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385B1 -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385B1
KR100661385B1 KR1020050032865A KR20050032865A KR100661385B1 KR 100661385 B1 KR100661385 B1 KR 100661385B1 KR 1020050032865 A KR1020050032865 A KR 1020050032865A KR 20050032865 A KR20050032865 A KR 20050032865A KR 100661385 B1 KR100661385 B1 KR 100661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blood pressure
circumferential length
measurement sit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293A (ko
Inventor
유키야 사와노이
다카히데 다나카
히로야 나카니시
다케후미 나카니시
요시히코 사노
미노루 다니구치
도모노리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혈압 산출에 앞서 혈압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장착하는 혈압 측정용 주머니 내에 미리 공기를 봉입하고, 그 압력 변화를 참조하여 측정 부위에 대한 권취의 적정 판별을 행하는 과정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를 기초로 하여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파악한다(ST1). 그 후, 혈압 측정으로 이행하면, 혈압 측정용 주머니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압 또는 감압하여(ST2, ST3), 혈압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을 검출한다. 검출된 압력에 기초한 혈압을 미리 파악하고 있는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따라 산출한다(ST5).

Description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ELECTRON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DEVICE AND BLOOD PRESSURE MEASURING METHOD}
도 1a와 도 1b 및 도 1c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혈압 측정의 전체 흐름도와 혈압 산출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전자 혈압계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전자 혈압계의 에어계의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전자 혈압계의 외관과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둘레 길이 검출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둘레 길이 검출 순서의 다른 예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혈압 산출 순서의 전환예를 설명한 도면.
도 8a와 도 8b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가압 속도 조정 순서를 설명한 도면.
도 9a와 도 9b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프 가압과 감압의 처리 흐 름도.
도 10a와 도 10b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감압 속도 조정 순서를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혈압계
50 :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
51 :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
Pc : 커프압
ΔP : 커프압 변화량
본 발명은 생체의 측정 부위에 공기 주머니를 권취 장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전자 혈압계와 혈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취되는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전자 혈압계와 혈압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자 혈압계로는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측정 부위에 공기 등의 유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공기 주머니를 내장하는 커프(cuff)를 사용자가 권취하여, 측정 부위를 상기 공기 주머니의 팽창에 의해 가압·감압하고, 그 때에 얻어지는 공기 주머니 내의 압력(커프압)과 맥파 신호를 바탕으로 소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혈압을 산출한다. 혈압계에 따라서는 맥파 신호 대신에 코로트코 프음(Korotkoff sound)을 사용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 혈압계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커프가 권취되는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였기 때문에, 혈압 산출 정밀도가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좌우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혈압의 산출 정밀도는 커프의 폭과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의 관계에 크게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확한 혈압값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압력으로 측정 부위의 동맥을 압박해야 한다. 이 동맥을 압박하는 데 필요한 힘(이후, 압박력)이 너무 세거나 너무 약해도 정확한 혈압값을 산출할 수 없다. 적절한 압박력을 얻기 위해서는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마다 적절한 폭의 커프를 적용할 필요가 있게 된다.
한편, 커프의 폭은 일반적으로는 측정 부위의 어느 범위의 둘레 길이에 적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따라서는 상정한 혈압 산출 정밀도를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따른 혈압 측정 순서를 적용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혈압계 중에는 혈압의 산출 알고리즘을 맥파 진폭의 특징이나 코로트코프음의 특징에 따라 여러 패턴을 준비하여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은 제안되어 있었지만,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따른 영향을 커버할만한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파악하는 기능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245911호 공보에 의해 제안되었다. 상기 공보에는 둘레 길이를 외부에서 입력하는 기능, 커프에 설치한 슬라이드 저항의 값에 의해 검출하는 기능, 커프 안의 압력이 일정 레벨이 되기까지의 소요 시간에 의해 검출하는 기능 등이 각각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공보에 개시한 외부에서 둘레 길이를 입력하는 방법은 피험자가 미리 둘레 길이를 측정하여 파악해야 하고, 또한, 혈압을 측정할 때마다 둘레 길이를 입력해야 하는 등, 조작성이 우수하지 못하다. 또한, 커프를 느슨하게 감거나 또는 꽉 감는 등의 감는 방법에 따라 검출되는 둘레 길이에 변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저항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소요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은 정확한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는 전자 혈압계와 혈압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정밀도가 좋은 혈압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혈압계와 혈압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어떠한 국면에 따른 전자 혈압계는 유체가 공급되어 팽창하는 측정용 주머니를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에 기초한 혈압을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따라 산출하는 혈압 산출부와, 권취하는 데에 있어서 측정용 주머니에 기설정량의 유체를 공급하여 가둔 후에, 측정용 주머니가 측정 부위에 권취되는 과정에서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이 상대적인 변위를 기초로 하여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둘레 길이 검출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에 기초한 혈압을 산출하기 위해 이용되는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는 측정용 주머니가 측정 부위에 권취되는 과정에서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의 상대적인 변위를 기초로 하여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용 주머니를 꽉 권취하였는지 또는 느슨하게 권취하였는지에 관계없이 둘레 길이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둘레 길이 검출부는 유체를 측정용 주머니에 가두어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장착할 때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 그 후에 측정용 주머니를 측정 부위에 더 권취하는 과정에서 순차 검출되는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의 차분이 기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한다.
