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082B1 - 축열난방기 - Google Patents

축열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082B1
KR100661082B1 KR1020000086028A KR20000086028A KR100661082B1 KR 100661082 B1 KR100661082 B1 KR 100661082B1 KR 1020000086028 A KR1020000086028 A KR 1020000086028A KR 20000086028 A KR20000086028 A KR 20000086028A KR 100661082 B1 KR100661082 B1 KR 10066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orage
heater
power
tim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178A (ko
Inventor
요시다히사시
고지마히로시
기쿠치마사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구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구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구산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000086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0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16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fluid be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78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전력절약,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블럭의 축열량이 부족한 경우라도 난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축열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축열난방기(10)가,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량이 난방가능한 하한량을 밑도는 경우에,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12)을 가열하는 축열증가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심야전력, 난방기,

Description

축열난방기{Heater using midnight electric power}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는 실시형태 1의 축열난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실시형태 2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실시형태 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9는 축열난방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열난방기 11 : 축열증가조작부
12 : 축열블럭 13 : 승온패턴조작부
14 : 히터 16 : 팬
21 : 제어부 22 : 승온패턴기억부
23 : 시계부 24 : 통전제어부
25 : 온도측정부 26 : 축열증가제어부
본 발명은,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낮과 야간의 전력부하율의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의도에서, 각 전력회사에서는 심야전력시간대를 마련하여, 전력단가를 할인 설정하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그래서, 이 심야전력을 이용하여 축열블럭에 열을 비축하여, 낮에 축열블럭을 열원으로 하여 난방하는 것이 종래부터 시행되고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심야전력시간대로는, 이후의 설명에서 오후 l1시부터 오전 7시의 시간대로 설명하고 있으나, 전력회사에 따라 설정시간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시간 대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이 종류의 축열난방기는, 열을 비축하는 축열블럭과, 이 축열블럭을 가열하는 히터와, 축열블럭에 통풍하여 온풍을 실내로 보내는 팬과, 축열블럭의 온도가 상한을 넘으면 히터를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이었다. 그리고, 심야전력시간이 되면 히터를 온시켜 축열블럭에 열을 비축하고, 낮 동안의 사용시에는, 축열블럭으로부터 자연방열시키거나, 또는 팬을 동작시켜서 축열블럭에 통풍하여 온풍을 발생시키거나 하여, 난방으로 사용되어 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축열난방기로는,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에 축열된 축열량은 난방의 열원으로서 사용됨으로써 축열량이 서서히 소비되기 때문에, 예컨대 A선(실선)으로 나타나는 커브 를 그려 감소되고, 축열량이 남은 상태로 심야전력의 개시시간(오후 11시)을 맞이한다. 축열난방기에는, 미리 심야전력의 종료시간(오전 7시)근방에서 축열량이 100%로 되도록 설정된 E선(점선)의 승온패턴이 기억되어 있다. 그러기 때문에, A선과 E선이 교차하는 P점의 시각, 즉 축열량의 잔량에 따라 결정되는 시각(t)이 되면, 히터에의 통전이 개시되고, E선의 승온패턴에 부합되게 통전제어가 시행되어 축열량이 증가한다. 이 통전제어에 의해 전력의 낭비를 억제한 효율이 좋은 축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기온과의 차가 지나치게 크다는 등의 요인으로 축열량의 소비가 심한 경우에는, 예컨대 B선(일점쇄선)과 같은 커브를 그려 오후 11시 이전에 하한치(난방이 가능한 축열량)를 밑도는 사태가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축열난방기는 값싼 심야전력만을 이용하여 축열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축열난방기에 의한 난방을 사용 할 수 없게 되는 C부의 시간대가 생기게 되어, 충분한 난방효과를 얻을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통상은 만에 하나 축열량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일반적으로 필요열량에 20∼40%의 여유를 미리 잡아서 난방설계가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실제로 사용하고 싶은 공간에 알맞은 열용량의 축열난방기보다, 안전을 기하여 1랭크대형의 축열난방기를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축열난방기구입시의 비용적 부담을 증대시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초봄 등의 비교적 기온이 높은 시기에는, 축열블럭의 온도와 기온과의 차가 작기 때문에, 축열량의 소비가 적고, 예컨대 D선(이점쇄선)과 같은 커브를 그리는 일이 있다. 이 경우, 심야전력시간대 종료시에, 아침마다 100% 축열블럭이 축열되어있더라도, 축열량의 소비가 적어 충분히 활용되지 않기 때문에, 축열에 사용된 전력이 낭비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전력절약, 저비용화를 도모하면서,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블럭의 축열량이 부족한 경우라도 난방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축열된 축열량을 낭비없이 충분히 활용할수 있는 축열난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축열난방기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한다.
