을 충진시켜 감싼후 찜을 하는 단계(S60); 상기 찜을 한 송편 외피에 허브 식용유를 발라 코팅하여 유막 처리하여 완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배합단계(S30)에서 송편의 소 배합 비율은 어육 40중량%, 땅콩 3중량%, 참깨 1.5중랑%, 건새우 3.5중량%, 마늘 0.25중량%, 생강 0.25중량%, 양파 0.5중량%, 올리고당 7.5중량%, 고추장 40중량%, 간장 2중량%, 인삼 분말 1.5중량%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배합단계(S30)에서 송편의 소 배합 비율은 어육 40중량%, 땅콩 3중량%, 볶은 깨 1.5중량%, 건새우 3.5중량%, 마늘 0.25중량%, 생강 0.25중량%, 양파 0.5중량%, 올리고당 7.5중량%, 고추장 40중량%, 간장 2중량%, 인삼 분말 1.5중량%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S50)단계에서의 송편 피 배합 비율은 모시잎 12중량%, 불린 쌀 50중량%, 소맥분 33중량%, 생선 엑기스 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육, 모시잎, 송편, 올리고당, 고추장, 허브 식용유

Description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Processing Method of Aromatic Song-Pyon That use Fish and Ramie Fabric Leaf}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은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송편은 미곡류 만을 사용 함으로써 우리 신체의 영양소 공급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그동안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또한, 기존 송편은 상온에서 보관시 쉽게 맛이 변질되고 전분 물질 특유의 노화 현상으로 인해 72시간이 지나면 외피가 딱딱해져 식용이 불가하여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단맛을 좋아하는 파리등의 해충을 유인하여 식용시 비위생적이며 향과 맛이 단조로와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지 못해 식단에서 외면을 받고 있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설탕등 우리 몸에 유해한 조미료를 배제시키고 올리고당으로 대체함과 동시에, 농수산물을 골고루 균형있게 사용하고 인삼등 기능성 식품을 포함시켜 영양소 공급기능을 획기적으로 증대하여 개선 시킴으로써 건강에도 매우 유익한 송편을 제공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시잎과 어육엑기스를 이용하여 관능적 특성과 보존성을 개선하여 쫄깃한 외피의 풍미와 조직감을 장시간 지속함에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생강과 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양념을 사용하여 미생물에 의한 부패의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외피에 허브식용유를 발라 유막을 형성 함에 따라 살균 소독 및 해충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매우 위생적이며 허브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향을 발산 할 수 있어 소비자의 기호성 증가로 인한 우리떡의 대중화 및 국제화로 수출 증대에 일조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송편 피의 주식기능과 송편 소의 반찬기능을 함께 적용하여 식용이 간편한 대용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방법은, 생선을 할복하여 머리와 내장을 제거후 몸통 부분을 확보한 뒤 세척후 2일간 음건하는 단계(S10); 상기한 몸통을 통상의 찜솥에서 찜을 한 후, 어육만 발췌하고 찜솥 밑에 남은 엑기스는 송편피 반죽에 사용할 준비를 하는 단계(S20); 상기 발췌한 어육을 참깨, 땅콩, 건새우, 마늘, 생강, 양파와 함께 거칠게 파쇄한 후 고추장, 올리고당, 간장, 인삼 분말을 넣고 배합하여 송편 소를 완성하는 단계(S30); 모시잎을 채취하여 섭씨 80-100℃의 소금물에서 살짝 데친후 세척하는 단계(S40); 상기한 모시잎과 물에 불린 쌀, 소맥분, 생선엑기스를 넣고 분쇄후 반죽을 하여 송편 피를 성형하는 단계(S50); 상기 성형된 송편피 내부에 속을 충진시켜 감싼후 찜을 하는 단계(S60); 상기 찜을 한 송편 외피에 허브 식용유를 발라 코팅하여 유막 처리하여 완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배합단계(S30)에서 송편의 소 배합 비율은 어육 40중량%, 땅콩 3중량%, 참깨 1.5중량%, 건새우 3.5중량%, 