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761B1 -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761B1
KR100659761B1 KR1020040081500A KR20040081500A KR100659761B1 KR 100659761 B1 KR100659761 B1 KR 100659761B1 KR 1020040081500 A KR1020040081500 A KR 1020040081500A KR 20040081500 A KR20040081500 A KR 20040081500A KR 100659761 B1 KR100659761 B1 KR 100659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ayer pattern
semiconductor layer
insulating film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2536A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761B1/ko
Priority to JP2005151294A priority patent/JP4377355B2/ja
Priority to US11/247,470 priority patent/US7659578B2/en
Priority to CN200510124965.2A priority patent/CN1794452B/zh
Priority to CN2010102868256A priority patent/CN101982884B/zh
Publication of KR2006003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37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different composition, shape, layout or thickness of the gate insulator i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integrated with passive devices, e.g. auxiliary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0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 H01L29/78618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 H01L29/78621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with supplementary region or layer in the thin film or in the insulated bulk substrate supporting it for controlling or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device characterised by the drain or the source properties, e.g. the doping structure, the composition, the sectional shape or the contact structure with LDD structure or an extension or an offset region or characterised by the doping profile

Landscapes

  • Power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감소시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게이트전극 및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는 게이트절연막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정전용량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캐패시터, 유전체막, 표면적, 개구율

Description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도 1 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소자의 평면도.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공정 순서에 따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공정 순서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기판 210 : 완충막
220a, 220b, 220x, 220y, 220z : 다결정실리콘층패턴
222a, 222b, 222x, 222y : 소오스/드레인영역
222b, 222z : 하부전극 224 : LDD영역
230 : 게이트절연막 232 : 게이트절연막패턴
240 : 감광막패턴 250a, 250x, 250y : 게이트전극
250b, 250z : 상부전극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서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감소시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는 각 단위화소가 기본적으로 게이트라인, 데이터라인 및 전원공급라인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캐패시터 그리고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캐패시터는 게이트라인 및 게이트전극, 데이터 라인, 소오스/드레인 전극 및 전원공급층의 형성 시 형성된다. 평판표시소자에 있어서,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상기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캐패시터의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유전체막의 두께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유전율이 높은 유전체막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개구율을 감소시키고, 유전체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공정을 추가로 실시하여 공정을 복잡하게 한다.
도 1 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표시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는 다수의 게이트라인(110), 다수의 데이터라인(120) 및 다수의 전원공급라인(130) 그리고 상기 게이트라인(110), 데이터라인(120) 및 전원공급라인(130)에 연결 구성되는 다수의 화소를 구비한다.
상기 각 화소는 다수의 게이트라인(110) 중 해당하는 하나의 게이트라인과 다수의 데이터라인(120)중 해당하는 하나의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스위칭용 박막트랜지스터(170)와, 상기 전원공급라인(130)에 연결되는 전계 발광 소자(160)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150)와, 상기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150)의 게이트-소오스 간 전압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캐패시터(140) 및 전계 발광 소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150)는 소오스/드레인영역을 구비한 반도체층(152), 게이트전극(154) 및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과 콘택홀(155a, 155b)을 통해 각각 연결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156a, 156b)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용 박막 트랜지스터(170)도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캐패시터(140)는 상기 스위치용 박막 트랜지스터(170)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중 하나, 예를 들어 소오스전극과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150)의 게이트에 연결되는 하부전극(144)과, 상기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150)의 소오스/드레인 전극중 하나, 예를 들어 소오스전극(156a)과 공통전원라인(130)에 연결되는 상부전극(146)을 구비한다. 개구부(165)를 구비하는 전계 발광 소자의 애노드전극인 화소전극(160, 161)은 비아홀(158)을 통해 상기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150)의 소오스/드레인 전극(156a, 156b)중 하나, 예를 들어 드레인전극(156b)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는 하나의 화소 내에 박막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가 구비되는 비발광영역과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발광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이 증가하면 발광영역이 감소되는 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캐패시터는 화소 내에서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소자가 고집적화되어 감에 따라 고용량의 캐패시터가 요구되고 있다. 고용량의 캐패시터가 필요할수록 화소 내에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발광영역의 감소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개구율의 감소가 불가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주입마스크를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소정 두께의 게이트절연막을 제거함으로써 마스크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감소시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는,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절연기판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반도체층패턴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전체표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보다 상기 제1영역의 일부 및 제2영역 상에서 얇게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에 구비되는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 및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상부에 구비되는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 자는,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구분되는 절연기판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반도체층패턴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전체표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보다 상기 제2영역의 일부 및 제3영역 상에서 얇게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와 제2영역에 구비되는 반도체패턴의 중심부 및 상기 제3영역의 반도체패턴 상부에 구비되는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부에 반도체층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기판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를 보호하는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노출된 절연막을 소정 두께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중심부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상측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1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은,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부에 반도체층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기판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를 보호하는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및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고농도의 제1도전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노출된 절연막을 소정 두께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중심부 및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상부에 도전층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저농도의 제1도전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고농도의 제2도전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제2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로서, 기판은 N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A)과 캐패시터영역(B)으로 구분되어 있다.
