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014B1 -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014B1
KR100670014B1 KR1020050034179A KR20050034179A KR100670014B1 KR 100670014 B1 KR100670014 B1 KR 100670014B1 KR 1020050034179 A KR1020050034179 A KR 1020050034179A KR 20050034179 A KR20050034179 A KR 20050034179A KR 100670014 B1 KR100670014 B1 KR 100670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alcohol
weight
film
parts
enh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807A (ko
Inventor
오진환
김종수
이양우
박선재
Original Assignee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제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0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1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oxygen
    • C08K5/42Sulfon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비닐 알콜 수지에 전성 증진제로 글루텐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비평면 형상 등의 입체적 표면을 가지는 피전사체에 대하여 정밀 인쇄가 가능하여 수압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매우 유용한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수압전사, 폴리비닐 알콜 수지, 전성 증진제, 글루텐, 친수성 증진제

Description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Composition of polyvinyl alcohol resin for water pressure transfer}
본 발명은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비닐 알콜 수지에 전성 증진제로 글루텐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비평면 형상 등의 입체적 표면을 가지는 피전사체에 대하여 정밀 인쇄가 가능하여 수압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매우 유용한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삼차원의 입체구조물에 의장을 인쇄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수용성베이스 필름의 한 면에 인쇄층을 가진 복층 필름을, 그 인쇄층이 용제 등의 활성화액의 도포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상태로 인쇄층을 위로 하고, 수면으로 떠오를 수 있고, 그 상방으로부터 피전사체를 두는 것에 따라 인쇄층의 의장을 입체구조체에 전사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은 수면에 부유시 막과 같은 층이 형성되고, 피전사체에 주름이나 늘어짐이 생기는 일이 없이 인쇄되는 것이 요 구된다. 이 베이스 필름의 소재로서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필름이 사용된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전사인쇄용 얇은 막으로서, 일본 특허 공개 소 61-3277호에서는, 평균중합도 300 ∼ 3000, 평균검화도 65 ∼ 97 mol%의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로부터 제막되고, 해당 수지에 대하여 0.02 ∼ 10 중량%의 붕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고 두께가 0.01 ∼ 0.1 mm의 전사인쇄용 필름을 제안하였으나, 부유물이 많아 정밀한 인쇄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7-117327호에서는 평균중합도 3200 이상, 평균검화도 65 ∼ 95 mol%의 초고중합도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와 평균중합도 3200 미만, 평균검화도 65 ∼ 95 mol%의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를 중량비로 30:70 ∼ 70:30으로 혼합한 조성물로, 그 두께가 35 mm 이하의 막을 제안하였으나, 폴리비닐 알콜 필름의 수용성이 낮아 원하는 시간에 인쇄되지 못하였으며, 일본 특허 공개 평 7-117328호에서는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 100 중량부에 만난(mannan), 키산탄구아감 등의 천연 껌(Gum)계 점토성 물질을 2 ~ 15 중량부 혼합한 조성물로, 그 두께가 1 ∼ 50 ㎛인 막을 제안하였으나, 천연고무 사용으로 인하여 인쇄 시 부분적으로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재현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굴곡이 심한 물체에 수압전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으로, 이를 위해서 인쇄성과 수용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일정시간 동안 물속에서 전성(펴짐성)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는 필름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비평면 형상 등의 입체적 표면을 가진 피전사체에 대해 정밀한 인쇄가 가능한 수압전사용 필름을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비닐 알콜 수지에 전성 증진제로 제빵에서 사용되고 있는 글루텐을 적용하고, 가소제, 친수성 증진제를 특정 함량 혼합시켜 전성(펴짐성)과 인쇄성이 현저히 향상된 수압전사 필름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성증진제로 글루텐을 사용하여 인쇄성 및 전성을 월등히 향상시킴으로써 수압전사용 필름에 적합한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콜 수지, 가소제 및 친수성 증진제로 이루어진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에 전성증진제로 글루텐이 함유된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콜 수지 100 중량부,
전성 증진제로 글루텐 0.001 ∼ 10 중량부,
가소제로 다가알콜 1 ∼ 35 중량부와 물 30 ∼ 350 중량부, 및
친수성 증진제로 음이온 증진제 0.001 ∼ 1 중량부와 비이온 증진제 0.001 ∼ 1 중량부
