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306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306B1
KR100663306B1 KR1020040060493A KR20040060493A KR100663306B1 KR 100663306 B1 KR100663306 B1 KR 100663306B1 KR 1020040060493 A KR1020040060493 A KR 1020040060493A KR 20040060493 A KR20040060493 A KR 20040060493A KR 100663306 B1 KR100663306 B1 KR 10066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ight
tank
light emitting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075A (ko
Inventor
니토히데유키
슈오키요유키
마쯔노토모히코
스즈키하지메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6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의 오염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엌세제수용부(19B)를 하부 문(6)의 좌측의 위치에 배치하고, 부엌세제수용부(19B)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저수부(15)의 우단부에 대응하도록 한다. 저수부(15)내에 순환구를 형성하고, 이 순환구에 세정 및 배수 펌프의 흡입구를 접속한다. 부엌 세제 수용부(19B)에 부엌세제를 수용한 상태로 하부 문(6)을 닫으면, 부엌세제수용부(19B)에 수용된 부엌세제가 저수부(15)내로 낙하한다.
즉, 세정 탱크(3)내로 공급된 부엌세제를 보다 양호하게 교반할 수 있으므로, 세정 탱크(3)내에 발생하는 거품이 검품 검지센서에 도달할 때 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거품 검지 센서가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여 있다고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과, 식기의 오염상태와의 관계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거품 검지, 정밀도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NNER SET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정면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식기 세척기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직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우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상부 문 및 하부 문을 떼어낸 상태에서 식기세척기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식기세척기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수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세정 탱크를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이 식기세척기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전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는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부엌 세제코스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센서 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기 세척기 3 : 세정 탱크
3B : 저면 15 : 저수부
19B: 부엌 세제 수용부 20 : 세정 겸 배수 펌프
26 : 회전 노즐 암 29 : 고정 노즐 암
35 : 천정 노즐 39 : 히터
76 : 거품 검지 센서 76A: 발광부
76B: 수광부 76C: 발광면
76D: 수광면 81 : 제어부
본 발명은, 세정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식기세척기는, 세정탱크 내에 모아진 물에 전용세제를 혼합하여 세정수를 생성하고, 이 세정수를 식기로 분사하여 식기를 세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참조) 세정 탱크 내에는 복수의 노즐이 배치되어 있고, 세정 탱크내에 모인 세정수는, 세정 펌프에 의하여 흡입되어 복수 노즐로부터 식기로 분사된 다. 그리고, 분사된 세정수는 세정 탱크 내에 모아지고, 다시 복수의 노즐로부터 식기로 분사된다.
식기 세척기에서는, 복수의 노즐로부터 뜨겁고 좋은 세정수를 분사시킴과 동시에, 세정 탱크 내에서 세정수를 상기와 같이 순환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식기를 손으로 세척하는 경우보다도 세제가 거품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식기를 한번 손으로 세척한 후에 식기세척기에서 세척하는 경우와 같이, 식기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적은 경우에는, 세제가 또한 거품이 일어나기 쉽고, 세정 탱크 내에 많은 거품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세정 탱크내에서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하면, 세정 성능이 저하되거나, 세척기 밖으로 거품이 누설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전용 세제는 손 세탁시에 사용하는 일반의 부엌세제보다도 거품 발생이 적어지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많을수록 세정 탱크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량은 적고, 식기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적을수록 세정 탱크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량은 많다. 그러므로, 세정 탱크 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량에 기초하여, 식기의 오염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식기 세척기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광센서(거품검지센서)를 이용하여, 이 거품 검지 센서가 세정 탱크내의 거품을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식기의 오염상태를 검지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특허문헌1]
특개평8-140919호 공보
전용세제를 특별히 사용하는 것은 번거롭고, 부엌세제를 사용하여 식기의 세척을 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부엌세제는 전용세제보다도 거품이 일어나기 쉬워서, 부엌세제를 이용하여 식기의 세정을 행하는 경우, 세정 탱크 내에 발생하는 거품을 거품 검지센서에서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짧다. 그러므로, 거품검지센서가 세정 탱크내의 거품을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과, 식기의 오염상태와의 관계를 정확히 하지 않으면, 식기의 오염상태를 양호하게 검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식기의 오염 상태를 양호하게 검지하기 위해서는, 거품 검지 센서에 의한 거품 검지의 정밀도가 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서, 식기의 오염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품 검지의 정밀도가 보다 향상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부엌세제를 이용하여 식기의 세척을 하는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세정수가 모아지는 세정 탱크(3)와, 상기 세정탱크 내에 모아진 세정수를 퍼 올려서, 상기 세정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로 분사하는 세정 수단(20,26,29,35)과, 상기 세정 탱크 내에 발생하는 거품이 도달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탱크 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거품 검지 센서(76)와, 상기 세정 탱크의 저부에 형성되고, 상기 세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세정 탱크 내에 모아진 세정수를 퍼올리는 순환구(22)와, 부엌 세제를 식기의 세정에 사용하는 경우에 부엌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 수용부(19B)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수용부에 투입된 부엌 세제는, 상기 순환구의 근방으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이다.
그리고, 괄호내의 영숫자는, 후술의 실시예에 있는 대응구성요소 등을 표시한다. 이하, 이 항에 있어서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세제수용부로부터 세정탱크내로 부엌 세제가 낙하한 후에 세정 탱크내의 세정수가 퍼올려지는 경우, 부엌 세제가 순환구로부터 양호하게 순환된다. 그러므로, 세정 탱크 내에 공급된 부엌세제를 보다 양호하게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세정 탱크내에 발생하는 거품이 거품 검지 센서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거품 검지 센서가 세정 탱크 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여 있는 것을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과, 식기의 오염 상태와의 관계를 보다 정확히 하는 것이 가능하여 지므로, 식기의 오염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탱크(3)의 저면(3B)에 형성된 저수 오목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구(22)는, 상기 저수 오목부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 수용부(19B)에 투입된 부엌 세제는, 상기 저수 오목부내로 낙하되도록 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발광소자(76A)와,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하고,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여 출력을 도출하는 수광수단(76B)과,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1)을 구비하고,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거품검지수단(76,76A,76B,81)과, 상기 거품 검지수단의 검지 정도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정하는 조정수단(81,E6)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발광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수광수단의 수광출력이 포화하는 한계점 근방의 전압에, 소정의 부가 전압을 가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제어수단의 발광소자로의 인가 전압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1)이다.