따라서, 측정용 주머니가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장착된 시점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 그 후의 권취하는 과정에서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의 차분이 기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즉 상대적인 압력의 변위를 기초로 하여 둘레 길이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용 주머니를 꽉 권취하였는지 또는 느슨하게 권취하였는지에 관계없이 둘레 길이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설정값은 측정용 주머니가 측정 부위에 알맞게 권취된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측정용 주머니가 알맞게 권취된 상태에서 둘레 길이를 검출하게 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둘레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둘레 길이 검출부는 유체를 측정용 주머니에 가두어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장착할 때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 그 후에 측정용 주머니를 측정 부위에 더 권취하는 과정의 기설정 시간에 있어서 검출되는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의 차분을 기초로 하여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한다.
따라서, 측정용 주머니가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장착된 시점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 그 후의 권취하는 과정의 기설정 시간에 있어서의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과의 차분, 즉 상대적인 압력의 변위를 기초로 하여 둘레 길이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용 주머니를 꽉 권취하였는지 또는 느슨하게 권취하였는지에 관계없이 둘레 길이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압 산출부는 혈압을 산출하는 복수 개의 순서 중에서 둘레 길이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한 순서에 따라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에 기초한 혈압을 산출한다.
따라서, 검출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혈압 산출의 순서를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혈압을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압 산출부는 둘레 길이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한 혈압 산출을 위한 특정량에 따라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에 기초한 혈압을 산출한다.
따라서, 검출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혈압 산출을 위한 특정량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정밀도 좋게 혈압을 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압 산출부는 산출한 혈압을 둘레 길이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둘레 길이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값에 따라 보정한다.
따라서, 검출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산출한 혈압을 보정하기 위한 파라미터값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정확한 산출 혈압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혈압을 산출하기 위해서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부를 더 구비한다. 압력 조정부는 둘레 길이 검출부에 의해 검출한 둘레 길이에 따른 조정 파라미터값에 따라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을 조정한다.
따라서, 혈압 산출을 위해 측정용 주머니 내의 압력을 조정할 때에, 조정을 위한 파라미터값은 검출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압력 조정이 적정해져서 정밀도 좋게 혈압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해되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혈압계는 오실로매트릭 방법에 따른 혈압 측정 방법을 채용하여도 좋고, 또한 코로트코프음에 따라 측정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측정 부위로서 상완(上腕)을 상정하지만, 상완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위,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손목 등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혈압계는 커프를 자동적으로 측정 부위에 권취하는 것을 채용한다. 자동적으로 권취하는 것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6-23790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모터의 회전에 의해 커프의 측정 부위에 대해 권취하는 직경이 작아지도록 커프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혈압계이어도 좋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컬러(curler)를 통한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의 팽창력에 의해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의 측정 부위에 대해 권취하는 직경을 축소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a와 도 1b와 도 1c 및 도 9a와 도 9b에는 혈압 측정에 관련된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전자 혈압계의 블록 구성이 도시되고, 도 3에는 전자 혈압계의 에어계가 도시되며, 도 4a와 도 4b에는 전자 혈압계의 외관과 사용 상태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혈압계(1)는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에 튜브(53)를 통해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혈압 측정용 에어계(52), 혈압 측정용 에어계(52)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증폭기(35), 펌프 구동 회로(36), 밸브 구동 회로(37) 및 A/D(Analog/Digital) 변환기(38)를 구비한다. 전자 혈압계(1)는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에 튜브(55)를 통해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압박 고정용 에어계(54), 압박 고정용 에어계(54)에 관련되어 설치되는 증폭기(45), 펌프 구동 회로(46), 밸브 구동 회로(47) 및 A/D 변환기(48)를 더 구비한다. 전자 혈압계(1)는 각부를 집중적으로 제어 및 감시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30), CPU(30)에 소정의 동작을 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측정된 혈압값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39), 혈압 측정 결과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40) 및 측정을 위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서 조작되는 조작부(41)를 더 구비한다. 메모리(39)에는,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9a와 도 9b의 흐름도에 따르는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메모리(39)로부터 CPU(30)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된다.
혈압 측정용 에어계(52)는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내의 압력[이하, 커프압(Pc)이라 함]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압력 센서(32),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33) 및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봉입하기 위해서 개폐되는 밸브(34)를 갖는다. 증폭기(35)는 압력 센서(3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여 증폭하여 A/D 변환기(38)에 부여한다. A/D 변환기(38)는 부여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한 신호를 CPU(30)에 출력한다. 펌프 구동 회로(36)는 펌프(33)의 구동을 CPU(30)로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한다. 밸브 구동 회로(37)는 밸브(34)의 개폐 제어를 CPU(30)로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행한다.
