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5783B1 -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5783B1
KR100685783B1 KR1020050013589A KR20050013589A KR100685783B1 KR 100685783 B1 KR100685783 B1 KR 100685783B1 KR 1020050013589 A KR1020050013589 A KR 1020050013589A KR 20050013589 A KR20050013589 A KR 20050013589A KR 100685783 B1 KR100685783 B1 KR 10068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time
communication plan
arrival
dead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2586A (ko
Inventor
최지영
이태한
박정현
김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1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7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운송수단 정보, 및 운송용기 정보 등을 고려하여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인 교환센터의 교환시간대, 집중국의 발송/도착작업시간대,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 등에 대한 시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거점에서의 우편물 처리 작업 및 우편물 운송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어 우편물류망 운영을 효율화하고 우편물 송달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통계획 수립 수단으로 소통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아 다양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통계획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환차수별로 교환센터의 교환작업시간, 집중국의 발송처리작업시간 및 도착처리작업시간, 및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을 결정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소통계획 수립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에 의한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 간의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관리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등에 이용됨.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집중국, 교환센터, 집배센터, 작업 시작시간, 작업 마감시각

Description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tting-up the time scheduling of postal transportation network}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 및 각 거점에서의 작업시간대에 대한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시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시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화면의 구조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화면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2 : 소통계획 수립부
203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04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인 교환센터의 교환시간대, 집중국의 발송/도착작업시간대,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 등에 대한 시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거점에서의 우편물 처리 작업 및 우편물 운송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어 우편물류망 운영을 효율화하고 우편물 송달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편물류망에는 교환센터, 집중국, 및 집배센터 등과 같은 거점이 존재한다. 집배센터에서 발송마감시각 이전에 고객으로부터 접수 및 수집한 우편물은 집중국으로 보내지며, 집중국에서는 발송처리시간대에 관내 집배센터로부터 수집된 물량을 도착지별로 구분하여 교환센터 또는 도착집중국으로 발송한다. 교환센터에서는 교환시간동안 각 집중국으로부터 수집된 우편물을 서로 교환해 도착집중국으로 보내며, 도착집중국에서는 도착처리시간대에 교환센터 또는 발송집중국으로부터 도착한 물량을 구분하여 관내 집배센터로 보낸다. 최종 도착집배센터에서는 집중국으로 부터 당일 배달시작시각 이전에 받은 우편물을 고객에게 배달한다.
종래에는 우편서비스 및 우편물량과 무관하게 무조건 하루 두 번의 교환작업을 실행하고 있으며, 교환센터의 교환시간대와 각 거점간 이동시간을 주요 고려사항으로 하여 시간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우편물에 대한 소통계획 결과는 우편물류망 운영에 영향을 미치며 송달기준 및 운송비에 영향을 미치는 바, 우편 서비스별 송달기준과 거점의 우편물 처리용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우편 물량 및 거점의 우편물 처리용량 등을 고려하여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인 교환센터의 교환시간대, 집중국의 발송/도착작업시간대,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 등에 대한 시간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운송수단 정보, 및 운송용기 정보 등을 고려하여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인 교환센터의 교환시간대, 집중국의 발송/도착작업시간대,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 등에 대한 시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거점에서의 우편물 처리 작업 및 우편물 운송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어 우편물류망 운영을 효율화하고 우편물 송달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통계획 수립 수단으로 소통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아 다양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통계획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환차수별로 교환센터의 교환작업시간, 집중국의 발송처리작업시간 및 도착처리작업시간, 및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을 결정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소통계획 수립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에 의한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 간의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통계획 수립을 요구하는 소통계획 수립요구 단계; 상기 소통계획 수립요구 단계에서의 요구에 따라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통계획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환차수별로 교환센터의 교환작업시간, 집중국의 발송처리작업시간 및 도착처리작업시간, 및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을 결정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하는 소통계획 수립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소통계획 수립 단계에서 수립한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소통계획 수립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 및 각 거점에서의 작업시간대에 대한 설명도로서,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으로는 집배센터(101, 105), 집중국(102, 104), 교환센터(103) 등이 있다.
먼저, 집배센터(101)는 발송마감시각 이전까지 고객으로부터 접수 및 수집한 우편물을 당일 관할 집중국으로 보내며, 집중국(102)에서는 관내 집배센터로부터 수집된 물량을 발송처리작업시간 동안 도착지별로 구분해 교환센터 또는 도착집중 국으로 발송한다.