를 함유하는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 알콜 수지에 전성증진제로 글루텐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비평면 형상 등의 입체적 표면을 가지는 피전사체에 대하여 정밀 인쇄가 가능하여 수압전사용 베이스 필름에 매우 유용한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비닐 알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압전사용 필름의 인쇄성, 수용성을 높이고 특히 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비닐 알콜 수지, 가소제, 친수성 증진제, 전성증진제 등을 첨가한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전사인쇄용 베이스 필름의 주성분인 폴리비닐 알콜계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비닐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중합하고 얻어진 비닐에스테르계 중합체를 검화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비닐에스테르계 화합물로서는 포름산비닐, 초산비닐, 트리 플루오르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라우릴산 비닐, 파르미틴산 비닐, 스테아린산 비닐 등이 단독 또는 병용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실용상으로는 초산비닐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도 가능한데,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등의 올레핀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또는 그 염, 또는 디알킬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에틸렌술폰산, 알릴술폰산, 메타알릴술폰산 등의 올레핀 술폰산 또는 그 염, 알킬비닐에테르류, N-아크릴아미드, 메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 디알릴 암모늄염화물, 디메틸 알릴 비닐 케톤, N-비닐 피로리돈,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등의 폴리옥시알킬렌 메타 아크릴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비닐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비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릴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 알릴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비닐아민, 폴리옥시프로필렌 비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반응은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과산화아세틸,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공지의 라디칼 중합촉매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반응온도는 35 ∼ 80 ℃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얻어진 비닐에스테르계 중합체를 검화하는데 있어서는, 그 중합체를 알코올에 용해하고 알칼리촉매의 존재 하에서 행해진다. 알코올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 중의 공중합체의 농도는 0.1 ∼ 50 중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검화 촉매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카리금속 수산화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촉매의 사용량은 1 ∼ 100 밀리몰 당량으로 하면 좋다. 경우에 따라서는 산 촉매에 의하여 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비닐 알콜 수지로는 검화도가 65 ∼ 97 mol%와 중합도가 200 ∼ 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검화도가 65 mol% 미만일 경우에는 수압전사용 필름의 용해 시 미용해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97 mol%를 초과할 경우에는 용해속도가 늦은 문제가 있으며, 중합도가 200 미만이면 기계적 강도가 부족한 문제가 있고, 3000을 초과하면 수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수압전사용 필름은 요철이나 굴곡이 있는 피전사체에 잘 인쇄시키기 위해서는 물 위에 떠서 주름이나 굴곡 없이 잘 펴져야 하므로, 인쇄성 및 수용성 뿐만 아니라 전성 또한 개선시키기 위한 전성 증진제의 선택 사용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성질을 더욱 강력하게 발현하는 첨가제를 찾던 중, 제빵시 형태를 유지해주는 글루텐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글루텐은 두 종류의 단백질 분자(글리아딘과 글루테닌)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력성이 아주 뛰어난 물질이다. 이러한 글루텐은 폴리비닐알콜 필름 제조 시 물과 만나서 펴짐성(전성)을 증진시키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글리아딘과 글루테닌 분자가 길게 나란히 뻗은 다음, 물이 그 주위를 둘러싼 후 단백질 분자가 길게 뻗으면 분자끼리 서로 반응이 일어나면서 그 사이에 새로운 결합이 생긴다. 그 결과로 생긴 글루텐은 상호 반응하는 분자로 이루어진 복잡한 네트워크 체계를 이룬다. 이 네트워크는 탄성이 매우 크고 단단하다. 이러한 결과 글루텐의 주성분인 글루테닌은 알맞게 굳는 성질을 띄게 하고 글리아딘은 부드러운 점착성을 갖게 하는 결합제로 작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글루텐의 성질이 폴리비닐 알콜 필름에서도 발현되는 것을 밝히고, 필름 수지 조성물의 첨가제로 사용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구성은 전성 증진제로 글루텐을 선택 사용한 점이다. 본 발명의 수압전사용 필름에 적합한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폴리비닐 알콜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루텐은 0.001 ∼ 1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005 ∼ 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1 ∼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일 글루텐이 너무 적으면 펴짐성(전성)이 나오지 않고, 너무 많으면 물에 불용되어 필름에 미용해물로 남을 수 있다.