압박 고정용 에어계(54)는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내의 압력을 검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압력 센서(42),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43),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는 봉입하기 위해서 개폐되는 밸브(44)를 갖는다. 증폭기(45)는 압력 센서(42)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여 증폭하여 A/D 변환기(48)에 부여한다. A/D 변환기(48)는 부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한 신호를 CPU(30)에 출력한다. 펌프 구동 회로(46)는 CPU(30)로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펌프(43)의 구동을 제어한다. 밸브 구동 회로(47)는 CPU(30)로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밸 브(44)의 개폐를 제어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혈압계(1)는 피험자의 측정 부위인 상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통형상 케이스(57) 및 혈압계 본체부(58)를 구비한다. 혈압계 본체부(58)에는 표시기(40)로서의 LCD(59) 및 램프(60)를 갖는다. 또한, 혈압계 본체부(58)에는 외부 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부(41)로서 전원 스위치(61), 혈압 측정의 개시 및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62) 및 스톱 스위치(63)를 갖는다. 고정용 통형상 케이스(57)의 내주면에는 측정 부위에 장착되는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를 갖는다. 도 4b에는 혈압 측정하기 위해서 고정용 통형상 케이스(57)의 도면 앞 방향에서 피험자의 측정 부위인 상완이 삽입 관통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4b의 상태에 있어서의 고정용 통형상 케이스(57)의 횡단면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정용 통형상 케이스(57)에는 측정 부위인 상완의 외주로부터 고정용 통형상 케이스(57)의 내주면 방향을 향해 측정용 공기 주머니(50), 그 직경이 신축 자유자재인 압박 고정용 컬러(56) 및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가 설치된다. 압박 고정용 에어계(54)에 의해 공기가 서서히 공급되어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가 팽창되면, 그 작용에 의해 압박 고정용 컬러(56)는 직경을 축소시키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 압박 고정용 컬러(56)와 인체(상완) 사이에 개재되는 측정용 공기 주머니(50)가 측정 부위에 대하여 압박된다. 이에 따라, 측정용 공기 주머니(50)는 압박 고정용 컬러(56) 및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에 의해 인체(팔)의 주위에 권취되어 혈압 측정 가능한 상태가 된다.
후술하는 커프 최적의 권취 처리에 있어서는, 펌프(33)는 정지한 상태로 펌프(43)를 구동하고,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에 서서히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여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가 팽창함으로써 측정용 공기 주머니(50)는 상완 주위에 귄취된다고 상정한다.
(혈압 측정 순서에 대해서)
도 1a와 도 1b의 순서에서는, 측정 부위에 커프인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를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의 팽창에 의해 권취하여 최적으로 권취된 상태가 되었을 때에, 즉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커프압(Pc)이 둘레 길이 검출을 위한 소정 레벨에 도달했을 때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취득하고, 취득한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최적의 혈압 산출 순서를 선택함으로써, 혈압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순서의 개략을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4b의 혈압 측정 가능한 상태에서 피험자가 전자 혈압계(1)의 전원 스위치(61)를 조작하여 전원 ON 하면 전자 혈압계(1)의 초기화가 이루어진다(단계 ST0).
전술한 초기화에 있어서는 CPU(30)의 리셋, 메모리(39)의 작업 영역의 클리어, 밸브(34)와 밸브(44)의 개방 및 압력 센서(32)와 압력 센서(42)에 대한 영점 조정(0 mmHg로 조정)이 된다. 따라서,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와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의 내압은 모두 대기압(0 mmHg)이 된다.
다음에 피험자에 의해 스타트 스위치(62)가 조작되면, 그 후 CPU(30)는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가 최적의 권취 상태가 되었을 때에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한다(단계 ST1). 이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가 검출되면, 다음에 CPU(30)는 구동하고 있던 펌프(43)를 정지하여 펌프(33)의 구동을 개시하고,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커프압(Pc)을 서서히 상승시킨다(단계 ST2). 서서히 가압하는 과정에 있어서, 혈압 측정을 위한 소정 레벨까지 커프압(Pc)이 도달하면, CPU(30)는 펌프(33)를 정지하고, 다음에 폐쇄되어 있던 밸브(34)를 서서히 개방하여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공기를 서서히 배기하며, 커프압(Pc)을 서서히 감압시킨다(단계 ST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프압(Pc)의 이러한 미속 감압 과정에서 혈압을 측정한다.