마늘 0.25중량%, 생강 0.25중량%, 양파 0.5중량%, 올리고당 7.5중량%, 고추장 40중량%, 간장 2중량%, 인삼 분말 1.5중량% 비율로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S50)단계에서의 송편 피 배합 비율은 모시잎 12중량%, 불린 쌀 50중량%, 소맥분 33중량%, 생선 엑기스 5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방법에 대하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어육은, 통상의 방법으로 할복하여 찜을 한 후, 순살을 발췌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 가능한 생선의 종류로는 고등어, 참조기, 삼치, 참치, 장어, 도미, 연어, 명태, 병치, 갈치, 잉어, 붕어, 멸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생선이며, 이때 찜솥의 바닦에는 생선의 엑기스가 사골처럼 남게 되는데 이 엑기스는 송편의 외피 반죽에 사용하게 되면 외피 특유의 노화 및 경직현상을 완화시켜 저장성을 높히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 하기로는, 어육 엑기스는 송편 외피 반죽에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방법에 있어서 어육 발췌에 사용하는 찜솥은 통상적인 시중의 찜 솥 기기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섭씨 90-110℃ 바람직하기로는 100℃로 10분간 찜을 하면 뼈와 살이 쉽게 분리 되며 발췌한 어육은 다른 양념 조성물과 배합하여 송편의 소로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하면, 어육 40중량%, 참깨 1.5중량%, 땅콩 3중량%, 건새우 3.5중량%, 마늘 0.25중량%, 생강 0.25중량%, 양파 0.5중량%를 먼저 민서기(분쇄기)에 넣어 1000RPM으로 2분간 파쇄하는 과정을 거쳐 입자 사이즈가 2mm 내지 4mm가 되도록 거칠게 파쇄한 후 올리고당 7.5중량%, 고추장 40중량%, 간장 2중량%, 인삼 분말 1.5중량%를 추가로 배합하여 소를 완성 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선은 동물성 단백질과 불포화 지방산이 주성분으로 산성 체질에서 다발하는 압류의 발생을 억제시키며 비타민 B2가 많이 들어 있어 일정량 섭식하면 구내염 같이 입술 주위나 입안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생리작용에 필수적인 비타민류와 무기염류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저칼로리 식품이므로 무엇보다도 비만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을 차단하여 건강 유지에 좋은 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땅콩 역시 비만 예방에 탁월하고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혈정 콜레스테롤을 깨끗이 씻어내는 효과가 있으며 비타민 B1, B2, E 등이 풍부하여 강정 스테미너 식품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식품이며, 참깨는 리놀산이라는 불포화지방산이 있고 메티오닌 등의 필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간장, 신장기능을 강화하여 노폐물을 잘 배설시키고 피로 독소를 해독 시켜 준다. 새우는 백질과 칼슘, 무기질, 비타민이 풍부한 강장식품이며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고, 저혈압 에 효과적이고 마늘은 대표적인 항암식품으로 인정 받고 있으며, 피로회복, 정력 증강, 혈액 정화 식품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생강은 신체 해독 작용을 하며, 천연 방부제 역할과 비린내 제거 기능까지 수행한다. 양파는 심장병, 동맥경화, 고혈압 등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과 치료, 암예방, 그리고 피로회복, 스트레스 해소에 큰 도움을 주며, 올리고당은 기존의 당(설탕, 물엿등)이 비만등 안좋은 결과를 초래해 거기에 대응책으로 개발된 당으로 몸속에서 소화가 되지않는 난소화성이고, 비피더스 증식인자로 이용되고 충치예방의 효과가 있는 기능성 당으로서 본 발명품의 짠맛을 완화 시키고 맛을 향상 시키는 작용을 하며, 간장은 소금을 대신해 간을 조정하고 아미노산 등을 함유하고 있어 감칠맛을 내주는 역할을 한다. 고추장은 단백질, 지방, 비타만 B2, 비타민 C, 카로틴등과 같이 우리 몸에 유익한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은 간 기능 회복과 항암 면역, 당뇨병, 항스트레스, 피로회복, 신경세포 촉진, 고혈압 및 저혈압에 효과가 있다.
상기 완성된 소를 준비하여 두고 이번에는 송편 외피를 만든다.
