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5173B1 -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5173B1
KR100665173B1 KR1020050034351A KR20050034351A KR100665173B1 KR 100665173 B1 KR100665173 B1 KR 100665173B1 KR 1020050034351 A KR1020050034351 A KR 1020050034351A KR 20050034351 A KR20050034351 A KR 20050034351A KR 100665173 B1 KR100665173 B1 KR 10066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itride
laser
buffer layer
sapphir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2013A (ko
Inventor
박희석
마사요시 코이케
민경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5173B1/ko
Priority to JP2006118962A priority patent/JP4592636B2/ja
Priority to US11/410,052 priority patent/US7524692B2/en
Priority to EP06252227A priority patent/EP1717872A3/en
Publication of KR2006011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32B5/2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foamed in situ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10Inorganic compounds or compositions
    • C30B29/40AIIIBV compounds wherein A is B, Al, Ga, In or Tl and B is N, P, As, Sb or Bi
    • C30B29/403AIII-nitr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6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shape
    • C30B29/64Flat crystals, e.g. plates, strips or disc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33/00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367Substrates
    • H01L21/0237Materials
    • H01L21/0242Crystalline insul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436Intermediate layers between substrates and deposited layers
    • H01L21/02439Materials
    • H01L21/02441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447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38Group 13/15 materials
    • H01L21/0254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656Special treatments
    • H01L21/02664Aftertrea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93Wafer bonding; Removal of the growth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ed Device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화물층 및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파이어 기판상에, 질화물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며 질화물보다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질화물층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물질이며, 상기 버퍼층은 Si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질화물, 사파이어 기판, 레이저 리프트 오프(LLO), 수직구조

Description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NITRIDE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VERTICAL STRUCTUR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질화물층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층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진행한 후 질화물층의 분리된 면을 XPS로 분석한 결과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진행한 후 질화물층의 분리된 면의 TEM 사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파이어 기판 110 : 버퍼층
120 : 질화물층 L : 레이저
본 발명은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파이어 기판 상에 질화물층을 성장시킨 후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LLO) 공정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질화물층과 버퍼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질화물층의 분해시 발생하는 열을 버퍼층을 통해 방출하여 열으로 인한 질화물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초고속, 대용량의 신호 전송을 위한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되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에서 개인 휴대폰, 위성통신, 군사용 레이더, 방송통신, 통신용 중계기 등의 수요가 점점 확대됨에 따라 마이크로파와 밀리미터파 대역의 초고속 정보통신 시스템이 필요한 고속·고전력 전자소자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질소 화합물(질화물)은 에너지 갭이 크고, 높은 열적 화학적 안정도, 높은 전자포화속도 등의 뛰어난 물성 가지고 있어 광소자뿐만 아니라 고주파·고출력용 전자소자로의 응용이 용이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질화물 반도체를 얻기 위해 종래에는 사파이어 기판을 이용하여 질화물층을 성장시켰다. 하지만 사파이어 기판은 절연체이고 가공하기 어려우며 열전도율이 나빠서 소자 제작공정이 복잡해지고 소자 성능 향상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파이어 기판을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LLO)와 같은 기판 분리 공정을 이용하여 질화물층과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이용한 질화물층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질화물층 제조방법은, 먼저, 사파이어 기판(10) 상에 AlN 또는 GaN으로 이루어진 버퍼층(11)을 형성하고 상기 버퍼층(11) 상에 질화물층(12)을 성장시킨다. 이어, 상기 사파이어 기판(10)의 하부로 레이저(L)를 조사하여, 조사된 레이저가 사파이어 기판(10)을 투과하여 버퍼층(11)을 분해시킴으로써 상기 질화물층(12)을 분리시켰다. 즉, 종래의 질화물층 제조방법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에서 상기 버퍼층(11)을 희생층으로 이용하여 사파이어 기판(10)과 질화물층(12)을 분리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질화물충 제조방법은, 버퍼층(11)을 희생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버퍼층(11)을 분해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약 1000℃의 열이 질화물층(12)으로 전도됨으로써, 상기 질화물층(12)이 열로 인해 열화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열화로 인해 질화물층의 물성이 나빠지고, 광학 및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질화물층과 버퍼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질화물층의 분해시 발생하는 열을 버퍼층을 통해 방출하여 열로 인한 질화물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파이어 기판상에, 질화물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며 상기 질화물보다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버퍼층은 SiC로 이루어지며 그 두께는 2000Å 이하이다. 