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1449B1 -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1449B1
KR100671449B1 KR1020050060884A KR20050060884A KR100671449B1 KR 100671449 B1 KR100671449 B1 KR 100671449B1 KR 1020050060884 A KR1020050060884 A KR 1020050060884A KR 20050060884 A KR20050060884 A KR 20050060884A KR 100671449 B1 KR100671449 B1 KR 10067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f
ophthalmic
purified water
sterile purified
mon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847A (ko
Inventor
김재신
류종현
이근혁
노영식
박세완
Original Assignee
한림제약(주)
에이치 엘 지노믹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제약(주), 에이치 엘 지노믹스(주) filed Critical 한림제약(주)
Priority to KR1020050060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4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deproteinized dialysate of calf's blood) 6.5 ∼ 7.5 w/v%,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0.05 ∼ 1.0 w/v%,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를 포함하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은 낮은 점도 범위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안과용 겔제의 낮은 복약 순응도(compliance)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동안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솔코세릴, 점안용 액제

Description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An ophthalmic liquid composition comprising a deproteinized dialysate of calf's blood}
도 1은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과 종래의 안과용 겔제에 대한 시야 흐림 정도 및 불쾌감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과 종래의 안과용 겔제에 대한 잔류감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deproteinized dialysate of calf's blood)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은 장기추출법에 의하여 발육 최성기인 어린 소의 세포내피조직을 부화시킨 후 채혈하여 단백질을 완전히 제거시킨 혈액 추출물로서, 솔코세릴®(SOLCOSERYL®, Solco Basle Ltd., 스위스)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은 유기물질로서 아미노산, 케톤산, 옥시산류, 데옥시리보사이드류, 퓨린류 및 미지의 폴리펩티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 으며, 무기물로서 나트륨, 칼륨, 칼슘, 철, 코발트, 인, 염화물 및 질소 등의 미량원소를 함유하여 세포의 산소 이용을 증가시키고 궤사조직의 재생을 촉진시켜 각종 피부질환에 있어서 육아조직의 형성과 상피조직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rzneim-Forsch (Drug Res.) Vol. 15, 750∼754(1965) ; VASA Band Vol. 2, 81∼83 (1973)].
또한,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예를 들어, 솔코세릴® 120, Solco Basle Ltd., 스위스)을 함유한 조성물은 안구가 건조한 환자의 눈물 분비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눈물막의 파괴시간, 즉 BUT도 개선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J. Ophthalm. Vol. 62, 47~60(1996), Publikation in Vorbereitng], 조직의 산소 신진대사에 영향을 주고, 영양 공급이 개선되어 신속한 상피조직 형성이 가능해짐에 따라 각막 손상시 치료를 가속화하고 각막 혼탁이 없어지거나 약화되며, 신혈관 형성이 차단되는 경우도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Ophthalmologica Vol 188, 1~4 (1984); Ophtalmic Res. Vol 16, 179~184 (1984); Clin. Res. Practices & Drug Reg. Affairs Vol 4(1), 59~73 (1986)]
따라서,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을 함유한 안과용 겔제가 상용화 되고 있으며, 상기 안과용 겔제는 호기성 에너지 신진대사와 산화성 인(燐)화를 증진시키고, 이로써 에너지가 풍부한 인산염(ATP)의 세포내 공급이 활발해지므로 산소 이용도를 높이고, 산소결핍 조직 및 신진대사로 소진된 조직 및 세포의 포도당 운반을 활성화 한다. 이런 작용에 의해 각종 원인으로 인한 각막 감염, 각막 손상, 알 칼리 및 산으로 인한 각막 부식, 퇴행성 각막 및 결막 변화, 대수포성 각막염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Arzneimittle-Kompendium der Schweiz, 1514 (1994)]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안과용 겔제는 환자가 안구에 투약시 일시적으로 뿌옇게 되는 시야 흐림 현상이 있고 불쾌감을 주며, 각막에 의약품이 도포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잔류하므로 이물감이나 작열감을 느끼게 되어 환자의 복약 순응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텍트 렌즈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상기 겔제를 투약할 경우, 콘텍트 렌즈를 바로 착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으며, 수술한 환자들에 있어서는 상기 겔제를 투여한 후 다른 항염증제나 점안용 액제 등의 의약품을 병용투여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안과용 겔제가 갖는 낮은 복약 순응도를 개선할 필요가 당업계에 요구되고 있다.