발광 소자로의 인가 전압에 대응하는 수광 수단의 수광 출력이 포화하는 임계점 근방의 전압에서 발광소자를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세정 탱크내의 증기가 발광소자와 수광수단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와, 세정 탱크내의 거품이 발광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수광수단의 수광전압의 변화차이가 많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거품 발생 상태를 확실히 검지할 수가 없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광소자로의 인가 전압에 대응하여 수광수단의 수광출력이 포화하는 임계점 근방의 전압에서, 소정의 부가 전압을 가해줌으로써, 세정 탱크내의 증기가 발광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와, 세정 탱크내의 거품이 발광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수광수단의 수광전압의 변화에 비교적으로 크게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거품의 발생상태를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고, 거품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것에 의하여, 세정 탱크내의 증기가 발광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세정 탱크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고 있다고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정 탱크(3)내에 수용된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수단(39)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타이밍은, 상기 건조수단에 의하여 상기 세정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처리(S4,T5)가 행하여 진 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건조 행정종료 후에, 세정 탱크내의 습기, 발광소자 및 수광수단에 부착된 오염물질, 건조 행정보다도 전에 발생한 외란(예를 들면, 운전 개시전에 사용자가 세정 탱크내에 물을 공급한 경우) 등의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발광소자로의 인가전압이 조정되므로, 보다 정확히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품 검지의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제어수단(81)은, 상기 발광소자(76A)로의 인가 전압을 듀티 제어에 의하여 증감시키는 것도 좋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발광 소자(76A)와, 상기 발광소자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설치되고,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여 출력을 도출하는 수광수단(76B)과,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81)을 구비하고, 세정 탱크(3) 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거품 검지 수단(76,76A,76B,81)을 포함하고, 상기 거품 검지수단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면(76C) 또는 상기 수광수단의 수광면(76D)에 대응하여, 빛을 감량하는 가공(예를 들면, 소위 시보가공과 같은 화학 조각법)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 척기(1)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광소자의 발광면 또는 수광수단의 수광면에 대하여 빛을 감량하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세정 탱크내의 증기가 발광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와 세정탱크내의 거품이 발광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한 경우에, 수광수단의 수광전압의 변화에 비교적으로 큰 차이를 출력할 수 있음으로써, 거품의 발생상태만을 확실하게 검지할수 있고, 거품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것에 의하여, 세정 탱크내의 증기가 발광 소자와 수광수단과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세정 탱크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고 있다고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를 정면측으로부터 경사지게 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식기세척기(1)는, 이 외형이 약 직육면체형상의 광주리 형체(2)로 되어 있다. 광주리 형체(2)는, 좌우 방향의 길이(폭)에 비하여 전후방향의 길이(안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광주리 형체(2)의 내부에는, 세척할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세정 탱크(3)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세정 탱크(3)의 전면에는 개구(4)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개구(4)는, 광주리 형체(2)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된 2개의 문짝(상부 문(5) 및 하부 문(6))에 의하여 덮히도록 되어 있다. 상부 문(5)에 의하여 개구(4) 의 상반부를 덮을 수 있고, 하부 문(6)에 의하여 개구의 하반부를 덮을 수 있다. 상부 문(5)은 앞쪽 상방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반하여, 하부 문(6)은 앞쪽 하방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상부 문(5) 및 하부 문(6)을 닫은 상태에서는, 개구(4)가 덮혀지고, 세정탱크(3)가 수밀 상태로 닫혀진다.
하부 문(6)의 상단부에는, 그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이 하부 문(6)을 열 경우에 사용자가 잡기 위한 파지부(7)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7)를 쥐고, 앞쪽으로 당겨서, 하부 문(6)을 앞쪽 하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부 문(5)은 하부 문(6)에 연동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어, 하부 문(6)이 앞쪽 하방으로 회동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상부 문(5)이 앞쪽 상방으로 회동되고, 개구(4)가 크게 개방된다.
광주리 몸체(2)의 전면하부에는, 이 식기세척기(1)에 있는 운전내용(운전 코스 등)을 설정하거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조작 표시 패널(8)이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식기 세척기(1)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직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우측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부 문(5) 및 하부 문(6)을 떼어낸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를 전방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그러나, 도 3에는, 식기세척기(1)의 하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 및 도3을 참조하면, 세정 탱크(3)내에는 세척할 식기를 보관하기 위한 2개의 식기 바구니(위 바구니(9A) 및 아래 바구니(9B))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위 바구니(9A) 및 아래 바구니(9B)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부 문(5) 및 하부 문(6)을 개방한 상태에서 개구(4)를 통하여 앞측으로 인출되어, 식기의 출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래 바구니(9B)의 우측 부분(우단으로부터 3분의 1 정도의 범위)은, 중간크기의 그릇과 큰 그릇 등의 비교적 큰 그릇을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큰 그릇 수용부(10)로 되어 있다. 또한, 아래 바구니(9B)의 중앙부로부터 좌측 부분(좌단으로부터 3분의 2정도의 범위)은, 차 주발, 즙 주발 및 밑이 깊고 두꺼운 사발 등의 그릇을, 횡으로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주발 수용부(11)로 되어 있다.