또한, 상기 질화물층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 1, 0≤y≤1, 0≤x+y≤1임)을 갖는 물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강도를 갖는 레이저를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조사하여 상기 버퍼층과 질화물층의 계면에서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1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질화물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본 발명은, 상기 질화물층의 제조방법을 채용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은,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파이어 기판상에 SiC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도전성 캐리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강도를 갖는 레이저를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조사하여 상기 버퍼층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계면에서 상기 발광구조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2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층의 제조방법을 공정 순서대로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도 2a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100)을 마련하고, 상기 사파이어 기판 (100) 상에 버퍼층(110)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110)은 이후 공정에서 그 상면에 형성될 질화물층을 구성하는 재료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그 상면에 형성될 질화물층과의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 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함이 적은 질화물층을 성장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후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공정시 질화물층으로 전달되는 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질화물보다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상기 버퍼층(110)은 Si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C는 질화물의 성장을 위한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질화물과의 격자상수 및 열팽창계수 차이가 적으면서, 동시에 1500℃ 이상의 온도에서도 화학적, 물리적으로 안정한 물질이다. 상기 버퍼층(11)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의 두께는 레이저가 투과되어 질화물층(120)과의 계면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2000Å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2b와 같이, 상기 버퍼층(110) 상에 질화물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질화물층(120)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화물층(120)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물질을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MOCVD),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 MBE)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ybride Vapor Phase Epitaxy : HVPE)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도 2c와 같이, 질화물층(120)을 하부의 구조물과 분리하기 위해, 사파이어 기판(100)의 하부로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리프트 오프공정을 실시한다. 이 때, 조사되는 레이저는 사파이어 기판(100)을 투과하고, 상기 버퍼층(110) 및 질화물층(120)에 흡수될 수 있는 파장을 갖는 KrF 레이저 또는 Q-스위치드 Nd:YAG 레이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정에서 레이저(L)의 강도는, 사파이어 기판(100)을 투과하여 버퍼층(110)에 도달한 후, 비교적 얇은 두께의 버퍼층(110)을 통과하면서 일부 에너지가 흡수되므로 지수(exponential) 함수로 감소한다. 버퍼층(110)을 통과한 레이저는 버퍼층(110)과 질화물층(120)의 계면(B)에 도달하여 상기 계면(B) 부근의 질화물층(120)을 분해시킨다.
하기 수학식 2는 강도 I의 레이저가 조사될 때, 두께 Z의 버퍼층(110)을 투과한 레이저의 강도(IN)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3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질화물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즉, 조사된 레이저가 두께의 지수함수로 감소하게 된다. 위 수학식 2로부터 버퍼층(110)과 질화물층(120)의 계면까지 레이저가 도달하기 위해 조사하여야 하는 레이저의 강도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4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질화물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예를 들어,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에 사용되는 레이저가 약 105 /cm의 흡수계수를 갖는 355nm 파장의 Q-스위치드 Nd:YAG 레이저를 사용하여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진행하며, 질화물층(120)이 300 mJ/cm2의 강도를 갖는 레이저에 의해 분해되기 시작한다고 하면, 10nm 두께의 버퍼층을 이용한 경우에, 조사하여야 하는 레이저 강도는, I=300/e-100000×0.000001≒332 mJ/cm2이 된다. 이와 같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이로써 도 2d와 같이, 상기 버퍼층(110)과 질화물층(120)의 계면에서 질화물층(120)의 분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는 레이저의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버퍼층(110)과 질화물층(120)의 계면에서 질화물층(120)의 분리가 발생하도록 레이저의 강도를 조절하게 되면, 질화물층(120)의 분리 시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성이 높은 버퍼층(110)을 통해 전달되므로 질화물층(120)으로 열이 전도되어 발생하는 질화물층(120)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진행한 후 질화물층의 분리된 면을 XPS로 분석한 결과도이다. 이 때 버퍼층의 재료로는 SiC를 이용하였으며, 질화물층은 GaN으로 이루어졌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화물층의 분리된 면에서 C, O, N, Ga, Au 등의 원소들이 검출되었으나, 버퍼층의 재료를 구성하는 Si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로써 SiC로 이루어진 버퍼층의 분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버퍼층과 질화물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을 진행한 후 질화물층의 분리된 면의 TEM 사진이다. 도 3과 마찬가지로 버퍼층의 재료로는 SiC를 이용하였으며, 질화물층은 GaN으로 이루어졌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질화물층의 분리된 면에서 GaN의 격자가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로써 SiC로 이루어진 버퍼층의 분해는 이루어지지 않고 버퍼층과 질화물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질화물층의 제조방법은 벌크 질화물 기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더하여,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는 공정이 필요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이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다.
