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927Y1 - 접이식 가구 - Google Patents

접이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927Y1
KR200211927Y1 KR2020000021106U KR20000021106U KR200211927Y1 KR 200211927 Y1 KR200211927 Y1 KR 200211927Y1 KR 2020000021106 U KR2020000021106 U KR 2020000021106U KR 20000021106 U KR20000021106 U KR 20000021106U KR 200211927 Y1 KR200211927 Y1 KR 200211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ttached
hanger
furnitur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수
Original Assignee
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수 filed Critical 최명수
Priority to KR2020000021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927Y1/ko

Link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나 침구, 화장품을 수납하는 가구에 관한 고안으로, 필요에 따라 가구를 쉽게 접거나 설치할 수 있는 접이식가구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의 완성가구나 조립식가구가 가지는 운반과 설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장방형의 배판 사면에 보조판과 보강판을 부착하여 견고하게 구성하고, 상기의 보조판에는 천판, 상부전면판, 바닥판, 옆판, 여닫이문을 각각 경첩이나 연설축에 의해 연설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바닥판에는 수평조절장치를 부착한다.
또한, 본체 설치후 필요에 따라 천판 상면에 수납상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옆판 외측에는 접이식으로 구성된 보조옷걸이와 화장대를 탈착식으로 연설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은 공구가 필요없이 수작업으로 수분내 설치하거나 접을 수 있으며, 접을 경우 부피가 1/5로 축소되어 보관과 운송이 편리하며 물류비용을 절감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접이식 가구{Folding Type Funiture}
본 고안은 의류나 침구등을 수납하는 가구와 화장대에 관한 고안으로, 가구와 화장대의 각 부분을 쉽게 접을 수 있도록 고안된 접이식 가구이다.
종래의 가구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부피가 대형인 완성품으로 1∼3년에 1회 정도 이사하는 우리의 주거문화 하에서는 이사시 큰짐의 하나로서 운송중 손상 많았으며, 출입문이 작은 가옥으로 이사시에는 가구의 출입이 불가능하여 출입문을 넓히는 공사를 하거나, 심지어 가구를 처분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건축물과 일체화된 붙박이장을 제공하여 운반이 불필요하게 하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혼수품의 일부로 고가의 가구를 구입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사갈 가옥에 붙박이장이 설치된 경우라도 재산의 일부로 생각하는 기존사고 하에서는 가구를 지참하고 이사를 하므로 실효가 없었다.
일부에서는 조립식 붙박이장이라 하여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조립작업이 복잡하고, 방의 크기가 상이하면 재사용이 곤란하며, 설치 및 분해작업시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에 전문인력을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접었을 때 부피가 1/5로 축소되도록 하며, 접었을 때나 설치 후에도 견고성을 유지하며, 작은 창문이나 엘리베이터로 출입과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성인남녀 누구나 수분 이내에 쉽게 설치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상부공간과 측면공간에는 필요에 따라 수납상자, 보조옷걸이, 화장대 등을 탈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는 옷걸이 설치가 가능한 선반이 접이식으로 부착하여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본구조를 응용하여 가구의 높이를 1/2로 하여 2단으로 제작하면 승용차로 운반에 가능하도록 하며, 옆판의 폭을 줄이고 선반을 다단식으로 부착하면 책장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의 분해상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접었을 때의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평단면도
제 5도(가)는 본 고안의 결속장식 구성상태도
(나)는 제 5도(가)의 결속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다)는 제 5도(가)의 결속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 6도(가)는 본 고안의 천판 주요부 구성 상태도
(나)는 제 6도(가)의 접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다)는 제 6도(가)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 7도(가)는 본 고안의 상부전면판의 사시도
(나)는 제 7도(가)의 측면도
제 8도(가)는 바닥판을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나)는 제 8도(가)의 펼친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다)는 제 8도(나)의 평면도
제 9도(가)는 본 고안의 수평조절장치의 분해상태도
(나)는 제 9도(가)의 설치단면도
제 10도(가)는 본 고안의 선반의 구성 상태도
(나)는 제 10도(가)의 주요부 확대도
(다)는 본 고안의 선반걸림장식 분해 상태도
(라)는 제 10도(다)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마)는 제 10도(다)의 입설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 11도(가)는 본 고안의 화장대 설치상태도
(나)는 본 고안의 화장대 연결대의 설치상태도
(다)는 제 11도(나)의 평면도
제 12도(가)는 본 고안의 보조옷걸이 구성상태도
(나)는 제 12도(가)의 측단면도
(다)는 제 12도(가)의 주요부 확대도
제 13도(가)는 본 고안의 수납상자 사시도
(나)는 제 13도(가)의 설치상태도
제 14도(가)는 다른 형태의 옆판 결속장식 설치상태도
(나)는 제 14도(가)의 주요부 확대상태도
(다)는 제 14도(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 15도는 또 다른 형태의 옆판 결속장식 측단면도
제 16도는 본 고안의 2단장 사시도
제 17도(가)는 본 고안의 책장 사시도
(나)는 제 17도(가)의 측단면도
(다)는 제 17도(가)의 주요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배판 12. 선반
121. 옷걸이거치대 122. 회전축
123. 볼스프링 124. 입설홈
125. 요홈 126. 삽지홀더
127. 옷걸이봉 13. 옆면보조판
14. 상면보조판 15. 하면보조판
16. 보강판 17. 경첩
18. 수평조절장치 181. 조절볼트
182. 너트부 183. 받침대
184. 조임나사 185. 관통홀
21. 바닥판 22. 측판
221, 222 접이식철편 223, 224, 225. 회전축.