상기 안과용 겔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제로서 점안용 액제 형태의 제형이 고려될 수 있으나, 점안용 액제의 특성상 물리·화학적 경시변화 속도가 겔제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에, 현재까지 안정성이 확보된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을 함유한 점안용 액제는 보고된 바 없다. 특히, 점안용 액제 제제는 예를 들어, 약 3년간의 장기간의 안정성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안과용 겔제의 낮은 복약 순응도를 해결할 수 있고,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유지되는,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을 함유한 점안용 액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를 사용할 경우 조성물을 낮은 점도 범위로 조절할 수 있어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우수한 안정성을 갖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deproteinized dialysate of calf's blood) 6.5 ∼ 7.5 w/v%,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0.05 ∼ 1.0 w/v%,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를 포함하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함유되는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유용한 솔코세릴®(SOLCOSERYL®, Solco Basle Ltd., 스위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용량에 대하여 6.5 ∼ 7.5 w/v%, 바람직하게는 6.8 ∼ 7.2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05 w/v% 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안정화제 및 점증제의 역할을 한다. 즉, 하기 시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는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의 물리적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점안용 액제 조성물에 요구되는 적정한 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 1.0 w/v%, 바람직하게는 0.1 ∼ 0.5 w/v%,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3 w/v%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안과용 겔제의 낮은 복약 순응도를 개선한 제형으로서, 적절한 점도 범위 즉, 0.01 ∼ 20 mPa·s, 바람직하게는 0.5 ∼ 10 mPa·s,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2 mPa·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도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데트산 나트륨 등의 안정화제, 붕산, 붕사 등의 완충제, 염화벤잘코늄,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등의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점안용 액제 조성물의 특성상(pH가 6.5 ∼ 7.5) 요구될 수 있는,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의 pH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정화제로서 에데트산 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 총 용량에 대하여 0.01 ∼ 1 %를 사용할 수 있고, 완충제로서 붕산 및/또는 붕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조성물 총 용량에 대하여 0.5 ∼ 2.0 % 및 0.05 ∼ 0.5 %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존제로서, 염화벤잘코늄을 사용할 경우에는 조성물 총 용량에 대하여 약 0.01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및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 조성물 총 용량에 대하여 약 0.09 및 0.02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총 1000 ml 에 대하여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 70.05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3.0 g, 에데트산 나트륨 0.5 g, 염화벤잘코늄 0.1 g, 붕산 11.1 g, 붕사 1.0 g,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총 1000 ml 에 대하여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 70.05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3.0 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9 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g, 붕산 11.1 g, 붕사 1.0 g,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은 멸균정제수에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및 기타 안정화제, 완충제, 보존제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필요시 pH 조절제를 가하여 pH를 6.5 ∼ 7.5, 바람직하게는 약 pH 7.0으로 조절한 다음, 멸균 정제수로 최종 부피를 맞춤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점안용 액제
멸균 정제수 800 ml에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 70.05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3.0 g, 에데트산나트륨 0.5 g, 염화벤잘코늄 0.1 g, 붕산 11.1 g, 및 붕사 1.0 g을 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멸균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ml로 맞추어 점안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pH 7, 점도 1.2 mPa·s)
실시예 2. 점안용 액제
멸균 정제수 900 ml에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 70.05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3.0 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9 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g, 붕산 11.1 g, 및 붕사 1.0 g을 가하여 용해시킨 다음, 멸균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ml로 맞추어 점안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pH 7, 점도 1.2 mPa·s)
비교예 1. 점안용 액제
멸균 정제수 900 ml에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 70.05 g, 에데트산나트륨 0.5 g, 및 염화벤잘코늄 0.1g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7로 조절한 다음, 멸균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ml로 맞추어 점안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pH 7, 점도 1.0 mPa·s)
비교예 2. 점안용 액제
멸균 정제수 900 ml에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 70.05 g, 폴리에칠렌글리콜400 10.0g, 에데트산나트륨 0.5 g, 및 염화벤잘코늄 0.1g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7로 조절한 다음, 멸균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ml로 맞추어 점안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pH 7, 점도 2.0 mPa·s)
비교예 3. 점안용 액제
멸균 정제수 900 ml에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 70.05 g, 포비돈 2.0 g (점증제), 에데트산나트륨 0.5 g, 및 염화벤잘코늄 0.1g을 가하여 용해시켰다.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7로 조절한 다음, 멸균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ml로 맞추어 점안용 액제를 제조하였다. (pH 7, 점도 1.3 mPa·s)
비교예 4. 안과용 겔제
멸균 정제수 800 ml에 솔코세릴® 120 농축물(SOLCOSERYL® 120 Concentrate, Solco Basle Ltd., 스위스) 70.05 g,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16.5 g, D-소르비톨액(70%) 50.0 g, 에데트산나트륨 1.0 g, 및 염화벤잘코늄 0.1g을 가하여 균질하게 용해시켰다. 젖산을 가하여 pH 6.5로 조절한 다음, 멸균 정제수를 가하여 최종 부피를 1,000 ml로 맞추어 안과용 겔제를 제조하였다. (pH 6.5, 점도 270 mPa·s)
시험예 1.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 시험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 3에서 제조한 점안용 액제를 점안액 용기에 충전하여 25℃±1 에서 36 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시험하였다.