그러면 교환센터(103)에서는 교환작업시간 동안 각 집중국으로부터 온 우편물을 서로 교환해 도착집중국으로 보내며, 교환센터 또는 다른 집중국으로부터 우편물이 도착한 집중국(104)에서는 도착처리작업시간 동안 도착한 물량을 구분하여 관내 집배센터로 보낸다. 최종적으로 우편물이 도착한 집배센터(105)에서는 배달시작시각 이전에 도착한 우편물을 도착 당일 고객에게 배달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 소통계획 수립부(202),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03), 및 데이터베이스(204)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통계획 수립부(202)에 소통계획 수립을 요구한다. 여기서,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입력 정보에는 우편 서비스 종류 및 송달 기준 등의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교환센터, 집중국, 집배센터 등)의 관할구역 및 처리능력(처리용량) 등의 거점 정보, 거점간 거리 및 이동시간 등의 망(물류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차량 유형별 용량 등 운송수단 정보, 및 운송용기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소통계획 수립부(202)가 소통계획을 수립한 후, 수립된 소통계획을 테이블 또는/및 그래프 등의 다양한 형태로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준다. 이때, 소통계획은 교환차수별로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 집중국의 발송처리작업시간 및 도착처리작업시간, 교환센터의 교환작업시간 등을 포함하며, 이와 더불어 부가적으로 각 집중국별 익일배송비율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소통계획 수립부(20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한다. 상기 소통계획 수립부(202)에서의 소통계획 수립 과정은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0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 및 소통계획 수립부(202)와 데이터베이스(204)간의 연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나 소통계획 수립부(202)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나 소통계획 수립부(202)에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4)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를 통하여 입력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 및 소통계획 수립부(202)에 의한 소통계획 수립 결과를 저장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에 대한 전체 흐름도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 및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03)에서 수행되는 입력 과정과 출력 과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3 에서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도 2 참조)의 소통계획 수립부(202)에서 수행되는 소통계획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계획 수립과정은 크게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1) 및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3) 등의 2가지 과정으로 구분되며, 이 모든 과정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도 2 참조)의 소통계획 수립부(202)에서 수행된다.
먼저,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1)은 교환 1회차에 해당되는 첫 번째 교환에 대한 각 거점들의 작업시각들을 설정하는 과정이며,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3)은 교환 2회차에 해당되는 두 번째 교환에 대한 각 거점들의 작업시각들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지정된 교환횟수를 판단하여(302), 만약 지정된 교환횟수가 1회라면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1)만을 수행하고, 교환횟수가 2회라면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3)까지 수행한다. 상기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1) 및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과정(303)은 도 4 및 도 5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시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집배센터의 배달출국준비 시작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도착집중국(104)과 배달집배센터(105)와의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최대한 늦게 설정할 수 있는 도착집중국(104)의 1차 도착처리마감시각을 설정한다(401).
그리고 도착집중국(104)의 1차 도착처리마감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모든 도착집중국(104)에 대해서, 각 발송집중국(102) 및 교환센터(103)에서 도착집중국(104)으로 우편물을 발송해야 하는 가장 늦은 시각을 설정한다. 이때, 교환센터(103)를 거쳐서 도착집중국(104)으로 오는 우편물의 경우는 발송집중국(102)에서 직접 오는 경우에 비해 이동시간이 길어지므로(이동시간은 트라이앵귤러(triangular) 조건을 만족한다고 가정), 도착집중국(104)에서의 물량처리시작시각이 가장 늦도록 설정한다. 이 과정을 수행하면, 교환센터(103)에서 각 도착집중국(104)으로 물량을 발송해야 하는 가장 늦은 시각이 설정되게 되고, 이 시각들 중 가장 이른 시각까지 교환작업을 완료해야 하므로, 이를 통해 교환센터(103)의 1차 교환마감시각을 설정한다(402).
