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7018B1 -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 Google Patents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7018B1
KR100657018B1 KR1020040065039A KR20040065039A KR100657018B1 KR 100657018 B1 KR100657018 B1 KR 100657018B1 KR 1020040065039 A KR1020040065039 A KR 1020040065039A KR 20040065039 A KR20040065039 A KR 20040065039A KR 100657018 B1 KR100657018 B1 KR 10065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cirrhosis
present
green tea
liver fibr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551A (ko
Inventor
조홍연
홍범식
신동훈
김혜경
양택훈
이유현
호진녕
김은주
김춘화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6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018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에 의한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수유 (Comus officinalis), 솔잎 (Pinus koraiensis), 녹차 (Camellia Sinensis)의 메탄올 추출물로서 간성상세포인 HSC-T6 cell에서의 간섬유화의 지표인 collagen type I의 생성억제와 급성 간경화 모델 흰쥐에서의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및 보호 효과를 보임으로써, 본 발명은 간보호 기능성 식품이나 식품첨가물 또는 치료용 제제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Plant Extracts for Inhibition of Alcoholic Liver Fibrosis}
도 1은 HSC-T6 cell상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type I collagen 생성 억제 효과를 보인 도표이다.
도 2는 급성 간경화 유발 흰쥐모델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의 간내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를 비교한 도표이다.
도 3은 급성 간경화 유발 흰쥐모델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의 collagen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한 도표이다.
도 4는 급성 간경화 유발 흰쥐모델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의 간 보호 효과를 나타낸 간조직 검경사진이다.
본 발명은 알코올에 의한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를 예방 및 치료하는 식물 유래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간질환의 병리학적 경로에 있어 최종 단계 간경변의 전단계인 간섬유화를 억제함으로써, 간경변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지는 식물 유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간섬유화는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는 간경화 병인의 50%가 알코올 과량섭취에 기인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도 20세 이상 남성에서 83%로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여성의 음주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 물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참조 : Greenwell P. Alcohol. Clin. Exp. Res., 23, 3, 930-933, 1999).
알코올의 간 내 산화기전은 ①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한 경로와 ②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의 두가지로 나뉜다. 각 경로에서의 결과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매우 독성이 강하며, 알콜성 간질환의 주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 물질은 생체내 많은 효소와 단백질의 변형을 야기시키면서 동시에,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 HSCs)에서 type I collagen 합성을 자극하여 간섬유화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간섬유화 관련 알코올의 작용은 oxidative stress에 의해 c-myb, NF-κB가 유도되거나 IGF, TGFβ1, cytokine 등이 관여하여 HSCs를 활성화시키는 기전이 일부 밝혀지고 있다. 또한 알코올 섭취 후 간에서의 지방축적은 만성 간질환으로 진행하는 대표적인 경우로 혈청내 중성지방의 증가는 간에서 VLDL의 증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며, 간 내에서 각종 지방 대사산물과 과산화지질의 대사과정들은 알데히드의 생성원인이 되기도 한다 (참조 : Svegliati-Baroni, G. et al. Hepatology, 23, 1189-1199, 1996, Tuma, D. J. et al. Hepatology, 23, 872-880, 1996, Casini, A., Hepatology, 13, 758-765, 1991, Geertss, A. et al., J. Hepatology, 9, 59-68, 1989, Shimizu, I. et al. Hepatology, 29, 149-160, 1999).