위 바구니(9A)의 우측 부분(우단으로부터 3분의 1정도의 범위)은, 작은 주발을 수용하기 위한 작은 주발 수용부(12)로 되어 있다. 또한, 위 바구니(9A)의 중앙부로부터 좌측 부분(좌단으로부터 3분의 2정도의 범위)은, 컵과 탕그릇 등을 수용하기 위한 컵 수용부(13)로 되어 있다. 작은 주발 수용부(12)에는, 전후 2열로 각각 2개씩(합 4개)의 작은 주발을 좌우로 나열하여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컵 수용부(13)에는, 전후 3열로 각각 4개씩(합 12개)의 컵을 좌우로 나열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은 주발 수용부(12)에 수용된 작은 주발, 및 컵 수용부(13)에 수용된 컵과 탕 그릇 등은, 각각 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세팅된다.
큰 그릇 수용부(10)에 수용되는 큰 그릇 등은, 주발수용부(11)에 수용되는 차 주발 등 보다도 상하 방향의 수용 공간이 더 요구되는 한편, 작은 주발 수용부에 수용되는 작은 주발은, 컵 수용부(13)에 수용되는 컵 등보다도 상하 방향의 수용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작은 주발 수용부(12) 를 큰 그릇 수용부(10)의 상방으로 배치하고, 컵 수용부(13)를 주발 수용부(11)의 상방으로 배치하도록 구성하고, 또한, 컵 수용부(13)를 작은 주발 수용부(12)보다도 1단 아래로 형성하여, 위 바구니(9A) 및 아래 바구니(9B)에 효율 좋게 식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위 바구니(9A) 및 아래 바구니(9B)의 주변 가장자리부 등의 빈 공간에는, 작은 주발을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세정 탱크(3)의 좌우 내측면(3A)의 상부에는, 위 바구니(9A)의 좌우 측 가장자리부와 결합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2쌍의 레일(14)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공간을 비우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도2에는, 각 쌍의 좌측 레일(14)만이 보여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로 나란한 2쌍의 레일(14)의 어느 한 쪽에 위 바구니(9A)의 좌우 측면 가장자리부를 결합시켜서, 위 바구니(9A)의 높이를 2단계로 변환할 수 있다. 위 바구니(9A)의 좌우측 가장자리부를 상측의 레일(14)에 결합시키고, 위 바구니(9A)를 높은 쪽의 위치로 지지하면, 큰 그릇 수용부(10)의 상방으로 비교적 큰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특히 큰 그릇에 있어서, 큰 그릇 수용부(10)에 양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4는, 식기세척기(1)를 전후 방향을 따라서 수평면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을 상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에 있어서, 하부 문(6)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세정 탱크(3)의 저면(3B)의 앞측 좌측부분에는, 세정수를 모아 놓는 저수부(15)가, 한계단 낮게 형성되어 있다. 세정 탱크(3)내에는, 예를 들어, 세척기 외의 급수 설비와 급탕 설비로부터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 도록 되어 있고,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수돗물은, 저수부(15)를 포함하는 세정 탱크(3)의 하부에 모아지도록 되어 있다. 급수 설비로부터 세정 탱크(3)내로의 수돗물의 공급, 및 급탕설비로부터 세정탱크(3)으로의 수돗물(뜨거운물)의 공급은, 급수 밸브(84)(도 6참조)의 개폐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급탕 설비로부터 급수 밸브(84)를 통하여 세정탱크(3)내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조작 표시 패널(8)의 조작에 의하여 이 수치의 설정을 행한다. 식기의 세척에 사용하는 세정수는, 세정 탱크(3)내에 세제가 투입되고, 이 세제가 제정 탱크(3)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됨으로써 생성된다.
세정탱크(3)내에 모아진 세정수(또는 수돗물)의 수위는, 세정 탱크(3)의 후방하부에 배치된 수위 센서(16)(압력센서)에 의하여 검지된다. 저수부(15)에는 에어 드롭기(17)가 연통되어 있고, 이 에어 드롭기(17)와 수위 센서(16)가 에어 호스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정탱크(3)내의 수위의 변화에 대응하여 에어 드롭기(17)내의 공기의 압력이 변화하므로, 이 에어 드롭기(17)내의 공기의 압력변화를 수위 센서(16)에서 검지함으로써, 세정 탱크(3)내에 모아진 세정수의 수위를 검지할 수 있다.
하부 문(6)의 내면(닫힌 상태에서 세정탱크(3)측으로 되는 면)에는, 이것의 대략 중앙부에 전용 세제(통상은 분말)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전용세제 수용부(19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용 세제 수용부(19A) 좌측에 부엌 세제(통상은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부엌 세제 수용부19B)가 형성되어 있다.(도 4참조) 이 식기 세척기(1)에는, 전용 세제 수용부(19A)에 전용 세제를 수용하고, 이 전용세제를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시켜 식기의 세정을 행하는 코스(전용세제 코스)와, 부엌 세제수용부(19B)에 부엌 세제를 수용하고, 이 부엌세제를 세정탱크(3)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시켜 식기의 세척을 행하는 코스(부엌세제 코스)등의 각종 운전 코스를 실행할 수 있다.
전용 세제 수용부(19A) 및 부엌 세제 수용부(19B)는,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용세제 수용부(19A)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부엌 세제 수용부(19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문(6)을 연 상태에서는, 전용 세제 수용부(19A) 및 부엌 세제 수용부(19B)의 개구는 각각 위를 향한 상태로 되어 있어, 전용 세제 및 부엌세제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용 세제 수용부(19A)에 전용세제를 수용한 후, 또는 부엌 세제수용부(19B)에 부엌 세제를 수용한 후, 하부 문(6)을 닫으면, 전용 세제 수용부(19A)에 수용되어 있는 전용세제 또는 부엌세제 수용부(19B)에 수용되어 있는 부엌 세제가 세정 탱크 내로 낙하하고, 세정 탱크내에 공급된 수돗물과 혼합된다.
부엌 세제 코스에서 식기의 세척을 행하는 경우, 사용하는 부엌 세제의 양은, 5㎖정도가 바람직하다. 부엌 세제에는, 중성, 약 알카리성 및 약 산성의 것이 있으나, 세제량을 5㎖정도로 하면, 어느 종류의 부엌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식기를 충분히 세척할 수 있다.