우선, 커프압(Pc)이 서서히 감압하는 과정에서, CPU(30)는 압력 센서(52)로부터 출력되는 커프압(Pc)의 검출 신호를 취득하고, 그 신호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 신호를 검출한다(단계 ST4). 단계 ST2∼단계 ST4의 처리 순서는 공지의 순서이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다음에, CPU(30)는 단계 ST4에서 구해진 맥파 신호에 기초하여 공지의 순서로 혈압(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평균 혈압)값을 산출한다(단계 ST5). 이 혈압값 산출에 있어서는, 혈압값 산출을 위한 적절한 알고리즘이 단계 ST1에서 검출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적으로 기동된다. 이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또한, 단계 ST5에서 산출된 혈압값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정할 수도 있다(단계 ST5a).
단계 ST5에 있어서 혈압값이 산출되면, CPU(30)는 산출된 혈압값을 메모리(39)에 기억시키는 동시에(단계 ST6), 산출된 혈압값을 LCD(59)에 표시한다(단계 ST7). 이 때, 밸브(34)와 밸브(44)는 완전 개방이 된다. 이에 따라 일련의 혈압 측정은 종료된다. 또, 단계 ST5a에서 보정이 실행된 경우에는, 보정 후의 혈압값이 메모리(39)에 저장된다.
(측정 부위 둘레 길이 검출에 대해서)
단계 ST1에서는, 우선,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에 대하여 다음 순서로 예비 가압이 행해진다. 즉, CPU(30)는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에 대하여, 밸브(34)를 폐쇄하고 펌프(33)를 구동하여 커프압(Pc)이 후술하는 최적의 권취 판정을 가능하게 하면 압력 레벨, 예를 들면 대기압과 동등한 레벨이 되는 기설정량의 공기를 공급한 후, 펌프(33)를 정지한다. 이 기설정량은 소량으로서 실험적으로 미리 구해져 있고,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용적 등의 사이즈에 따라 이 양은 변할 것이다. 그 후, 최적 권취 판정 처리가 실행된다. 기설정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CPU(30)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최적 권취 판정 처리에서, CPU(30)는 밸브(44)를 폐쇄하고, 펌프(43)를 구동하여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에 서서히 단위 시간당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그것에 따른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의 팽창력에 의해 고정용 컬러(56)의 직경은 축소하여, 측정용 공기 주머니(50)는 측정 부위인 팔 둘레에 서서히 권취되도록 하여 압박 고정된다. 이것에 병행되어 CPU(30)는 압력 센서(32)가 순차 출력하는 검출 신호가 나타내는 커프압(Pc)에 기초하여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가 측정 부위에 혈압 측정을 위한 적절한 여압에 의해 권취된 상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가 피험자의 측정 부위에 최적으로 권취된 상태에 도달한 것이 판정되면, CPU(30)은 펌프(43)를 정지하고,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검출한다.
CPU(30)에 의한 최적 권취 판정 순서와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구체적인 제1 및 제2 검출 순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1 검출 순서예)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커프를 권취할 때의 커프압(Pc)의 권취 시작할 때, 즉 예비 가압 종료시로부터의 변화량(차분)이 기설정값(예컨대 20 mmHg)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기초로 하여 측정 부위 둘레 길이가 특정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5a에서는, 커프압(Pc)의 변화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측정 부위 둘레 길이와 관련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는 종축에 커프압(Pc)이 취해지고 횡축에 최적 권취 판정 처리의 경과 시간인 펌프(43)의 구동 개시시(권취 시작할 때)부터의 경과 시간이 취해지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프압(Pc)은 예비 가압 종료 후에 압박 고정용 공기 주머니(51)를 가압하여 팽창시키는 과정에서, 팔 둘레가 길거나 또는 클(팔이 굵을)수록 급격히 상승하고, 반대로 팔 둘레가 짧거나 또는 작을(팔이 가늘)수록 상승은 완만하다. 이것은, 팔이 굵은 경우에는 권취 시작하는 시점(즉 예비 가압 종료 시점)에서 이미 측정 부위로부터 받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그 만큼 커프압(Pc)이 상승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지 않지만, 팔이 가는 경우는 그 반대의 현상이 되는 것에 의한다.
도 5a에 도시된 커프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CPU(30)는 커프압(Pc)의 변화를 감시하고, 커프압(Pc)의 권취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의 변화량이 기설정값에 도달했을 때, CPU(30)는 최적의 권취 상태가 되었다고 판정한다. 또, 변화량의 기설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는 CPU(30)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도 5b에 있어서는, 종축에 커프압(Pc)의 변화량이 기설정값을 만족하는(도달하는) 데 요하는 시간(권취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취해지고, 횡축에 측정 부위 둘레 길이가 취해지고 있다. 도 5b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실험에 의해 미리 취득하여 테이블(391)로서 메모리(39)에 저장되어 있다고 상정한다.