23. 부품보관함 24. 결박벨트보관함
25. 커버 26. 연설축
31. 후부옆판 32. 전부옆판
33. 선반걸림장식 331. 요홈편
332. 관통홀 333. 회전축
334. 스프링 335. 걸림편
34. 결속장식 341. 요홈판
342. 회전축 343. 스톱핀
344. 회전판 345. 손잡이
346. 고정나사 347. 고정편
348. 관통홀 349. 스프링
351. 입설편 352. 관통홀
353. 걸림핀 354. 관통축
355. 손잡이 356. 돌출부관통홀
361.너트부 362. 원형볼트
41. 천판 42. U스프링
43. 상부전면판 431. 하판
432. 상판 433. 홀더
434. 철편 51. 수납상자
52. 상자덮개 53. 결박벨트
54. 벨트고정편 55. 롤러
56. 결속장식 57. 자석
61. 보조옷걸이 611. 입설부
62. 타이걸이 621. 회전부
631. 설치대 632. 요홈
71. 화장대 711. 타이걸이
712. 화장픔 수납대 713. 롤러
72. 거울 741. 설치대
742. 요홈 743. 연결대
81. 여닫이문 91. 결박벨트
본 고안은 가구의 후면에 위치한 배판(11)의 양 측면과 상, 하면에 보조판(13, 14, 15)을 부착하고, 각 보조판을 더욱 견고하게 부착하기 위해 보강판(16)을 4귀에 부착하며, 각 보조판에는 각각 옆판(31, 32), 천판(41), 바닥판(21)이 경첩(17) 또는 연설축(26)에 의해 연설되고, 옆판(32) 일측면에는 여닫이문(81)을 연설하며, 천판(41) 끝단에는 상부전면판(43)을 각각 경첩(17)으로 연설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바닥판(21)에는 수평조절장치(18)를 설치하여 가구가 수평을 유지하면서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옆판(32)의 외측에는 설치대 (631, 741)를 부착하여 보조옷걸이(61)와 화장대(71)를 필요에 따라 탈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와 제 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배판(11) 양 측면과 상, 하면에는 보조판(13, 14, 15)을 부착하고 각 보조판 모서리에는 보강판(16)를 부착하여 본 고안의 기초가 되는 배판(11)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옆면보조판(13)에는 후부옆판(31)과 전부옆판(32) 여닫이문(81)이 차례로 경첩(17)으로 연설되어 접이식이 되도록 하며, 상면보조판(14)과 천판(41), 하면보조판(15)과 바닥판(21)은 연설축(26)으로 연설하여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가구의 상부와 측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상부에는 수납상자(51)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고, 측면에는 탈착식 보조옷걸이(61)와 화장대(71)를 구성하며, 바닥판(21) 적소에는 부품보관함(23)을 형성하여 옷걸이봉(127)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두며, 하면보조판(15)과 바닥판(21)에는 수평조절장치(18)를 설치한다.
