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088B1 -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088B1
KR100670088B1 KR1020010010205A KR20010010205A KR100670088B1 KR 100670088 B1 KR100670088 B1 KR 100670088B1 KR 1020010010205 A KR1020010010205 A KR 1020010010205A KR 20010010205 A KR20010010205 A KR 20010010205A KR 100670088 B1 KR100670088 B1 KR 100670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machine
optional
display
option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158A (ko
Inventor
이노우에가즈시
하라다고이찌
야마구찌미노루
야마다야스후미
다가와유지
Original Assignee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부라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05B19/085Physical layout of switches or displays; Switches co-operating with the displa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making piped opening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06Control knobs or display mea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7/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litting, grooving, or cutting
    • D05B37/02Slitting or groo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02Operator to the machine
    • D05D2205/08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 D05D2205/085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combined with a display arrangement, e.g. touch sensitive control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테두리 재봉틀(M)은, 장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를 구비한다. 또한 테두리 재봉틀(M)에는, 이들 옵션 기기의 재봉틀(M)에의 장착 여부를 각각 검지하기 위한 다수의 검지 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검출 회로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1)는 옵션 기기를 장착 여부의 식별이 가능하게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1) 상에서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에 대하여, 사용 허가/사용 금지를 설정한다. 이 설정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31)는 사용 허가/사용 금지의 식별이 가능하게 옵션 기기를 아이콘으로 표시한다.
테두리 재봉틀, 옵션 기기, 디스플레이 장치, 검출 장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프로그램 선택 장치, 옵션 기기 선택 장치, 봉제 프로그램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SEWING MACHINE WITH DETACHABLE OPTIONAL UNIT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테두리 재봉틀의 측면도.
도2는 테두리 재봉틀에 의해 옷감과 테두리천에 형성된 봉목 및 컷트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3은 테두리 재봉틀 조작 패널의 정면도.
도4는 테두리 재봉틀에 장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의 아이콘과 기능을 표시한 도표.
도5는 테두리 재봉틀 제어계의 블럭도.
도6은 옵션 기기의 구동 회로 및 검지 회로도.
도7은 조작 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8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AUTO 화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옷감
2 : 테두리천
3 : 봉목
4 : 직선컷트부
5 : 코너컷트부
10 : 작업 테이블
11 : 재봉틀 본체
12 : 각기둥부
13 : 아암부
14 : 침봉
15 : 재봉틀 모터
16 : 천 이송 부재
17 : 전동 모터
18 : 이송 구동 기구
19 : 바인더
20 : 코너메스 기구
30 : 조작 패널
31 : 액정 디스플레이
32 : 키류
40 : 제어 장치
41 : CPU
42 : ROM
43 : RAM
44 : EEPROM
45 : 입출력(I/O) 인터페이스
47 : 플랩 센서
본 발명은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가 장착 가능한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틀은 탈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를 구비하고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이들 옵션 기기를 재봉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옵션 기기로서는, 실 절단 장치 또는 실 절단 검지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옵션 기기가 재봉틀에 장착되면, 옵션 기기는 재봉틀 본체의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이 때, 그 옵션 기기가 실 절단 장치 등인 경우에는, 옵션 기기는 제어 장치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한편, 옵션 기기가 실 절단 검지 센서 등인 경우에는, 옵션 기기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제어 장치로 입력된다.
예를 들면, 특공평 제2-28355호 공보의 재봉틀은, 옵션 기기로서 실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실 공급 장치는 재봉틀의 제어 장치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사용 가능해진다. 또한, 이 재봉틀은, 실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에 접속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봉제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 실 공급 장치가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 공급 장치가 실 공급 작업을 종료하는 것을 기다려 봉제가 시작되고, 실 공급 장치가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실 공급 작업 시간에 상당하는 대기 시간을 생략하여 신속한 봉제가 시작된다.
또한, 특공평 제10-137478호 공보의 재봉틀은, 옵션 기기로서 천 압박용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또한, 이 재봉틀은 천 압박용 액츄에이터의 재봉틀 장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재봉틀의 실 절단 장치는, 천 압박용 액츄에이터가 장착된 경우와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따라, 실 절단 기준 위치가 절환되도록 구동 제어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재봉틀에서는, 옵션 기기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그 옵션 기기를 실제로 보며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옵션 기기에 따라서는 그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도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재봉틀에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필요한 옵션 기기가 재봉틀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 혹은, 불필요한 옵션 기기가 재봉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재봉틀을 오작동시키는 등의 우려도 높아진다. 더구나 작업자는, 재봉틀에 장착되지 않은 옵션 기기나, 전체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의 관리도 큰 일이 된다. 즉, 이 재봉틀에는 어떤 옵션 기기가 장착 가능한지, 현재 어떠한 옵션 기기가 장착되어 있는지, 어떠한 옵션 기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지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옵션 기기의 수가 많은 경우, 이러한 문제는 한층 더 현저해진다.