CPU(30)는 내부의 타이머(301)를 이용하여 커프압(Pc)의 권취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의 상대적인 변화량이 기설정값에 도달하기 위한 소요 시간을 계측하고 있고, 계측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메모리(39)의 테이블(391)을 검색하여 대응하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특정하여 판독한다. 이에 따라 카프 최적 권취 상태에 있어서 피험자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파악(검출)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테이블(391)을 검색함으로써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파악하고 있지만, 도 5b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이용하여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2 검출 순서예)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예비 가압 종료후의 커프를 권취하는 과정에서의 임의의 기설정 시간에 있어서의 커프압(Pc)의 권취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의 상대적인 변화량 ΔP[=예비 가압 종료시의 커프압(Pc)과 기설정 시간에 있어서의 커프압(Pc)의 차분]에 의해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특정(검출)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와 도 6b에서는 커프압(Pc)과 변화량(ΔP)의 변화가 1점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와 관련되어져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는 도 5a와 마찬가지로 종축에 커프압(Pc)이 취해지고 횡축에 예비 가압 종료 시점에서부터의 커프를 권취하는 경과 시간이 취해지고 있다. 도 6b에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길고 짧음에 따른(팔의 굵고 가늚에 따른) 커프압 변화량(ΔP)과 커프를 권취하는 경과 시간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b의 파선으로 도시하는 기설정 시간에 있어서의 예비 가압 종료 후부터의 커프압 변화량(ΔP)과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관계가 도 6c에 도시된다. 도 6c에 따르면 기설정 시간에 있어서의 권취 시작하는 시점에서부터의 상대적인 커프압 변화량(ΔP)을 기초로 하여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c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실험에 의해 미리 취득하여 테이블(392)로서 메모리(39)에 저장되어 있다고 상정한다.
CPU(30)는 내부의 타이머(301)를 이용하여 커프압(Pc)의 권취 시작하고 나서부터의 임의의 시간을 계시하면, 그 시점의 커프압 변화량(ΔP)을 산출하여, 산출한 커프압 변화량(ΔP)을 기초로 하여 메모리(39)의 테이블(392)을 검색하여 대응하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특정하여 판독한다. 이에 따라 피험자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테이블(392)을 검색함으로써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파악하고 있지만, 도 6c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을 이용하여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산출할 수도 있다.
(혈압 산출 순서 전환에 대해서)
혈압값 산출 순서의 제1 내지 제3 전환예를 설명한다.
(제1 순서 전환예)
제1 예에 의한 전환의 개략 순서는 도 1b에 도시된다. 도 1a의 단계 ST5의 혈압값 산출 순서는 복수 패턴 준비되어 있고, 제1 예에서는 복수 패턴 중에서 단계 ST1에서 구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라 선택된 패턴의 순서를 적용한다.
우선, 단계 ST1에서 구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가 판별된다(단계 ST50). 예를 들면, 측정 부위 둘레 길이가 "a"이면, 둘레 길이 "a"에 따른 혈압 산출 순서가 선택되어 실행되고(단계 ST51), "b"이면, 이것에 따른 다른 혈압 산출 순서(단계 ST52)가 선택되어 실행되며, "n"이면, 이것에 따른 또 다른 혈압 산출 순서(단계 ST5n)가 선택되어 실행된다.
단계 ST51∼5n의 순서는 프로그램으로서 메모리(39)에 미리 저장되어 있고, CPU(30)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프로그램을 메모리(39)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선택 전환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정밀도 좋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순서 전환예)
전술한 제1 순서 전환예에서는 CPU(3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그 자체를 전환하고 있다. 여기서는,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혈압 산출 알고리즘(프로그램) 속에서 참조되는 특정량의 값을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혈압은 도 7에 도시된 커프압(Pc)에 따른 맥파 신호의 진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의 특정량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산출의 순서는 도 1c에 도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축기 혈압 및 확장기 혈압 각각은 도 7의 맥파 진폭의 파형의 맥파 최대 진폭값으로 소정 비율의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도 7에 따르면 확장기 혈압은 맥파 최대 진폭×β%의 위치에 있어서의 커프압(Pc)으로서 검출할 수 있고, 수축기 혈압은 맥파 최대 진폭×α%의 위치에 있어서의 커프압(Pc)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도 1c에서는, 단계 ST1에서 취득된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라 맥파 신호의 진폭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파형의 특정량인 변수 α 및 β의 값을 변경한다(단계 ST501). 이에 따라,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정밀도 좋게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단계 ST502).
(제3 순서 전환예)
제1과 제2 순서 전환예에서는 혈압 산출 개시시 또는 산출시에 순서를 전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과는 달리 제3 순서 전환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혈압 산출 후에 있어서,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파라미터의 값을 이용하여 산출 결과를 보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값의 비례 계수 등을 이용한 부가를 행하여 산출 결과를 보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보정은 도 1a의 단계 ST5a에서 실행된다.