제 3도는 보관이나 운송을 위해 가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피가 1/5로 축소된 상태이며, 손상되기 쉬운 모서리부분에는 철재를 소재로 제작되는 보강편(16)과 측판(22)등이 커버 역할을 하고, 도시된바와 같이 접은 상태에서 표면에 나타나는 면은 배판(11)의 후면과 바닥판(21)의 저면, 천판(41)의 상면으로서 설치했을 때에는 보이지 않는 곳으로서 다소 손상이 되더라도 미관상 별 문제가 없다.
또한, 가구를 접은 상태에서 바닥판(21)과 천판(41)을 결막벨트(91)로 결박하여 이동시 편리하도록 하며, 결박벨트(9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닥판(21) 저면에 형성한 보관함(24)에 수납한 후 커버(25)를 닫아 보관한다.
제 4도는 본 고안의 본체의 주요부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판(11) 내측 적소에는 경첩(17)으로 선반(12)을 연설하고, 옆면보조판(13)에는 후부옆판(31), 전부옆판(32), 여닫이문(81)을 각각 경첩(17)에 의해 연설하여 필요에 따라 전개하거나 접혀지는 구조를 가진다.
옆판(31, 32)의 상,하단부 적소에는 결속장식(34)을 부착하여 바닥판(21)및 천판(41)과 결속되거나 해지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측에 도시한 것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며. 우측에 도시한 것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5도는 옆판(31, 32)과 바닥판(21) 사이의 결속장식(34)을 도시한 분해상태도 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옆판(31, 32) 내측 적소에는 반원형의 요홈을 형성하여, 요홈판(341)을 부착하고, 대응되는 바닥판(21)에는 고정편(347)을 부착한다.
요홈판(341)에는 회전축(342)과 스톱핀(343)을 형성하고, 스프링(349)을 부착하며, 회전판(345)은 회전축(342)에 결합되어 고정편(347)에 천공된 관통홀(348)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옆판(31, 32)과 바닥판(21)이 결속되거나 해지되도록 한다.
제 5도(나)는 결속이 해지된 상태의 결속장식(34)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요홈판(341)에 형성한 회전축(342)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회전판(344)의 손잡이(345) 우측측면이 스톱핀(343)에 접촉되면서, 동시에 반대편에 형성된 돌출부와 스프링(349)이 접촉되어, 자중에 의해 회전축(342)이 움직이는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 5도(다)는 결속장식(34)이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회전판(344)이 바닥판(21)의 고정편(347)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회전판(344)이 회전하여 스프링(349)이 회전판(344) 외측에 형성된 홈과 접촉하면서, 동시에 회전판(344) 끝단의 돌출부가 고정판(347) 관통홀(348)에 삽입되어 옆판(31, 32)과 바닥판(21)이 결속되는 것이다.
또한, 옆판(31, 32)의 상단부에도 같은 형태의 요홈판(341)을 부착하여 동일한 형태의 부품을 대칭되게 설치하고, 천판(41)에는 고정편(347)을 부착하여, 옆판(31, 32)와 천판(41)이 동일한 방법으로 결속되어 본체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제 6도는 상면보조판(14)과 천판(41)의 연설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이다.
제 6도(가)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보조판(14)의 양측면에 보강판(16)을 부착하여 배판(11)및 옆면보조판(13)에 견고하게 부착되며, 보강판(16)의 일측에는 원형홀을 천공하고, 연설축(26)을 삽입하여 천판(41)이 접혀지거나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면보조판(14)과 천판(41)이 접촉되는 면의 적소에는 U스프링(42)를 부착하고, 접촉되는 천판(41)면에는 각진 접촉면을 형성하여 천판(41)이 자중에 의해 하향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작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제 6도(나), (다)는 천판(41)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제 7도(가)는 상부전면판(43)의 분해사시도이고 (나)는 측면도이다.
상부전면판(43)은 하판(431)과 상판(432), 홀더(433)로 구성되며, 하판(431)은 천판(41)과 경첩으로 연설되며, 상판(432)에는 ㄱ형 홀더(433)를 부착하여 하판(431)과 슬라이딩되면서 결속되도록 한다
제 8도는 하면보조판(15)과 바닥판(21)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접이식철편(221, 222)은 보강판(16)과 측판(22)에 연설되어 하판(21)의 전개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식으로서 전개할 시 바닥판(21)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설치작업도중 배판(11)이 전면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 8도(나)는 바닥판(21)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접이식철편(221)은 일측 회전축(224)에 의해 보강판(15)과 연설되고 다른 접이식철편(222)은 측판(22)에 연설된다.