본 발명의 외피 가공에 사용되는 모시잎은, 송편 외피의 색을 선명하게 해주어 시각적인 증대효과가 있으며 다른 송편보다 저장기간을 더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의 주식인 쌀의 성분중 부족한 지방과 섬유소, 칼슘, 철, 비타민 A와 C 등의 영양성분을 보충하여 인체의 항체 능력을 높여주고 소화도 향상시킬수 있어 좋으며 섬유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을 겸한 다이어트식이다.
먼저, 물 70중량%, 모시잎과 소금, 바람직하기로는 모시잎과 소금 합하여 30중량%를 준비한다. 여기에서 한 실시예로써 함께 설명하면, 물을 1400ℓ, 모시 잎과 소금 합하여 600ℓ 정도 준비한다.
모시잎은 오염지역을 피해 깨끗한 청정 지역의 모시잎을 채취한다. 채취시기는 대한민국에서 5-6월에 잎을 채취한 다음, 140 바아(bar) 정도의 고압으로 2회 이상 세척한 후, 미세한 분진과 오염물질을 완벽하게 씻어 낸다.
이와 같이 준비된 모시잎과 소금을 물에 넣고 섭씨 80-100℃ 바람직하기로는 섭씨 90℃의 물에서 3-5분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4분 동안 살짝 데쳐내어 식힌후 손으로 공 모양으로 뭉친후 짜서 수분이 최대한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모시잎은 영하 18℃ 이상으로 냉동시켜 보관후 필요시 해동하여 사용하거나 곧바로 사용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곧바로 사용하기 위하여 모시잎 12중량%, 물에 불린 쌀 50중량%, 소맥분 33중량%, 생선 엑기스 5중량%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함과 동시에 반죽을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송편 피를 성형하여 준비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생선엑기스는 모시잎의 씁슬한 맛을 완화시키고 송편 외피의 노화 및 경직현상을 완화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송편 피에 이번에는 소를 적당량(3g정도) 충진시켜 전래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송편의 형태를 완성한다. 상기 완벽한 형태를 갖춘 송편을 이번에는 찜솥에서 섭씨 90-110℃ 바람직하기로는 100℃로 10분간 찜을 하여 식힌후 외피에 허브식용유를 발라 유막을 형성하여 코팅 처리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허브식용유의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허브(로즈마리, 라벤더, 민트류 중 선택된 하나) 30중량%, 식용유 70중량%이며 24시간 동안 우려내어 허브의 유효성분이 최대한 추출될 수 있도록 한 뒤 허브 건더기는 정제한 후 버리고 나머지 식용유만 PE용기에 넣어 사용한다.
허브식용유로 유막 코팅을 하는 이유는 송편 외피의 유막을 형성 함에 따라 살균 소독 및 해충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매우 위생적이며 허브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향을 발산 할 수 있다.
상기한 후 완성된 송편을 영하 18℃에서 24시간 냉동한후 포장하여 유통 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방법에 의하면, 설탕등 우리 몸에 유해한 조미료를 배제시키고 올리고당으로 대체함과 동시에, 농수산물을 골고루 균형있게 사용하고 인삼등 기능성 식품을 포함시켜 영양소 공급기능을 획기적으로 증대하여 개선 시킴으로써 건강에도 매우 유익한 송편을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시잎과 어육엑기스를 이용하여 관능적 특성과 보존성을 개선하여 쫄깃한 외피의 풍미와 조직감을 장시간 지속이 가능하며, 또한 생강과 마늘이 포함된 고추장 양념을 사용하여 미생물에 의한 부패의 우려가 없어 안심하고 식용이 가능하다.