상술한 특공평 제2-28355호 공보 또는 특공평 제10-137478호 공보의 재봉틀 에는, 옵션 기기의 재봉틀 장착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검출 장치는 옵션 기기의 장착 여부에 응하는 구동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재봉틀에 장착된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옵션 기기가 재봉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봉제 작업의 내용에 따라, 그 옵션 기기를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 각 옵션 기기에 대응하는 디프 스위치의 설정을 절환하거나, 제어 장치의 ROM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교환하거나 해야 하므로, 이는 매우 불편하다. 더구나, 재봉틀에 장착된 옵션 기기 중 사용 가능하게 설정된 것과 설정되지 않은 것을, 실제로 재봉틀을 작동시켜 보지 않으면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자가 옵션 기기의 재봉틀 장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장착된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할 수 있고, 옵션 기기의 사용 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은 다수의 옵션 기기를 사용하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 하나의 옵션 기기에 연결되는 커넥터, 각각의 옵션 기기가 대응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다수의 검출 장치 및 대응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는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옵션 기기에 대한 아이콘 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된 옵션 기기 중에서 가능한 것과 가능하지 않은 것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요구되고, 이로써 작업자는 옵션 기기가 작동 가능 상태에 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며, 다수의 옵션 기기를 사용하기 위한 재봉틀은 디스플레이 장치, 다수의 봉제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장치,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옵션 기기를 선택하는 옵션 기기 선택 장치,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옵션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옵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옵션 기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옵션 기기에 대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 구조에서는, 제어 장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재봉틀은 다양한 봉제 프로그램 중 선택된 것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옵션 기기 선택 장치가 제공되기 때문에,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옵션 기기가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옵션 기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옵션 기기를 소정의 아이콘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어떠한 옵션 기기가 선택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도1의 테두리 재봉틀(M)에 본 발명을 적용한다. 테두리 재봉틀(M)은, 예를 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옷감(1)에 양측 테두리부를 절첩한 직사각형의 테두리천(2)를 대어, 그 테두리천(2)을 평행하게 연장시키는 2개의 봉목(3)에 의해 옷감(1)에 바느질하여 부착하고, 이들 두개의 천(1,2)에 직선 컷트부(4)와 이 직선 컷트부(4)의 단부에 연속하는 4개의 코너컷트부(5)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1은 테두리 재봉틀(M)(이하 재봉틀(M)이라 칭함)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틀(M)은 작업 테이블(10), 재봉틀 본체(11), 재봉틀 모터(15, 도5), 천 이송 부재(16), 이송 구동 기구(18), 바인더(19), 코너메스 기구(20), 조작 패널(30) 및 제어 장치(40)를 구비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재봉틀(M)은 재봉틀 모터(15)를 구동원으로 하는 침봉 구동 기구와, 작업 테이블(10)의 하면 측에 설치된 륜포착기도 구비한다.
재봉틀 본체(11)는 작업 테이블(10) 상에 설치되고, 각기둥부(12), 아암부(13) 및 좌우 한 쌍의 침봉(14)을 구비한다. 아암부(13)는 각기둥부(12)의 상부로부터 왼쪽(도1에서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좌단 부분에 침봉(14)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침봉(14)은 침봉 구동 기구에 의해 상하로 일체적으로 구동되고, 실륜포착기와의 협동에 의해 봉목을 형성한다.
천 이송 부재(16)는 작업 테이블(10)에 설치되어 있다. 천 이송 부재는, 옷감(1)과 테두리천(2)을 작업 테이블(10)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압박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보낸다. 이송 구동 기구(18)는 작업 테이블(10)의 후부 하면 측에 설치되고, 구동원으로서의 전동 모터(17)를 구비한다. 이송 구동 기구(18)는, 천 이송 부재(16)를 도1의 실선 위치와 쇄선 위치에 걸쳐 전후로 구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옷감(1)과 테두리천(2)을 재봉틀 본체(11)의 앞쪽에 오도록 위치 결정하고, 바인더(19)에 의해 테두리천(2)의 양측 가장자리를 절첩하여 옷감(1) 상에 고정할 수 있다.