즉, 청구항 1에서는, 심야전력시간 내에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여, 이 축열 블럭의 축열량를 소비하는 것으로 난방하는 축열난방기로서,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량이 난방가능한 하한치를 밑도는 경우에,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는 축열증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수단에서는, 심야전력시간 외에 축열량이 하한치를 밑돌아 난방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 축열증가기능에 의해서, 아예 심야전력이 아닌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고 축열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난방효과가 유지된다. 또, 여기서 말하는 하한치란 축열블럭의 축열량 중 난방이 가능한 최저치의 축열량를 뜻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기재의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축열증가기능을 개시시키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으로는, 축열증가기능은 값이 비싼 통상전력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비로서 축열블럭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2기재의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스위치의 1회째의 조작으로 축열증가기능이 개시되고, 2회째의 조작으로 축열증가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서는, 축열증가기능의 개시 및 해제가 확실하게 실행된다.
또한,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축열증가기능은 개시로부터 소정시간경과 후에,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서는, 소정시간경과 후에 축열증가기능이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해제하는 것을 잊어 값이 비싼 전력이 낭비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청구항 5에서는, 심야전력시간 내에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고, 이 축열블럭의 축열량을 소비하는 것으로 난방하는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심야전력종료시간에 축열되는 축열량의 상한치의 설정이 조정가능하다.
이 수단에서는, 심야전력종료 시에 축열블럭이 100% 축열되어도, 축열량이 충분히 소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축열량의 상한치를 낮게 조정하여 축열이 시행된다. 이에 의해 심야전력에 의해 축열된 축열량이 활용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상한치란 오전 7시의 심야전력종료시간근방에 통전제어에 의해서 도달되는 축열량의 값을 의미하고, 축열블럭에 축열가능한 최대의 축열량을 100%로 하여, 0 - 100%의 사이의 값으로 결정되어 지는 값이다.
또한, 청구항 6에서는, 청구항 5기재의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심야전력종료시간에 축열되는 축열량은 단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상한치 중에서 선택됨으로써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단에서는, 미리 단계적으로 설정된 상한치 중에서 선택하는 것만으로 축열량의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4는 실시형태 1의 축열난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회로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실시형태 1의 축열난방기(10)는 심야전력시간내에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12)을 가열하고, 이 축열블럭(12)의 축열량를 소비하는 것으로 난방하는 축열난방기로, 심야전력시간외에서 축열량이 난방가능한 하한치를 밑도는 경우에,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12)를 가열하는 축열증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축열난방기(10)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는, 종래의 축열난방기와 동일하고, 열을 비축하여 축열하는 축열블럭(12)과, 이 축열블럭(l2)를 가열하는 히터(14), 축열블럭(12)에 통풍하여 온풍을 실내로 보내는 팬(16)과, 히터(14)로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1)에는, 시간에 따라서 승온하여 심야전력의 종료시간근방에서 소정의 축열량이 되는 축열블럭(12)의 승온패턴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승온패턴기억부(22)와, 시간정보를 출력하는 시계부(23)와, 히터에의 통전제어를 시행하는 통전제어부(24)와, 축열블럭(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기본적인 구성에 덧붙여, 실시형태 1의 축열난방기(10)에서는, 축열증가기능으로서, 축열증가기능의 온오프의 조작을 시행하기 위해서 축열증가조작부(11)와, 제어부(21)에 마련되고 축열증가조작부(11)의 조작에 의해서 히터(14)로의 통전을 온오프하는 축열증가제어부(2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축열증가기능은 심야전력시간외(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에 난방에 필요한 축열량이 부족한 경우에, 통상전력을 사용함으로써 히터(14)로의 통전을 시행하고, 축열블럭(12)을 가열하여 축열량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축열증가기능은 축열량이 하한치를 밑도는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개시되도록 구성해도 좋으나, 상술한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의 시간대는, 통상전력으로서 값이 비싼 전기요금이 설정되어 있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서, 축열증가기능의 개시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인위적인 조작을 시행하기 위한 축열증가조작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이 축열증가조작부(11)의 온오프조작으로는, 토글식의 스위치가 적합하고, 1회 째에 누르는 동작으로 축열증가기능이 개시되고, 2회 째에 누르는 동작으로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개시, 해제가 확실하게 시행된다.
