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830B1 -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830B1
KR100663830B1 KR1020040065864A KR20040065864A KR100663830B1 KR 100663830 B1 KR100663830 B1 KR 100663830B1 KR 1020040065864 A KR1020040065864 A KR 1020040065864A KR 20040065864 A KR20040065864 A KR 20040065864A KR 100663830 B1 KR100663830 B1 KR 10066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data
recording
time period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0705A (ko
Inventor
마스모또가즈유끼
아이찌다까오
야마다아끼또시
고또오후미히로
야노겐따로오
미까미루리꼬
히라바야시히로미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Transmission system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68Calculating or estim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82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087Setting or calib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9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27Adapting to communicate with plural different types of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6Software interface details, e.g. interaction of operat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2Detecting the status of a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DSC 및 PD 프린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DSC는 PD 프린터에 요구를 발행한다. 이 요구에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이 예측된다. 이 요구에 응답하여 응답이 PD 프린터로부터 수신될때까지의 경과 시간이 예측 시간에 기초하여 추측된다. 추측된 경과 시간 내에서 PD 프린터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다면, 이 요구는 무효로 된다.
화상 공급 장치, 발행 수단, 예측 수단, 추측 수단, 포토다이렉트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타임아웃 카운터

Description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IMAGE SUPPLY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 패널의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제어와 관련된 주요 부품의 배치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C의 배치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와 디지털 카메라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와 인쇄 시스템에서의 DSC 사이에서의 명령의 교환을 설명하는 챠트.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SC에 의해 발행된 인쇄 개시 명령의 실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D 프린터로부터 DSC로 전송되는 JobStatus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8b는 DeviceStatus를 설명하는 도면.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의 capability 데이터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9a는 DSC로부터 PD 프린터로의 capability 요구 명령의 일례이고, 도9b는 PD 프린터로부터 DSC로의 응답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쇄될 화상의 파일 정보의 취득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10a는 PD 프린터로부터 DSC로의 파일 요구 명령의 예를 도시하고, 도10b는 DSC로부터 PD 프린터로 화상 파일을 전송할 때의 명령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SC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SC의 램의 메모리 맵을 설명하는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SC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CDP를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PD 프린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카운터
1000: PD 프린터
1006: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1400: USB 인터페이스
3012: DSC
3101: 롬
3105: 광학 유닛
3109: 저장 매체
5000: USB 케이블
본 발명은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상을 촬영할 수 있고 이 촬영된 화상을 단순한 조작으로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촬상 장치)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이 인쇄되고 사진으로서 사용될 때,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PC(컴퓨터)로 촬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다운로드하고 이 PC로 화상 처리를 행하고 PC로부터 컬러 프린터로 이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대하여, 어떤 PC를 거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가 컬러 프린터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를 인쇄(이후부터는 다이렉트 인쇄 처리라 불린다)할 수 있는 컬러 인쇄 시스템, 소위 디지털 카메라에 장착되고 촬영된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고 촬영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포토-다이렉트(PD) 프린터 등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3-061034 참조).
이러한 다이렉트 인쇄 처리는 원래 동일한 메이커의 카메라와 프린터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종 한정 인쇄 기능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산업에서의 표준화가 진행되었고, 제조자와 관계없이 상이한 메이커의 카메라와 프린터를 연결함으로써 다이렉트 인쇄 처리를 허용하는 환경이 만들어져 왔다.
이 방식으로, 메이커에 의존하지 않는 다이렉트 인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장치 및 이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인쇄하는 화상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장치의 기능[이후부터는 capability 데이터라 부른다]을 취득할 수도 있다. 다이렉트 인쇄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되면, 카메라는 사전에 화상을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프린터의 capability 데이터를 취득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카메라와 프린터 사이에서 capability 데이터를 교환시키는 명령을 정의해야 하고, 명령의 통신 사양이 정의되어야 하며, 이 명령은 통신 사양에 따라 교환되어야 한다. 이후에, 이 명령을 해석함으로써 상호간의 기능이 확인되고, 사용자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따라 인쇄 명령(이후부터는, 인쇄 작업이라 부른다)이 프린터의 capability 데이터에 따라 적절하게 생성되어야 한다. 즉, 카메라는 프린터의 capability 데이터에 맞춰서 복수의 인쇄 작업을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이러한 설계는 카메라에 매우 큰 부하를 가하게 된다.
명령을 사용하는 요구(request) 및 이 요구에 대한 응답(response)이 이러한 기능 정보를 취득하도록 교환될 때, 명령의 타임아웃(time-out)이 종종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인쇄 데이터가 명령을 사용하는 요구의 생성 바로 직후 교환하기 시작할 때조차도, 이러한 처리는 트랜스포트 계층, 물리적 계층 등과 같은 하위 계층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전송의 개시를 종종 인식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은 응답이 늦다라고만 판정할 수도 있고,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일지라도 타임아웃의 설정 시간이 경과될 때 타임아웃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된 것이고, 화상 공급 장치와 기록 장치 사이에서 명령을 사용하는 요구와 응답을 교환하고, 통신 에러등이 발생될 때 상태 복귀를 신속하게 얻기 위하여 데이터가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될 때 기록 장치에서의 응답까지의 타임아웃을 정확하게 추측하는,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화상 공급 장치와 기록 장치가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통신하는 기록 시스템이 제공되고, 이 시스템은
화상 공급 장치 및 기록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을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시간에 기초하여 기록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요구에 응답하여 수신될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추측하는 추측 수단과,
추측 수단에 의해 추측된 경과 시간 내에 기록 장치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을 경우에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화상 공급 장치와 통신하고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에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을 예측 수단과,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시간에 기초하여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요구에 응답하여 수신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추측하는 추측 수단과,
추측 수단에 의해 추측된 경과 시간 내에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을 경우에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는 그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을 가리키는 첨부 도면과 관련되어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진다.