먼저, 투명절연기판(200)의 전면에 실리콘산화물을 플라즈마-강화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방법으로 소정 두께의 완충막(2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완충막(210)은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비정질실리콘층의 결정화 공정 시 상기 투명절연기판(200) 내의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상기 완충막(210) 상부에 반도체층인 비정질실리콘층(도시안됨)을 소정두께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비정질실리콘층을 ELA(Excimer Laser Annealing),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또는 MILC(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법 등을 사용하여 결정화하고, 사진식각공정으로 패터닝하여 단위 화소 내의 제1영역(A)과 제2영역(B)에 다결정실리콘층패턴(220a, 220b)을 각각 형성한다.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게이트절연막(2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절연막(230)은 실리콘산화막(SiO2), 실리콘질화막(SiNx) 또는 그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게이트절연막(230) 상부에 상기 제1영역(A)의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제2영역(B)을 노출시키는 감광막패턴(24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감광막패턴(240)을 이온주입마스크로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1영역(A)에 소오스/드레인영역(222a)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2영역(B)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222b)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감광막패턴(240)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영역(A) 및 제2영역(B)의 게이트절연막(230)을 소정 두께 제거하여, 제1영역(A)과 제2영역(B)에서 각각 다른 두께를 갖는 게이트절연막패턴(232)을 형성한다. 상기 제1영역(A) 및 제2영역(B)에서 게이트절연막패턴(232) 두께는 소자의 특성 및 요구되는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A)과 제2영역(B)의 반도체층패턴(220a)의 중심부 즉, 채널영역보다 제1영역(A)의 일부 및 제2영역(B)의 게이트절연막패턴(232)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 감광막패턴(240)을 제거한다.
그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게이트전극용 도전층(도시 안됨)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전극용 도전층은 몰리브덴(Mo) 또는 몰리-텅스텐(MoW)과 같은 합금의 단일층.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네오디뮴(Al-Nd)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의 단일층 혹은 위에 언급한 금속들의 이중 층으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진식각공정으로 상기 게이트전극용 도전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영역(A)에 게이트전극(250a)을 형성하고, 제2영역(B)에는 캐패시터의 상부전극(250b)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극(222b), 게이트절연막패턴(232) 및 상부전극(250b)으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의 표면적은 하기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4046332927-pat00001
(ε는 유전상수, Cst는 캐패시턴스, tGI는 게이트절연막패턴의 두께)
상기 [수학식 1]에 의하면 캐패시턴스(Cst) 및 게이트절연막의 유전상수(ε)는 고정된 값이며,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는 게이트절연막패턴의 두께(tGI)에 따라 캐패시터의 표면적(A′)의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게이트절연막패턴의 두께(tGI)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된 바 있지만 소자의 특성 및 요구되는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달리질 수 있으므로 상기 캐패시터의 표면적(A′)은 상기 게이트절연막패턴의 두께(tGI)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 게이트전극(250a)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제1영역(A)의 반도체층패턴(220a)에 LDD영역(224)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소오스/드레인영역에 접속되는 소오스/드레인전극을 형성하여 박막트랜지스터를 완성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접속되는 발광소자를 형성하여 평판표시소자를 완성한다. 상기 평판표시소자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또는 액정표시소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법은 하기에 기술된 CMOS 박막트랜지스터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한 공정 단면도로서, 기판은 N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X), P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Y) 및 캐패시터영역(Z)으로 구분되어 있다.
먼저, 투명절연기판(200)의 전면에 실리콘산화물을 플라즈마-강화 화학기상증착(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방법으로 소정 두께의 완충막(21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완충막(210)은 후속 공정으로 형성되는 비정질실리콘층의 결정화 공정 시 상기 투명절연기판(200) 내의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 상기 완충막(210) 상부에 반도체층인 비정질실리콘층(도시안됨)을 소정두께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비정질실리콘층을 ELA(Excimer Laser Annealing), SLS(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MIC(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또는 MILC(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법 등을 사용하여 결정화하고, 사진식각공정으로 패터닝하여 단위 화소 내의 제1영역(X)과 제2영역(Y) 및 제3영역(Z)에 다결정실리콘층패턴(220x, 220y, 220z)을 각각 형성한다.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게이트절연막(2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절연막(230)은 실리콘산화막(SiO2), 실리콘질화막(SiNx) 또는 그 적층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상기 게이트절연막(230) 상부에 상기 제2영역(Y)의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제3영역(Z)을 노출시키는 감광막패턴(240)을 형성한다.