(1) 물리적 안정성
6 개월 단위로 성상 변화(색깔과 부유물 생성 여부) 및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성상 변화중 색깔의 변화 및 부유물 생성 정도는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성상 변화 시험결과는 하기 표1 및 표2와 같으며, pH 변화에 대한 시험결과는 표3과 같다.
색깔의 변화
초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실시예 1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실시예 2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비교예 1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황 색 황 색 황 색 황 색
비교예 2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황 색 황 색 황 색 황 색
비교예 3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미황색 황 색 황 색 황 색
부유물 생성 여부
초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실시예 1 - - - - - - -
실시예 2 - - - - - - -
비교예 1 - - - + ++ ++ +++
비교예 2 - - - - + + +
비교예 3 - - - - - - -
pH 변화
초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30개월 36개월
실시예 1 7.0 7.0 7.0 7.0 7.0 6.9 6.9
실시예 2 7.0 7.0 6.9 7.0 6.9 6.9 6.9
비교예 1 7.0 6.8 6.5 6.2 5.7 5.2 4.6
비교예 2 7.0 7.0 6.7 6.3 6.0 5.6 5.3
비교예 3 7.0 7.0 6.9 6.7 6.4 6.1 5.6
상기 표1 및 표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이 색깔 변화가 없을 뿐 아니라 부유물도 전혀 생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표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3년 동안 유의성있는 pH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이 우수한 물리적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2) 화학적 안정성
12 개월(1 년) 단위로 지표물질인 유리아미노산 3종(L-알라닌, L-발린, L-류신)의 변화를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측정하였다. HPLC 조작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조 건
컬럼 : PICO - TAG (3.9 × 150mm, 4㎛)
온도 : 50 ℃
검출기 파장: UV 254nm
이동상 A: 초산나트륨(3수화물) 20g에 트리에칠아민 600㎕을 가하고 물을 가하여 1L로 한 후, 인산으로 pH 6.4로 조정하여 완충용액을 제조하였다. 완충용액 940mL에 아세토니트릴 60mL를 혼합한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이동상 B : 60% 아세토니트릴을 제조한 후, 여과하여 사용하였다.
② 시약조제
시약 A - 메탄올, 물, 및 트리에칠아민의 혼합용액 (메탄올 : 물 : 트리에칠아민 = 2 : 2 : 1 (v/v))
PITC유도체 시약 - 메탄올, 물, 트리에칠아민, 페닐이소치오시아네이트의 혼합용액(메탄올 : 물 : 트리에칠아민 : 페닐이소치오시아네이트 = 7 : 1 : 1 : 1 (v/v))
③ 시료전처리
표준액과 검액을 각각 50㎕씩 샘플튜브에 취한 후 Workstation에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시약 A를 샘플튜브에 10㎕씩 넣고 가볍게 흔들어 주었다. 반응 바이알을 Workstation에 장치하여 완전히 건조시켰다. PITC유도체 시약을 20㎕씩 각 샘플튜브에 넣어 섞은 후 실온에서 20분간 방치 후 건조하였다. 표준액과 검액을 이동상 200㎕로 희석 용해하여 분석하였다. 농도구배표는 다음 표 4와 같다.
구배표 (Gradient Table)
시간 유속 이동상 A % 이동상 B % 커브
0.0 1.0 100 0
10.0 1.0 54 46 5
10.5 1.0 0 100 6
11.0 1.5 0 100 6
14.0 1.5 0 100 6
14.5 1.5 100 0 6
20.5 1.5 100 0 6
21.0 1.0 100 0 6
상기 조건으로 측정된 지표물질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변화는 다음 표 5와 같다.
지표물질의 함량변화
지표성분 초기 12개월 24개월 36개월
비교예 1 L-알라닌 100% 90.3% 77.2% 62.5%
L-발린 100% 95.5% 89.2% 83.7%
L-류신 100% 91.1% 79.8% 67.2%
비교예 2 L-알라닌 100% 93.3% 85.6% 78.1%
L-발린 100% 97.7% 93.2% 85.3%
L-류신 100% 94.5% 90.1% 83.7%
비교예 3 L-알라닌 100% 95.7% 90.3% 86.2%
L-발린 100% 97.4% 92.5% 87.4%
L-류신 100% 97.3% 93.2% 90.5%
실시예 1 L-알라닌 100% 99.3% 95.9% 93.7%
L-발린 100% 99.8% 99.5% 98.9%
L-류신 100% 99.9% 99.7% 98.5%
실시예 2 L-알라닌 100% 99.4% 95.6% 93.5%
L-발린 100% 99.9% 99.4% 98.8%
L-류신 100% 99.9% 99.6% 98.3%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은 3년 동안 유의성있는 함량의 변화가 전혀 없어, 화학적으로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복약 순응도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점안용 액제 및 비교예 4에서 제조한 안과용 겔제를 대상으로 점안시 사용자가 느끼는 복약 순응도를 평가하였다.