명세서의 통합되어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프린터의 개요>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다이렉트 프린터 장치(이후부터는 PD 프린터로 불려진다)(10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 PD 프린터(1000)는 통상적인 PC 프린터로서 호스트 컴퓨터(PC)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과, 메모리 카드등과 같은 저장 매체로부터 직접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과, 디지털 카메라, PDA 등으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본체는 하부 케이스(1001), 상부 케이스(1002), 액세스 커버(1003) 및 외부 부재로서의 배출 트레이(1004)를 갖는다. 하부 케이스(1001)는 거의 PD 프린터(1000)의 하반부를 형성하고, 상부 케이스(1002)는 거의 본체의 상반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들을 조립함으로써, 이후에 설명될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중공 구조가 형성된다. 개구들은 본체의 상부 및 전방면 상에 각각 형성된다. 배출 트레이(1004)의 일단부는 하부 케이스(10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보유되고, 트레이(1004)의 회전은 하부 케이스(1001)의 전방면 상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시킨다. 이에 따라, 인쇄 작동을 행할 때, 배출 트레이(1004)는 개구를 개방시키도록 전방면측을 향하여 회전되어서, (보통 용지, 전용 용지, 수지 시트 등을 포함하는)인쇄 시트(이후부터는 단순히 시트라 부른다)가 개구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배출된 시트는 순차적으로 배출 트레이(1004) 상에 적재된다. 배출 트레이(1004)는 2개의 보조 트레이(1004a, 1004b)를 수납한다. 이러한 보조 트레이가 필요시 인출될 때, 시트의 지지 면적은 3단계로 확대/축소될 수 있다.
액세스 커버(1003)의 일단부는 본체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100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보유된다. 액세스 커버(1003)가 개방될 때, 본체에 수납된 인쇄 헤드 카트리지(도시 안됨), 잉크 탱크(도시 안됨)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액세스 커버(1003)가 개/폐될 때, 커버(1003)의 후방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는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킨다. 마이크로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레버의 회전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커버(1003)의 개/폐 상태가 검출된다.
전원 키(1005)가 상부 케이스(1002)의 상부면 상에 배열된다. 액정 디스플레이(1006), 다양한 키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제어 패널(1010)이 상부 케이스(1002)의 우측에 제공된다. 제어 패널(1010)의 구조가 도2를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참조 부호 1007은 장치 본체 내로 시트를 자동으로 급송하는 자동 급송기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1008은 인쇄 헤드와 시트 사이의 간극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용지 간극 선택 레버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1009는 메모리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어댑터를 수납하는 카드 슬롯을 가리킨다. 이 어댑터를 거쳐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직접 취해져서 인쇄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PC)로서, 예를 들어 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이 이용가능하다. 참조 부호 1011은 이러한 PD 프린터(1000)의 본체로부터 탈거가능하고, 사용자가 인쇄될 화상에 대하여 PC 카드에 저장된 화상을 탐 색하기 원할 때 하나의 프레임에 대한 화상, 인덱스 화상 등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뷰어(액정 디스플레이 유닛)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1012는 디지털 카메라를 연결시키는데 사용되는 USB 단자를 가리킨다(이후에 설명됨). 또한, 퍼스널 컴퓨터(PC)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USB 커넥터가 이 PD 프린터(1000)의 후방면 상에 제공된다.
<프린터 조작부의 개요>
도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제어 패널(1010)의 개략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1006)은 유닛(1006)의 우측 및 좌측에 인쇄된 항목명과 관련된 데이터를 다양하게 설정하는데 사용된 메뉴 항목을 표시한다. 여기에 표시된 항목들은, 예를 들어 복수의 사진 화상 파일들 중 인쇄될 사진 화상의 선두 사진 번호 또는 지정된 프레임 번호(개시 프레임 지정/인쇄 프레임 지정), 인쇄 처리의 종료시 인쇄될 사진 화상의 최후 사진 번호(종료), 인쇄 부수(부수), 인쇄 처리에 사용된 시트의 종류(용지 종류), 시트 당 인쇄될 사진의 매수의 설정(레이아웃), 인쇄 품질의 지정(품질), 촬영 날짜를 인쇄할지에 대한 여부를 지정(날짜 인쇄), 보정 후 사진을 인쇄할지에 대한 지정(화상 보정), 인쇄 처리에 요구되는 시트 매수의 표시(시트 매수)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항목들은 커서 키(2001)를 사용하여 선택되거나 지정된다. 참조 부호 2002는 모드 키를 가리킨다. 이 키가 눌려질 때마다, 인쇄 모드(인덱스 인쇄, 모든 프레임 인쇄, 하나의 프레임 인쇄, 지정 프레임 인쇄 등)가 절환될 수 있고, 선택된 인쇄 모드에 따라 LED(2003)의 대응하는 LED가 점등된다. 참조 부호 2004는 프린터의 보수(예를 들 어, 인쇄 헤드등의 세척 등)를 행하는데 사용되는 보수 키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2005는 인쇄 처리의 개시가 지시되거나 또는 보수 설정이 확립될 때 눌려지는 인쇄 개시 키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2006은 인쇄 처리 또는 보수가 취소될 때 눌려지는 인쇄 취소 키를 가리킨다.
<프린터의 전기 사양의 개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의 제어와 관련된 주요 부분의 구성이 도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3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상기 도면들에서와 공통된 부분을 가리키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3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3000은 제어기(제어 보드)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001은 ASIC(전용 커스텀 LSI)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002는 이후에 설명될 다양한 제어 처리와, 휘도 신호(RGB)를 농도 신호(CMYK), 스케일링, 감마 변환, 에러 확산 등으로 변환하는 것과 같은 화상 처리를 수행하고, CPU를 포함하는 DSP(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003은 DSP(3002)의 CPU에 의해 수행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3003a)와,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램 영역과, 화상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워크 영역으로서 기능을 하는 메모리 영역을 갖는 메모리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004는 프린터 엔진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프린터에는 복수의 컬러 잉크를 사용하는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제트 프린터의 프린터 엔진이 구비된다. 참조 부호 3005는 디지털 카메라(DSC)(3012)를 연결하는 포트로서의 USB 커넥터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006은 뷰어(1011)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008은 USB 허브(USB HUB)를 가리킨다. PD 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행할 때, USB 허브(3008)은 PC(30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이를 통과하도록 허용하고 이 데이터를 USB(3021)를 거쳐서 프린터 엔진(3004)으로 출력한다. 이 방식으로, 프린터(1000)에 연결된 PC(3010)는 데이터, 신호 등을 프린터 엔진(3004)와 직접 교환함으로써 인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프린터는 통상의 PC 프린터로서 기능을 한다). 참조 부호 3009는 전원 공급기(3019)에 의해 상용 AC 전원으로부터 변환되는 DC 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공급 커넥터를 가리킨다. PC(3010)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이다. 참조 부호 3011은 상기 언급된 메모리 카드(PC 카드)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 3012는 디지털 카메라(DSC: Digital Still Camera)를 가리킨다.