다음, 상기 감광막패턴(240)을 이온주입마스크로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상기 제2영역(Y)에 소오스/드레인영역(222y)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3영역(Z)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222z)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감광막패턴(240)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영역(Y) 및 제3영역(Z)의 게이트절연막(230)을 소정 두께 제거하여, 제1영역(X), 제2영역(Y) 및 제3영역(Z)에서 각각 다른 두께를 갖는 게이트절연막패턴(232)을 형성한다. 상기 제2영역(Y) 및 제3영역(Z)에서 게이트절연막패턴(232) 두께는 소자의 특성 및 요구되는 캐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X)과 제2영역(Y)의 반도체층패턴(220y)의 중심부 즉, 채널영역보다 제2영역(Y)의 일부 및 제3영역(Z)의 게이트절연막패턴(232)의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다음, 상기 감광막패턴(240)을 제거한다.
그 다음, 전체표면 상부에 게이트전극용 도전층(도시 안됨)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전극용 도전층은 몰리브덴(Mo) 또는 몰리-텅스텐(MoW)과 같은 합금의 단일층.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네오디뮴(Al-Nd)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의 단일층 혹은 위에 언급한 금속들의 이중 층으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이어서, 사진식각공정으로 상기 게이트전극용 도전층을 식각하여 상기 제1영역(X) 및 제2영역(Y)에 게이트전극(250x, 250y)을 형성하고, 제3영역(Z)에는 캐패시터의 상부전극(250z)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전극(222z), 게이트절연막패턴(232) 및 상부전극(250z)으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의 표면적은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다음, 게이트전극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제2영역(Y)의 반도체층패턴(220y)에 LDD영역(224)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제1영역(X)을 노출시키는 감광막패턴(도시안됨)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막패턴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영역(X)의 반도체층패턴(220x)에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222x)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고 그 후속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트랜지스터영역의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감광막패턴을 이용하여 캐패시터의 유전체막으로 사용되는 게이트절연막을 소정 두께 제거하여 정전용량을 증대시킴으로써 마스크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캐패시터의 표면적을 감소시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의 개구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3)

  1.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절연기판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반도체층패턴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전체표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보다 상기 제1영역의 일부 및 제2영역 상에서 얇게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에 구비되는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 및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상부에 구비되는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N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캐패시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채널영역,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LDD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 도체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도전층패턴은 게이트전극이고, 상기 제2영역의 도전층패턴은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게이트절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 또는 실리콘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절연막 및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의 표면적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수학식 1]
    Figure 112004046332927-pat00002
    (A′는 캐패시터의 표면적, ε는 유전상수, Cst는 캐패시턴스, tGI는 절연막의 두께)
  9.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구분되는 절연기판 상부에 각각 구비되는 반도체층패턴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전체표면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보다 상기 제2영역의 일부 및 제3영역 상에서 얇게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와 제2영역에 구비되는 반도체패턴의 중심부 및 상기 제3영역의 반도체패턴 상부에 구비되는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P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N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은 캐패시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도전층패턴은 게이트전극이고, 상기 제3영역의 도전층패턴은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채널영역 및 소오스/드레인영역이고, 상기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LDD영역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게이트절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 또는 실리콘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절연막 및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의 표면적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수학식 1]
    Figure 112004046332927-pat00003
    (A′는 캐패시터의 표면적, ε는 유전상수, Cst는 캐패시턴스, tGI는 절연막의 두께)
  18. 제1영역 및 제2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부에 반도체층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기판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를 보호하는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에 노출된 절연막을 소정 두께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중심부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상측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N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캐패시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영역,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LDD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게이트절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 또는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도전층패턴은 게이트전극이고, 제2영역의 도전층패턴은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절연막 및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의 표면적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4046332927-pat00004
    (A′는 캐패시터의 표면적, ε는 유전상수, Cst는 캐패시턴스, tGI는 절연막의 두께)
  26. 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부에 반도체층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층패턴을 포함한 기판 상부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막 상부에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의 중심부를 보호하는 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이온주입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및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고농도의 제1도전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식각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영역 및 제3영역에 노출된 절연막을 소정 두께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막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중심부 및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상부에 도전층패턴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저농도의 제1도전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에 고농도의 제2도전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PMOS 박막트랜지스터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NMOS 박막트 랜지스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은 캐패시터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채널영역 및 소오스/드레인영역이고, 제2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채널영역, 소오스/드레인영역 및 LDD영역이며,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은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게이트절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산화막 또는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 및 제2영역의 도전층패턴은 게이트전극이고, 제3영역의 도전층 패턴은 캐패시터의 상부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영역의 반도체층패턴, 절연막 및 도전층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캐패시터의 표면적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4046332927-pat00005