제 8도(다)는 제 8도(나)의 평면도이다.
제 9도(가)는 수평조절장치(18)의 분해상태도이고, (나)는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하면보조판(15)과 바닥판(21)에 각 2개소씩 관통홀(185)을 천공하여 너트부(182)를 입설한 후 조절볼트(181)를 나삽하고, 조절볼트(181) 하면에는 받침대(183)를 조임나사(184)로 부착한다.
바닥판(21) 상면에서 조절볼트(181)를 조이거나 풀어주어 가구가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다.
제 10도(가)는 선반(12)을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선반(12)의 양 측면에는 옷걸이거치대(121)를 설치하여 옷걸이봉(127)을 입설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삽지홀더(126)를 설치하여 옆판(32)에 부착된 선반걸림장식(33)과 연설되어 선반(12)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0도(나)는 옷걸이거치대(121)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옷걸이거치대(121)는 회전축(122)에 의해 선반(12)의 측면 적소에 설치되어, 옷걸이봉(127) 설치가 필요할 때 옷걸이거치대(121)를 90°수직으로 하향하고 옷걸이봉(127)을 삽입한다.
또한, 옷걸이봉(127)을 팔요하지 않을 때에는 옷걸이봉(127)을 전면으로 제거한 후 선반(12) 측면에 형성된 입설홈(124)에 삽입한다. 이때 볼스프링(123)이 옷걸이거치대(121)의 내측에 형성된 요홈에 접촉되어 자중에 의해 하향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0도(다)는 옆판(32)에 설치되는 선반걸림장식(33)의 분해상태도이다.
선반(12) 설치시, 선반(12)에 형성된 삽지홀더(126)가 옆판(32)에 설치된 선반걸림장식(33)의 걸림편(335)에 삽입되어 선반(12)이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편(331)과 걸림편(335)이 회전축(333)에 의해 조립되고 걸림편(335)의 아래쪽 적소에 스프링(334)이 부착되어 걸림편(335)의 돌출과 삽입작동이 확실히 구분되도록 한다.
제 10도(라)는 걸림편(335)의 상단부가 요홈편(331)에서 돌출되어 선반(12)에 부착된 삽지홀더(126)에 삽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걸림편(335) 하단부는 스프링(334) 내측에 걸려 움직임이 제어된다.
제 10도(마)는 걸림편(335)이 요홈편(331)에 삽입되어 선반(12)을 접을 수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걸림편(335)의 하단부가 스프링과 접촉되어 걸림편(335)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 11도(가)는 옆판(32) 외측에 연설되는 보조옷걸이(61)와 화장대(71)의 설치상태도 이다.
화장대(71)의 내부는 타이걸이(711)와 화장품수납대(712)로 구성되며, 외측 일측에는 거울(72)을 경첩(17)으로 연설한다.
화장대(7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울(72)이 여닫이문 역할을 하여 화장대(71) 전면을 닫아 주도록 하여 화장대(71) 내측에 수납한 물품과 거울(72)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사할 때는 거울(7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장대(71) 하단부에 롤러(713)를 부착하여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 11도(나)는 옆판(32) 외측에 형성한 설치대(741)와 화장대(71) 외측에 형성한 설치대(741) 사이에서, 양 가구의 연설을 위해 사용되는 연결대(74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옆판(32)의 설치대(741) 상부에는, 설치대(741)와 동일한 형태의 요홈(742)을 형성하여 연결대(743) 끝단에 부착된 설치봉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며, 화장대(71)에도 설치대(741)와 요홈(742)를 형성하는데, 다만 설치대(741) 하부에 요홈(742)이 위치하도록 한다.
제 11도(다)는 제 11도(나)의 평면도이다.
제 12도(가)는 보조옷걸이(61)의 설치상태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옆판(32)에 요홈을 형성하여 설치대(631)를 부착하며, 설치대(631) 상부에는 삼각형 요홈(632)을 형성하여 보조옷걸이(61)의 입설부(611)가 원활하게 입설될 수 있도록 한다. 보조옷걸이(61)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회전부(621)를 연설하고 타이걸이(62)를 부착한다.
제 12도(나)는 제 12도(가)의 측단면도이며, (다)는 설치대(631)과 요홈(632)의 상세도이다.