신호들은 상기 설명된 USB(3021) 또는 IEEE1284 버스(3022)를 거쳐서 이 제어기(3000)와 프린터 엔진(3004) 사이에서 교환된다는 것에 주목하자.
<디지털 카메라의 개요>
도4는 본 실시예에 따른 DSC(디지털 카메라)(30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4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3100은 전체 DSC(3012)를 제어하는 CPU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 3101은 CPU(3100)에 의한 처리 시퀀스를 저장하는 롬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3102는 CPU(3100)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램을 가리키고, 참조 부호 3103은 다양한 작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스위치 그룹을 가리키며 셔터, 모드 스위치, 선택 스위치, 커서 키 등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 2700은 현재 캡쳐되는 비디오 픽쳐와, 촬상되어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화상을 표시하고, 다양한 설정을 할 때 메뉴를 표시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3105는 렌즈와 그 구동 시스템을 주로 포함하는 광학 유닛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3106은 CCD 소자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 3107은 CPU(3100)의 제어 하에서 광학 유닛(3105)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드라이버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3108은 저장 매체(3109)[컴팩트 플래시등록 상표 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등)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 3110은 PC 또는 본 실시예에서의 PD 프린터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USB 인터페이스(USB의 슬레이브측)를 가리킨다.
<카메라/프린터 연결의 개요>
도5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 프린터(1000)와 DSC(3012) 사이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에서의 동일한 참조 부호는 상기 도면들에서의 것과 공통인 부분을 가리키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5를 참조하면, 케이블(5000)은 PD 프린터(1000)의 커넥터(1012)에 연결되는 커넥터(5001)과, 디지털 카메라(3012)의 커넥터(5003)에 연결되는 커넥터(5002)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3012)는 커넥터(5003)를 거쳐서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3012)는 다양한 구성, 예를 들어 저장 수단으로서의 내부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성, 탈거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수납하는 슬롯을 포함하는 구성 등을 채택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PD 프린터(1000)와 디지털 카메라(3012)가 도5에 도시된 케이블(5000)을 거쳐서 연결될 때, 디지털 카메라(3012)로부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은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직접 인 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기초한 PD 프린터(1000)와 DSC(3012)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에서의 작동 개요가 이후에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에서, DSC(3012)와 PD 프린터(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퀀스 DPS(다이렉트 인쇄 시스템)의 사양을 따르는 작동을 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자.
도14는 통신 계층을 도시한다.
도14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1400은 USB 인터페이스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 1401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가리킨다. 참조 부호 1402는 NCDP 시스템의 형성시 구축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가리킨다. 참조 부호 1403은 현재의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계층을 가리킨다. 도14에서,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SCSI, 블루투스의 BIP(Basic Image Profile)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NCDP는 프로토콜 계층과 같은 아키텍쳐가 채용된다는 점이 전제되고, NCDP는 이 아키텍쳐에서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지원된다. 이 경우에, PD 프린터(1000)와 디지털 카메라(3012)는 USB 호스트와 USB 슬레이브로서 각각 규정되어 있고, 이들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NCDP 구성을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요구 및 요구에 대한 응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상에서 작동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의 제어하에서 교환되는 정보이다. 화상 데이터와 같은 실제 데이터, capability 정보 등은 애플리케이션 계층보다 하위 계층(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계층 및 물리적 계층)을 사용한다.
통신될 정보의 종류들과 이러한 정보를 실제로 교환하는 통신 계층의 대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하자. 하지만, 본 실시예는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등을 실제로 교환하는 계층이 요구/응답을 교환하는 계층보다 하위일 때 특히 유용하다.
<다이렉트 인쇄의 개요>
도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에서 인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DSC(3012)가 인쇄 요구를 PD 프린터(1000)에 발행할 때의 개략적인 신호 흐름을 설명하는 챠트이다.
이러한 처리 시퀀스는 PD 프린터(1000) 및 DSC(3012)가 USB 케이블(5000)를 거쳐서 연결된 후, 서로 DPS 사양에 따르는지에 대하여 확인한 후 수행된다. DSC(3012)는 PD 프린터(1000)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ConfigurePrintService"를 PD 프린터(1000)에 보낸다(600). 이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는 그 시점에서의 상태[이 경우에서는 "아이들(idle)"]를 통지한다(601). PD 프린터(1000)는 이 경우에 "아이들"이기 때문에, DSC(3012)는 PD 프린터(1000)의 capability 데이터의 문의를 보내고(602), capability 데이터에 따른 인쇄 개시 요구(StartJob)를 발행한다(603). 이러한 인쇄 개시 요구는 PD 프린터(1000)로부터 보내진 상태 정보에서의 "newJobOK"(이후에 설명됨)이 "참(True)"인 조건하에서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 발행된다(601).
이 인쇄 개시 요구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는 인쇄될 지정된 화상 데이터의 파일 ID에 기초하여 파일 정보를 보내도록 DSC(3012)에 요구한다(GetFileInfo)[604]. 이 요구에 응답하여, DSC(3012)는 요구된 파일 정보 (FileInfo)를 보낸다. 이 파일 정보는 파일 크기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PD 프린터(1000)가 파일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고 판정할 때, DSC(3012)에 파일 정보를 보낼 것을 요구한다 (GetFile)[605]. 이 요구에 응답하여, 요구된 파일의 화상 데이터(ImageFile)는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 보내진다. PD 프린터(1000)가 인쇄 처리를 개시할 때, "인쇄중"을 가리키는 상태 정보가 "NotifyDeviceStatus"를 사용하여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210)로 보내진다(606). 한 페이지에 대한 인쇄 처리를 완료할 때, PD 프린터(1000)는 다음 페이지에 대한 처리의 개시 시에 "NotifyJobStatus"(607)를 사용하면서 상태를 통지한다. 한 페이지만의 인쇄라면, PD 프린터(1000)는 "NotifyJobStatus"(608)를 사용하여 "아이들"을 통지한다 [NotifyJobStatus(아이들)].