또한, 축열증가제어부(26)에서는, 축열증가조작부(11)가 온조작되면, 시계부(23)로부터 시간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심야전력시간외인 것이 판단되고 나서, 히터(14)로의 통전을 개시한다. 또한, 축열증가조작부(11)에서는, 타이머기능이 마련되어 있어, 축열증가조작부(11)가 조작된 시간부터 소정시간, 예컨대 3시간이 경과하면, 히터(14)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축열증가기능의 정지망각이 발생하여, 값비싼 요금의 전력을 헛되게 소비하는 일이 방지된다. 물론, 소정시간경과전에, 축열증가조작부(11)가 오프조작되면,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히터(14)로의 통전을 정지할 수도 있다. 또한, 축열증가기능이 온조작되었을 때, 실제의 축열량를 확인하고 나서 히터(14)가 통전되도록 구성하여, 축열증가기능의 오조작을 방지하게 해도 좋다.
상술한 축열증가기능을 가지는 축열난방기(10)의 동작에 관해서 도 2 및 도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심야전력시간외에는, 통상은, 오전 7시에 100% 축열된 축열블럭(12)이 자연방열 또는 팬(16)을 사용한 강제방열이 시행됨으로써 축열량은 서서히 저하된다. 이 저하의 커브가 도 2의 B선(일점쇄선)과 같이 급격한 감소커브를 그리고, 하한치를 밑돌아 난방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P1점에서 축열증가조작부(11)가 조작되어 온이 된다(단계 101). 이어서, 축열증가조작부(11)가 온이된 시간이 시계부(23)에서 계측되어 심야전력시간외인 것이 판단되면(단계 102), 히터(14)가 온이 되어 축열블럭(12)에의 통전이 개시된다[단계103]. 이에 의해 축열량은 P1점에서 상승하고, 팬(16)에 의한 강제방열 또는 자연방열에 의해서 난방이 시행된다. 또, 상기 P1점은 하한치를 밑돈 후,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서 시각이 결정되는 점이다.
다음으로, 소정시간이 경과했거나, 또는 축열증가조작부가 2회 째에 조작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단계 105, 106). 이들 중 어느 것에 의해 P2점에 있어서 축열증가기능이 해제되어, 히터(14)가 오프된다(단계 107). 그 후는 G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16)에 의한 강제방열 또는 자연방열에 의해서 난방이 행해지고, 서서히 축열량이 소비된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심야전력개시시간이 되면 남아있는 축열량에 따라서 승온패턴의 개시시간이 판단되고, P점에서 심야전력종료시간근방을 향해서 축열량이 100%가 되도록 히타(14)로의 통전제어가 시행된다.