재봉틀(M)은 또한 센터메스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센터메스 기구는 한 쌍의 침봉(14) 사이에 배치된 메스를 갖고, 이 메스를 작업 테이블(10)의 상측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천 이송되는 천(1, 2)에 직선컷트부(4)를 전후 방향에 형성하는 것이다.
코너메스 기구(20)는 전후 2개의 코너메스 부재(21)를 가진다. 각 코너메스 부재(21)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2개의 코너메스 부재(21)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각 코너메스 부재(21)에는 위쪽으로 뾰족한 한 쌍의 메스(2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메스(22)는 평면으로 볼 때 V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작업 테이블(10)의 위로 상승이 가능하다. 천(1, 2)이 코너메스 기구(20) 위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메스(22)를 상승시키면, 천(1, 2)에 코너컷트부(5)가 형성된다. 이때, 전후 2개의 코너메스 부재(21)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여러 가지 길이의 직선컷트부(4)에 대응하는 코너컷트부(5)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코너메스 부재(21)의 상승위치를 조절하면, 필요로하는 길이의 컷트부(5)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코너메스 부재(21)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면, 대응하는 메스(22)도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이로써 V자형의 한 쌍의 코너컷트부(5)를 임의의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재봉틀(M)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옷감(1) 및 테두리천(2)은, 천 이송 부재(16)에 의해 작업 테이블(10) 상으로 압박되어 후방으로 보내진다. 그 때, 재봉틀 본체(11)에 의해 2개의 봉목(3)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센터메스 기구에 의해 직선컷트부(4)가 형성된다. 그 다음 코너메스 기구(20) 위에 천(1, 2)을 정지시키고, 코너메스 기구(20)에 의해 4개의 코너컷트부(5)가 형성된다.
조작 패널(30)은 재봉틀 본체(11)의 앞쪽에 있어서 작업 테이블(10) 상에 고정되고,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1,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패널(30)은 액정 디스플레이(31, LCD)와 키류(32)를 갖는다. 키류(32)는, PROGRAM 키(32a), 좌 커서키(32b), 우 커서키(32c), 상 커서키(32d), 하 커서키(32e), AUTO 키(32f) 등을 갖는다. 작업자는, 키류(32)를 조작하여 재봉틀(M)에 관련되는 여러 가지 설정 등을 행할 수 있고, LCD(31)의 재봉틀(M)에 관련된 정도를 표시시켜 볼 수 있다.
이 재봉틀(M)에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로서, 본 실시예에서 도4에 도시된 플랩 센서, 플랩 압박, 윗실 절단 검출 센서, 진공부 등, 합계 15 종류의 옵션 기기가 준비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들 옵션 기기를 필요에 따라서 재봉틀(M)에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옵션 기기는, 플랩 센서(47) 등의 센서류와, 플랩 압박(48) 등의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로 대별된다. 또한, 각 옵션 기기의 기능에 있어서는, 도4의 기능란에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옵션 기기에 관해서 도4에 도시된 아이콘이 설정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장치(40)를 포함하는 제어계에 관해서 도5의 블럭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40)는, 버스(46)로 상호 접속된 CPU(41), ROM(42), RAM(43), EEPROM(44, 불휘발성 메모리)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45)를 갖는다. I/O 인터페이스(45)에는, 구동 회로(15a, 17a, 31a), 조작 패널(30)의 키류(32)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회로(15a, 17a, 31a)는 각각의 모터(15, 17), 조작 패널(30)의 LCD(31)에 접속된다. 제어 장치(40)의 EEPROM(42)에는, 다양한 종류의 봉제 프로그램이 다시 쓰기가 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또 ROM(42)에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 등의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이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후술되는 프로그램 선택 제어, 재봉틀 제어, 표시 제어, 기기 설정 제어(기기 선택 제어) 등의 제어가 실행된다.
상기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 중, 센서류의 옵션 기기가 재봉틀(M)에 장착되면, I/O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가 재봉틀(M)에 장착되면, 전용 구동 회로를 거쳐서 I/O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의 경우, 그 구동부(전동 액츄에이터)가 재봉틀(M)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것도 있고, 구동부마다 재봉틀(M)에 탈착하도록 된 것도 있다.