예를 들어, 한 페이지 당 복수의 (N) 화상을 레이아웃하고 인쇄하는 N-up 인쇄의 경우에, N개의 화상이 인쇄될 때마다 "NotifyJobStatus"(607)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로 보내진다. "NotifyJobStatus"와 "NotifyDeviceStatus"의 발행 타이밍과, 본 실시예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취득 순서는 일례일 뿐이며, 다양한 경우가 제품 사양에 따라 생길 수 있다.
이 인쇄 처리는, DSC(3012)가 인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함께 인쇄될 화상 데이터의 파일 ID를 포함하는 인쇄 개시 요구(StartJob)를 전송하는 경우와, DSC(3012)가 일반적인 사진 현상에 사용되는 DPOF 파일의 파일 ID만을 포함하는 인쇄 개시 요구(StartJob)를, 필요한 화상 데이터의 파일 ID를 취득하도록 DPOF 파일을 해석하는 PD 프린터(1000)로 전송하여 이를 출력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인쇄 작업의 개요>
도7은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 발행된 인쇄 개시 요구 명령의 실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720은 이 인쇄 작업의 환경 설정(jobConfig)를 가리키고, 참조 부호 721은 인쇄 정보(printInfo)를 가리킨다.
환경 설정(720)이 먼저 설명된다. 태그 700은, 예를 들어 "표준", "고화질" 등을 포함하는 인쇄될 화상 품질(quality)를 지정한다. 태그 701은 용지 크기(paperSize)를 지정하고, 태그 702는, 예를 들어 "보통 용지", "사진 용지", "잉크제트 전용 용지" 등을 포함하는 용지 타입(papertype)을 지정한다. 태그 703은 인쇄될 화상 파일의 타입(fileType)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DPOF가 사용될 때, 이 태그에 의해 지정된다. 태그 704는 날짜 인쇄(datePrint)의 유무를 지정하고, 705는 파일명 인쇄(fileNamePrint)의 유무를 가리키고, 706은 화상 최적화를 행할지에 대한 여부(imageOptimize)를 가리키고, 707은 고정 사이즈 인쇄(fixedSize)를 가리키고, 708은 화상의 지정된 범위의 인쇄를 행할지에 대한 여부를 가리킨다(cropping). 인쇄 정보(721)는 파일 ID(fileID)(709) 및 날짜 정보(date)(710)를 포함한다.
도8a 및 도8b는 상기 JobStatus 및 DeviceStatus에 포함된 정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a의 JobStatus 및 도8b의 DeviceStatus는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로 보내진다. DSC(3012)는 임의의 타이밍에 이러한 종류의 정보의 전송 요구를 PD 프린터(1000)로 보낼 수 있다.
도8a를 참조하면, "prtPID", "ImagePath" 및 "copyID"는 DPOF 파일의 인쇄가 지정되는 경우에 유효로 된다. "prtPID"는 DPOF 파일에 의해 지정된 인쇄 섹션의 식별 정보(ID)를 가리키고, "ImagePath"는 DPOF 파일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을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경로 정보를 가리키고, "copyID"는 복수의 페이지의 인쇄 처리의 지정시 실제로 인쇄되는 페이지를 가리킨다. DPOF 파일의 인쇄의 경우에, DSC(3012)는 인쇄 개시 요구(StartJob)에서의 DPOF 파일의 "fileID"를 기재하여 PD 프린터(1000)로 이 요구를 전송한다. 이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는 DPOF 파일의 인쇄를 개시할 수 있다. PD 프린터(1000)는 DPOF 파일의 "fileID"에 기초한 DPOF 파일을 취득하고, DPOF 파일에 지정된 화상 파일의 "fileID"를 특정하도록 "GetFileID"를 수행한다. PD 프린터(1000)는 이후에 DSC(3012)에 화상 파일을 보낼것을 요구하여 화상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DPOF 파일에 의해 지정된 화상이 인쇄될 수 있다. DPOF 파일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수행하는 동안, PD 프린터(1000)는 인쇄 처리의 현 상태를 나타내는 "prtPID", "ImagePath" 및 "copyID"를 "NotifyJobStatus"를 사용하여 DSC(3012)에 통지한다.
DPOF 파일의 인쇄 처리가 어떠한 이유로 인해 중단된 후 재개되었을 때, 이 인쇄 처리는 인쇄가 중지된 페이지의 선두로부터 재개된다.
"progress"는 지정된 인쇄될 페이지의 수 중 현재 인쇄되는 페이지를 나타낸다(N/T). N은 현재 인쇄 페이지를 나타내고, T는 인쇄될 총 페이지수를 나타낸다. 또한, "imagePrinted"는 인쇄된 화상의 수를 나타낸다.
도8b에 도시된 DeviceStatus가 이후에 설명된다.
"dpsPrintServiceStatus"는 PD 프린터(1000)의 상태를 나타내고, DSC(3012)로 보내진다. 이 상태 정보는 아이들, 인쇄 및 포즈(pause) 상태를 포함한다. "jobEndReason"은 인쇄 처리의 종료 상태를 나타내고, 최종 페이지의 인쇄 처리 종료시 DSC(3012)에 보내진다. "errorStatus"는 에러 상태를 나타내고, 에러가 발생될 때 통지된다. "errorReason"은 에러의 발생 이유를 나타내고, "errorStatus"와 함께 보내진다. "disconnectEnable"은 USB 케이블(5000)이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인쇄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로 보내진다. "CapabilityChanged"는 PD 프린터(1000)에서의 capability 데이터가 변경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DSC(3012)로 보내진다. "newJobOK"는 PD 프린터(1000)가 인쇄 요구를 수신할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DSC(3012)로 보내진다.
<GetCapability>
도9a 및 도9b는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 발행되는 PD 프린터(1000)의 capability 취득 방법의 실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a는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 보내질 PD 프린터(1000)의 capability 요구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a의 예에서, capability 취득 요구는 <getCapability> 및 </getCapability>에 의해 발행되고, PD 프린터(1000)가 capability로서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갖는 지에 대한 문의는 <capability> 및 </capability>에 의해 바운드된 <layout/>(901)에 의해 발행된다.
도9b는 도9a에서의 capability 요구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로 반송된 capability 데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도9b에서, <capability>(902) 및 </capability>(906)에 의해 바운드된 capability 정보에서의 <layouts>(903) 및 <layouts/>(905)에 의해 바운드된 레이아웃 정보(904)는 PD 프린터(1000)의 레이아웃 기능을 통지한다.
