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7152B1 -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7152B1
KR100667152B1 KR1020040076067A KR20040076067A KR100667152B1 KR 100667152 B1 KR100667152 B1 KR 100667152B1 KR 1020040076067 A KR1020040076067 A KR 1020040076067A KR 20040076067 A KR20040076067 A KR 20040076067A KR 100667152 B1 KR100667152 B1 KR 10066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l
information
postal
s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205A (ko
Inventor
최지영
이태한
박상용
이석
박정현
김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15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각 거점(교환센터, 집중국)에서의 우편물 처리로직 및 거점간 우편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운행로직을 이용하여 우편물류망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분석/평가할 수 있게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의 작업시간/처리능력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차량정보, 차량유형별/거리별 운송비용 정보, 또는 노선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를 바탕으로, 발송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이 차량에 적재되어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 흐름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에서의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에 의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인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분석/평가 등에 이용됨.
우편물류망, 집중국, 교환센터, 시뮬레이션

Description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postal transportation network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우편물류망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우편물 발생시 우편물 적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차량 발생시 우편물 적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화면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의 평가 자료를 제공하는 출력 화면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사용자 입력부 202: 데이터베이스
203: 시뮬레이션 수행부 204: 출력부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각 거점(교환센터, 집중국)에서의 우편물 처리로직 및 거점간 우편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운행로직을 이용하여 우편물류망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분석/평가할 수 있게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류망에는 교환센터 및 집중국 등의 거점이 존재하며, 집중국에서는 관내 집배센터로부터 수집된 물량을 도착지별로 구분해 교환센터 또는 도착집중국으로 발송하거나, 교환센터 또는 출발집중국으로부터 도착한 물량을 구분해 관내 집배센터로 보내며, 교환센터에서는 각 집중국으로부터 온 우편물을 서로 교환해 도착집중국에 보내준다. 우편물량은 집중국 간에 존재하며, 이들 우편물은 운송편을 통해 출발집중국에서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된다.
종래에는 우편물류망 관점에서 우편물의 흐름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이를 표현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우편물류망을 분석하는데에는 많은 시간, 비용, 및 노력이 들었으며, 그 분석결과도 정확도나 유용성이 낮았으며, 또한 차량 운송편이라든지 각 거점에서의 작업시간 등이 변경된 경우에 우편물류망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미리 평가할 수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각 거점(교환센터, 집중국)에서의 우편물 처리로직 및 거점간 우편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운행로직을 이용하여 우편물류망을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분석/평가할 수 있게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의 작업시간/처리능력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차량정보, 차량유형별/거리별 운송비용 정보, 또는 노선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를 바탕으로, 발송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이 차량에 적재되어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 흐름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에서의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에 의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인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의 작업시간/처리능력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 물량 정보, 차량정보, 차량유형별/거리별 운송비용 정보, 또는 노선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시뮬레이션 수행부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발송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이 차량에 적재되어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 흐름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뮬레이션 수행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획득된 우편물/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우편물류망의 구성예시도로서, 우편물류망은 교환센터(101)와 집중국(102) 및 이들 사이의 운송망(103, 104, 105)으로 구성된다.