    (A′는 캐패시터의 표면적, ε는 유전상수, Cst는 캐패시턴스, tGI는 절연막의 두께)
KR1020040081500A 2004-10-12 2004-10-12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00A KR100659761B1 (ko) 2004-10-12 2004-10-12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5151294A JP4377355B2 (ja) 2004-10-12 2005-05-24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US11/247,470 US7659578B2 (en) 2004-10-12 2005-10-11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ariable thickness insulat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200510124965.2A CN1794452B (zh) 2004-10-12 2005-10-12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CN2010102868256A CN101982884B (zh) 2004-10-12 2005-10-12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00A KR100659761B1 (ko) 2004-10-12 2004-10-12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536A KR20060032536A (ko) 2006-04-17
KR100659761B1 true KR100659761B1 (ko) 2006-12-19

Family

ID=3614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500A KR100659761B1 (ko) 2004-10-12 2004-10-12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9578B2 (ko)
JP (1) JP4377355B2 (ko)
KR (1) KR100659761B1 (ko)
CN (2) CN101982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4457B (en) * 2005-03-09 2006-05-01 Au Optronics Corp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with lightly doped drain
KR101094285B1 (ko) 2009-12-04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084273B1 (ko) 2010-03-03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2263062B (zh) * 2010-05-28 2013-05-01 无锡华润上华半导体有限公司 复合半导体器件的侧壁形成方法
KR102015986B1 (ko) * 2012-01-06 2019-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3107095A (zh) * 2013-01-25 2013-05-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作方法、阵列基板、显示装置
JP6436333B2 (ja) * 2013-08-06 2018-12-12 Tianma Japan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4716271B (zh) * 2013-12-12 2018-05-25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161600B1 (ko) 2013-12-17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134674B (zh) * 2014-07-18 2017-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晶硅薄膜晶体管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4409413B (zh) * 2014-11-06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制备方法
CN105870199A (zh) * 2016-05-26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薄膜晶体管、薄膜晶体管的制备方法及cmos器件
CN106783626A (zh) * 2017-01-04 2017-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10197851A (zh) * 2018-02-27 2019-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阵列基板和电子装置
CN109712992A (zh) * 2018-12-21 2019-05-03 惠科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140637A (zh) * 2020-01-20 2021-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阵列基板、薄膜晶体管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154A (ja) * 1992-12-03 1994-06-2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10058684A (ko) * 1999-12-30 2001-07-06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1885A (ko) * 1999-12-01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능동 매트릭스 기판 및 그 제작방법
KR20020054852A (ko) * 2000-12-28 2002-07-08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8534B2 (ja) 1990-12-20 1997-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5623443A (en) * 1994-03-11 1997-04-22 Waferscale Integration, Inc. Scalable EPROM array with thick and thin non-field oxide gate insulators
KR100310179B1 (ko) * 1999-04-01 2001-10-29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엑스레이 영상 감지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3386017B2 (ja) * 1999-10-15 2003-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の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4387065B2 (ja) 2000-01-26 2009-12-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作製方法
KR100437475B1 (ko) * 2001-04-13 2004-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용 표시 소자 제조 방법
JP2003114646A (ja) 2001-08-03 2003-04-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699987B1 (ko) 2001-08-06 2007-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높은 캐패시턴스를 갖는 평판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1046B1 (ko) * 2003-08-28 2006-02-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이엘 소자
KR100600878B1 (ko) * 2004-06-29 2006-07-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5154A (ja) * 1992-12-03 1994-06-24 Seiko Epson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010101885A (ko) * 1999-12-01 2001-11-15 요트.게.아. 롤페즈 액정 디스플레이를 위한 능동 매트릭스 기판 및 그 제작방법
KR20010058684A (ko) * 1999-12-30 2001-07-06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54852A (ko) * 2000-12-28 2002-07-08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14871A (ja) 2006-04-27
CN101982884A (zh) 2011-03-02
US7659578B2 (en) 2010-02-09
CN1794452B (zh) 2011-03-16
KR20060032536A (ko) 2006-04-17
CN1794452A (zh) 2006-06-28
US20060076618A1 (en) 2006-04-13
JP4377355B2 (ja) 2009-12-02
CN101982884B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7355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4309362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732371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US7728328B2 (en)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254688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503459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3134A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1997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한평판표시장치
KR100913794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0781A (ko)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US7335915B2 (en) Image display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46790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0249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58356A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8851B1 (ko)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US7851282B2 (en) Method for forming thin film devices for flat panel displays
KR100635067B1 (ko) 엘디디 구조를 갖는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3513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56493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611757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