도9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capability 데이터는 PD 프린터(1000)로부터 DSC(3012)로 8자리 코드("57000000", "57010000", "57020000")로서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서, 레이아웃 capability는 상위 2자리가 "57"로 시작하고 다음 2자리는 레이아웃 정보, 다시 말해 하나의 시트당 인쇄될 수 있는 화상의 수를 나타내는, 코드로서 특정된다. 다시 말해, 상위 4자리 "5701"은 하나의 시트당 하나의 화상을 인쇄하는 레이아웃 인쇄 처리가 허용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5702"는 하나의 시트당 2개의 화상을 인쇄하는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위 4자리 "5700"은 PD 프린터(1000)의 디폴트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레이아웃 인쇄 처리를 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도9b의 예에서, PD 프린터(1000)의 레이아웃 인쇄 capability 데이터는 이 프린터가 3개의 상이한 레이아웃 인쇄 기능, 즉 하나의 시트당 하나의 화상을 인쇄하는 레이아웃 인쇄 기능, 하나의 시트당 2개의 화상을 인쇄하는 레이아웃 인쇄 기능 및 PD 프린터(1000)의 디폴트 레이아웃 인쇄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9a 및 도9b에서, 레이아웃 인쇄 기능과 관련된 capability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하지만, capability 데이터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기능은 레이아웃 인쇄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PD 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될 수 있는 시트 타입에 대한 capability 데이터, PD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시트 크기에 대한 capability 데이터,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 데이터의 파일 타입에 대한 capability 데이터, 프린터(1000)가 추가적으로 날짜 또는 화상에 대한 파일명을 인쇄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capability 데이터,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인쇄 모드에 대한 capability 데이터, 프린터(1000)에 의해 지원되는 화상의 자동 보정 기능의 유무에 대한 capability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capability 데이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capability 데이터의 상세한 통신 사양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화상 특정 방법>
화상 인쇄시 화상을 특정하는 방법이 이후에 설명된다.
인쇄 조건에 대한 정보는 도7을 사용하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StartJob(인쇄 작업을 지정하는 명령)을 사용하여 DSC(3012)로부터 PD 프린터(1000)로 보내진다. 인쇄될 화상은 태그<fileID>[도7의 709]에 의해 지정된다. 다시 말해, 인쇄 화상의 핸들 번호의 리스트가 이 태그에 기재되어 인쇄될 화상들이 특정된다. 도7은 복수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레이아웃 인쇄 처리를 지정하지 않았지만, 하나의 화상만을 인쇄하는 인쇄 처리의 경우에는 단지 하나의 핸들 번호(핸들 번호 "00000001")가 기재된다. 하지만, 2개의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처리의 경우에, 8자리로 각각 표현된 2개의 핸들 번호들은 병렬로 보내진다. 인쇄될 화상들의 핸들 번호가 PD 프린터(1000)로 보내진 후, PD 프린터(1000)는 인쇄 처리 전에 DSC(3012)에 이러한 핸들 번호에 의해 지정된 화상 파일을 보낼 것을 요구한다. 이 경우에, PD 프린터(1000)는 화상 파일을 취득하기 전에 화상의 정보를 취득하여 화상 파일의 수신을 준비하여야 한다.
도10a는 PD 프린터(1000)가 DSC(3012)에 대하여 핸들명 "00000001"을 갖는 화상 데이터를 보낼 것을 요구할 때 보내진 명령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10b는 DSC(3012)가 이 요구에 응답하여 PD 프린터(1000)에 화상 데이터를 보내는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DSC(3012)는 정보, 즉 화상 파일 타입<fileType> 및 화상 파일 크기<fileSize>(바이트 수)를 PD 프린터(1000)에 보낸다.
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 명령이 USB의 PTP에 대하여 수행될 때, 다음과 같이 처리된다. 즉, USB 호스트로서 기능을 하는 PD 프린터(1000)는 USB 슬레이브로서 기능을 하는 DSC(3012)로부터 인쇄될 지정된 화상의 핸들 번호의 "ObjectInfoDataset"을 수신한다. 이 "ObjectInfoDataset"는 복수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파일 타입 정보의 취득의 경우에, 파일 타입은 이러한 데이터 필드에서의 "ObjectFormatCode"의 내용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PTP에서, "ObjectFormatCode"는 4자리 16진 코드에 의해 표현된다. "ObjectFormatCode" 테이블은 이 코드에 의해 표현된 파일 타입을 별도 특정하고(예를 들어, JPEG, TIFF, GIF 등), 파일 타입은 이 테이블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다. 또한, 인쇄될 지정된 화상을 저장하는 폴더는 "ObjectInfoDataset"의 데이터 필드의 정보로부터 특정될 수 있다.
파일 정보 취득 방법의 개요가 트랜스포트 계층 아래의 아키텍쳐로서의 USB- PTP를 일례로 들면서 설명되었다는 것을 주목하자. 취득 방법들이 인터페이스에 따라 다양할지라도, 이러한 파일 정보는 대부분의 인터페이스에 의해 대체로 취득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DSC(3012)에서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롬(3101)에 저장되고, 이 처리는 CPU(3100)가 이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DSC(3012) 및 PD 프린터(1000)가 연결될 때, 환경 설정 처리는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사양(도시 안됨)에 따라 행해진다. 다음으로, 2개의 장치는 이들이 다이렉트 인쇄 상호 호환성 제품인지 서로 확인한다. DSC(3012)는 PD 프린터(1000)로부터,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하기 위하여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capability 데이터를 취득한다. DSC(3012)는 취득된 capability 데이터에 따라 UI를 형성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270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인쇄 명령을 기다리는 아이들 상태로 변경된다. 사용자가 DSC(3012)의 UI를 조작함으로써 다이렉트 인쇄 처리가 행해질 화상과 인쇄 사양을 결정할 때, DSC(3012)는 PD 프린터(1000)에 인쇄 지시를 발행한다. DSC(3012)는 사용자의 인쇄 지시를 인쇄 작업(즉, "StartJob")으로 변환하여 이를 PD 프린터(1000)로 보낸다. 이 인쇄 작업을 수신할 때, PD 프린터(1000)는 DSC(3012)로부터 인쇄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이 인쇄 작업을 해석한다. 이 때 취득된 정보의 타입으로서는, 입력 화상 정보의 수신 메모리를 보장하도록 취득되는 "fileSize" 정보와, 이 취득된 화상 데이터를 렌더링하기 위해 요구되는 "fileType" 정보가 취득된다(도10b 참조).
