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929B1 -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929B1
KR100665929B1 KR1020050091159A KR20050091159A KR100665929B1 KR 100665929 B1 KR100665929 B1 KR 100665929B1 KR 1020050091159 A KR1020050091159 A KR 1020050091159A KR 20050091159 A KR20050091159 A KR 20050091159A KR 100665929 B1 KR100665929 B1 KR 10066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ver
cowl top
coupling
hook
sid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현중
최찬묵
김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3Assembly of structur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향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상기 카울탑 커버의 골형성부와,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장지지부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중 어느 하나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후크와, 상기 카울탑 커버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상기 후크가 억지끼워 결합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결합시 결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유격 및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카울탑 커버, 사이드 패드, 리브, 스프링너트

Description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MOUNTING STRUCTURE OF COWL TOP COVER}
도 1a는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에 사이드 패드가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2a 및 2b는 도 1b의 C와 D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종래의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후크 110..돌출부
200...후크홈 300...카울탑 커버
310...카울탑 커버 골형성부 320...결합돌기
400...사이드 패드 410...사이드 패드 골형성부
420...연장지지부 430...결합공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를 측부에서 상호 끼워 결합하여 결합부위의 외관품질을 향상시키는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울탑 커버(10)는 윈드실드글래스(20)와 후드리어패널(30) 간의 연결 상부를 구성하여 차체의 강성을 유지하고, 상기 윈드실드글래스(2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카울탑 커버(10)는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40)이 윈드실드글래스(20)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윈드실드글래스(20)의 하부와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사이 갭에는 웨더스트립(50)이 위치하여 윈드실드글래스(20)와 카울탑 커버(10) 간의 수밀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타측으로 상기 후드리어패널(30)과 연결되고 하부에는 카울언더패널(6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윈드실드글래스(20)를 폭방향으로 지지하는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사이드부에는 사이드 패드(70)가 결합된다. 예컨대,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울탑 커버(10)에는 하방향으로 결합돌기(11)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패드(70)에는 상기 결합돌기(11)가 끼워지는 결합공(71)이 형성된다. 상기 카울탑 커버(10)와 사이드 패드(70)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공(71)의 상호 결합은 상기 결합공(71) 내에 끼워진 결합돌기(11)에 스프링 너트(72)를 끼움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울탑 커버의 사이드부 중에서 굴곡되어 형성되는 카울탑 커버(10)의 골형성부(12)에서도 상기 결합돌기(11)와 결합공(71)의 상호 결합을 통해 상기 카울탑 커버(10)와 사이드 패드(70) 간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골형성부에서의 상기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 간의 결합구조는 단순히 상기 카울탑 커버의 골형성부에 형성된 결합돌기에 상기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 결합돌기에 스프링 너트를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결합돌기의 단부에서 스프링너트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결합돌기에 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골형성부에서 상기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 사이의 결합부위가 벌어져 유격이 발생되어 결국 제품의 외관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결합시 결합부위에 발생되는 유격으로 인한 외관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향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카울탑 커버의 골형성부와,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장지지부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가 상호 결합되는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중 어느 하나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후크와, 상기 카울탑 커버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상기 후크가 억지끼워 결합되는 후크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후크는 상기 골형성부의 바닥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크의 쐐기는 해당 돌출부가 상기 골형성부의 바닥 상부를 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가 상호 결합되는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카울탑 커버(300)와 상기 카울탑 커버(300)에 결합되는 사이드 패드(40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카울탑 커버(300)는 윈드 실드 글래스의 하단에 설치되어 카올 박스 상단을 복개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공조 및 풍절음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러한 카울탑 커버(300)는 3차원 면 형상으로 그 구조가 복잡한데, 특히 사이드부의 면처리는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사이드부에 탄성재질의 사이드 패드(400)가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카울탑 커버(300)에 골 형상으로 굴곡되는 골형성부(3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사이드 패드(400)의 결합부 역시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에 대응되는 골형성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와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 간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에는 해당 골바닥에서 결합돌기(32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에는 측방향으로 연장지지부(42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연장지지부(420)에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공(430)이 형성된다.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결합돌기(320)가 상기 사이드 패드 골형성부(310)의 결합공(430)에 상하로 결합시에는 상기 결합돌기(320)가 상기 결합공(430)을 관통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출되는 결합돌기(320)의 단부에는 스프링 너트(330)가 결합 고정되어,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와 상기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가 상호 밀착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와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는 측방향에서도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에는 측부로 연장형성되는 후크(100)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00)가 대응되어 끼워 고정되는 후크홈(200)이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에 형성되어 상기 후크(100)와 후크홈(20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 (310)와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는 측방향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상기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에 쐐기형상의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에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후크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후크(100)는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바닥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크(100)가 후크홈(200) 간의 긴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바닥으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후크(100)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크(100)는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바닥에 인접하게 위치할수록 상기 카울탑 커버(300)와 사이드 패드(400) 사이에 이격이 발생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에 형성되는 후크(100)와 후크홈(200)이 형성되는 위치와 개수는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100)는 해당 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홈(200)은 상기 후크(100)와의 결합시 상기 후크(100)의 돌출부(110)에 끼워 고정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100)는 해당 돌출부(110)가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바닥 반대방향 즉,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바닥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카울 탑 커버(300)와 사이드 패드(400) 간의 결합시 상기 후크(100)가 상기 카울탑 커버(300)의 골형성부(310)의 바닥에 더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 형상으로 굴곡되는 골형성부(310),(410)를 갖는 상기 카울탑 커버(300)와 사이드 패드(400)의 결합시, 상기 카울탑 커버(300)와 사이드 패드(400)에 마련된 결합돌기(320)와 결합공(430)을 상호 끼워 고정하는 동시에 측방향으로 후크(100)와 후크홈(200)를 상호 억지 끼워 체결하는 결합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300)와 사이드 패드(400)의 골형성부(410)를 결합돌기(320)와 결합공(430)을 통해서만 결합시 결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유격 및 벌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자동차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결합시 결합 부위의 유격 및 벌어짐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외관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생산 공정의 추가 변동없이도 카울탑 커버와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결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유격 및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향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카울탑 커버의 골형성부와,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연장지지부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가 상호 결합되는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중 어느 하나에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후크와,
    상기 카울탑 커버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 패드의 골형성부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상기 후크가 억지끼워 결합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골형성부의 바닥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쐐기는 해당 돌출부가 상기 골형성부의 바닥 상부를 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KR1020050091159A 2005-09-29 2005-09-29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KR10066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159A KR100665929B1 (ko) 2005-09-29 2005-09-29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159A KR100665929B1 (ko) 2005-09-29 2005-09-29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5929B1 true KR100665929B1 (ko) 2007-01-09