복약 순응도 시험은 남,녀 각 10명씩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항목으로서 시야 흐림 정도, 불쾌감, 및 잔류감을 평가하였다. 시야 흐림 정도 및 불쾌감은 하기 표 6과 같이 점수화하여 3회씩 평가하여 평균을 계산하였다.
점수 시험항목의 정도
5 아주 심하다
4 심하다
3 보통이다
2 약간 있다
1 없다
시야 흐림 정도 및 불쾌감에 대한 시험결과는 도1과 같고, 잔류감에 대한 시험결과는 도2와 같다.
도1 및 도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는 종래에 사용되어온 안과용 겔제에 비하여 훨씬 우수한 복약 순응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안용 액제 조성물은 낮은 점도 범위를 가짐으로써 가져 종래의 안과용 겔제의 낮은 복약 순응도(compliance)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기간 동안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deproteinized dialysate of calf's blood) 6.5 ∼ 7.5 w/v%,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0.05 ∼ 1.0 w/v%,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를 포함하는 점안용 액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점도가 0.01 ∼ 20 mPa·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총 1000 ml 에 대하여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 70.05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3.0 g, 에데트산 나트륨 0.5 g, 염화벤잘코늄 0.1 g, 붕산 11.1 g, 붕사 1.0 g,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로 이루어진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총 1000 ml 에 대하여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추출물 70.05 g,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3.0 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9 g,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2 g, 붕산 11.1 g, 붕사 1.0 g, 및 잔량의 멸균 정제수로 이루어진 조성물.
KR1020050060884A 2005-07-06 2005-07-06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KR10067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884A KR100671449B1 (ko) 2005-07-06 2005-07-06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884A KR100671449B1 (ko) 2005-07-06 2005-07-06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847A KR20070005847A (ko) 2007-01-10
KR100671449B1 true KR100671449B1 (ko) 2007-01-19

Family

ID=3787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884A KR100671449B1 (ko) 2005-07-06 2005-07-06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140B1 (ko) 2016-06-14 2017-01-11 (주)프로스테믹스 골질환 또는 연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phthalmologica, vol.199, no.2-3, pp.100-105 (1989
Remington's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140B1 (ko) 2016-06-14 2017-01-11 (주)프로스테믹스 골질환 또는 연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847A (ko)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5271B2 (en) Ophthalmic composition comprising xanthan gum and glucose
AT402259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bilen pharmazeutischen präparats mit einem gehalt an granulozytkolonie stimulierendem faktor
CN101175487B (zh) 依布硒啉的制药用途
US20100069482A1 (en) Gel useful for the delivery of ophthalmic drugs
CZ280541B6 (cs) Farmaceutické směsi florfenikolu
KR100589878B1 (ko) 사람 성장 호르몬을 함유한 수성 의약 조성물
CN106659711A (zh) 呈现长期稳定性的褪黑素注射剂的持久制剂
WO1998052612A1 (fr) Composition antiseptique
NZ516108A (en) Ophthalmic composition containing ketotifen and a non-ionic tonicity agent
KR101635915B1 (ko) 사이클로스포린과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수용액 형태의 안과용 조성물
US10849978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dministration to nasal mucosa
DE112016001715T5 (de) Stabile flüssige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von Bortezomib
KR100671449B1 (ko) 송아지의 제단백 혈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안용 액제조성물
US20100234336A1 (en) Ophthalmic Compositions
JP5582768B2 (ja) 非イオン性シリコーンハイドロゲルコンタクトレンズ用眼科組成物
US20030109422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formulations containing lactoferrin
CN115518037A (zh) 一种安全质量稳定的左西孟旦注射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611544B1 (ko) 오씨티 제제
JPH02193931A (ja) 角膜疾患治療用点眼剤
JP5019923B2 (ja) プラノプロフェン含有医薬組成物
RU2184564C2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гель
EP4039263A1 (en) Formulation for the treatment of asthenopia
JP4470393B2 (ja) 安定である点眼剤
EP3287141B1 (en) Nerve growth factor composition and injection powder
JP4209488B2 (ja) 皮膚創傷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