도5에 도시된 예에서는 센서류인 플랩 센서(47)와,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48)인 플랩 압박부(48)가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다. 플랩 센서(47)는 I/O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되고, 플랩 압박부(48)는 전용의 구동 회로(48a)를 거쳐서 I/O 인터페이스(45)에 접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재봉틀(M)에는, 상기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의 재봉틀에의 장착 여부를 각각 검지하는 다수의 검지 회로가 설치되고, 이들 검지 회로는 I/O 인터페이스(4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센서류의 옵션 기기가 장착되면, 검지 회로는 그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가 장착되면, 검지 회로는 그 구동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5에 도시한 예에서는, 검지 회로(50)가 플랩 센서(47)에 접속되고, 검지 회로(51)가 플랩 압박부(48)의 구동 회로(48a)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에 사용되는 검지 회로(55) 및 구동 회로(56)에 관해서, 도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검지 회로(55)는 I/O 인터페이스(45)의 입력포트(45a)에 접속되어 있고, 한편 구동 회로(56)는 I/O 인터페이스(45)의 출력포트(45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옵션 기기와 동시에 전동 액츄에이터(57)가 탈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동 액츄에이터(57)로서는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혹은 전동 모터 등을 들 수 있다.
도6에 있어서, 옵션 기기가 재봉틀(M)에 장착되면, 전동 액츄에이터(57)는 커넥터(55a, 56b)를 거쳐서 검지 회로(55) 및 구동 회로(56)에 접속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전압(V)이 걸리고, 트랜지스터(TR2)가 ON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전동 액츄에이터(57)가 구동 회로(56)에 접속되어 있다는 취지의 신호가 I/O 인터페이스(45)의 입력포트(45a)에 입력된다. 또한, I/O 인터페이스(45)의 출력포트(45b)에서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구동 회로(56)의 트랜 지스터(TR1)가 ON 되고, 이에 따라 전동 액츄에이터(57)가 구동된다.
한편, 전동 액츄에이터(57)가 검지 회로(55) 및 구동 회로(56)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 검지 회로(55)의 트랜지스터(TR2)가 OFF 상태로 되어, 전동 액츄에이터(57)에 구동 회로(56)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신호가 I/O 인터페이스(45)의 입력포트(545a)에 입력된다. 또한, 옵션 기기가 센서류인 경우에는, 이러한 검지 회로(55)를 대신하여 근접 스위치 등을 적용하는 것이 유효한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재봉틀(M)에서 실행되는 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3의 조작 패널(30)의 PROGRAM 키(32a)를 누르면, LCD(31)에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프로그램 화면(60)이 표시된다. 프로그램 화면(60)의 좌측 위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봉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도7의 예에서는 1)가 표시된다. 또한 좌측 중앙에는, 예를 들면 도2와 같이 형성되는 봉목(3), 직선컷트부(4), 코너컷트부(5) 및 봉목(3)의 길이 등이 표시된다.
또한, 이 PROGRAM 키(32a)를 여러번 반복 또는 연속 조작하면, EEPROM(44)에 기억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봉제 프로그램이 순서대로 선택되고,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화면(60)이 LCD(31)에 순서대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에 따라 순서대로 표시된 프로그램 화면(60)을 참조하여, 원하는 봉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화면(60)의 우측 중앙부에는, 옵션 기기에 대응하는 합계 15 종류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때, 대응하는 옵션 기기의 장착 여부가 식별 가능 하게 표시된다. 즉, CPU(41)는 검지 회로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옵션 기기에 대한 장착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LCD(31)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7의 예에서는,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는 하얀 바탕에 검은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장착되지 않은 옵션 기기는 검은 바탕에 하얀 사선이 있는 아이콘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랩 센서, 플랩 압박부, 윗실 절단 검출 센서가 장착됨과, 진공부, 다트 압박부 등, 그 밖의 옵션 기기는 장착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그램 화면(60)을 표시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30)의 좌우 커서키(32b, 32c)를 누르면,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의 아이콘(도7의 예에서는 화면 좌상 3개의 아이콘)이 순서대로 점멸한다. 이들 중의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조작 패널(30)의 상하 커서키(32d, 32e)를 누르면, 그 아이콘에 대응하는 옵션 기기에 관한 사용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예에서는, 장착되어 사용허가되지 않은 옵션 기기(플랩 센서)는 하얀 바탕에 검은 사선이 있는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장착되어 사용 허가된 옵션 기기는 하얀 바탕에 사선이 없는 아이콘으로 표시하여, 양자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다. 또, 양자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면, 사선의 유무를 이용한 표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류의 옵션 기기에 관해서 사용 금지가 설정되면, 그 옵션 기기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채용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액츄에이터 부착 옵션 기기에 관해 서 사용 금지가 설정되면, 그 구동 회로에 대하여 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옵션 기기에 대한 사용 허가 및 사용 금지의 설정은 할 수 없지만, 설정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그램마다 장착 옵션 기기에 관해서의 사용 허가/사용 불가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 패널(31)의 AUTO 키(32f)를 누르면, LCD(31)에 도8의 AUTO 화면(61)이 표시된다. AUTO 화면(61)에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봉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 및 현재의 시각과, 예를 들면 도2와 같이 형성되는 봉목(3), 직선컷트부(4), 코너컷트부(5) 및 봉목(3)의 길이 등이 표시된다. 