먼저 도 5a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200)을 마련한 후, 상기 사파이어 기판(200)상에 SiC로 이루어진 버퍼층(210)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210)을 형성하는 공정은 전술한 공정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도 5b와 같이, 상기 버퍼층(210) 상에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 활성층(222),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발광구조물(220)을 형성한다.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은 Si, Ge, Se, Te 또는 C 등을 불순물로 첨가하여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반도체 물질을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MOCVD),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 MBE)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ybride Vapor Phase Epitaxy : HVPE)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사용하여 사파이어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활성층(222)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층으로서, 단일 또는 다중 양자우물구조를 갖는 GaN 또는 InGaN 등의 질화물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과 마찬가지로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MOCVD),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 MBE)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ybride Vapor Phase Epitaxy : HVPE)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 상에 형성된다.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3)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112)과 마찬가지로,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p 도핑된 반도체 물질을 유기금속 기상증착법(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 MOCVD), 분자빔 성장법(Molecular Beam Epitaxy : MBE) 또는 하이브리드 기상증착법(Hybride Vapor Phase Epitaxy : HVPE)과 같은 공지의 증착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활성층(222) 상에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3)의 도핑에 사용되는 불순물로는 Mg, Zn 또는 Be 등이 있다.
상기 발광구조물(220)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버퍼층(210) 상에 형성된 비도핑(undoped) 질화물 반도체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은 격자부정합을 완화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어, 도 5c와 같이,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3) 상에 도전성 캐리어 기판(230)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성 캐리어 기판(230)은 Si 또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캐리어 기판(230)은 별도의 접합층을 매개로 하여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3) 상에 본딩되거나, 도금이 가능한 금속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소정 두께로 p형 질화물 반도체층(223) 상에 도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경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사파이어 기판이 분리된 면을 광방출면으로 활용하므로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223)과 도전성 캐리어 기판(230)의 사이에는 반사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막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 도 5d와 같이, 사파이어 기판(200)의 하부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버퍼층(210)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계면에서 발광구조물(220)과 버퍼층(210)을 서로 분리하여 도 5e와 같은 결과물을 얻는다. 이 때,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5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과 버퍼층(210)의 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나도록 하기 위한 레이저 강도의 설정 및 레이저의 파장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질화물층 제조방법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발광구조물(220)이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하부에 형성된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에 의한 분리는 상기 버퍼층(210)과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 사이에서 일어날 것이다.
이어, 도 5f와 같이, 상기 사파이어 기판이 분리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하면에 n측 전극(240)을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 기판(250)의 상면에 p측 전극(250)을 형성하여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사파이어 기판이 분리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하면이 주 발광면으로 사용된다. 상기 n측 전극(240)과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 사이에는 전류 확산을 개선하기 위해 ITO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캐리어 기판(230)이 우수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캐리어 기판(230) 자체를 p측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p측 전극(250)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발광구조물(220)이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하부에 형성된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 조사에 의한 분리가 완료된 이후 상기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을 건식 및 습식 식각,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하여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하면을 노출시킨 후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221)의 노출된 하면에 n측 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레이저 리프트 오프 공정은 버퍼층을 희생시키지 않고 레이저의 강도를 조절하여 질화물층과 버퍼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질화물층의 분해시 발생하는 열을 버퍼층을 통해 방출하여 열으로 인한 질화 물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품질의 질화물층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파이어 기판 상에 질화물층을 성장시킨 후 사파이어 기판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 리프트 오프(Laser Lift Off: LLO) 공정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질화물층과 버퍼층의 계면에서 분리가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질화물층의 분해시 발생하는 열을 버퍼층을 통해 방출하여 열으로 인한 질화물층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우수한 품질의 질화물층 및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파이어 기판상에, 질화물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며 질화물보다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2000Å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Si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층은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강도를 갖는 레이저를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조사하여 상기 버퍼층과 질화물층의 계면에서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6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질화물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6.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파이어 기판상에 SiC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질화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강도를 갖는 레이저를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조사하여 상기 버퍼층과 질화물층의 계면에서 상기 질화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7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질화물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7. 사파이어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사파이어 기판상에 SiC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층 상에 AlxInyGa(1-x-y)N 조성식(여기서, 0≤x≤1, 0≤y≤1, 0≤x+y≤1임)을 갖는 n형 질화물 반도체층, 활성층, p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발광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질화물 반도체층 상에 도전성 캐리어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강도를 갖는 레이저를 사파이어 기판의 하부에 조사하여 상기 버퍼층과 발광구조물의 계면에서 상기 발광구조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5021720551-pat00008