또 다른 접근방법으로 전성 증진 효과나 강도 보강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메틸셀룰로오즈를 선택해 독립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나, 메틸셀룰로오즈 첨가 시 점도가 급상승하여 폴리비닐 알콜 필름의 수용성, 전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인쇄성도 큰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용해온도를 낮추어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가소제로 물과 다가알콜류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다가알콜류는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는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알콜류는 1 ∼ 35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5 ∼ 25 중량부 사용되고, 물은 30 ∼ 35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80 ∼ 250 중량부를 혼합 사용한다. 상기 가소제 중 다가알콜의 사용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3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압전사용 필름 제조 시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여 전성 저하 및 너무 유연하여 취급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 중 물의 사용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폴리비닐알콜의 열분해가 쉽게 일어나고, 3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기내에서 이송 등의 취급이 어렵고, 제거해야 할 수분의 양이 너무 많아 공정이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알콜류 가소제는 물만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시에 비해 휘발성이 낮아 원료 중 수소결합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성 및 장기 보전성을 증대시켜주며, 또한 함수된 원료간의 점착성을 감소시켜 입자의 흐름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은 압출공정 시 피더(Feeder)에서 균일한 원료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주고 결과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필름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친수성 증진제로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음이온 증진제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 증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5021602189-pat00001
Figure 112005021602189-pat00002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OOR2이고, R2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M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원자이고, m은 1 내지 20 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0 내지 7의 정수이며, x + y는 9 내지 11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친수성 증진제는 폴리비닐 알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 증진제 0.001 ∼ 1 중량부(바람직하기로는 0.01 ∼ 0.3 중량부)와 비이온 증진제 0.001 ∼ 1 중량부(바람직하기로는 0.01 ∼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일 친수성 증진제를 상기 범위보다 적게 사용하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표면으로 이형되어 장기보관 시 필름간 점착에 의한 주름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성증진제와 가소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비닐알콜 복합수지 조성물은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압출된다. 이때 압출온도는 50 ∼ 150 ℃로, 바람직하기는 80 ∼ 120 ℃ 범위로 조절된 다축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시켜 균일하게 혼합 용융된다. 압출온도가 50 ℃ 미만이면 용융이 되지 않아 압출가공이 불가능하고, 1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 알콜 수지가 부분 열분해되어 변색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에서 용융된 용융체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필터와 연이어 기어펌프, 다이를 통과하면서 필름형태로 변화된 후,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캐스팅롤에 주조하게 된다. 주조된 필름은 캐스팅롤에서 1차 건조되는데 이때 함유한 수분은 폴리비닐 알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 70 중량부로 낮추어 박리시킨다. 이때, 짧은 시간동안 급격히 많은 수분을 제거할 경우에는 주조 특성상 필름의 주조면과 대기면 간의 수분율 구배로 인하여 필름 뒤틀림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되고 반대로 충분한 양의 수분이 제거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박 리 시 필름에 작용된 힘에 의해 필름 변형의 원인이 된다. 박리된 필름은 공정 특성상 내ㆍ외부가 불균일한 수분 함량을 갖게 되는데, 이는 다음 단계의 건조 과정에서 전기한 뒤틀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캐스팅롤 이후에 작은 직경의 수개의 건조롤을 배치함으로써 불균일한 수분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롤 건조기를 통과함으로써 수분의 안정화를 이룬 필름은 궁극적으로 다수의 에어 노즐로 구성되어 있고 30 ∼ 180 ℃로 유지되고 있는 플로팅 드라이어를 거침으로써 궁극적으로 원하는 수분 함량을 갖는 수압전사용 필름을 얻게 된다.