세정 탱크(3)의 하방(저수부(15)의 후방)에는, 식기의 세척시에 세정탱크(3)내의 세정수를 순환시키고, 세정 탱크(3)내의 세정수를 배수시키는 세정 겸 배수 펌프(20)가 배치되어 있다. 도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세정 겸 배수펌프(20)는, 이 내부가 세정 펌프실과 배수 펌프실로 구분되어 있고, 세정 펌프실 및 배수 펌프실에는, 각각 펌프 모터(83)(도 6참조)에 의하여 회전 구동가능한 세정용 임펠라 및 배수용 임펠라가 구비되어 있다.
세정 펌프실의 흡입구(21)는, 저수부(15)의 후벽에 형성된 순환구(22)에 접속되어 있고, 세정 펌프 실의 토출구(23)는, 세정 탱크(3)의 하방에 좌우 방향을 따라서 연설된 통수로(24)에 접속되어 있다. 이 통수로(24)는, 후술할 회전 노즐암 및 고정 노즐 암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모터(83)가 정회전 하면, 세정 펌프실내의 세정용 인펠라의 회전에 의하여, 저수부(15)로부터 순환구(22)를 통하여 세정 펌프실 내로 세정수가 흡입되고, 이 세정수가 토출구(23)로부터 통수로(24)로 보내져서 나온다. 통수로(24)를 통하여 압송된 세정수는, 회전 노즐암 및 고정 노즐암으로부터 세정 탱크(3)내의 식기를 향하여 분사된다. 회전 노즐 암 및 고정 암으로부터 분사된 세정수는, 다시 세정 탱크(3)의 하부에 모아지고, 저수부(15)로부터 순환구(22)를 통하여 세정 겸 배수펌프(20)(세정펌프실)에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저수부(15)에 모아진 세정수는, 식기 세척기(1)내에서 순환되고, 식기의 세정에 사용된다.
그리고, 배수 펌프실의 흡입구는 저수부(15)의 좌측 벽에 형성된 배수구(25)에 접속되어 있고, 배수 펌프실의 토출구는 세척기외에 연통하는 배수로(미도시)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 모터(83)가 회전되면, 배수 펌프실내의 배수용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저수부로부터 배수구(25)를 통하여 배수펌프실내로 세정수가 흡입되며, 이 세정수가 배수로를 통하여 세척기 밖으로 배출된다.
세정 탱크(3)의 저부에는, 아래 바구니(9B)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2개의 회전 노즐(26)이,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2개의 회전 노즐 암(26)은, 각각 대략 타원형상의 긴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공통의 노즐베이스(27)에 의하여, 각각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노즐 베이스(27)는, 통수로(24)에 연통되어 있다.
각 회전 노즐암(26)의 상면에는, 복수(예를 들어, 6개)의 노즐(28)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 겸 배수 펌프(20)로부터 통수로(24) 및 노즐베이스(27)를 통하여 각 회전 노즐 암(26)에 보내진 세정수는, 각 회전 노즐암(26)의 노즐(28)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분사된다. 각 회전 노즐 암(26)의 노즐(28)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되는 경우, 각 회전 노즐 암(26)에 대응하여 반력이 발생하고, 이 반력에 의하여, 각 회전 노즐암(26)은 노즐(28)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면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회전 노즐 암(26)의 상방으로 위치하는 식기에 골고루 세정수를 분사하여, 양호하게 세정을 행할 수 있다.
세정 탱크(3)의 후면(3c)(내면)에는, 위 바구니(9A)와 아래 바구니(9B)의 사이로부터 세정수를 분사하는 고정 노즐 암(29)이 배치되어 있다. 고정 노즐암(29)은, 이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도중으로부터 제1암(30)과 제2암(31)으로 분기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노즐 암(29)은, 이 하단이 통수관(24)에 연통되어 있다.
제1암(30)은, 위 바구니(9A)의 컵 수용부(13)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에서 좌 측으로 분기되며, 후면(3C)의 좌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암(30)에는, 컵 수용부(13)의 최후열(3열목)에 수용된 컵으로 향하여 상방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32)이, 컵 수용부(13)의 최후열에 수용가능한 컵의 수와 동일수(4개)로 구비되어 있다. 각 노즐(32)은, 컵 수용부(13)의 최후열에 소용된 4개의 컵에 대응하여 부착되어 있고, 대응하는 컵 내에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제2암(31)은, 제1암(30)의 분기위치보다도 더 상방까지 연장된 후, 작은 주발 수용부(12)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에서 우측 방향으로 굴곡되고, 후면(3C)의 우단 근방까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암(31)에는, 작은 주발 수용부(12)에 수용된 작은 주발로 향하여 상방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노즐(3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암(31)에는, 큰 그릇수용부(10)에 수용된 큰 그릇을 향하여 하방으로 세정수를 분사하는 인펠러형의 노즐(34)이 복수(예를 들어, 2개)로 구비되어 있다. 이 인펠러형의 노즐(34)에는, 세정수의 분사에 반하여 인펠러가 회전하고, 광범위하게 세정수를 거두어 흩트릴 수 있다. 이 인펠러형의 노즐(34)에 의하여, 우측의 회전 노즐암(26)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닿기 힘든 큰 그릇의 상부분에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세정 탱크(3)의 천정면(3D)(내면)에는, 컵 수용부(13)의 중앙부의 대략 바로 위의 위치에, 하방으로 향하여 세정수를 분사하는 천정 노즐(3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천정노즐(35)은, 송수관36)을 통하여 세정 겸 배수펌프(20)의 세정펌프실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펌프 모터(83)가 정회전하여 세정펌프실내의 세정용 인펠 러가 회전하면, 저수부(15)로부터 순환구(22)를 통하여 세정펌프실에 흡입된 세정수가, 송수관(36)을 통하여 천정 노즐(35)로 보내지고, 천정 노즐(35)로부터 하방으로 분사된다. 천정 노즐(35)로부터의 세정수는, 좌우 방향으로 발산되고, 이 천정 노즐(35)의 바로 아래에 가까운 위치와, 천정 노즐(35)보다 후방측의 위치로 분사된다. 이것에 의하여, 컵 수용부(13)의 2열 및 3열에 수용된 컵의 외면을 양호하게 세척할 수 있다.(도 2참조)