이 일련의 처리는 도11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DSC(3012)는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하기 위하여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capability 데이터를 PD 프린터(1000)로부터 취득한다. 스텝(S1)에서, capability 취득 등의 명령(getCapability)의 요구가 발행된다. 이 때, 응답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수신될 때까지 이 요구가 발행될 때로부터의 타임아웃 시간으로서, 초당 카운트값이 "100"으로 설정되고, 값("3000") 등이 타임아웃 카운터로서 설정된다.
도12는 이 카운트값 등을 계수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3102)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다.
도12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 120은 CPU(3100)의 제어 동작시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워크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121은 카운터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된 카운트값은 카운터(121)에 설정되고, CPU(3100)의 제어 하에서 카운트다운된다. 참조 부호 122는 이후에 설명되는 테이블을 나타낸다. 테이블(122)은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실제로 요구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전송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추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학습값을 저장한다. 참조 부호 123은 데이터 전송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추측 시간을 저장하는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 124는 데이터 전송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실제 전송 시간을 계수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시간을 나타낸다.
스텝(S2)로 진행하여 스텝(S1)에서 전송한 요구에 대한 응답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가 점검된다. 응답이 수신되었다면, 어떠한 타임아웃 처리없이 스텝(S11)로 진행되고, 실제 데이터 전송 시간(이후에 설명됨)의 학습 결과가 테이블(122)에 저장되어 이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 처리(도시 안됨)를 개시한다.
반면에, 응답이 스텝(S2)에서 PD 프린터(1000)로부터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StartJob에 의한 실제 데이터의 전송이 이미 개시되었는지를 점검하도록 스텝(S3)로 진행한다. 이 데이터 전송이 이미 개시되었다면 스텝(S12)로 진행하고, 이 데이터 전송이 아직 개시되지 않았다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추측하기 위해 스텝(S4)로 진행한다. 전송 시간을 추측할 때, 전송될 데이터 크기의 평균 전송 시간에 대응하는 카운트값을 기술하는 디폴트 테이블이 롬(3101)에 저장되고, 이 데이터 크기의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추측 시간은 이미 취득된 "fileSize" 정보를 사용하여 취득된다. 이 추측 시간에 대응하는 카운트값은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에 설정된다.
테이블(122)에 저장되는 앞선 데이터 전송에 기초한 학습값에 기초하여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에 설정된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을 수정하기 위해 스텝(S5)로 진행된다. 이 수정 처리에서, 평균 전송 시간으로부터의 차이는 테이블(122)에 저장되는 앞선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학습되고, 이 차이에 대응하는 카운트값이 참조될 수 있다. 스텝(S6)로 진행되고, 스텝(S5)에서 얻어진 값은 스텝(S1)에서 설정된 카운터(121)의 카운트값에 가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타임아웃까지의 요구된 시간은 현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의해 연장된다. 스텝(S7)으로 진행되고, 학습 결과에서의 실제 데이터의 현재 데 이터에 요구되는 시간을 반영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시간의 측정이 개시된다. 데이터 전송 시간은 미리 리셋되는 전송 시간 카운터(124)의 값을 카운트업함으로써 측정된다. 스텝(S8)로 진행하고 카운터(121)의 값을 -1만큼 감산한다. 카운터(121)의 값이 "0"에 도달하였는지, 즉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추측 시간이 경과되었는지가 스텝(S9)에서 판정된다. 카운터(121)의 값이 "0"이 아니면, 추측 시간은 아직 경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PD 프린터(1000)로부터 응신을 기다리는 동안 다음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스텝(S2)로 진행한다. 카운터(121)의 값이 "0"에 도달하고 타임아웃이 생성되었다고 스텝(S9)에서 판정되면, 타임아웃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스텝(S10)으로 진행한다. 타임아웃 처리에서, 스텝(S1)에서 발행된 요구를 무효로 하고, 예를 들어 PD 프린터(1000)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PD 프린터(1000)로 어떠한 데이터 전송도 요구하지 않는 상태 취득 요구 등을 발행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반면에, 데이터 전송이 이미 개시되었다고 스텝(S3)에서 판정하면, 데이터 전송이 아직 진행중인지를 점검하기 위해 스텝(S12)로 진행한다. 데이터 전송이 아직 진행중이면, 전송 시간 카운터(124)를 카운트업하기 위해 스텝(S7)으로 진행하고 스텝(S8)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카운터(121)의 감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스텝(S8)으로 진행한다.
응답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수신되었다고 스텝(S2)에서 판정되면, 스텝(S11)로 진행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 크기와 함께 테이블(122)의 학습값으로서 전송 시간 카운터(124)에 의해 계수된 현재 전송 시간을 가산한다. 테이블(122)의 데이터 갱신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는 것을 주목하자. 예를 들어, 샘플의 수 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 때, 데이터 전송 시간의 평균값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각각의 데이터 전송 크기에 대하여 계산될 수 있고, 테이블(122)는 예를 들어 10 kbyte 내지 20 kbyte의 데이터 전송 사이즈에 대한 데이터 전송 시간(sec)을 저장하도록 갱신될 수 있다.
상기 처리로, 실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이 정확하게 추측되고, PD 프린터로부터의 응답 시간의 타임아웃이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SC(3012)의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이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롬(3101)에 저장되고, 처리는 CPU(3100)가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동안 수행된다는 점을 주목하자. 제2 실시예는 카운터(121)에 의한 타임아웃의 시간의 측정이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일 때 중단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DSC(3012)는 사용자에게 UI를 제공하기 위하여 PD 프린터(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capability 데이터를 PD 프린터(1000)로부터 취득한다. 이를 위하여, capability 취득 등의 명령(getCapability)의 요구가 발행된다(S21). 이 때, 응답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수신될 때가지 이 요구가 발행될 때로부터의 타임아웃의 시간으로서, 값("3000" 등)이 "100"으로서 초당 카운트값을 갖도록 카운터(121)에 설정된다. 또한,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은 "0"으로 리셋된다.