축열난방기(10)의 전체구성의 일례를 도 4에 나타낸다. 축열블럭(12)의 측면, 상면 및 하면은 각각 단열재(30, 32, 34)에 의해서 덮혀 있다. 이들 단열재(30, 32 , 34)의 외면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5)으로 덮혀 있고, 축열블럭(12)내에는 히터(14)가 매설되어 있다. 하우징(35)의 아래쪽에는 흡기구(36)와 송풍구(38)가 마련되고, 흡기구(36)에는 팬(16)이 마련되어 있다. 팬(16)에 의해서 흡기구(36)로부터 받아들여진 외기(OW)는, 축열블럭(12)의 외면을 통과중에 온풍으로 되어 송풍구(38)로부터 토출되도록 되어있다.
다음으로, 축열난방기(10)의 회로구성의 일례를 도 5에 나타낸다. 온도측정부(25), 시계부(23), 승온패턴기억부(22) 및 통전제어부(24)는 프로그램된 마이크로컴퓨터(4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40)는 CPU(42), ROM(44), RAM(46), 입력인터페이스(48) 및 출력인터페이스(50)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입력인터페이스(48)에는, 서미스터(TH), 조작스위치(SW1∼SWn) 및 발진회로(52)가 접속되어 있다. 서미스터(TH)는 온도의 상승과 함께 저항치가 증가하는 정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축열블럭(12)의 외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축열블럭(12)의 온도에 대응하는 전압강하를 온도측정부(18)로 출력한다. 발진회로(52)는 수정진동자를 사용한 것으로, 기준펄스를 발진하여 시계부(20)에 출력한다.
출력인터페이스(50)에는, 릴레이구동용의 트랜지스터(Tr1, Tr2)가 접속되어 있다. 축열블럭(12)에 매설되어 있는 히터(14)는 100V의 교류전원(54)에 병렬접속되어 있다. 히터(14)와 교류전류(54)와의 사이에는, 릴레이(RY1)의 상개접점(RYla)이 개재되어 있다. 팬(16)은 100V의 교류전원(56)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RY2)의 상개접점(RY2a)이, 팬(16)과 교류전원(56)과의 사이에 개삽되어있다. 교류전원(56)에는 교류를 정류하여 직류전압(Vd)을 얻는 직류전원(58)이 접속되어 있다. 또, 저항기( R1, R2)는 전류제한용, 저항기(Rth)는 분압용이다.
실시형태 1의 축열증가조작부(11)로서는, 도 5의 스위치(SW)의 1개, 예컨데, 스위치SW1이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스위치SW1을 누름으로써, 출력인터페이스(50)에서 트랜지스터(Tr1)로 온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Tr1)가 온이 된다. 그리고, 릴레이(RY1)가 구동하여 상개접점(RY1a)이 클로즈되고, 히터(14)가 통전되어 축열블럭(12)이 가열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축열증가조작부(11)가 다시 한번 눌러지거나, 또는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릴레이(RY1)가 오픈되어, 히터(14)의 통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축열증가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량이 하한치보다 저하하여, 난방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히터를 통전하여 난방을 할 수 있고, 난방이 도중에서 중단되는 불의의 경우를 해소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만일의 상태에 대비하여 축열블럭의 열용량을 필요이상으로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어지고, 사용하는 공간에 아주 알맞은 축열난방기를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구입시에 사용자의 비용적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이 축열증가기능은 사용자의 의사로 조작되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의 통상전력을 사용해서 까지 축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 실시형태 1의 축열난방기(10)는 종량전 등과 같은 간선을 사용하여, 주간전력(통상전력)을 비교적 고가로 하는 반면, 야간전력을 심야전력과 동등하게 값싸게 하는 시간대별전등제도를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2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실시형태 2의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실시형태 2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또, 실시형태 2는 기본적인 구성이 실시형태 1과 같기 때문에, 동일한 설명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축열난방기(10a)는 심야전력시간 내에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고, 이 축열블럭의 축열량를 소비하는 것으로 난방하는 축열난방기 로, 심야전력종료시간에 축열된 축열량의 상한치의 설정이 조정가능하다.