저수부(15)의 상부 가장자리부에는, 그물 형상의 잔채(殘菜)필터(37)가 착탈가능하게 배치되고, 세정시에 식기로부터 분리된 잔채는, 이 잔채 필터(37)에 의하여 보호되고, 저수부(15)로의 유입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잔채 필터(37)의 전단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파지부(38)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이 파지부를 쥐고 잔채 필터(37)의 착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식기세척기(1)는, 세정후의 식기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세정탱크(3)의 저면(3B)의 전측 중앙부로부터 우측 부분(저수부(15)의 우측)에는, 세정시에 세정 탱크(3)내에 모인 세정수를 따뜻하게 하고, 건조시에 세정탱크(3)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지붕 형상의 히터(39)가 배치되어 있다. 히터(39)의 상방에는,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 금속제의 히터커버(4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광주리 몸체(2)의 전면의 좌우 양단 가장자리부(세정탱크(3)보다도 외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음용 실(SEAL)(41)이 부착되어 있다.(도 3참조) 이 방음용 실(41)의 작용에 의하여, 이 식기세척기(1)의 운전시에 기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세정 탱크(3)를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에 있어서, 바람 유로부재(69)의 내부가 보여지도록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세정 탱크(3)의 좌측벽에는, 송풍 장치(미도시)로부터 세정탱크(3)내에 세척기 외의 공기를 보내 흡입하는 경우의 바람 유로를 구성하는 바람 유로 부재(69)가 외측으로부터 부착되어 있다. 바람 유로 부재(69)는, 중공 형상의 부재에 있어서, 세정 탱크(3)의 우측 방향의 중앙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근원부(70)와, 근원부(70)의 상단으로부터 후측 경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부(71)와, 제1경사부(7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대략 U 자형상으로 만곡되어 하방을 향하는 만곡부(72)와, 만곡부(72)의 하단으로부터 바로 앞 쪽으로 경사진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부(73)와, 제2경사부(73)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세정 탱크(3)의 우측벽의 전방하부에 형성된 송풍구(75)에 접속된 종단부(74)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 유로 부재(69)의 근원부(70)의 하단은 송풍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송풍 장치에 구비된 블로워 모터(85)(도6참조)가 구동됨에 의하여, 세척기의 바깥의 공기가 바람유로 부재(69)내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송풍 장치에 의하여 세척기내로 흡입된 세척기 바깥의 공기는, 바람 유로 부재(69)를 통하여 송풍구(75)로부터 세정 탱크(3)내로 보내져서 흡입된다. 송풍구(75)는 히터(39)의 약간 상방에 위치하며, 송풍구(75)로부터 세정 탱크(3)내의 저부로 보내져서 흡입된 공기는,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다.
바람 유로 부재(69)의 종단부(74)내에는, 세정 탱크(3)내에 발생한 거품을 검지하는 검지센서(76)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검지 센서(76)는, 예를 들어 광센서에 있어서, 종단부(74)의 후면에 부착되고, 발광면(76C)로부터 전방(약간 전방 아래측 방향)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발광소자)(76A)와, 발광부(76A)에 대향하도록 종단부(74)의 전면에 부착되며, 발광부(76A)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광면(76D)으로 수광하는 수광부(수광소자)(76B)를 구비하고 있다. 거품 검지 센서(76)로부터는 수광부(76B)에 있어서 수광량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송풍구(75)는, 세정 탱크(3)내에 급수를 행하는 경우의 규정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세정 탱크(3)내에서 거품이 대량으로 생성한 경우, 이 거품이 송풍구(75)를 통하여 바람 유로 부재(69)내(종단부(74)내)에 흡입된다. 그래서, 바람 유로부재(69)내에 흡입된 거품이, 수광부(76A)로부터 조사된 빛의 광축 까지 도달한 경우에는, 수광부(76B)에서 수광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수광부(76B)에 있어서 수광량이 감소하면, 거품 검지 센서(76)로부터의 출력전압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거품 검지 센서(76)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소정의 문턱수치 TH 이하로 되는지 여부에 의하여, 세정 탱크(3)내에 있어서 거품의 발생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많을수록 세정 탱크(3)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량이 작고, 식기에 부착된 오염물질이 적을수록 세정 탱크(3)내에 발생하는 거품의 량은 많다. 그러므로, 거품 검지 센서(76)가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여 있다고 검지될 때까지의 시간에 기초하여, 식기의 오염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거품 검지 센서(76)가 배치되어 있는 바람 유로부재(69)는 세정탱크(3)내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바람 유로 부재(69)내에는, 세정 탱크(3)내에서 발생하는 거품 외, 세정 탱크(3)내에 모아진 물을 히터(39)로 가열된 경우와 급수 밸브(84)를 개방하여 급탕 설비로부터 세정 탱크(3)내로 뜨거운 물을 공급하는 경우 등에 발생하는 증기가 진입하는 경우도 있다.