또한, 제1 순서 전환예에 의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기초한 혈압 산출 알고리즘의 선택적 전환, 제2 순서 전환예에 의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기초한 혈압 산출 알고리즘의 특정량의 선택적 전환 및 제3 순서 전환예에 의한 혈압 산출후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보정 중인 복수 개를 조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취득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혈압 산출 순서의 적정화에만 적용하였지만, 도 8a와 도 8b, 도 9a와 도 9b 및 도 10a와 도 10b와 같이 단계 ST2의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가압 제어 또는 단계 ST3의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감압 제어의 적정화에 적용할 수도 있다. 즉, 혈압을 산출하기 위해서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커프압을 검출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조정 파라미터값에 따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의한 최적의 가압 제어 또는 감압 제어가 가능해지고, 혈압 산출의 정밀도 향상으로 이어진다.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의한 최적의 가압 제어를 위해 메모리(39)에 미리 저장된 테이블(393)이 참조되고, 마찬가지로 최적의 감압 제어를 위해 메모리(39)에 미리 저장된 테이블(394)이 참조된다. 테이블(393)과 테이블(394)의 데이터는 미리 실험에 의해 얻어진다고 상정한다.
테이블(393)에는 복수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값의 각각에 대응하여 펌프(33)에 공급되어야 할 전압의 레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펌프(33)의 운전은, 즉, 가압 속도 조정은 펌프(33)에 인가하는 전압 레벨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PWM(펄스폭 변조)에 따라 펌프(33)에의 전압 인가 기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테이블(393)에는, 복수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값의 각각에 대응하여 펄스폭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테이블(394)에는 복수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값의 각각에 대응하여 밸브(34)에 공급되어야 할 전압의 레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는, 밸브(34)의 운전은, 즉, 감압 속도 조정은 밸브(34)에 인가하는 전압 레벨로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할 수도 있다. 즉, PWM(펄스폭 변조)에 따라 밸브(34)로의 전압 인가 기간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테이블(394)에는 복수의 측정 부위 둘레 길이의 값의 각각에 대응하여 펄스폭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따라서, 저장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테이블(393) 또는 테이블(394)을 검색함으로써, 대응하는 전압 레벨의 데이터 또는 전압 인가 기간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의한 가압 속도 조정)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가압시에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가압 제어에 사용하는 파라미터값을 변경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펌프(33)를 구동하는 전압 레벨을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보정하고, 보정 후 레벨의 전압을 펌프(33)에 인가함으로써,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최적의 가압 제어를 실현한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여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의한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가압 속도 조정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에서는, 커프압(Pc)의 변화가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와 관련되어져 도시된다. 단계 ST2에 있어서의 카프 가압시, 펌프(33)를 구동하기 위해서 펌프 구동 회로(36)로부터 펌프(33)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을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했을 경우, 도 8a와 같이 파선으로 도시한 최적 가압 속도(커프압 상승 속도)와 비교한 경우에, 둘레 길이가 길거나 또는 큰(팔이 굵은) 경우는 가압 속도는 늦어지고, 반대로 둘레 길이가 짧거나 또는 작은(팔이 가는) 경우는 가압 속도는 빨라진다.
이와 같이, 동일한 레벨의 전압을 공급하여 펌프(33)를 구동한 경우,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라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최적의 가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은 다르기 때문에,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라 가압 기간의 길이는 다르다. 이 때문에 커프압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의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게 되고, 또한, 피험자에게 과도한 스트레스를 부여하게 되어 정확한 혈압 측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가압 과정에서 커프압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의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피험자에게 과도한 스트레스가 부여되지 않도록 하여 혈압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취득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가압 속도를 조정하는 즉 펌프(33)를 구동하는 전압 레벨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 때문에 도 9a의 순서에서는, 단계 ST2에 있어서의 가압 속도가 도 8a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최적 가압 속도가 되도록, 단계 ST1에서 취득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테이블(393)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조정 파라미터의 값인 구동 전압의 레벨, 또는 인가 기간을 결정하며(단계 ST21), 결정한 레벨 또는 인가 기간에 따라 구동 전압을 펌프(33)에 공급한다(단계 ST22). 이 결과,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가압 속도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가압 속도가 되고, 커프압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의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피험자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가 부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정확한 혈압 측정이 가능해진다.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커프 감압 조정)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감압시에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감압 제어에 사용하는 파라미터값을 변경한다. 여기서는, 예컨대 밸브(34)를 구동하는 전압 레벨을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보정하고, 보정 후 레벨의 전압을 밸브(34)에 인가함으로써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최적의 감압 제어를 실현한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여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른 혈압 측정용 공기 주머니(50)의 감압 속도 조정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에서는 커프압(Pc)의 변화가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측정 부위 둘레 길이와 관련되어져 도시되어 있다. 단계 ST3에 있어서의 커프 감압시, 밸브(34)를 개방하도록 구동하기 위해서 밸브 구동 회로(37)로부터 밸브(34)에 공급되는 전압의 레벨을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했을 경우, 도 10a와 같이, 파선으로 도시하는 최적 감압 속도(커프압 하강 속도)와 비교했을 경우에 둘레 길이가 크거나 또는 긴(팔이 굵은) 경우는 감압 속도는 늦어지고, 반대로 둘레 길이가 작거나 또는 짧은(팔이 가는) 경우는 감압 속도는 빨라진다.