교환센터(101)는 발송집중국으로부터 온 우편물을 서로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집중국(102)은 수집된 물량을 도착지별로 구분해서 교환센터 또는 도착집중국으로 발송하거나, 교환센터 또는 출발집중국으로부터 도착한 물량을 구분해서 관내 집배센터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편운송망에서 우편물의 흐름은 차량에 의해 이루어지며, 운송유형에 따라 직접 출발집중국에서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직송(103), 다른 집중국을 경유하는 겸송(104), 교환센터를 경유하는 교환망(105)으로 나누어진다. 우편물량에 따라 왕복노선이 존재하거나 편도노선만 존재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 성도로서,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부(201), 시뮬레이션 수행부(203), 데이터베이스(202), 및 출력부(204)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20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시뮬레이션 수행부(203)에 시뮬레이션 수행을 요구한다. 여기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입력 정보에는 우편 서비스 종류 및 송달 기준 등의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교환센터, 집중국 등)의 작업시간/처리능력 정보, 거점간 거리 및 이동시간 등의 망(물류망) 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 물량 정보, 차량 유형별 용량 등 차량 정보, 차량 유형별 거리별 운송비용 정보, 운송편별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차량 유형 등의 노선 정보 등이 포함된다.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발송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이 차량에 적재되어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 흐름을 시뮬레이션한다. 즉,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사용자 입력부(201)를 통하여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교환센터 및 집중국에서의 우편물 처리 로직 및 거점 간 우편물을 운송하는 차량의 운행 로직을 이용하여 우편 운송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여기서, '우편물 처리 로직'은 집중국에서 이루어지는 우편물 발생 및 우편물종류별/목적지별 구분 작업 프로세스와, 교환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우편물 교환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차량의 운행 로직'은 차량 발생(즉, 도착집중국으로 직접 향하는 직송차량, 타 집중국을 경유하여 도착집중국에 도착하게 되는 겸송차량, 교환센터로 향하는 차량(교환차량), 발생된 차량에의 우편물 적재, 우편물이 적재된 차량의 출발 등에 관한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시뮬레이션 수행 과정 중에, 차량 및 우편물과 관련된 정보, 즉 각 운송편별로 어디에서 몇 시에 출발하여 얼마만큼의 우편물을 싣고 어디에 몇 시에 도착했는지, 각 우편물 단위별로 우편물 종류가 무엇이고 얼마만큼의 우편물이 어디에서 몇 시에 발생해서 어디에 몇 시에 도착했는지의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시뮬레이션 수행부(203)에서의 시뮬레이션 수행 과정은 도 3 내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202)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201)를 통하여 입력받은 시뮬레이션 수행에 필요한 정보, 및 시뮬레이션 수행부(203)에 의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저장한다.
출력부(204)는 시뮬레이션이 수행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우편 서비스별 송달 기준 및 차량 유형별 거리별 운송비용 정보와,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생성된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우편 서비스별 발송 물량, 송달기준 만족물량/만족율, 운송편별 적재물량/적재율, 운송비용 등의 통계자료(즉,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송달기준 만족물량'은 사용자가 입력한 송달기준과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생성된 도착시간과 출발시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계산하며, '운송편별 적재율'은 차량에 최대로 실을 수 있는 물량 대비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 실제 차량에 적재한 물량을 비교하여 계산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사용자 입력부(201)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 과정과 출력부에서 수행되는 출력 과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3에서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도 2 참조)의 시뮬레이션 수행부(203)에서 수행되는 시뮬레이션 과정만을 도시하였으며, 이하 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뮬레이션 과정은 크게 집중국에서의 발송처리과정(30), 교환센터에서의 교환처리과정(31), 및 집중국에서의 도착처리 과정(32) 등 3가지 과정으로 구분되며, 이 모든 과정은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도 2 참조)의 시뮬레이션 수행부(203)에서 수행된다.
먼저, 각 과정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국에서의 발송처리과정(30)은, 각각의 집중국마다, 발송우편물과 운송차량을 각각의 발생 규칙에 따라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우편물을 해당 우편서비스 종류에 따라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하며, 우편서비스 종류별로 구분된 우편물을 발생된 차량에 소정의 적재 규칙 및 차량선택 우선순위에 따라 적재하여 차량을 출발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둘째, 교환센터에서의 교환처리과정(31)은 교환센터를 경유하는 차량이 발송집중국을 출발하여 교환센터에 도착한 경우, 직교환 팔레트는 도착집중국별로 교환하고 혼재 팔레트는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한 후, 그 교환/구분된 우편물을 도착지별로 해당 차량에 적재하여 도착집중국으로 출발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셋째, 집중국에서의 도착처리 과정(32)은 각각의 집중국마다 차량이 도착하면 그 도착한 차량에 대하여 우편물하차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도착우편물과 차량마다 도착시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하는 과정이다.