세정 탱크(3)내의 증기가 거품검지센서(76)(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도달한 경우도, 거품이 도달한 경우와 동일하게 거품 검지 센서(76)로부터의 출력전압이 감소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이 없는 상태(정상상태)에 있는 수광부(76B)로부터의 출력전압을 5V로 하는 경우,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증기를 개재한 상태에서는 출력전압이 3V로 되고,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와의 사이에 거품이 개재된 상태에서는 출력전압이 1.7V이하로 되도록, 발광부(76A)에 전압이 인가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개재하는 것의 적당한 전압을 수광부(76A)에 인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품의 발생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검지할수 있고, 거품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것에 의하여, 세정 탱크(3)내의 증기가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도달한 경우에,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한다고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부(76A)의 발광면(76C) 및 수광부(76B)의 수광면(76D) 중의 적어도 일방에는, 빛을 감량하는 가공이 실행되어 있는 것도 좋다. 빛을 감량하는 가공으로서 는, 소위 시보 가공과 같은 화학 조각법을 이용하여 발광면(76C) 및 수광면(76D) 중의 적어도 일방을 흐리게 하도록 하는 처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면(76C) 및 수광면(76D) 중의 적어도 일방에 빛을 감량하는 가공을 실시하면, 세정 탱크(3)내의 증기가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와 세정 탱크(3)내의 거품이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에서, 수광부(76B)의 출력전압의 변화에 비교적 큰 차이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거품의 발생상태만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어, 거품 검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이에 의하여, 세정 탱크(3)내의 증기가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도달한 경우에,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고 있다고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 유로 부재(69)의 만곡부(72)의 제2경사부(73)측의 단부에는, 배수로로부터 분기된 분기 호스(77)의 선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배수 시에는, 세정 겸 배수펌프(20)의 배수 펌프실로부터 배출된 세정수의 일부가, 분기 호스(77)를 통하여 바람 유로 부재(69)내에 도입되고, 만곡부(72)로부터 제2경사부(73)로 향하여 낙하된다. 바람 유로 부재(69)의 제2경사부(73)내에는, 이 제2경사부(73)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리브(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리브(78)는, 제2경사부(73)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있고, 분기 호스(77)로부터 제2경사부(73)내로 낙하한 세정수는, 제1리브(78)를 따라서 하방으로 도입된다.
제2경사부(73)의 하단부에는, 대략 역 V 자형상의 제2리브(79)가, 제1리브(78)의 하단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띠고 배치되어 있다. 제1리브(78)를 따라서 하방으로 도입되는 세정수는, 제2리브(79)의 정상부로 낙하되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제2리브(79)상에 낙하한 세정수는, 전방 및 후방으로 분사되도록 된다. 제2리브(79)의 후단 및 전단은, 각각 거품 검지 센서(76)의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의 근방에 위치하여 있고, 제2리브(79)위를 흐르는 세정수는,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로 지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배수시에, 바람 유로 부재(69)내에 공급된 세정수에 의하여,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에 부착된 거품 등의 오염을 세정하여 흐르게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부엌 세제수용부(19B)가 하부 문의 좌측 위치에 있고, 부엌세제수용부(19B)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저수부(15)의 우단부에 대응하여 있으므로(도 4참조), 부엌세제수용부(19B)에 부엌세제를 수용한 상태로 하부 문(6)을 닫으면, 부엌세제수용부(19B)에 수용되어 있는 부엌세제가 저수부(15)내로 낙하되도록 되어 잇다. 그러므로, 이 후에, 세정 탱크(3)내에 수돗물이 급수되고, 세정 겸 배수 펌프(20)가 구동되어 세정 탱크(3)내의 세정수가 순환된 경우에, 부엌세제가 순환구(22)로부터 양호하게 순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부엌세제를 보다 양호하게 교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세정 탱크(3)내에 발생하는 거품이 거품 검지 센서(76)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거품 검지 센서(76)가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면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과, 식기의 오염상태와의 관계를 보다 정확히 할 수 있으므로, 식기의 오염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다만, 부엌 세제 수용부(19B)는,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저수부(15)의 우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저수부(15)의 좌우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범위 내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부엌세제수용부(19B)에 부엌세제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부 문을 닫으면, 부엌세제수용부(19B)에 수용되어 있는 부엌세제가 저수부(15)내로 낙하한다.
도 6은, 이 식기세척기(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식기세척기(1)의 동작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부(81)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부(81)에는, 조작표시패널(8)이 입력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한편, 수위센서(16) 및 거품 검지 센서(76)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세정 탱크(3)의 저부(예를 들면, 히터(39)의 하방)에,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세정수(또는 수돗물)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8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82)는 써미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어부(81)에는 온도 센서(82)로부터의 신호도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81)에는, 펌프 모터(83), 급수 밸브(84), 히터(39) 및 플로우 모터(85)가, 부하구동부(8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온도 센서(8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히터(39)의 구동을 제어함에 의하여,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세정수(또는 수돗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전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 제어부(81)에 의하여 제어되는 흐름을 도 시한 흐름도에 있어서, 급탕 설비로부터 세정 탱크(3)내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용 세제 코스에서는, 제어부(81)는, 먼저, 급수 밸브(84)를 일정 시간만 열어서 세정 탱크(3)내로 수돗물(뜨거운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펌프 모터(83)를 반전시켜 세정 탱크(3)내(저수부(15)내)의 수돗물을 세척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준비행정을 행한다. (스탭 S1)
이 식기 세척기(1)는, 세척기 외의 급탕 설비로부터 세정 탱크(3)내에 뜨거운 물을 공급하고, 이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뜨거운 물과 전용 세제를 혼합시켜 세정수를 생성하며, 이 세정수를 식기에 분사함으로써 살균 세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고온 세정). 고온 세정을 행하는 경우, 급탕 설비로부터 세정 탱크(3)내로 급탕을 개시한 때에는 상온의 수돗물이 공급되고, 서서히 수돗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므로, 준비 행정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급탕 개시시에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상온의 수돗물을 배수할 수 있으므로,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뜨거운 물을 충분히 고온으로 할 수 있다.