이와 같이, 동일한 레벨의 전압을 공급하여 밸브(34)를 개방하도록 구동한 경우,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따라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최적의 감압 상태(미속 배기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띠라 감압 기간의 길이는 다르다. 이것은, 커프압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의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게 되고, 또한, 피험자에게 과도한 스트레스를 부여하게 되어 정확한 혈압 측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감압 과정에서 커프압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의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피험자에게 과도한 스트레스가 부여되지 않도록 하여 혈압 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취득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감압 속도를 조정하는, 즉 조정 파라미터의 값인 밸브(34)를 구동하는 전압 레벨 또는 전압 인가 기간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 때문에 도 9b의 순서에서는, 단계 ST3에 있어서의 감압 속도가 도 9a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최적 감압 속도가 되도록, 단계 ST1에서 취득한 측정 부위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테이블(394)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 전압의 레벨, 또는 인가 기간을 결정하며(단계 ST31), 결정한 레벨 또는 인가 기간에 따라 구동 전압을 밸브(34)에 공급한다(단계 ST32). 이 결과, 측정 부위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감압 속도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감압 속도가 되고, 커프압에 중첩되어 있는 맥파의 신호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으며, 또한, 피험자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가 부여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정확한 혈압 측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나타내었지만, 이것은 예시를 위할 뿐이며, 한 정되지 않고, 발명의 정신과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는 것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에 따르면,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에 상관없이 정밀도가 좋은 혈압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전자 혈압계(1)로서,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팽창하고, 또한 혈압 측정을 위해 측정 부위에 권취되는 측정용 주머니(50)와,
    상기 측정용 주머니(50) 내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32)와,
    상기 측정용 주머니(50)에 기설정량의 상기 유체를 공급하여 가두고, 그 후에,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를 상기 측정 부위에 권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의 상대적인 변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둘레 길이 검출부(30)와,
    상기 압력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압력을 기초로 한 혈압값을, 상기 측정 부위의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둘레 길이에 따라 산출하는 혈압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30)는 상기 기설정량의 유체를 상기 측정용 주머니(50)에 가두고,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를 상기 측정 부위에 권취했을 때 상기 압력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압력과, 그 후에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를 상기 측정 부위에 더 권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압력 검출부(32)에 의해 순차 검출되는 압력과의 차분이 기설정값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30)는 상기 기설정량의 유체를 상기 측정용 주머니(50)에 가두어 상기 측정 부위에 권취했을 때의 상기 압력 검출 수단(3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과, 그 후에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를 상기 측정 부위에 더 권취하고 나서 기설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상기 압력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과의 차분을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 산출부는 상기 혈압값을 산출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순서 중에서,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30)에 의해 검출한 상기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한 순서에 따라,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내의 압력에 기초한 혈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 산출부는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30)에 의해 검출한 상기 둘레 길이를 기초로 하여 선택한 혈압값을 산출하기 위한 특정량에 따라, 상기 압력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되는 압력에 기초하여 혈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 산출부는 산출한 혈압값을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30)에 의해 검출한 상기 둘레 길이에 따른 보정 파라미터값에 따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압값을 산출하기 위해서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압력 조정부는 상기 둘레 길이 검출부(30)에 의해 검출한 상기 둘레 길이에 따른 조정 파라미터값에 따라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혈압계.
  9. 유체가 공급됨으로써 팽창하는 측정용 주머니(50)를 측정 부위에 권취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측정용 주머니(50)에 기설정량의 유체를 공급하여 가두고, 그 후에,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를 상기 측정 부위에 권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내의 압력의 상대적인 변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측정 부위의 둘레 길이를 검출하는 둘레 길이 검출 단계(ST1)와,
    상기 측정용 주머니(50)내의 압력에 기초한 혈압값을 상기 둘레 길이 검출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둘레 길이에 따라 산출하는 혈압 산출 단계(ST5)를 구비하는 혈압 측정 방법.