이하, 도 3의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각각의 발송집중국에서 우편물 접수 및 수집 완료 시간이 되면, 집중국간 우편 물량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집중국에서 서로 다른 집중국으로 발송될 우편물이 서비스 종류별로 발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301). 이 때, 우편물 단위별로 발생시각 및 발생지, 우편물의 종류, 발생량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다. 우편물 단위로는 팔레트를 사용했으며, 예를 들어 3.4 팔레트의 경우 총 4개의 우편물 개체가 생성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각 개체별로 위의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차량의 경우도, 우편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각각의 집중국에서 차량 발생 시간이 되면 운송편별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차량 유형 등의 노선 정보에 따라 차량이 발생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302). 다른 집중국을 거쳐 도착집중국으로 가는 겸송의 경우에는 출발지뿐만 아니라 경유지에서도 가상차량이 발생한다.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목적지별로 구분된 우편물이 대기하고 있는 차량에 차량유형별 최대 적재량 내에서 적재 규칙 및 차량 선택 우선순위에 따라 적재되도록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303). 적재 규칙은 도 4 및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선택과 관련하여, 가용 차량이 여러 대 존재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출발시간, 차량 용량, 적재된 우편물량을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차량을 선택하게 된다.
시뮬레이션 수행부(203)는 차량 출발시각이 되면 차량 출발 규칙에 따라 차량이 도착지 또는 교환센터로 출발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304). 차량 출발 프로세는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출발 관련 시뮬레이션 수행결과로는 차량마다 차량의 출발지, 출발시각, 적재량정보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다.
만약, 출발차량이 교환센터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교환센터에 도착하며(305, 306), 교환센터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착집중국에 도착하여 우편물을 하차하게 된다(305, 312). 이때, 우편물 하차시에는 하차소요시간 만큼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 우편물 및 차량 결과 정보와 관련하여 도착지, 도착시간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교환센터에 도착한 우편물의 경우, 같은 목적지로 가는 물량만 포함하는 직교환 팔레트(Pallet)는 팔레트 안의 물량을 구분하는 작업 없이 바로 도착집중국별로 교환되며(307), 다른 목적지로 가는 물량이 섞여 있는 혼재 팔레트의 경우에는 팔레트 안의 물량은 도착집중국별로 구분된다(308).
만약, 운송편별 노선정보를 이용해 교환센터에 도착한 차량의 복노선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교환센터에서 출발하여 원래 출발지로 되돌아 가는 차량이 발생된다(309).
"307", "308"에서 교환 및 구분된 우편물은 우편물 종류에 관계없이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바로 차량에 적재되며(310),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기열에 대기한다. 차량에 물량이 가득 차는 만차가 되면 차량은 바로 출발하며, 임시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임시편을 발생해 대기열에 있는 우편물을 적재한다. 차량은 차량 출발시각이 되면, 적재량에 상관없이 무조건 출발하며(311), 도착집중국에 도착한 우편물은 하차된다(312). 이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차량이 출발하거나 도착시 출발지, 출발시각, 도착지, 도착시각, 적재량 정보 등이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우편물 발생시 우편물 적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거점의 작업시간 및 시간당 처리 가능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 시작시간이 되면 각 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을 서비스 종류마다 목적지별로 구분한다(401 내지 403). 즉, 보통 통상, 빠른 통상, 소포 각각에 대하여 목적지(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한다.
다음으로,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빠른 통상 또는 소포에 대해서는 직송 또는 겸송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405), 가용 차량이 존재하면 빠른통상 및 소포 우편물에 대해서는 우편물을 차량에 적재하는 적재프로세스를 수행하고, 가용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빠른통상 및 소포 우편물을 빠른 대기열에 대기시킨다(407). 한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보통 통상 우편물(401)은 무조건 보통 대기행렬에 대기시킨다(404).
만약, "405"에서 겸송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겸송 노선의 적재 가능 수량 비율에 따라 우편물을 적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우편물적재시에는 우편물 적재소요시간 만큼의 시간지연이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차량 발생시 우편물 적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차량 발생 시간이 되면 운송편별 출발지, 도착지, 출발시간, 도착시간, 차량 유형 등의 노선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차량이 직송차량이나 겸송 차량인 경우에는(501) 빠른 대기열에 서 대기하고 있는 우편물을 우선적으로 적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504).
한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발생된 차량이 겸송지(경유지)로 출발할 가상차량인 경우에는(502), 이전 거점에서 출발한 차량이 겸송지(경유지)에 도착하면 그 경유지에서 가상차량에 적재되어 있던 우편물을 그대로 겸송 차량에 적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505).