그리고 상기 설정한 교환센터(103)의 1차 교환마감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교환에 참가하는 발송집중국(102)들을 대상으로, 각 집중국별로 가장 늦은 교환발송마감시각을 설정한다. 이때, 교환센터(103)로 물량을 발송하지 않는(교환에 참가하지 않는) 발송집중국의 경우는 제외한다. 이 과정을 완료하면, 각 발송집중국(102)별로 도착집중국(104)으로 가는 가능한 한 가장 늦은 직송마감시각과 교환마감시각이 설정되는데, 이를 통해 각 발송집중국(102)별로 가능한 한 가장 늦은 1차 발송처리마감시각을 설정한다(403).
그리고 각 발송집중국(102)별로 설정한 1차 발송처리마감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해당 집중국의 관할권내에 있는 접수집배센터(101)를 대상으로, 각 집배센터별로 가능한 한 최대 지연이 가능한 1차 발송마감시각(접수마감시각)을 설정한다(404).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이렇게 설정한 발송(접수)마감시각까지 접수되는 우편물이 모두 발송집중국(102)을 통해서 발송되어 도착집중국(104)에서 처리되고 최종적으로 배달집배센터(105)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발송 및 도착 처리를 완료할 수 있는 물량은 해당 집중국의 처리 용량과 처리가능 시간에 따라 한정되기 때문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시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여기서, 교환 2회차에 해당하는 각 거점별 작업시간대를 결정하는 방식은 기본적으로 교환 1회차에 해당되는 각 거점별 작업시간대를 결정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다만, 익일 배송이 보장되는 발송물량은 1회차에 발송되는 물량에 해당되므로, 2회차에서는 집중국간 직송을 실행하지 않는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 집배센터별로 2차 물량이 도착해야 하는 데드라인(deadline)은 통상적인 우체국의 근무종료시각인 18시로 설정한다. 이는 당일 배달되는 물량이 아니라 집배원이 귀국 후에 다음 날 배달을 위해 순로구분 등의 준비를 실행하는 물량으로, 집배원의 귀국 전에 도착하면 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 값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정이 가능하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관할 집배센터별 2차 도착 데드라인(deadline)을 기준으로 각 도착집중국(104)별로 2차 도착처리마감시각을 설정한 후에(501), 2차 도착분을 모두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2차 도착처리시작시각을 설정한다. 이 경우에, 설정된 2차 도착처리시작시각이 해당 집중국의 1차 발송처리시작시각보다 늦은 경우에는 1차 발송처리시작시각으로 재 설정하고, 설정된 2차 도착처리시작시각이 해당 집중국의 1차 도착처리마감시각보다 이른 경우는 실제로 2차 물량 전체를 도착처리 하기에 처리용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때에는 2차 도착처리시작시각을 1차 도착처리마감시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501" 과정에서 설정한 도착집중국(104)의 2차 도착처리마감시각을 기준으로 교환센터(103)에서 해당 집중국으로 2차 교환물량을 발송하는 가능한 한 가장 늦은 시각을 설정한다. 이 시각들 중 가장 이른 시각을 교환센터(103)의 2차 교환마감시각으로 설정한다(502).
그리고 상기 설정한 교환센터(103)의 2차 교환마감시각을 기준으로 집중국별 2차 교환발송마감시각을 설정하고, 이 시각을 발송집중국(102)의 2차 발송처리마감시각으로 설정한다(503). 그 다음에 2차 발송물량을 모두 처리하는 시간을 감안하여 집중국별 2차 발송처리시작시각을 설정하는데, 이때, 만일 설정된 2차 발송처리시작시각이 1차 발송처리마감시각보다 이른 경우에는 2차 발송처리시작시각을 1차 발송처리마감시각으로 재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집중국별로 설정한 2차 발송처리마감시각을 기준으로 집배센터별 2차 발송처리마감시각(접수마감시각)을 설정한다(504).