또한, 화면 상단의 좌우 방향의 대략 중간부분에는, 상기 장착된 옵션 기기 중, 현재 표시되어 있는 봉제 프로그램에 관해서 사용 허가가 설정된 옵션 기기(도8의 예에서는 플랩 압박부 및 윗실 절단 검출 센서)만이 하얀 바탕에 검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허가된 옵션 기기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UTO 화면(71)의 우반부에는, 봉제 프로그램군이 표시된다. 봉제 프로그램군에는, 다양한 종류의 봉제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번호(1 내지 8)가 봉제 프로그램 실행 순으로 화살표를 붙여 표시되고, 이용자가 봉제 개시키(예를 들면, AUTO 키 32f)를 누를 때마다, 번호 1 내지 8의 봉제 프로그램이 화살표 순서대로 순차 실행된다. 여기서, 아이콘 사이의 화살표 기호는, 화살표 기호 전후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봉제 프로그램은 자동적으로 연속하여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고, 한편 스택 기 호가 붙여져 있는 곳에서는 봉제 프로그램이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사용자에게 봉제되는 천의 교환을 재촉하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소정의 키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이 봉제 프로그램군으로부터 임의의 봉제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봉제 프로그램군을 여러 개의 조로 설정하여 EEPROM(44)에 기억시켜 놓고, 이후, 선택 실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8에 도시한 프로그램군에는 1 내지 8의 봉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지만, 1 내지 4의 봉제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군이나, 4 내지 7의 봉제 프로그램만을 포함하는 프로그램군을 설정하여, 등록시켜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봉틀(M)에는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검지 회로가 설치되고 있고, 이들 검지 회로에 의해 각각의 옵션 기기의 재봉틀(M) 장착 여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장착된 옵션 기기와, 장착되지 않은 옵션 기기를, 양자 식별 가능하게 소정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LCD(31)에 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LCD(31)의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옵션 기기가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 혹은, 불필요한 옵션 기기가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재봉틀(M)을 오작동시키는 우려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재봉틀(M)에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뿐만 아니라, 장착되어 있지 않은 옵션 기기나, 옵션 기기 전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옵션 기 기의 수가 많은 경우라도,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옵션 기기의 사용 허가/사용 금지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을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허가와 사용 금지의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 회로(55)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그 외의 기타 검지 센서 등의 여러 가지 검지기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옵션 기기와 제어 장치(40)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 내에 검지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을 상기한 바와 같이 테두리 재봉틀 이외의 여러 가지 재봉틀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4의 재봉틀에 의하면, 제어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봉제 프로그램 중에서 선택된 것을 기초로 하여 재봉틀을 제어할 수 있고, 기기 설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옵션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기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옵션 기기를 각각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 수단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기기 선택 수단으로 선택된 옵션 기기로서, 예를 들면, 재봉틀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을 허가하는 옵션 기기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 허가의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옵션 기기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검지 회로가 설치되고, 이들 검지 회로에 의해 각각의 옵션 기기의 재봉틀 장착 여부를 검 지할 수 있으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장착된 옵션 기기와 장착되지 않은 옵션 기기를, 양자 식별 가능하게 소정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LCD(31)에 표시시킬 수 있는 재봉틀이 제공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LCD(31)의 표시를 보는 것에 의해, 재봉틀에 장착되어 있는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재봉틀을 오작동시키는 우려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옵션 기기의 수가 많은 경우라도 관리가 용이하게 되며, 사용 허가와 사용 금지의 옵션 기기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다수의 옵션 기기를 사용하는 재봉틀이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각각의 옵션 기기에 대응하여 각기 접속되는 커넥터와,
    대응 커넥터에 접속된 옵션 기기들을 각각 검출하는 다수의 검출 장치와,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대응 커넥터에 접속된 것으로 검출된 각각의 옵션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된 옵션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접속된 것으로 검출된 옵션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과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된 옵션 기기의 아이콘도 디스플레이하는 재봉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기기를 사용 허가 및 사용 금지 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설정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재봉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설정 장치에 의해 사용 금지 상태로 설정된 옵션 기기 및 상기 설정 장치에 의해 사용 허가 상태로 설정된 옵션 기기를 구별하기 위한 방식으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재봉틀.