준비 행정이 종료하면, 제어부(81)는, 급수 밸브(84)를 일정시간만 개방하고, 세정 탱크(3)내에 수돗물을 공급한 후, 세정 겸 배수 펌프(20)를 정 운전 시켜서,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세정수를 식기로 분사하여 세정 공정을 실행하고(스탭 S2), 이 후에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스탭 S3). 헹굼 공정에서는, 세정 겸 배수펌프(20)를 반전시켜, 세정탱크(3)내의 세정수(또는 수돗물)를 일단 배수한 후, 급수 밸브(84)를 개방하여 세정 탱크(3)내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세정 겸 배수 펌프(20)를 정회전 시켜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수돗물을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는 행정을 3회(제1헹굼, 제2헹굼 및 제3헹굼) 반복 조작한 후, 히터(39)를 구동시켜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수돗물을 가열하고, 이 가열된 수돗물을 식기로 분사하는 행정(가열 헹굼 행정)을 행한다.
헹굼 행정이 종료되면, 제어부(81)는, 플로우 모터(85)를 구동시켜 세정 탱크(3)내로 세척기 바깥의 공기를 보내 흡입함과 동시에, 히터(39)에 의하여 세정 탱크(3)내의 공기를 가열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을 실행한다.(스탭 S4)
도 8은, 부엌 세제코스에 있어서, 제어부(81)에 의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부엌세제코스에서는, 제어부(81)는, 먼저, 급수 밸브(84)를 일정시간 만을 개방하고, 세정 탱크(3)내에 수돗물을 공급하고, 이 공급된 수돗물과 부엌세제를 혼합시켜 세정수를 생성한 후, 세정 탱크(3)내로 모이는 세정수를 식기를 향하여 분사하고 일정시간 만을 방치하는 행정을 복수 조작 반복하여 두는 행정을 실행한다(스탭 T1). 부엌 세제 코스에서는, 세척행정의 전에 담가두는 공정을 실행함에 의하여, 세정 탱크(3)내에 거품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엌 세제 코스에서는, 전용 세제코스와 같이 준비행정을 행하지 아니하고, 담가 두는 행정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부엌세제는, 전용세제와는 상이하게, 고온의 수돗물과 혼합되어 세정수를 생성한 경우에 세정성능이 저하된 다. 부엌세제코스에서는 준비행정을 행하지 아니하는 구성에 의하여, 고온 세정을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세정 탱크(3)내에 모이는 뜨거운 물의 온도를 비교적 저감 시킬 수 있으므로, 세정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부엌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를 세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다 양호하게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부엌 세제는 전용 세제와 상이하게 액체로 되어 있어서, 전용세제 코스와 같이 준비행정을 실행하면,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부엌세제가 준비행정 중에 흘러서 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염려가 있으나, 준비 행정을 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세정 탱크(3)내에 공급된 부엌 세제가 흘러서 세척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담가 두기 행정이 종료하면, 제어부(81)는, 세정 겸 배수펌프(20)를 정회전 시켜서, 세정 탱크(3)내에 모인 세정수를 식기로 분사한 후, 세정 탱크(3)내의 세정수를 일단 배수하는 세정 공정을 실행한다(스탭 T2). 이 세정 공정은, 전용세제 코스에 있는 세정공정(도7에 있는 스탭 S2)에 상당하다. 세정 공정이 종료하면, 제어부(81)는, 헹굼 행정을 실행한 후(스탭 T3), 건조 행정을 실행한다(스탭 T4). 헹굼 행정 및 건조행정에 있어서 제어부(81)의 제어 내용은, 전용 세제 코스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 세정 행정 및 헹굼 행정의 사이(도7에 있어서 스탭 S2,S3), 또는 부엌세제 코스에 있어서의 담가두기 행정, 세정 행정 및 헹굼행정의 사이(도 8에 있어서의 스탭 T1~T4), 제어부(18)는, 소위 PWM(Plus Width Modulation:펄스폭 변조)제어에 의하여 거품검지센서(76)의 발광부(76A)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거품 검지를 행한다. 즉, 발광부(76A)는 구동회로(미도시)를 통하여 제어부(81)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81)가 소정의 듀티(duty)로서 구동회로를 PWM제어(온/오프제어)함으로써, 발광부(76A)에 그 듀티에 대응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된다.
그러나, 수광부(76B)로부터의 출력전압과 듀티와의 관계는 항상 일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흐트러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듀티에서 구동회로를 PWM제어하는 경우에도, 수광부(76B)로부터의 출력전압이 소망치(예를 들면, 5V)로 되지 않고,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와의 사이에 증기가 개재하는 경우 등에, 세정 탱크(3)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였다는 잘못된 검지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는, 건조행정(도7에 있어서 스탭 S4 또는 도 8에 있어서 스탭 T5)이 종료한 후에, 다음의 거품 검지 센서(76)에 의하여 거품검지 시에 있어서 발광부(76A)로의 인가 전압(듀티)을 조정하는 처리(센서 교정 처리)가 행하여 지도록 되어 있다.
도 9는, 센서 교정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81)에 의한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센서 교정 처리에서는, 먼저, 제어부(81)는, 소정의 듀티(예를 들면, 5/256)에서 발광부(76A)의 발광을 개시한다(스탭E1). 그 후, 제어부(81)는, 듀티가 232/256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탭E2), 듀티가 232/256이하이면(스탭E3에서 '아니오'), 0.1초 경과후(스탭 E3에서 '예')에 듀티를 5/256만 증가시키고, 발광부(76A)로의 인가전압을 증가시킨다(스탭 E4). 그래서, 듀티를 증가시키는 전후의 출력전압의 차가 3회연속하여 소정치(예를 들면, ±0.5V)이내이지 않으면(스탭 E5에서 '아니오'), 제어부(81)는, 스탭 E2로 되돌려서 다시 듀티가 232/256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탭 E2)
이와 같이 하여, 출력전압의 차가 3회 계속하여 소정치 이내로 될 때까지(스탭5에서 '예'로 될 때까지), 제어부(81)는, 0.1초간격으로 듀티를 5/256씩 증가시켜, 발광부(76A)로의 인가 전압을 점점 증가시킨다(스탭 E2~E4). 이 사이에, 듀티가 232/256 보다도 크게되는 경우에는(스탭 E2에서 '예'), 제어부(81)는, 거품 검지 센서(76)가 이상상태인 것으로 판정되고, 이 뜻의 보고를 한 후(스탭 E7), 센서교정처리를 종료한다.