이렇게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은 요철이 있는 입체면이나 복잡한 성형체의 표면에 우수한 인쇄성을 보이고, 빠르게 용해되어 인쇄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때문에 수압전사용 베이스 필름으로 매우 유용하리라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검화도 87.5몰%, 중합도 1,700인 폴리비닐 알콜 100 중량부에 대해 가소제로 글리세린 10 중량부와 물 100 중량부, 친수성 증진제로 다이부틸소디움설퍼아디페이트(BS) 0.05 중량부와 폴리옥시에틸렌도데실에테르(OE) 0.05 중량부 및 전성증진제로 글루텐 0.5 중량부를 투입하여 잘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100 ℃로 온도가 설정된 다축 압출기 호퍼에 투입시켜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압출기에서 균일 혼합 용융된 복합수지 조성물은 T다이를 통과하면서 필름으로 형태 변형된 후 85 ℃의 캐스팅롤에 토출되어 1차 건조과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건조된 필름은 다시 다수의 에어노즐이 상하에 장착된 플로팅 드라이어에서 2차 건조된 후 가장자리의 불균일한 부분을 절단한 후 권취기에서 롤에 권취시킨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성 증진제로 메틸셀룰로오즈 0.5 중량부를 추가 사용하여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성 증진제로 글루텐 대신에 메틸셀룰로오즈 0.5 중량부를 사용하여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성 증진제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비닐 알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3에서 사용된 PVA 수지, 가소제, 친수성 증진 제 및 전성증진제의 조성 및 사용량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폴리비닐 알콜 수지 가소제 친수성 증진제 전성 증진제
중합도 검화도 (몰%) 글리세린 음이온 (BS) 비이온 (OE) 메틸셀룰로오즈 글루텐
실시예 1 1700 87.5 100 10 0.05 0.05 - 0.5
비교예 1 1700 87.5 100 10 0.05 0.05 0.5 0.5
비교예 2 1700 87.5 100 10 0.05 0.05 0.5 -
비교예 3 1700 87.5 100 10 0.05 0.05 - -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폴리비닐 알콜 필름의 표면장력, 접촉각, 전성, 기계적 물성, 용해성 및 인쇄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방법]
(1) 용해성
2.3 X 3.4 cm 필름시편을, 800 ㎖의 물을 채운 1L 비이커 안에 고정되게 장착시키고, 마그네틱 스터러(magnetic stirrer)로 교반하여 vortex가 600 ㎖ 정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시편을 담근 후 완전 용해될 때까지의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2) 표면장력
20 ℃, 폴리비닐 알콜 필름 1 중량% 용액의 표면장력을 표면장력 측정기(크루스사모델 K-101)로 측정하였다.
(3) 접촉각
폴리비닐 알콜 필름의 접촉각을 접촉각 측정기(페이스사 모델 CA-DT)로 측정하였다.
(4) 인장강도
폴리비닐 알콜 필름의 인장강도를 유니버설테스팅머신(Universal Testing Machine, 인스트론사 모델 4206, 20℃, RH 65%)으로 측정하였다.
(5) 신장
폴리비닐 알콜 필름의 신장을 유니버설테스팅머신(Universal Testing Machine, 인스트론사 모델 4206, 20℃, RH 65%)으로 측정하였다.
(6) 전성
2.3 X 3.4 cm 필름시편을, 800 ㎖의 물을 채운 1L 비이커 안에 수면 위로 시편을 띄운 후 완전히 펴질 때까지의 시간을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7) 인쇄성
폴리비닐 알콜 베이스 필름에 그라비아 잉크[안료(퀴나크리돈)/알키드수지/ 톨루엔/초산에틸/이소프로필알콜=10/20/25/30의 조성]를 이용하고, 그라비아 인쇄 방식(80선/inch, 피치:317 mm X 100 mm X 2 mm)에 의하여 도트(dot)상을 인쇄하고 전사 인쇄용 필름을 제작하였다. 피전사체로는 PVC판(100 mm X 100 mm X 2 mm)을 준비하고, 그 피전사 표면에 프라이머[톨루엔/초산에틸/이소프로필알콜=2/3/3 (중량비)의 혼합 용액]를 도포한 것을 준비하였다. 상기의 전사인쇄용 필름 (400 mm X 400 mm)을 상온의 물이 채워져 있는 수조에 떠오르게 하고, 10초 후에 상기 PVC판을 눌러대어 PVC판에 전사되는 도트(dot)상(10 mm X 10 mm의 범위의 중앙 부분)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구분 압출방향 필름두께 (평균± 편차, ㎛) 표면장력 (dyne/cm) 용해성 (sec. at 10 ℃) 인장강도(Mpa) 신장(%) 접촉각 (도) 전성 인쇄성
MD TD MD TD
실시예 1 30.0±0.5 48.5 57 41.4 42.3 250 270 55
비교예 1 30.0±0.5 48.2 59 41.7 42.9 250 270 60
비교예 2 30.0±0.5 49.2 61 43.1 44.3 240 200 57 ×
비교예 3 30.0±0.5 53.2 65 44.2 45.4. 230 230 66 ×
* 전성(펴짐성) ○: 상온의 물위에서 3초 내 펴짐, △: 5초 내 펴짐, □: 5초 이후 펴짐 * 인쇄성 ○: 양호(인쇄누락 없음, 인쇄상태 우수) △: 보통(인쇄누락 없음, 인쇄상태 양호) ×: 불량(인쇄누락 있음, 인쇄상태 불량)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폴리비닐 알콜 필름은 비교예 1 ~ 3의 필름에 비해 전성(펴짐성) 및 인쇄성이 탁월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은 요철이 있는 입체면이나 복잡한 성형체의 표면에 우수한 인쇄성을 보이고, 빠르게 용해되어 인쇄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때문에 수압전사용 베이스 필름으로 적용 시 그 효과가 탁월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삭제
  2. 폴리비닐 알콜 수지 100 중량부,
    글루텐 0.001 ∼ 10 중량부,
    가소제로 다가알콜 1 ∼ 35 중량부와 물 30 ~ 350 중량부, 및
    친수성 증진제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음이온 증진제 0.001 ~ 1 중량부와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이온 증진제 0.001 ~ 1 중량부