또한, 외피에 허브식용유를 코팅 처리함에 따라 살균 소독 및 해충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위생적이며 허브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향을 발산 할 수 있어 위생적이고 기호성이 증대되어 우리떡의 대중화 및 국제화로 수출 증대에 일조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품만 있으면 언제 어느 곳에서나 대용식으로 취식 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고, 소의 내용물의 변화만으로 맛의 범위가 광범위하여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 및 기호를 충족 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생선을 할복하여 머리와 내장을 제거후 몸통 부분을 확보한 뒤 세척후 2일간 음건하는 단계(S10); 상기한 몸통을 통상의 찜솥에서 찜을 한 후, 어육만 발췌하고 찜솥 밑에 남은 엑기스는 송편피 반죽에 사용할 준비를 하는 단계(S20); 상기 발췌한 어육을 참깨, 땅콩, 건새우, 마늘, 생강, 양파와 함께 거칠게 파쇄한 후 고추장, 올리고당, 간장, 인삼 분말을 넣고 배합하여 송편 소를 완성하는 단계(S30); 모시잎을 채취하여 섭씨 80-100℃의 소금물에서 살짝 데친후 세척하는 단계(S40); 상기한 모시잎과 물에 불린쌀, 소맥분, 생선엑기스를 넣고 분쇄후 반죽을 하여 송편 피를 성형하는 단계(S50); 상기 성형된 송편피 내부에 속을 충진시켜 감싼후 찜을 하는 단계(S60); 상기 찜을 한 송편 외피에 허브 식용유를 발라 코팅하여 유막 처리하여 완성하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배합단계(S30)에서 송편의 소 배합 비율은 어육 40중량%, 땅콩 3중량%, 참깨 1.5중량%, 건새우 3.5중량%, 마늘 0.25중량%, 생강 0.25중량%, 양파 0.5중량%, 올리고당 7.5중량%, 고추장 40중량%, 간장 2중량%, 인삼 분말 1.5중량% 비율로 배합하는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S50)단계에서의 송편 피 배합 비율은 모시잎 12중량%, 불린 쌀 50중량%, 소맥분 33중량%, 생선 엑기스 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KR1020050056066A 2005-06-24 2005-06-24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KR10067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066A KR100671531B1 (ko) 2005-06-24 2005-06-24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066A KR100671531B1 (ko) 2005-06-24 2005-06-24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462A KR20060135462A (ko) 2006-12-29
KR100671531B1 true KR100671531B1 (ko) 2007-01-19

Family

ID=3781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066A KR100671531B1 (ko) 2005-06-24 2005-06-24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48B1 (ko) * 2012-01-31 2014-11-03 영광모싯잎송편영농조합법인 모시잎 분말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48B1 (ko) * 2012-01-31 2014-11-03 영광모싯잎송편영농조합법인 모시잎 분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462A (ko) 200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72B1 (ko) 오징어 및 피조개를 이용한 어묵 및 영양 어묵제조방법
KR101725730B1 (ko) 안전 양식 민물장어탕 및 그 제조방법
KR100666473B1 (ko) 검은콩분말을 이용한 생선의 염장방법
KR101858627B1 (ko) 명태순살강정의 제조방법
KR102051091B1 (ko)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900A (ko) 양배추와 콩나물을 이용한 순대의 제조방법
KR100851037B1 (ko) 오징어 버거 패티
JP2018535673A (ja) 乳酸菌発酵丸ごとニンニクの製造方法
KR101955824B1 (ko) 떡갈비를 함유한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71531B1 (ko) 어육과 모시잎을 이용한 향기나는 송편의 가공 방법
KR20170055592A (ko) 양념 닭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닭발
KR20100041001A (ko) 회 막장제조방법
KR102379002B1 (ko) 보말 칼국수 및 그 제조 방법
KR100555218B1 (ko) 불초 유황 오리 전골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2143313B1 (ko) 한방 장어탕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 장어탕
KR102596821B1 (ko) 닭다리살을 이용한 소시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소시지
KR102372301B1 (ko) 전복밥의 제조방법
KR20140104313A (ko) 꾸찌뽕 등과 우피등을 이용 발표되지 않은 융합 원소까지 얻는 약초물과 씹히는 묵과 묵아이스크림 약재물 2가지 환 제조방법
KR102472881B1 (ko) 전복 미역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미역국
KR100612778B1 (ko) 송화가루를 함유한 영양순대
KR102421965B1 (ko) 들깨 삼계탕 제조방법
KR102355098B1 (ko) 송이버섯액이 가미된 명태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117492A (ko) 참마 찰순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98790B1 (ko) 참게매운탕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