한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발생된 차량이 교환센터로 가는 차량인 경우에는(503), 차량 출발프로세스에서 우편물이 적재된다(도 6의 "604", "605" 등 참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차량 출발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차량 출발시, 우선 차량 용량 정보를 이용하여 출발차량에 여유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601), 여유공간이 존재하면 대기행렬에 있는 우편물을 적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되는데, 출발차량이 직송 차량이나 겸송 차량의 경우(602)에는 보통 대기열에서 대기하고 있는 우편물(보통통상 우편물)을 적재하며(603), 출발차량이 교환센터로 가는 차량인 경우에는(604) 빠른 대기열 및 보통 대기열에 있는 우편물을 적재한다(605). 여기서, "605"의 우편물 적재는 빠른 대기열에서 대기하고 있는 우편물을 우선적으로 적재한다. 한편, "601"의 여유공간 확인결과, 출발 차량에 여유 공간이 없으면, 임시편의 존재를 확인하여(613), 임시편이 존재하면 임시편 차량을 발생시킨 후(614) 차량발생시 적재 단계(302 이하 과정)를 수행하고(615), 임시편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적재 우편물은 남겨두고 우편물이 적재된 차량을 출발시킨다(612).
다음으로,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출발차량에 적재된 우편 물량과 차량의 출발가능 적재량을 비교한다(606).
비교 결과, 차량 적재물량이 차량의 출발 가능 적재량 이하이면,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해당차량의 출발을 취소하고(607), 빠른 대기열에 대기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608).
비교 결과, 차량 적재물량이 차량의 출발 가능 적재량을 초과하면, 다시 만차여부(차에 물량이 가득 찼는지 여부)를 확인한다(610).
만차여부 확인 결과, 출발차량이 만차가 아니면, 적재량에 맞추어 감차하여(611) 출발한다(612). 여기서, 감차인 경우는 할당된 차량은 그대로 운행하되, 나중에 운송비용 정산시 감소한 차량유형으로 정산한다.
만차여부 확인 결과, 출발차량이 만차이면, 운송편 정보를 이용하여 임시편 존재 여부를 확인하여(613), 임시편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적재 우편물은 대기시키면서 만차로 적재된 차량은 그대로 출발시키고(612), 임시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임시편을 발생시킨 후(614) 만차 적재 차량은 출발시키면서(612) 미적재 우편물에 대해서는 "302"이하의 과정이 적용된다(615).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화면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사용자 입력부(20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입력화면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사용자가 거점상세 버튼(701)을 누르면, 사용자 입력부(201)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점명, 접수/수집 시간등의 거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우편물량 버튼(702)을 누르면, 사용자 입력부(201)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우편물량 분포, 평균, 분산, 요일지수,주(week)지수 등의 거점간 물량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운송계획 버튼(703)을 누르면, 사용자 입력부(201)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운송거리, 운송비용, 운송시간 등의 거점간 운송편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도시된 도면이외에도 사용자 입력부(201)는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다양한 입력화면을 제공한다.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우편물류망의 평가 자료를 제공하는 출력화면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출력부(204)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인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 등을 이용하여, 우편 서비스별 발송물량, 송달기준 만족물량/만족율, 운송편별 적재물량/적재율, 또는 운송비용 등의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그래픽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사용자가 출력화면에서 물량결과 버튼을 누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화면이 제공되는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우편물 종류별로 송달기준 만족률 등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출력화면에서 차량결과 버튼을 누르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화면이 제공되는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차량유형별로 정기, 임시편이 운송형태(직송, 교환 등)별로 몇대 발생하고, 평균적재율이 얼마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출려부(204)는 상기 도시된 출력화면이외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처리하여 다양한 우편물류망 분석/평가 자료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우편운송망(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의 흐름을 분석/평가함으로써, 우편물류망을 분석/평가하는데에 있어 시간, 노력, 비용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우편물류망 분석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우편물의 흐름에 대한 통계 자료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우편물류망을 다면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점 사이의 운송편 및 거점에서의 작업시간 등이 변경된 경우에도 변경된 정보를 토대로 신속/용이하게 우편물류망을 분석함으로써, 우편물류망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미리 예측/평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의 작업시간/처리능력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차량정보, 차량유형별/거리별 운송비용 정보, 또는 노선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