    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5053369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6050533691-pat00004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에서, R1은 H, 또는 COOR2이고, R2는 H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M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원자이고, m은 1 내지 20 의 정수이고, n은 0 내지 20의 정수이고, x는 0 내지 7의 정수이며, x + y는 9 내지 11의 정수를 나타낸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 알콜 수지는 검화도가 65 ~ 97 mol%이고, 중합도가 200 ~ 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콜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및 트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5. 삭제
KR1020050034179A 2005-04-25 2005-04-25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KR100670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79A KR100670014B1 (ko) 2005-04-25 2005-04-25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179A KR100670014B1 (ko) 2005-04-25 2005-04-25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07A KR20060111807A (ko) 2006-10-30
KR100670014B1 true KR100670014B1 (ko) 2007-01-16

Family

ID=37620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179A KR100670014B1 (ko) 2005-04-25 2005-04-25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0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133A1 (ja) * 2015-06-15 2016-12-22 株式会社クラレ 液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046A (en) 1984-10-04 1988-10-1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Sheet-like preparation
JPH05339506A (ja) * 1992-06-10 1993-12-21 Nagata Sangyo Kk 機能性複合材料
JPH06200108A (ja) * 1992-12-28 1994-07-19 Osaka Organic Chem Ind Ltd 生分解性樹脂組成物
KR20000000018A (ko) * 1999-02-26 2000-01-15 고현주 외장재용전사필름의제조방법
KR20030058504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서통 고차단성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코팅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7046A (en) 1984-10-04 1988-10-11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Sheet-like preparation
JPH05339506A (ja) * 1992-06-10 1993-12-21 Nagata Sangyo Kk 機能性複合材料
JPH06200108A (ja) * 1992-12-28 1994-07-19 Osaka Organic Chem Ind Ltd 生分解性樹脂組成物
KR20000000018A (ko) * 1999-02-26 2000-01-15 고현주 외장재용전사필름의제조방법
KR20030058504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서통 고차단성 코팅액 및 이를 이용한 코팅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807A (ko) 200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2320B2 (ja) 水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方法
JP6242192B2 (ja) 液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
JP4854282B2 (ja) 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00015962A (ko) 액압 전사 인쇄용 베이스 필름, 액압 전사 인쇄용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액압 전사 방법
JP2010155453A (ja) 液圧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
WO2020022396A1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
JP5442878B2 (ja) 水圧転写フィルム
JPWO2020138445A1 (ja) 水圧転写用ベースフィルムおよび水圧転写用印刷フィルム
KR100670014B1 (ko) 수압전사용 폴리비닐 알콜 복합수지 조성물
JP4464585B2 (ja) 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
CN113227225B (zh) 水溶性膜以及包装体
JP4275871B2 (ja) 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
JP7005894B2 (ja) 水溶性フィルム及び薬剤包装体
JP4433446B2 (ja) 熱履歴を受けても水溶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10843444B2 (en) Liquid chemical agent packag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14008114A (zh) 水溶性薄膜及包装体
JP4542184B2 (ja) 転写印刷用水溶性ベー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100091154A (ko) 액압 전사 인쇄용 베이스 필름과 그 제조 방법
JP6360106B2 (ja) 液圧転写用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052208A (ja) 二軸延伸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04426B1 (ko) 액압 전사용 베이스 필름
JP7493507B2 (ja) 水溶性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2004189891A (ja) 水性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接着剤
JP5595118B2 (ja) 転写印刷用ベースフィルム
JP7234625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薬剤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