제 13도(가)는 천판(41)의 상부에 입설되어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상자(51)의사시도이다.
수납상자(51)의 전면에는 눈금을 표시하여 수납상자(51)와 상자덮개(52)의 총높이를 인지할 수 있게하여, 천판(41)과 천정의 높이에 따라 수납물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면에 결박벨트(53)를 부착하여 상자덮개(52)를 압박하여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한다. 벨트고정편(54)는 필요에 따라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수납상자(51)의 측면후부에는 롤러(55)를 부착하여 입출을 용이하게 한다.
제 13도(나)는 수납상자(51)가 상면보조판(14)과 천판(41) 상면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수납상자(51)가 천판(41)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전면판(43)에 부착된 홀더(433)나 철편과 상자덮개(52)에 부착된 자석(57)이 접촉되어 상부전면판(43)이 전면을 커버하여 미관을 양호하게 한다.
제 14도(가)는 옆판(31, 32)과 바닥판(21), 또는 옆판(31, 32)과 천판(41)을 결속하는 다른 형태의 결속장식(34)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나)는 상세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측판(22)에 원형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그 중앙에 관통홀(356)을 천공하며, 옆판(31, 32) 내측에 부착되는 입설편(351)에도 동일한 형태의 장방형 관통홀(352)을 천공한다. 또한, 관통축(354)에는 일측에 걸림핀(353)을 부착하고 다른 일측에는 손잡이(355)를 부착하며, 관통축(354)에 부착되는 손잡이(355)와 걸림핀(353)은 탄성이 강한 철심을 소재로 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제 14도(다)는 제 14도(나)의 결속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라 결속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옆판(31, 32)을 열어 측판(22)에 접촉시키면 양쪽의 관통홀(352, 356)이 일치되며, 일치된 관통홀(352, 356)에 관통축(354)의 걸림핀(353)을 통과시킨 다음, 손잡이(355)를 90°회전시키면 측판(22)과 옆판(31, 32)이 결속된다.
제 15도는 또 다른 형태의 결속장식(34)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측판(22)에는 너트부(361)를 삽입하고, 옆판(31, 32) 내측에는 요홈을 형성하며, 그 중앙에는 관통홀을 천공하여 원형볼트(362)가 옆판(31, 32) 관통홀을 통과하여 걸림판(22)에 삽입된 너트부(361)에 조여져 설치가 완료되도록 한다.
제 16도는 본 고안의 2단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본구조는 제 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다만 배판(11), 옆판(31, 32), 여닫이문(81)의 높이를 1/2로 하여 2단으로 구성한다. 이동을 위해 접었을 경우, 승용차나 엘리베이터에 무리 없이 적재되도록 하여 운송을 보다 간편하게 한 것이다.
제 17도(가)는 본 고안을 책장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본구조는 제 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며, 다만 바닥판(21), 옆판(31, 32), 천판(41), 선반(12)의 폭을 책장의 폭에 적당하게 구성한다. 또한 선반(11)을 다수로 구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제 17도(나)는 제 17도(가)의 측단면도 이다.
제 17도(다)는 제 17도(가)의 평면도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여닫이문(81)과 옆판(31)을 연설하는 경첩(17)은 옆판(31)과 여닫이문(81)의 경사면 사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설치할 장소의 벽에 배판(11)을 접촉시키고, 제 3도에 도시한 결박벨트(91)를 해제하여 결박벨트보관함(24)에 넣은 후 커버(25)를 닫은 다음 바닥판(21)을 90°하향하여 저면을 지면에 접촉시키면, 보강판(16)과 측판(22)에 연설된 접이식철편(221, 222)이 완전히 전개되어 배판(11)이 전면으로 쓰러지지 않는다. 다음은 천판(41)을 90°상향하여 U스프링(42)에 의해 천판(41)이 임시로 고정되도록 한 다음 여닫이문(81)을 전면으로 당겨서 옆판(31, 32)이 측판(22)과 접촉되도록 하고, 여닫이문(81)은 완전히 연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은 옆판(31, 32)에 부착된 결속장식(34)의 회전판(344)을 140°정도 회전시켜 바닥판(21)과 천판(41)에 부착된 고정편(347)의 관통홀(348)에 회전판(344)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옆판(31, 32)와 바닥판(21)및 천판(41)이 결속되도록 한다.