실시형태 2에서는, 축열량의 상한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미리 축열량의 상한치가 단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승온패턴을 준비해두고, 그 중에서 희망하는 승온패턴을 선택하는 것으로 축열량조정을 시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실시형태 2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기본적인 구성에 덧붙여, 희망하는 승온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하는 승온패턴조작부(13)와, 제어부(21a)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승온패턴을 기억하고 있는 승온패턴기억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승온패턴의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실시형태 2에서는, 시간(t)에 대하여 직선형상으로 승온하여 심야전력의 종료시간근방에서 상한치가 되는 승온패턴(E1∼E4)의 4개의 패턴이 기억되어 있다. 승온패턴(E1)은 상한치가 축열량의 최대치인 100%, 승온패턴(E2)은 최대치의 80%, 승온패턴(E3)은 최대치의 60%, 승온패턴(E4)은 최대치 40%로 설정되어 있다. 또, 이들의 승온패턴은 상한치를 단계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일례이고, 종류의 증감이나, 패턴자체, 또는 통전제어의 조건 등의 변경은 적절히 시행해도 좋다.
또, 승온패턴조작부(13)에서는, 「소」부터「대」사이에서 4단계로 축열량을 알리는 표시와, 1개의 조작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선택조작으로는, 조작버턴을 누를 때마다, 표시의 변화에 맞추어서 승온패턴이 순차적으로 바뀌고, 선호하는 축열량의 표시를 확인하여 설정을 완료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4단계 중에서 선택하도록 조작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1개의 버튼조작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축열량의 설정과 변환이 확실하게 시행된다. 또한, 이 승온패턴조작부(13)의 조작은 일례이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축열량의 대소에 각각 조작버튼을 대응시키거나, 다이얼식의 손잡이로 구성하거나, 또는, 반드시 단계적으로 선택하지 않고서 무단계로 상한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실시형태 2의 회로구성을, 실시형태 1의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승온패턴조작부(13)는 스위치(SWn)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승온패턴기억부(22a)는 마이크로컴퓨터(40)의 ROM(44) 또는 RAM(46)에 승온패턴이 기억된다.
이 실시형태 2의 축열난방기(10a)의 동작에 관해서 도 7, 도 8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승온패턴(E1∼E4)(점선) 중에서 희망하는 승온패턴을 선택하고, 승온패턴조작부(13)로 설정이 시행된다(단계 201). 여기서, 예컨대 승온패턴(E3)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승온패턴조작부(13)로 버튼을 수회 눌러 설정을 한다. 다음에, 심야전력의 시간의 개시시간이 되면(단계 202), 시간(t)에서의 승온패턴(E3)의 온도 P(t)가 승온패턴기억부(22a)에서 판독됨(단계 203)과 동시에, 시간(t)에 있어서의 축열블럭(12)의 온도 M(t)가 온도측정부(25)에 의해서 측정된다(단계 204).
계속해서, 온도 P(t)와 온도 M(t)가 비교되고(단계 205), P(t) < M(t)이면, 단계(203)로 되돌아간다. 축열블럭(12)은 A선(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t)과 함께 강온되지만, 승온패턴은 E3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t)과 함께 승온한다. 그리고, 결국 P(t)≥M(t)이 되면, 통전제어부(24)가 히터(14)를 온으로 한다(단계206). 이렇게 해서 축열블럭(12)의 온도 M(t)가 승온패턴(E3)에 따라 승온하여 심야전력종료시간근방에서, 축열량의 60%까지 축열된다. 심야전력의 종료시간이 되면(단계207), 통전제어부(24)가 히터(14)를 오프로 한다(단계 208).
이와 같이, 오전 7시에서 축열량이 60%로 설정된 경우에는, 심야전력시간대에서, 히터(14)로의 통전이 시각(t3)으로부터 개시된다. 축열량 100%의 승온패턴(E1)으로 설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A선으로 나타내는 축열블럭의 상태라도, 시각(t1)으로부터 개시되기 때문에, 비교하면 전자에서는 시각(t1-t3)사이의 심야전력 소비가 불필요해져서, 전력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축열난방기는 실시형태 1, 2로 나누어 설명했으나, 이들을 조합해서 하나의 축열난방기로 함으로써, 상승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온이나 사용자의 선호에 맞추어서, 설정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축열량을 컨트롤할 수가 있으며, 전력절약화를 달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열난방기로는,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량이 난방가능한 하한치를 밑돈 경우에,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는 축열증가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량이 부족하더라도, 난방이 도중에서 끊기는 걱정이 없이 축열난방을 유지 할 수 있다.