KR1020050032865A 2004-04-20 2005-04-20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 KR100661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3857 2004-04-20
JP2004123857A JP3835461B2 (ja) 2004-04-20 2004-04-20 電子血圧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293A KR20060047293A (ko) 2006-05-18
KR100661385B1 true KR100661385B1 (ko) 2006-12-27

Family

ID=3493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865A KR100661385B1 (ko) 2004-04-20 2005-04-20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18535B2 (ko)
EP (1) EP1588660B1 (ko)
JP (1) JP3835461B2 (ko)
KR (1) KR100661385B1 (ko)
CN (1) CN1003932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487B2 (ja) * 2004-04-26 2006-08-30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用帯の巻付け制御装置
JP4470876B2 (ja) * 2005-12-20 2010-06-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4876587B2 (ja) * 2006-01-13 2012-02-1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計測装置
US7927283B2 (en) * 2007-03-20 2011-04-19 Tiba Medical, Inc. Blood pressure algorithm
JP2010522610A (ja) * 2007-03-28 2010-07-08 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体充填カフを備える動脈圧測定機
JP5343472B2 (ja) * 2008-09-17 2013-11-13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血圧計および血圧測定制御方法
KR101037796B1 (ko) * 2008-11-17 2011-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혈압 측정 장치의 정확성을 검사하는 방법 및 장치
DE112009003806T5 (de) * 2008-12-26 2012-06-28 Omron Healthcare Co., Ltd. Elektronisches Blutdruckmessgerät und Blutdruckmessverfahren
RU2515860C2 (ru) * 2009-02-06 2014-05-20 Омрон Хэлткэа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змерения кровяного давл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манжету, оборачиваемую вокруг места измерения
JP5418302B2 (ja) * 2010-02-26 2014-02-19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情報測定装置
JP5565164B2 (ja) * 2010-07-21 2014-08-06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5733698B2 (ja) * 2010-09-27 2015-06-10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電子血圧計、測定部位周囲長推定方法および血圧測定方法
JP2012139286A (ja) * 2010-12-28 2012-07-26 Omron Healthcare Co Ltd 血圧測定装置
JP5718189B2 (ja) * 2011-08-23 2015-05-13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6019592B2 (ja) * 2012-01-23 2016-11-02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CN103908238B (zh) * 2014-04-16 2017-02-15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血压数据校正方法、装置和电子血压计
US20190167195A1 (en) * 2017-12-04 2019-06-06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diagnostic procedures for a volume clamp finger cuff
CN109497978A (zh) * 2018-09-20 2019-03-22 缤刻普达(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血压测量数据修正方法、系统及血压计
CN112971747B (zh) * 2019-12-13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腕戴式电子设备、测量腕部尺寸的方法以及测量血压的方法
KR102544514B1 (ko) * 2020-06-22 2023-06-16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혈압을 측정하는 마사지 장치
DE102021111659A1 (de) 2021-05-05 2022-11-10 Beurer Gmbh Blutdruckmessverfahren mit Oberarmmanschett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2844A (en) * 1971-05-26 1974-05-28 K Sokol Apparatu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with corresponding cuff sections and indication ranges
CH642835A5 (de) * 1980-02-18 1984-05-15 Asulab Ag Blutdruckmesseinrichtung.
JPS6116730A (ja) 1984-07-03 1986-01-24 コーリン電子株式会社 自動補正機能を備えた血圧測定装置
DE3426183A1 (de) 1984-07-16 1986-02-06 Thomas 6700 Ludwigshafen Heller Blutdruckmessgeraet
JPS6148339A (ja) 1984-08-14 1986-03-1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S63186625A (ja) 1987-01-28 1988-08-0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血圧計
JP3233481B2 (ja) 1993-02-15 2001-11-26 日本コーリン株式会社 血圧測定用腕帯の巻回装置
JPH06245911A (ja) 1993-02-23 1994-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血圧計
JP3057347B2 (ja) 1993-08-25 2000-06-26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US5595180A (en) 1994-08-10 1997-01-21 Col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cuff in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6228035B1 (en) * 1999-06-30 2001-05-0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Universal cuff for a blood pressure monitor
US6719712B2 (en) * 2000-04-04 2004-04-13 Clifford V. Zigmont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the back, hips, upper thighs and groin areas
JP2003250770A (ja) * 2002-02-28 2003-09-09 Omron Corp 電子血圧計
JP3925858B2 (ja) * 2002-11-08 2007-06-06 日本精密測器株式会社 非観血式血圧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8660B1 (en) 2015-06-10
EP1588660A1 (en) 2005-10-26
JP2005304670A (ja) 2005-11-04
CN100393275C (zh) 2008-06-11
JP3835461B2 (ja) 2006-10-18
CN1689507A (zh) 2005-11-02
KR20060047293A (ko) 2006-05-18
US20050234350A1 (en) 2005-10-20
US7118535B2 (en) 200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385B1 (ko) 전자 혈압계 및 혈압 측정 방법
KR100695711B1 (ko) 혈압 측정용 띠의 권취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66869B1 (ko) 혈압값을 산출하는 전자 혈압계
JP4325639B2 (ja) 血圧測定装置
JP5408142B2 (ja) 測定部位に巻付けられるカフを有する血圧測定装置
JP4240034B2 (ja) 血圧測定装置
JP2009284966A (ja) 血圧情報測定装置および指標取得方法
JP5565164B2 (ja) 電子血圧計
TWI437975B (zh) 能精確測定血壓之血壓測定裝置
JP5228620B2 (ja) 血圧測定装置
JP2010035804A (ja) 電子血圧計
JP2012115413A (ja) 電子血圧計
JP6136111B2 (ja) 血圧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