  5. 제3항에 있어서, 사용 금지된 센서형 옵션 기기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무시하고 액츄에이터형 옵션 기기의 구동 회로에 신호를 내보내지 않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재봉틀.
  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봉제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장치와,
    상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옵션 기기 중 하나 이상의 옵션 기기를 선택하는 옵션 기기 선택 장치와,
    상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봉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 기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옵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옵션 기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옵션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재봉틀.
  7. 다수의 옵션 기기를 사용하는 재봉틀이며,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수의 봉제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 장치와,
    상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상기 봉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옵션 기기 중 하나 이상의 옵션 기기를 선택하는 옵션 기기 선택 장치와,
    상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상기 봉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 기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상기 옵션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옵션 기기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각각의 옵션 기기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재봉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선택 장치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프로그램군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 재봉틀.
KR1020010010205A 2000-05-18 2001-02-28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KR100670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6080A JP2001321586A (ja) 2000-05-18 2000-05-18 ミシン
JP2000-146080 200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158A KR20010106158A (ko) 2001-11-29
KR100670088B1 true KR100670088B1 (ko) 2007-01-17

Family

ID=18652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205A KR100670088B1 (ko) 2000-05-18 2001-02-28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321586A (ko)
KR (1) KR100670088B1 (ko)
CN (1) CN1191401C (ko)
DE (1) DE10109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9610A (ja) * 2002-07-22 2004-02-19 Brother Ind Ltd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報知制御プログラム
JP2004358026A (ja) * 2003-06-06 2004-12-24 Kyokuto Sanki Co Ltd 布帛の蒸気熱仕上げ装置
DE502005000139D1 (de) * 2004-08-04 2006-11-23 Laesser Ag Gestell für eine stickmaschine und verwendung derselben mit einem gestellfundament
JP4975362B2 (ja) 2006-05-08 2012-07-11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8269564A (ja) * 2007-03-23 2008-11-06 Seiko Epson Corp 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US7752347B2 (en) 2007-03-23 2010-07-06 Seiko Epson Corporation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an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JP2008250379A (ja) * 2007-03-29 2008-10-16 Seiko Epson Corp 情報提供プログラム、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5130023B2 (ja) 2007-11-09 2013-01-3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13198551A (ja) 2012-03-23 2013-10-03 Brother Ind Ltd 上送り装置及びミシン
BR112016028332A2 (pt) * 2014-06-11 2017-08-22 Orisol Asia Ltd sistema de posicionamento para máquina de costura controlada por computador integrado a um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e método de posicionamento respectiv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109391A1 (de) 2001-11-22
CN1191401C (zh) 2005-03-02
JP2001321586A (ja) 2001-11-20
KR20010106158A (ko) 2001-11-29
CN1324962A (zh) 200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088B1 (ko) 탈착 가능한 옵션 기기를 구비한 재봉틀
US6000350A (en) Embroidering position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or an embroidering sewing machine
JPH10140460A (ja) 刺繍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刺繍ミシン
US5826526A (en) Sewing machine
US5231941A (en) Sewing machine with embroidery device
US7882790B2 (en) Sewing machine
US5099777A (en) Sewing operation procedure display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EP1905879A2 (en) Sewing machine and controller therefor
US5657708A (en) Embroidering machine controller
US6439142B2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H08299632A (ja) 始動許可機能を備えた刺繍縫い装置
JP2003326011A (ja) ミシン
JP3744556B2 (ja) コンピュータミシン
US5211120A (en) Programmable sewing machine
JP4830232B2 (ja) 縫製装置の表示装置
US6095067A (en) Sewing apparatus
JP4093424B2 (ja) コンピュータミシン
JP2001198372A (ja) 電子制御ミシンの縫製条件設定装置
JPH0549773A (ja) 刺繍装置付きミシン
JPH06339587A (ja) ロックミシン
JPH08294588A (ja) ミシンの縫い機構を利用する刺繍縫い装置
JP4636731B2 (ja) ミシン
JP2861490B2 (ja) ミシン
JPH11164976A (ja) 縫製装置
JPH08112482A (ja) 警告表示機能を備えた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