    (I: 조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IN: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이 분해되는데 필요한 레이저 강도, α: 레이저의 흡수계수, Z: 버퍼층의 두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이어 기판이 분리된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하면에 n측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기판의 상면에 p측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구조물은,
    상기 n형 질화물 반도체층의 하부에 형성된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파이어 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이후, 비도핑 질화물 반도체층을 건식 및 습식 식각, 화학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50034351A 2005-04-26 2005-04-26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66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51A KR100665173B1 (ko) 2005-04-26 2005-04-26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2006118962A JP4592636B2 (ja) 2005-04-26 2006-04-24 窒化物層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垂直構造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US11/410,052 US7524692B2 (en) 2005-04-26 2006-04-25 Method of producing nitride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vertical structur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EP06252227A EP1717872A3 (en) 2005-04-26 2006-04-26 Method of producing nitride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vertical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351A KR100665173B1 (ko) 2005-04-26 2005-04-26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2013A KR20060112013A (ko) 2006-10-31
KR100665173B1 true KR100665173B1 (ko) 2007-01-09

Family

ID=3668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351A KR100665173B1 (ko) 2005-04-26 2005-04-26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24692B2 (ko)
EP (1) EP1717872A3 (ko)
JP (1) JP4592636B2 (ko)
KR (1) KR1006651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4379A (ja) * 2007-05-28 2008-12-04 Sanyo Electric Co Ltd 窒化物系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4599442B2 (ja) 2008-08-27 2010-12-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CN101740331B (zh) * 2008-11-07 2012-01-25 东莞市中镓半导体科技有限公司 利用固体激光器无损剥离GaN与蓝宝石衬底的方法
KR101064068B1 (ko) 2009-02-25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WO2011069242A1 (en) * 2009-12-09 2011-06-16 Cooledge Lighting Inc. Semiconductor dice transfer-enab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fer-enabling apparatus
US20110151588A1 (en) * 2009-12-17 2011-06-23 Cooledge Lighting, Inc. Method and magnetic transfer stamp for transferring semiconductor dice using magnetic transfer printing techniques
US8334152B2 (en) * 2009-12-18 2012-12-18 Cooledge Lighting, Inc. Method of manufacturing transferable elements incorporating radiation enabled lift off for allowing transfer from host substrate
CN102064255A (zh) * 2010-12-10 2011-05-18 西安神光安瑞光电科技有限公司 发光二极管及其制造方法
JP2013110137A (ja) * 2011-11-17 2013-06-06 Disco Abrasive Syst Ltd 光デバイス層の移替装置およびレーザー加工機
JP5521242B1 (ja) * 2013-06-08 2014-06-11 エルシード株式会社 SiC材料の製造方法及びSiC材料積層体
CN103824905A (zh) * 2014-02-24 2014-05-28 无锡晶凯科技有限公司 一种氮化镓led蓝宝石衬底柔性电子应用的激光剥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494B2 (en) * 2001-01-29 2003-1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und semiconductor wafer
US7029939B2 (en) * 2001-06-18 2006-04-18 Toyoda Gosei Co., Ltd. P-typ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JP3856750B2 (ja) * 2001-11-13 2006-1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A2754097C (en) * 2002-01-28 2013-12-10 Nichia Corporation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upport subst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030068B1 (ko) * 2002-07-08 2011-04-19 니치아 카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질화물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 질화물 반도체 소자
JP4830315B2 (ja) * 2004-03-05 2011-12-0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2718A1 (en) 2006-12-28
US7524692B2 (en) 2009-04-28
JP2006310851A (ja) 2006-11-09
KR20060112013A (ko) 2006-10-31
EP1717872A3 (en) 2012-08-22
JP4592636B2 (ja) 2010-12-01
EP1717872A2 (en)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173B1 (ko) 질화물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조 질화물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JP5312797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用基板の作製方法
JP5167384B2 (ja) 基板の分割方法
KR101358701B1 (ko) 여러 파장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된 반도체 발광 장치
KR101361630B1 (ko) 방사선 방출 반도체 칩의 제조 방법
CN101667615B (zh) 形成发光二极管装置的方法
US775921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nitride semiconductor device
JP200321847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905727B2 (en) Fabrication of thin-film devices using selective area epitaxy
KR20120032258A (ko) 질화갈륨계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416B1 (ko) 광전자 반도체 칩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광전자 반도체 칩
KR20130122636A (ko) 복합 기판을 형성하는 방법
US679753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555248A1 (en) Schottky barrier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58693A (ja) 半導体装置、半導体ウェーハ、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08281A (ko) 파워소자의 제조방법
JP2014500842A (ja) 基板上に成長したiii族窒化物層
KR100838756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381985B1 (ko) 수직형 발광소자 제조 방법
KR20110021561A (ko) 반도체 기판 제조 방법 및 발광 소자 제조 방법
KR102185686B1 (ko) 에피택셜층의 성장 방법 및 반도체 구조물
JP2007300146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0820A (ko) 수직형 발광 소자 제조 방법
JP2006024909A (ja) 基板の分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