또한, 축열량이 부족한 경우에 대비하여 필요열량에 여유를 두고 설계할 필 요가 없어 축열난방기의 구입시에,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경감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또한, 축열증가기능은 조작부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서 비로소 개시되기 때문에, 통상전력을 사용하면서까지 축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고, 비용적인 부담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축열난방기는 심야전력종료시간에 축열되는 축열량의 상한의 설정이 조정가능하다. 이에 의해, 축열블럭에 축열된 축열량이 충분히 소비되지 않은 경우에, 소비량과 균형이 잡힌 축열량을 얻기 위해서, 축열량의 상한치를 낮게 설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축열에 소요되는 심야전력의 소비가 저감되어, 전력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심야전력시간 내에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고, 이 축열블럭의 축열량을 소비하는 것으로 난방하는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심야전력시간외에 축열량이 난방가능한 하한치를 밑도는 경우에, 통상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는 축열증가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축열난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축열증가기능을 개시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난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조작부에는 스위치가 마련되고, 스위치의 1회 째의 조작으로 축열증가기능이 개시되고, 2회 째의 조작으로 축열증가기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난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열증가기능은 개시로부터 소정시간경과 후에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난방기.
  5. 심야전력시간 내에 심야전력을 사용하여 축열블럭을 가열하고, 이 축열블럭의 축열량을 소비하는 것으로 난방하는 축열난방기에 있어서, 심야전력종료시간에 축열되는 축열량의 상한치의 설정이 조정가능한 축열난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심야전력종료시간에 축열되는 축열량은 단계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상한치 중에서 선택됨으로써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난방기.
KR1020000086028A 2000-12-29 2000-12-29 축열난방기 KR10066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028A KR100661082B1 (ko) 2000-12-29 2000-12-29 축열난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028A KR100661082B1 (ko) 2000-12-29 2000-12-29 축열난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78A KR20020058178A (ko) 2002-07-12
KR100661082B1 true KR100661082B1 (ko) 2006-12-26

Family

ID=3748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028A KR100661082B1 (ko) 2000-12-29 2000-12-29 축열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0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178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0409B2 (en) Hot water heater stacking reduction control
JPH10508809A (ja) 自動車のシート用電気暖房設備を作動させる方法及び回路装置
KR100661082B1 (ko) 축열난방기
JP3446890B2 (ja) 蓄熱暖房器
JP5134790B2 (ja) 電気暖房機
JP2650875B2 (ja) 蓄熱量制御方法
JP3633575B2 (ja) 電気湯沸かし器
JPH0833236B2 (ja) 電気温水器
JP2650818B2 (ja) 蓄熱暖房器
JP2007280941A (ja) 加熱調理器
JP2754393B2 (ja) 電気温水器の沸き上げ制御装置
JPH0658631A (ja) 蓄熱暖房器
JPH0833235B2 (ja) 電気温水器
JPH0658632A (ja) 蓄熱暖房器
KR100499070B1 (ko) 찜조리기능을 갖는 가스자동취반기 및 그를 이용하는 방법
JPH11141993A (ja) 蓄熱暖房器の通電制御装置
JPH03286960A (ja) 貯湯式電気温水器
JPS61110840A (ja) 電気温水器の制御装置
JPH02217748A (ja) 電気温水器
KR200332621Y1 (ko) 숙면기능을 구비한 온열매트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18931Y2 (ja) 蓄熱式電気暖房器
JP2021116968A (ja) 温風暖房装置
JP2568639B2 (ja) 温風暖房機
JPH11337090A (ja) 床暖房装置
JPH034674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