    상기 입력된 시뮬레이션 정보를 바탕으로, 발송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이 차량에 적재되어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 흐름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에서의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에 의한 시뮬레이션 수행 결과인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수단은,
    각각의 집중국에 대하여 발송우편물과 운송차량을 각각의 발생 규칙에 따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우편물을 해당 우편서비스 종류마다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된 우편물을 상기 발생된 차량에 소정의 적재 규칙 및 차량선택 우선순위에 따라 적재하여 차량을 출발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집중국 발송처리 단계;
    상기 집중국 발송처리 단계에서 출발한 차량이 교환센터를 경유하는 차량으로서 상기 교환센터에 도착함에 따라, 직교환 운송용기는 도착집중국별로 교환하고 혼재 운송용기는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한 후, 상기 교환/구분된 우편물을 도착지별로 해당 차량에 적재하여 도착집중국으로 출발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교환센터의 교환처리 단계; 및
    각각의 집중국에 해당 차량이 도착함에 따라 상기 도착한 차량에 대하여 우편물하차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도착우편물과 차량마다 도착시간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집중국 도착처리 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적용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의 작업시간/처리능력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 물량 정보, 차량정보, 차량유형별/거리별 운송비용 정보, 또는 노선정보를 입력받는 입력 단계;
    시뮬레이션 수행부가 상기 입력 단계에서 입력된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발송집중국에서 발생된 우편물이 차량에 적재되어 도착집중국으로 운송되는 우편물류망에서의 우편물 흐름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거점에서의 우편물 관련 정보나 차량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시뮬레이션 수행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획득된 우편물/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관련 정보는,
    각 우편물 단위별로 우편물의 종류, 우편물량, 발생지, 발생시각, 도착지, 도착시각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관련 정보는,
    각 차량별로 출발지, 출발시각, 도착지, 도착시각, 적재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가, 각각의 집중국에 대하여 발송우편물과 운송차량을 각각의 발생 규칙에 따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우편물을 해당 우편서비스 종류에 따라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하며, 상기 우편서비스 종류별로 구분된 우편물을 상기 발생된 차량에 소정의 적재 규칙 및 차량선택 우선순위에 따라 적재하여 차량을 출발시키는 차량출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집중국 발송처리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가, 상기 집중국 발송처리 단계에서 출발한 차량이 교환센터를 경유하는 차량으로서 해당 교환센터에 도착함에 따라, 직교환 팔레트는 도착집중국별로 교환하고 혼재 팔레트는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한 후, 상기 교환/구분된 우편물을 도착지별로 해당 차량에 적재하여 도착집중국으로 출발시키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교환센터의 교환처리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 수행부가, 각각의 집중국에 해당 차량이 도착함에 따라 상기 도착한 차량에 대하여 우편물하차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도착우편물과 차량마다 도착시간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는 집중국 도착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국 발송처리 단계는,
    각각의 집중국에 대하여 우편물 발생 규칙에 따라 발송우편물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우편물을 우편서비스 종류마다 도착집중국별로 구분하여, 상기 구분된 우편물이 보통통상 우편물이면 보통대기열에 대기시키고, 상기 구분된 우편물이 빠른통상 또는 소포 우편물이면 가용 차량의 존재를 확인하여 가용 차량에 우편물을 적재하고 가용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면 빠른 대개열에 대기시키는 우편물발생시 적재 단계; 및
    각각의 집중국에 대하여 차량발생 규칙에 따라 직송/겸송 차량, 겸송지 출발 가상차량, 또는 교환센터행 차량을 발생시키며, 상기 직송/겸송 차량에 대해서는 빠른 대기열에 있는 우편물을 적재하는 차량발생시 적재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발생시 적재 단계는,
    상기 가용 차량이 다수인 경우에는 목적지, 출발시간, 차량 용량, 적재된 우편물량을 순차적으로 고려하여 차량을 선택하며, 겸송의 경우에는 겸송 노선의 적재 가능 수량 비율에 따라 우편물을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중국 발송처리 단계에서의 차량출발 프로세스는,
    출발 차량에 여유 적재공간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는 여유공간 검사 단계;
    상기 여유공간 검사 결과, 상기 출발 차량에 여유 공간이 없으면, 임시편의 존재를 확인하여, 임시편이 존재하면 임시편 차량을 발생시킨 후 상기 차량발생시 적재 단계를 수행하고, 임시편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적재 우편물은 남겨두고 우편물이 적재된 차량을 출발시키는 단계;
    상기 여유공간 검사 결과, 상기 출발 차량에 여유 공간이 있으면, 상기 직송/겸송차량에는 보통대기열에 있는 우편물을 적재하고, 교환센터행 차량에는 빠른 대기열과 보통 대기열에 있는 우편물을 적재한 후, 차량 적재량을 검사하는 적재 단계;