다음은 배판(11) 내측에 부착된 선반(12)을 100°정도 들어올린 다음, 옆판(31, 32)에 설치된 선반걸림장식(33)의 걸림편(335) 하부를 눌러 걸림편(335) 상부의 걸림턱이 돌출 되도록 하고, 선반(12)을 10°정도 하향하여 선반(12)에 부착된 삽지홀더(126)가 걸림편(335)의 걸림턱에 삽입되도록 한다.
옷걸이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면, 선반(12)의 양 측면에 설치된 옷걸이거치대(121)를 수직으로 하향하고 옷걸이봉(127)을 삽입한다.
천판(41) 상부공간에 수납상자(51)를 입설 하고자 할 때는, 천판(41)상부와 천정의 공간높이를 측정한 후 그 높이를 감안하여, 수납상자(51)에 표시된 눈금을 참고하여 물품을 수납한다. 천판(41) 상부에 수납상자(51)를 입설한 후 상부전면판(43)을 수직으로 세우고 상판(432)을 천장까지 밀어 올린 다음 상부전면판(43) 후면에 부착된 철편이나 홀더(44)가 상자덮게(53)에 부착된 자석에 접촉되도록 하여 상부전면판(43)이 전면을 커버하여 미관을 양호하게 한다.
다음은 하면보조판(15) 및 바닥판(21)에 설치한 수평조절장치(18)의 조절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가구가 수평이 되도록 한다.
측면공간을 활용하고자 할 때는, 옆판(32)에 형성한 설치대(631, 741)에 보조옷걸이(61)의 입설부(611)나, 화장대(71)의 연결대(743)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구를 설치할 수 있으며, 가구를 접는 방법은 설치순서의 역순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이식으로 구성되며, 접었을 경우 부피가 1/5로 축소되어 보관이나 이동이 편리하고 물류비용도 절감된다.
특히, 엘리베이터나 창문으로 이동이나 출입이 가능하며, 운반시 손상되기 쉬운 모서리는 철재를 소재로 제작한 보강판(16)이나 측판(22)이 부착되어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접었을 때의 가구표면은 배판(11)의 후면, 바닥판(21)의 저면, 천판(41)의 상면등 설치하였을 때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므로 흠집이 다소 발생하여도 미관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파손된 부품을 교체할 때는 경첩(17)이나 회전축(26)을 2∼4개 풀어 교체할 수 있으므로 수리비와 수리소요시간이 적게든다.
설치할 때는 공구나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지 않으며, 넓은장소에서 조립하여 원하는 장소로 옮길 필요 없이 원하는 장소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성인남녀 누구나 수분이내에 설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수납상자(51), 보조옷걸이(61), 화장대(71)를 상부나 측면의 공간에 탈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공간활용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접이식이면서 탈착식으로 구성된 화장대(71)는 타이걸이(711)와 화장품수납대(712)를 설치하여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일측에 거울을 경첩(17)에 의해 연설하며, 화장대(7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울(72)이 여닫이문 역할을 하여 화장대(71) 전면을 막아주므로 먼지나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고, 운반할 때는 거울의 파손을 방지한다. 화장대(71)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
보조판(13, 14, 15)과 보강판(16)으로 견고하게 보강된 배판(11)에 바닥판(21)과 천판(41), 2개의 선반이 교차되고 중복되게 조립되여 구조가 견고하므로 가구의 수명이 길다.