도 6a 내지 도 6d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화면의 구조도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6a 내지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입력화면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거점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점명, 거점 용량, 관할구역, 거점 주소 등의 거점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일 예로 사용자가 운송로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점간 운송거리, 시간 등의 운송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일 예로 사용자가 집중국간 물량관리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6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집중국간 우편물량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한편, 일 예로 사용자가 망구조 관리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도 6d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화면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점의 관할구역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도시된 도면이외에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다양한 입력화면을 제공한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 결과를 제공하는 출력화면의 구조도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입력화면 외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소통계획 수립 결과인 집배센터별 발송마감시각, 집중국 처리시간대, 교환시간대, 집중국별 직송마감시각, 익일 배송률 등의 요약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출력화면에서 집중국 처리시간대 버튼을 누르면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화면이 제공되는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집중국별 발송처 리작업시간대 및 도착처리작업시간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예로 사용자가 출력화면에서 교환시간대 버튼을 누르면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화면이 제공되는데,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교환차수별 교환시간대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도시된 출력화면 이외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결과에 따른 다양한 출력화면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일반물류망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 정보, 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운송수단 정보, 및 운송용기 정보 등을 고려하여 우편물류망을 구성하는 거점인 교환센터의 교환시간대, 집중국의 발송/도착작업시간대,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 등에 대한 시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거점에서의 우편물 처리 작업 및 우편물 운송 기능이 원활히 수행되어 우편물류망 운영을 효율화하고 우편물 송달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을 통해 우편물류망에서 거점간 작업연계 계획을 효과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계획수립자 개개인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소통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짧은 시간 내에 다양한 시나리오로 소통계획 수립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통계획 수립 수단으로 소통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그에 따른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아 다양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통계획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환차수별로 교환센터의 교환작업시간, 집중국의 발송처리작업시간 및 도착처리작업시간, 및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을 결정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소통계획 수립 수단;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에 의한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 간의 연동을 지원하기 위한 저장 관리 수단
    을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계획 수립 수단은,
    교환 1회차에 해당하는 첫 번째 교환에 대한 각 거점들의 작업시각들을 설정한 후에, 지정된 교환횟수가 2회임에 따라 교환 2회차에 해당하는 두 번째 교환에 대한 각 거점들의 작업시각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는,
    우편 서비스 종류 및 송달 기준과 같은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교환센터, 집중국, 집배센터 등)의 관할구역 및 처리능력(처리용량)과 같은 거점 정보, 거점간 거리 및 이동시간과 같은 망(물류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차량 유형별 용량과 같은 운송수단 정보, 및 운송용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5.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아 소통계획 수립을 요구하는 소통계획 수립요구 단계;
    상기 소통계획 수립요구 단계에서의 요구에 따라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통계획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교환차수별로 교환센터의 교환작업시간, 집중국의 발송처리작업시간 및 도착처리작업시간, 및 집배센터의 발송마감시각을 결정하여 소통계획을 수립하는 소통계획 수립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소통계획 수립 단계에서 수립한 소통계획 수립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소통계획 수립결과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계획 수립 단계는,
    교환 1회차에 해당하는 첫 번째 교환에 대한 각 거점들의 작업시각들을 설정하는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 단계;
    2차 교환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계에서 지정 교환횟수가 2회로 확인됨에 따라 교환 2회차에 해당하는 두 번째 교환에 대한 각 거점들의 작업시각들을 설정하는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1차 작업시각 설정 단계는,