출력전압의 차가 3회 연속하여 소정치 이내로 되는 경우(스탭 E5에서 '예'), 즉, 발광부(76A)로의 인가 전압의 증가에 대응하여 수광부(76B)의 출력전압이 포화된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81)는, 이 때의 듀티에 24/256을 가산한 수치를 다음회의 식기세정시에 있어서 거품 검지시의 듀티로 설정하고(스탭 E6), 센서 교정 처리를 종료한다.
발광부(76A)로의 인가전압에 대응하여 수광부(76B)의 출력전압이 포화하는 임계점 근방의 전압에서 발광부(76A)를 발광시키는 경우에는, 세정 탱크(3)내의 증기가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와의 사이에 도달한 경우와, 세정 탱크(3)내의 거품이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와의 사이에 도달한 경우에, 수광부 (76B)의 출력전압의 변화에 차이가 많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거품의 발생상태만을 확실히 검지 할 수가 없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발광부(76A)로의 인가전압의 증가에 대응하여 수광부(76B)의 출력전압이 포화하는 임계점 근방에 있어서 듀티에 대응하는 전압(기준전압)에, 소정의 크기(예를 들면, 24/256)의 듀티에 대응하는 전압(부가 전압)을 가한 전압을, 다음의 식기세척시에 있어서 발광부(76A)에 대응하는 인가 전압으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세정 탱크내의 증기가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의 사이에 도달하는 경우에, 수광부 (76B)의 출력 전압의 변화에 비교적 큰 차이를 출력할수 있으므로, 거품의 발생상태만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고, 거품 검지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이것에 의하여, 발광부(76A)와 수광부(76B)와의 사이에 증기가 개재하는 경우 등에 세정 탱크(3)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한다는 잘못된 검지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건조 행정 종료후에, 세정 탱크(3)내의 증기, 발광부(76A) 및 수광부(76B)에 부착된 오염물질, 건조 행정보다도 전에 발생한 외란(예를 들면, 운전개시 전에 사용자가 세정 탱크(3)내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등의 영향이 작은 상태에서 센서 교정 처리가 행하여지므로, 보다 정확하게 전압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거품 검지 센서(76)에 의한 거품 검지의 정도를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의 것에 기초하여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식기 바구니(9)에 수용된 식기를 향하여 세정수(또는 수돗물)을 분사하는 수단은, 회전 노즐암(26), 고정노즐암(29) 및 천정 노즐(35)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정 탱크(3)의 좌우측면에 구비된 노즐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의 오염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거품 검지의 정밀도가 보다 향상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Claims (4)

  1. 세정수가 모아지는 세정탱크와;
    상기 세정탱크내에 모아진 세정수를 퍼 올려서, 상기 세정탱크 내에 수용된 식기로 분사하는 세정 수단과;
    상기 세정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식기세척을 실행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 따른 식기 세척 중에, 상기 세정탱크 내에 발생된 거품이 도달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탱크 내에 소정량 이상의 거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거품 검지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거품검지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 따라 설정된 인가전압이 인가되어 발광하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에 대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하는 빛을 수광해서 출력을 도출하는 수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거품검지수단의 검지정도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조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거품검지 수단의 검지정도를,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에 증기가 게재하여도 상기 거품검지에 오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발광소자에의 인가전압을 상기 수광수단의 수광출력이 포화하는 임계점 근방의 전압으로 조정하고, 이 조정했던 전압에 소정의 부가전압을 가한 전압을 상기 발광소자에의 인가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광소자에의 인가 전압을 듀티 제어에 의하여 증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삭제
  4. 삭제
KR1020040060493A 2003-08-01 2004-07-30 식기 세척기 KR100663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5461A JP2005052178A (ja) 2003-08-01 2003-08-01 食器洗い機
JPJP-P-2003-00205461 2003-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075A KR20050016075A (ko) 2005-02-21
KR100663306B1 true KR100663306B1 (ko) 2007-01-02

Family

ID=3436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493A KR100663306B1 (ko) 2003-08-01 2004-07-3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052178A (ko)
KR (1) KR100663306B1 (ko)
CN (1) CN126223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1012B2 (ja) 2007-03-08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5360180B2 (ja) * 2011-10-12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6913854B2 (ja) * 2017-10-27 2021-08-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CN110200483A (zh) * 2018-08-10 2019-09-06 华帝股份有限公司 蒸汽发生装置、电蒸箱及其清洗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52178A (ja) 2005-03-03
KR20050016075A (ko) 2005-02-21
CN1262234C (zh) 2006-07-05
CN1579314A (zh) 200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305B1 (ko) 식기 세척기
KR100773645B1 (ko) 식기 세척기
KR100610139B1 (ko) 식기세척기
JP2011092316A (ja) 食器洗い機
KR20130033419A (ko) 식기 세척기
KR100663306B1 (ko) 식기 세척기
KR100607435B1 (ko) 식기 세척기
JP2005185664A (ja) 食器洗浄機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JP4538996B2 (ja) 食器洗い機
JP4206261B2 (ja) 食器洗浄機及びその洗剤供給方法
JPH10180212A (ja) 噴射式洗浄機
KR100610140B1 (ko) 식기세척기용 필터 및 식기세척기
KR100693518B1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JP3777505B2 (ja) 食器洗浄機
JP2005329068A (ja) 食器洗い機
KR102481975B1 (ko) 가정용 식기 세척기
JP4818230B2 (ja) 食器洗い機
JP5701001B2 (ja) 洗浄機
JP4152152B2 (ja) 洗浄装置及び食器洗い乾燥機
JP2010207543A (ja) 食器洗い機
JP2005052489A (ja) 食器洗浄機
JP2005253623A (ja) 食器洗い機
JPH10323318A (ja) 食器洗浄機
JP5755519B2 (ja) 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