Family

ID=3786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159A KR100665929B1 (ko) 2005-09-29 2005-09-29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592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58345B (zh) 保险杠固定用具及保险杠的安装结构
US5108147A (en) Device for fastening a headliner to the roof frame of a sliding or sliding/lifting roof structure
CN101638111A (zh) 挡风玻璃支承部结构
KR100665929B1 (ko) 카울탑 커버의 결합구조
JP4852462B2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JP2007168654A (ja) 車両前部構造
JP4543234B2 (ja) サイドマッドガード及びそのサイドマッドガードが取り付けられる車両のロッカー部
JP4177806B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JP3930275B2 (ja) フェンダプロテクタ
JPH09217414A (ja) グレーチングの騒音防止用保持具
CN217917583U (zh) 汽车车门及汽车
JP3100552B2 (ja) 車両用ウインドモール
KR100423085B1 (ko) 자동차의 휠가드 고정구조
JP3719109B2 (ja) 車両用ルーフモール構造
JP2001130331A (ja) 車両用ルーフモール
KR100683208B1 (ko) 차량용 오디오의 장착구조
JPH0126503Y2 (ko)
JPH07257276A (ja) ドアミラー取付構造
KR20060118136A (ko) 루프랙 커버의 결합구조
KR200268752Y1 (ko) 테일게이트 결합구조
KR101198664B1 (ko) 자동차 도어의 쿼드런트 커버 및 그 조립 방법
JP2591271B2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JP2005041362A (ja) サンルーフ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KR19990034209A (ko) 자동차의 휀더판넬 취부구조
KR930004734Y1 (ko) 자동차의 앞 휀더(fender)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