    상기 적재량 검사 결과, 상기 차량 적재량이 출발가능 적재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차량출발을 취소하고 이미 차량에 적재되었던 우편물은 상기 빠른 대기열에 대기시키고, 상기 차량 적재량이 출발가능 적재량 이상이면서 만차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적재량에 맞게 감차하여 출발시키며, 상기 차량 적재량이 출발가능 적재량 이상이면서 만차인 경우에는 운송편정보를 이용하여 임시편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편 존재 확인 결과, 임시편이 존재하면 임시편 차량을 발생시킨 후 상기 만차로 적재된 차량은 출발시키면서 미적재 우편물에 대해서는 상기 차량발생시 적재 단계를 수행하고, 임시편이 존재하지 않으면 미적재 우편물은 대기시키면서 상기 만차로 적재된 차량은 출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센터의 교환처리 단계는,
    상기 교환센터에 도착한 차량에 대하여 복노선이 존재하면, 각각의 차량에 대하여 해당 출발집중국으로 되돌아 가는 차량을 발생시키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계에서의 우편물흐름 평가정보는,
    우편 서비스별 발송물량, 송달기준 만족물량/만족율, 운송편별 적재물량/적재율, 또는 운송비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방법.
KR1020040076067A 2004-09-22 2004-09-22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67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67A KR100667152B1 (ko) 2004-09-22 2004-09-22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67A KR100667152B1 (ko) 2004-09-22 2004-09-22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205A KR20060027205A (ko) 2006-03-27
KR100667152B1 true KR100667152B1 (ko) 2007-01-12

Family

ID=3713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067A KR100667152B1 (ko) 2004-09-22 2004-09-22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13B1 (ko) * 2006-08-02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례기반의 추론 기법을 이용한 우편집중국 물량 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79614B1 (ko) * 2006-09-29 2009-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우편물류 흐름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43513B1 (ko) * 2007-09-13 2010-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배달작업 계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560284B2 (en) 2008-12-04 2013-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alternative simula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US20210090003A1 (en) * 2019-09-19 2021-03-25 Coupang,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outbound forecasting based on postal code mapping
KR102364082B1 (ko) 2021-05-12 2022-02-17 박관수 물류 운송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205A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1452B2 (en) Logistic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ow of postal mail in real-time
CA2704601C (en) Enhanced postal data modeling framework
JP2009521023A (ja) 物理対象の輸送方法、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手段
US20200219058A1 (en) Shipment Planning
KR100667152B1 (ko)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239223A (zh) 分拨中心任务调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Hayashi et al. E-commerce and city logistics solution
CN108694530A (zh) 一种共享式快递运送方法
Hao et al. Introduction to the dynamic pickup and delivery problem benchmark--ICAPS 2021 competition
WO2020080263A1 (ja) 配送計画立案システム、および配送計画立案方法
JP2001240219A (ja) 検索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976871B1 (ko) 물류 소통품질 관리 방법, 물류작업 관리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시스템
KR100867373B1 (ko) 우편물류망 관리시스템 및 방법과 이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20100274608A1 (en) Method for creating and delivering new carrier products
KR100424655B1 (ko) 전철을 이용한 소화물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
Ferrucci et al. Introduction to tour Planning: Vehicle routing and related problems
KR100685783B1 (ko)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44813B2 (ja) 郵便物送達情報処理装置
Romero-Silva et al. Modelling Landside Logistic Operations of a Mega-hub Airport with Discrete-event Simulation.
KR101212321B1 (ko) 물류 인프라 대응방안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303681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gistics facility management
KR20240013379A (ko) 수요 예측을 통한 물류인프라 대응 시뮬레이션 방법
Tamizhinia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cargo warehouse operations of an Indian airline using discrete event simulation: A case study
Kujačić et al. Logistics performance in postal logistics centers
Şımşek et al. Simulation approach for modeling and analyzing the technological transfer center in a cargo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