스텝(21)에서 전송된 요구에 대한 응답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점검하도록 스텝(S22)으로 진행한다. 이 응답이 이미 수신되었다면, 어떠한 타임아웃 처리없이 스텝(S33)으로 진행하고, 실제 데이터 전송 시간(이후에 설명됨)의 학습 결과가 테이블(122)에 저장되어, 이 처리를 종료하고 다음 처리(도시 안됨)를 개시한다.
반면에, 이 응답이 PD 프린터(1000)로부터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고 스텝(S22)에서 판정되면, StartJob에 의해 실제 데이터의 전송이 이미 개시되었는지를 점검하도록 스텝(S23)으로 진행한다. 데이터 전송이 아직 개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추측하고 이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에서의 추측 시간을 설정하도록 스텝(S24)으로 진행한다. 데이터 전송 시간을 추측할 때, 데이터 크기에 대하여 카운트값을 기술하는 테이블은 롬(3101)에 저장된다. 카운트값은 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평균 전송 시간에 대응하고, 이 카운트값은 이미 취득된 파일 크기 정보 "fileSize"(데이터 크기)를 사용하여 테이블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앞서 측정된 실제 데이터 전송 시간에 기초하여 추측 전송 시간(123)을 수정하고 카운터(121)에 이 수정된 시간을 설정하도록 스텝(S25)으로 진행한다. 이 수정 처리에서, 앞선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실제 시간은 전송 시간 카운터(124)를 사용하여 측정되고, 데이터 크기에 대하여 평균 데이터 전송 시간과 측정 시간 사이의 차이를 학습하는 카운트값이 테이블(122)에 저장된다. 이후에, 이 차이는 테이블(122)를 참조하여 검색될 수 있다. 실제 데이터 전송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송 시간 카운터(124)를 카운트업하도록 스텝(S26)으로 진행하여, 현재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실제 시간을 학습 결과에 반영시킨다. 이후에, 스텝(S27)로 진행한다.
반면에, 이 데이터 전송이 이미 개시되었다고 스텝(S23)에서 판정하면,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인지를 판정하도록 스텝(S31)로 진행한다.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이라면, 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실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송 시간 카운터(124)를 카운트업하는 스텝(S26)으로 진행하고 스텝(S27)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다면 스텝(S27)로 진행한다.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의 값이 "0"인지가 스텝(S27)에서 판정된다.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의 값이 "0"이라면, 이는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다고 추측되기 때문에, 어떠한 응답도 수신되지 않는 동안 타임아웃의 시간을 카운트다운하도록 카운터(121)의 값을 "1" 만큼 감산하는 스텝(S28)로 진행한다. 카운터(121)의 값이 "0"에 도달, 예를 들어 타임아웃이 발생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스텝(S29)으로 진행한다. 타임아웃이 발생되지 않으면, 스텝(S2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타임아웃 처리를 수행하도록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의 값이 "0"이 아니라고 스텝(S27)에서 판정되면, 즉 데이터 전송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고 추측되면, 응답이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카운터(121)를 카운트다운하지 않고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123)의 카운터값을 "1"만큼 감산하도록 스텝(S32)로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이 진행중이라고 추측되는 동안, 타임아웃 카운터(121)는 카운트 다운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타임아웃은 데이터 전송동안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처리로, 타임아웃을 판정하는데 사용되는 카운터의 카운트다운 처리가 추측 데이터 전송 시간에 의해 중단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타임아웃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개시되었는지는, StartJob에 기초하여 실제 데이터가 개시되었는지를 점검함으로써 판정된다. 또한, 점검 처리는 전송될 오브젝트가 파일명 "XXXXXXX.001" 등을 갖는 화상 파일인지, 파일 타입이 JPEG인지, 데이터 전송 방향이 벌크 IN인지, USB 전송 방법이 벌크 전송인지, PTP 오브젝트 핸들이 JPEG 인지 등을 파악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또는 장치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에 의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또한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가 본 발명을 구성한다.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는 저장 매체로서는, 예를 들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학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은 컴퓨터에 의한 판독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 시키거나,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에서 작동되는 OS(운영 체제)에 의해 실행된 실제 처리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은 저장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기능확장 보드 또는 유닛의 메모리에 기록된 후, 기능 확장 보드 또는 기능 확장 유닛에 배열된 CPU 등에 의해 실행된 실제 처리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예 및 수정예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의 공표는 다음의 청구범위가 행한다.
본 발명은 화상 공급 장치와 기록 장치 사이에서 명령을 사용하는 요구와 응답을 교환하고, 통신 에러등이 발생될 때 상태 복귀를 신속하게 얻기 위하여 데이터가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전송될 때 기록 장치에서의 응답까지 타임아웃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1)

  1.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화상 공급 장치와 기록 장치가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통신하는 기록 시스템이며,
    화상 공급 장치 및 기록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기록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될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이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한 시간 기간을 계측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수단은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테이블과, 데이터의 실제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수정하는 수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수정 수단에 의해 수정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기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및 상기 응답을 통신하는 통신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계층보다 상위 계층인 기록 시스템.
  4.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기록 장치와 통신하고, 기록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록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화상 공급 장치이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기록 장치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기록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될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이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한 시간 기간을 계측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수단은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테이블과,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실제 시간 기간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수정하는 수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수정 수단에 의해 수정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화상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및 상기 응답을 통신하는 통신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계층보다 상위 계층인 화상 공급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화상 공급 장치와 통신하고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이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수단과,
    상기 계측 수단이 상기 예측 수단에 의해 예측된 시간 기간을 계측할 때까지 상기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수단은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테이블과,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실제 시간 기간을 측정하는 측정 수단과, 상기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된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수정하는 수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수정 수단에 의해 수정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기록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및 상기 응답을 통신하는 통신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계층보다 상위 계층인 기록 장치.
  10.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록하기 위하여 화상 공급 장치와 기록 장치가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통신하는 기록 시스템의 제어 방법이며,
    화상 공급 장치 및 기록 장치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기록 장치로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단계와,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예측하는 예측 단계와,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기록 장치로부터의 응답이 수신될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계측 단계와,
    상기 계측 단계에서 상기 예측 단계에 의해 예측한 시간 기간을 계측할 때까지 상기 기록 장치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시스템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단계는 실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을 측정하는 측정 단계와, 상기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시간에 기초하여 데이터량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저장하는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을 수정하는 수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측 단계에 있어서 상기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에 요구되는 시간 기간은 상기 수정 단계에서 수정된 데이터 전송 시간 기간에 기초하여 예측되는 기록 시스템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및 상기 응답을 통신하는 통신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통신 계층보다 상위 계층인 기록 시스템 제어 방법.