    상기 집배센터의 배달출국준비 시작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도착집중국과 배달집배센터와의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최대한 늦게 설정할 수 있는 도착집중국의 1차 도착마감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도착집중국의 1차 도착마감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모든 도착집중국에 대해서, 상기 교환센터를 거쳐서 상기 도착집중국으로 오는 우편물의 경우는 발송집중국에서 직접 오는 경우에 비해 이동시간이 길어지므로, 상기 도착집중국에서의 물량처리시작시각이 가장 늦도록 설정하여, 상기 교환센터에서 각 도착집중국으로 물량을 발송해야 하는 가장 늦은 시각이 설정되게 되고, 이 시각들 중 가장 이른 시각까지 교환작업을 완료해야 하므로 이를 통해 교환센터의 1차 교환마감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각 발송집중국별로 상기 도착집중국으로 가는 가능한 한 가장 늦은 직송마감 시각과 교환마감시각을 설정하여, 이를 통해 각 발송집중국별로 가능한 한 가장 늦은 1차 발송마감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및
    각 발송집중국별로 설정한 1차 발송마감시각을 데드라인(deadline)으로 하여, 해당 집중국의 관할권내에 있는 접수집배센터를 대상으로, 각 집배센터별로 가능한 한 최대 지연이 가능한 1차 발송마감시각(접수마감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2차 작업시각 설정 단계는,
    관할 집배센터별 2차 도착 데드라인(deadline)을 기준으로 각 도착집중국별로 2차 도착마감시각을 설정한 후에, 2차 도착분을 모두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2차 도착시작시각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한 2차 도착시작시각이 해당 집중국의 1차 발송시작시각보다 늦은 경우에는 1차 발송시작시각으로 재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2차 도착시작시각이 해당 집중국의 1차 도착마감시각보다 이른 경우에는 2차 도착시작시각을 1차 도착마감시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도착집중국의 2차 도착마감시각을 기준으로 상기 교환센터에서 해당 집중국으로 2차 교환물량을 발송하는 가능한 한 가장 늦은 시각을 설정하여, 이 시각들 중 가장 이른 시각을 교환센터의 2차 교환마감시각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한 교환센터의 2차 교환마감시각을 기준으로 집중국별 2차 교환발 송마감시각을 설정하고, 이 시각을 발송집중국의 2차 발송마감시각으로 설정하며, 2차 발송물량을 모두 처리하는 시간을 감안하여 집중국별 2차 발송시작시각을 설정하되, 상기 설정한 2차 발송시작시각이 1차 발송마감시각보다 이른 경우에는 2차 발송시작시각을 1차 발송마감시각으로 재 설정하는 단계; 및
    집중국별로 설정한 2차 발송마감시각을 기준으로 집배센터별 2차 발송마감시각(접수마감시각)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통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는,
    우편 서비스 종류 및 송달 기준과 같은 우편 서비스 정보, 거점(교환센터, 집중국, 집배센터 등)의 관할구역 및 처리능력(처리용량)과 같은 거점 정보, 거점간 거리 및 이동시간과 같은 망(물류망)구조 정보, 우편 서비스별 거점간 우편물량 정보, 차량 유형별 용량과 같은 운송수단 정보, 및 운송용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방법.
KR1020050013589A 2005-02-18 2005-02-18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589A KR100685783B1 (ko) 2005-02-18 2005-02-18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589A KR100685783B1 (ko) 2005-02-18 2005-02-18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86A KR20060092586A (ko) 2006-08-23
KR100685783B1 true KR100685783B1 (ko) 2007-02-22

Family

ID=37593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589A KR100685783B1 (ko) 2005-02-18 2005-02-18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32B1 (ko) * 2007-11-27 2010-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편 배달 부하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CN115549872B (zh) * 2021-06-30 2024-04-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Pusch信号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96A (ko) * 2000-05-15 2001-11-28 강형욱 통신망을 통한 물류 공동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5505A (ko) * 2002-12-21 2004-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허브앤스포크 물류망의 간선 운송 계획 시스템과 그 계획생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96A (ko) * 2000-05-15 2001-11-28 강형욱 통신망을 통한 물류 공동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55505A (ko) * 2002-12-21 2004-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허브앤스포크 물류망의 간선 운송 계획 시스템과 그 계획생성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104796 *
10200400555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586A (ko) 200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72821B (zh) 确定服务站点信息的方法及装置
CN107423923A (zh) 以配送员为核心的物流追踪与调度方法
CN106600036B (zh) 基于Android多点快递配送方法
CN102521720A (zh) 物流派送跟踪处理方法和物流派送终端
JP2019512803A (ja) 割り当て要求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00041104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mobile workers
US20090089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on management of logistics center
JPH1131177A (ja) 宅配システム
CN105894184A (zh) 一种物流联合调度方法、平台和系统
CN108197908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楼宇运营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11292043A (zh) 一种快递派送方法及装置
KR20140114804A (ko) 택배서비스 운용방법 및 택배시스템
RU2395119C9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ы расчета маршрута и интервала доставки по почтовому индексу
CN115345548A (zh) 基于区块链技术的货物多式联运物流配送方法
KR100685783B1 (ko) 우편물류망 소통계획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26410A (ko) 택배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서버
CN106952383A (zh) 电力物资供应商服务大厅排队系统及方法
CN116703281B (zh) 基于逗点地址的物品配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01571937A (zh) 一种运单派发方法、装置及系统
WO2020080263A1 (ja) 配送計画立案システム、および配送計画立案方法
WO20110547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courier transport
CN115222328A (zh) 物流跟踪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0667152B1 (ko) 우편물류망 평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14340B1 (ko) 반품 또는 역영업을 위한 택배 시스템 및 방법
JP2002193450A (ja) 輸送貨物の物流制御方法および物流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