Claims (3)

  1. 본 고안의 기초가 되는 적정크기의 배판(11)에 좌,우측면및 상,하면에 보조판(13, 14, 15)을 덧대어 부착하고, 각 보조판(13, 14, 15)의 모서리에는 보강판(16)을 부착하며, 옆면보조판에는 후부옆판(31), 전부옆판(32), 여닫이문(81)을; 상면보조판(14)에는 천판(41)과 상부전면판(43)을; 하면보조판(15)에는 바닥판(21)을; 경첩(17)이나 연설축(26)에 의해 차례로 연설하며, 옆판(31, 32)과 바닥판(21)및 천판(41)은 제 5도 또는 제 14도에 도시된 결속장식(34)에 의해 결속되거나 해지되며, 배판(11)의 내측에는 선반(12)을 경첩(17)에 의해 연설하며, 선반(12) 측면에는 삽지홀더(126)를 부착하여 옆판(32)적소에 설치된 선반걸림장식(33)과 결속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선반(12)측면에 접이식 구조를 가진 옷걸이거치대(121)를 설치하여 필요시 옷걸이봉(127)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바닥판(21) 저면에는 결박벨트(91)를 보관할수 있는 보관함(24)를 형성하며, 상면에는 부품보관함(2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옆판(32) 외측에 설치대(631, 741)를 형성하여 보조옷걸이(61)와 화장대(71)를 연결대(743)에 의해 탈착식으로 연설할 수 있도록 하며, 화장대(71) 내부에는 타이걸이(711)과 화장품수납대(712)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롤러(713)를 부착하며, 외부 일측에는 경첩(17)에 의해 거울(72)을 연설하여 화장대(71)의 여닫이문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하며, 보조옷걸이(61)에는 타이걸이(62)를 연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가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면보조판(14)와 천판(41) 상부에 입설하거나 독립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납상자(51)는 전면에 눈금을 표시하여 상자의 높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양 측면 하단부에는 탈착식 결박벨트(53)를 설치하여 상자덮개(52)를 압박하여 결박할 수 있도록 하며, 상자덮개(52) 전면에는 자석을 부착하여 상부전면판(43)의 철편이나 홀더(433)와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가구.
KR2020000021106U 2000-07-24 2000-07-24 접이식 가구 KR200211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06U KR200211927Y1 (ko) 2000-07-24 2000-07-24 접이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106U KR200211927Y1 (ko) 2000-07-24 2000-07-24 접이식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927Y1 true KR200211927Y1 (ko) 2001-02-01

Family

ID=7308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106U KR200211927Y1 (ko) 2000-07-24 2000-07-24 접이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92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806B1 (ko) 2006-08-01 2006-10-27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붙박이 시설물
US7800649B2 (en) 2003-08-22 2010-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upply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1003765B1 (ko) * 2010-05-17 2010-12-23 (주)원양건축사사무소 접이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건축물 벽체구조
KR101243369B1 (ko) * 2010-12-30 2013-03-13 주식회사 엘퍼스 장식장
WO2017024284A1 (en) * 2015-08-06 2017-02-09 Clevermade, Llc Collapsible workstation
KR20230046385A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수납형 책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649B2 (en) 2003-08-22 2010-09-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upply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100638806B1 (ko) 2006-08-01 2006-10-27 주식회사 다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붙박이 시설물
KR101003765B1 (ko) * 2010-05-17 2010-12-23 (주)원양건축사사무소 접이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건축물 벽체구조
KR101243369B1 (ko) * 2010-12-30 2013-03-13 주식회사 엘퍼스 장식장
WO2017024284A1 (en) * 2015-08-06 2017-02-09 Clevermade, Llc Collapsible workstation
KR20230046385A (ko) * 2021-09-29 2023-04-06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수납형 책상
KR102603684B1 (ko) 2021-09-29 2023-11-20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수납형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467A (en) Portable workshop
US5664854A (en) Collapsible showcase for retail/trade show use
US4919498A (en) Collapsible desk
US20060238085A1 (en) Furniture system
US8113608B2 (en) Cabinets and mirrors selectively mounted on hinges supporting room doors on door frames, hinges for such mountings, and methods for so mounting
US20110115350A1 (en) Folding tv cabinet
US20060118051A1 (en) Fold up pet bed
KR200211927Y1 (ko) 접이식 가구
US4681379A (en) Sliding shutter door sectional wardrobe
US5562050A (en) Collapsible article of furniture
US20150123527A1 (en) Collapsible Wardrobe and Method
US20040177567A1 (en) Storage attachment for deck railing
US8656844B2 (en) Cover for base of counter
US20120007484A1 (en) Folding TV table
EP1444922A2 (en) Foldable worksurface
US3829190A (en) Cabinet prefabrication system
KR200200758Y1 (ko) 조립식 가구
KR200288113Y1 (ko) 조립식 가구
US3848375A (en) Portable furniture device
US3829187A (en) Counter fixture
CN211398173U (zh) 一种榫卯连组件和榫卯连接衣柜
EP0179179A1 (en) Sliding shutter door sectional wardrobe
US6793221B2 (en) Knockdown cabinet for dart game
WO2007110111A1 (en) Foldable cabinet
US10874210B1 (en) Modular closet door and hin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