  13. 컴퓨터가 제10항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14.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기록 장치와 통신하고, 기록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록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화상 공급 장치이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기록 장치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전송될 데이터량에 따라 타임아웃의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기록 장치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을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공급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및 상기 응답이 전송되는 통신 계층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신 계층보다 상위 계층인 화상 공급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화상 공급 장치와 통신하고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장치이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전송될 데이터량에 따라 타임아웃의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상기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시간 내에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을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및 상기 응답이 전송되는 통신 계층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신 계층보다 상위 계층인 기록 장치.
  18.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기록 장치와 통신하고, 기록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기록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게 하는 화상 공급 방법이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기록 장치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단계와,
    전송될 데이터량에 따라 타임아웃의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기록 장치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을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공급 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범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화상 공급 장치와 통신하고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방법이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 절차를 확립한 후 화상 공급 장치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요구를 발행하는 발행 단계와,
    전송될 데이터량에 따라 타임아웃의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어떠한 응답도 없을 경우에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제18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은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를 발행하는 기록 시스템.
  2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은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를 발행하는 화상 공급 장치.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은 요구를 무효로 할 때 화상 공급 장치로 다음 요구를 발행하는 기록 장치.
  2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단계에서,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가 발행되는 기록 시스템 제어 방법.
  2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은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를 발행하는 화상 공급 장치.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수단은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를 발행하는 기록 장치.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단계에서,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가 발행되는 화상 공급 방법.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를 무효로 하는 단계에서, 요구를 무효로 할 때 기록 장치로 다음 요구가 발행되는 기록 방법.
KR1020040065864A 2003-08-22 2004-08-20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KR100663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8798 2003-08-22
JP2003298798A JP2005066988A (ja) 2003-08-22 2003-08-22 画像供給装置と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705A KR20050020705A (ko) 2005-03-04
KR100663830B1 true KR100663830B1 (ko) 2007-01-03

Family

ID=3410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864A KR100663830B1 (ko) 2003-08-22 2004-08-20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00649B2 (ko)
EP (1) EP1511288B1 (ko)
JP (1) JP2005066988A (ko)
KR (1) KR100663830B1 (ko)
CN (1) CN100343067C (ko)
DE (1) DE60200402680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904B2 (ja) * 1999-07-15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膜形成方法および膜形成装置
JP3728277B2 (ja) * 2002-06-04 2005-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3530847B2 (ja) * 2002-06-04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JP4143501B2 (ja) * 2003-08-22 2008-09-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装置と、当該画像供給装置と記録装置とを含む記録システムとその通信制御方法
JP4574282B2 (ja) * 2004-08-20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該デバイスの制御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と印刷制御方法
JP2006120107A (ja) * 2004-10-25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情報とその印刷情報を記録する記録媒体及びその記録装置
JP4366323B2 (ja) * 2005-03-15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356997B2 (ja) * 2005-03-15 2009-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方法
JP4592099B2 (ja) * 2005-09-29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136610B2 (ja) * 2010-08-06 2013-0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36576B2 (ja) * 2013-05-28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プログラム、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プログラム、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配信システム
JP2019181757A (ja) 2018-04-05 2019-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77221B (zh) 2018-07-02 2022-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重传控制方法、通信接口和电子设备
CN115774526A (zh) * 2022-07-20 2023-03-10 深圳市星卡软件技术开发有限公司 汽车诊断设备打印预热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786B1 (en) * 1997-08-25 2002-06-11 Sony Corporation Laser beam generating apparatus
JP3618979B2 (ja) 1997-10-28 2005-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1014227A (ja) * 1999-06-30 2001-01-19 Nec Corp タイムアウト時間更新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760303B1 (en) * 2000-03-29 2004-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type switching based on cell load
KR200211927Y1 (ko) 2000-07-24 2001-02-01 최명수 접이식 가구
JP2002051055A (ja) 2000-08-04 2002-02-15 Sony Corp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6907460B2 (en) 2001-01-18 2005-06-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fficient retransmission timeout estimation in NACK-based protocols
JP2003061034A (ja) 2001-08-10 2003-02-28 Canon Inc 画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4054555B2 (ja) 2001-10-01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3131969A (ja) 2001-10-19 2003-05-09 Minolta Co Ltd ファイル送信装置、ファイル送信方法、ファイル送信プログラム、および、ファイル送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3496009B2 (ja) * 2001-10-22 2004-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40091B2 (ja) * 2001-10-31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と記録装置と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986308B2 (ja) * 2001-12-14 2007-10-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3855783B2 (ja) 2002-01-30 2006-12-13 富士フイルム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プリントシステム
JP4214793B2 (ja) * 2003-02-19 2009-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サーバ、基地局、移動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再送タイムアウト時間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26809D1 (de) 2010-06-10
US7800649B2 (en) 2010-09-21
US20050052690A1 (en) 2005-03-10
KR20050020705A (ko) 2005-03-04
CN1590113A (zh) 2005-03-09
EP1511288B1 (en) 2010-04-28
EP1511288A3 (en) 2006-01-25
CN100343067C (zh) 2007-10-17
EP1511288A2 (en) 2005-03-02
JP2005066988A (ja)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901B2 (en) Imaging apparatus, system having imag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589576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인쇄 시스템 및 그 인쇄 제어 방법
KR100663209B1 (ko)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US7224480B2 (en) Imaging apparatus, system having imag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622581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프린터
KR100663830B1 (ko) 화상 공급 장치, 기록 장치, 기록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EP1529398A1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ing system
JP3848130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と記録装置と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A2487852C (en) Digital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inting system
US8605334B2 (en) Record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022993B2 (en) Image supply device transmitting image data to a recording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377018A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hoto-direct printing apparatus
US20070244580A1 (en) Printing System and Interface Device Therefor
KR100670214B1 (ko)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93855A (ko) 화상공급 디바이스, 기록장치, 기록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2493594C (en) Record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5081759A (ja) プリンタ装置及びその印刷制御方法、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