한편 간섬유화 또는 간경변은 각종 간질환의 병리학적 경로에 있어 최종 경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간세포의 섬유화는 간성상세포가 활성화되면서 collagen type I을 비롯한 ECM protein들이 합성, 분비됨으로써 발병하는 과정이다. 현재 간섬유화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중점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는 크게 ①HSCs의 활성화를 되돌리거나 억제시키는 연구, ②ECM protein들의 합성을 억제 또는 ③생성된 ECM protein들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연구, ④collagenase 등의 matrix metalloproteinases(MMPS) gene들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연구, ⑤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와 같은 MMPs 저해인자들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연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식용생물자원이 함유하고 있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및 치료용 phytochemicals에 관한 연구 및 개발보고는 없다(참조 : Zhu, J. et al. Gastroenterology, 117, 1198-1204, 1999, Inoue, T.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macology, 378, 129-135, 1999 ).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이 간에서 간섬유화 억제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성식품, 식품의약, 의약의 개발에 있어 요구되는 식품신소재를 개발함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물질의 임상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오랫동안 식품으로 이용해 온 200여 종의 식·약용식물을 대상으로 간섬유화 억제물질을 검색하였다. 검색을 수행하던 중 국내에서 오랫동안 음용해 온 녹차를 비롯한 산수유, 솔잎의 메탄올 추출물에 높은 간섬유화 억제활성을 발견하고 in vitroin vivo에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성이 확립된 식·약용 생물자원으로부터 간섬유화의 원인인 간성상세포(hepatic stellate cell)의 collagen type I 생성 억제활성이 있는 천연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L-FABP 증강제를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치료용 기능성 식품이나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수유 (Comus officinalis), 솔잎 (Pinus koraiensis), 또는 녹차 (Camellia Sinensis)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의 collagen type I 생성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친수성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도 추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산수유, 솔잎, 또는 녹차의 메탄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메탄올은 50%~100%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0% 메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활성성분의 용출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산수유, 솔잎, 또는 녹차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각종 유기용매, 예컨대,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가 분획할 수도 있으며, 유기용매 분획 후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로 추가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간성상세포의 collagen type I 생성 억제제는 알콜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섬유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type I collagen의 작용기작 및 이들에 의한 간성상세포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내용들이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Svegliati-Baroni, G. et al. Hepatology, 23: 1189-1199 (1996); Shimizu, I. et al. Hepatology, 29 : 149-160 (1999); Zhu, J. et al. Gastroenterology, 117 : 1198-1204 (1999)),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간성상세포의 collagen type I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알코올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성이 높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용식물인 산수유, 솔잎, 녹차로부터 분리한 천연물질로 기존의 유기합성약제에 비해 부작용이 없고, 안전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간성상세포의 collagen type I 생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기능성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간성상세포의 collagen type I 생성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녹차, 산수유, 솔잎으로부터 분리한 간섬유화 억제활성 물질 및 그 in vitro, in vivo 간섬유화 억제활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알코올 섭취 후 간내 산화에서 생성된 아세트 알데하이드에 의한 type I collagen의 증가를 흰쥐의 간성상세포인 HSC-T6 cell line을 이용하여 in vitro과, 간경화 모델인 DMN 처리 흰쥐를 사용한 in vivo 상에서 간섬유화 억제활성의 확인을 거쳐서, 간섬유화 예방효과를 보이는 산수유 (Comus officinalis), 솔잎 (Pinus koraiensis), 녹차 (Camellia Sinensis)의 메탄올 추출물을 획득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200여 종의 식·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추출한 추출물 중에서 녹차, 산수유, 솔잎의 메탄올 추출물이 비교적 높은 간섬유화 억제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DMN으로 처리된 간섬유화 흰쥐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추출물들의 간섬유화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수유, 솔잎, 또는 녹차 추출물에는, 추출, 분획 및 정제 처리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 희석액 또는 농축액, 또는 그 건조물 중 어느 하나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친수성유기용매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등의 탄소수1~5의 저급알콜;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저급지방족케톤;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탄소수 2~5의 다가알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친수성 유기용매와 물과의 혼합용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료인 산수유, 솔잎, 또는 녹차 추출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과립, 정제, 캡슐 또는 드링크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보존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통 상 제제화에 사용되는 캐리어, 그 밖의 임의의 조제를 부가하여도 좋다. 또한, 식품 또는 약물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보조적인 원료 또는 첨가물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포도당, 과당, 자당, 말토오스, 솔비톨, 스테비오사이드, 롭소사이드, 콘시럽, 유당,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호박산, 유산, L-아스코르빈산, d1-α-토코페롤, 엘리솔빈산 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아라비아껌, 칼라기난, 카제인, 젤라틴, 펙틴, 한천, 비타민 B류, 니코틴산 아미드, 팬트텐산 칼슘, 아미노산류, 칼슘염류, 색소, 향료, 보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이를 그대로 음식물중에 첨가하여 알코올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의 음식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간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음식물에 있어서의 식물 추출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음식물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음식물에 대하여 통상 0.01~50질량%, 바람직하기로는 0.1~20질량%의 범위이다. 또한, 과립, 정제 또는 캡슐형태의 음식물의 경우에는 통상 0.1~100질량%, 바람직하기로는 5~100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간 L-FABP 증강제의 유효성분인 도라지 추출물은, 성인 하루당 섭취량이 1~3000mg이 되도록 투여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투여량은 연령, 증상 등에 따라 적당히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산수유 ( Comus officinalis ), 솔잎 ( Pinus koraiensis ), 녹차 ( Camellia Sinensis ) 메탄올 추출물에서의 type I collagen 억제 활성
200여종의 식·약용 생물자원으로부터 선발된 산수유, 솔잎, 녹차의 type I collagen 억제 활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산수유 열매부위, 소나무와 녹차나무의 잎부분을 100℃에서 5분간 blanching하여 실온에서 시료의 다섯배의 100% 메탄올로 24시간 정치하여 추출하는 방법을 3회 반복한 다음, 그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였다(C-M). 상기의 농축물에 1L의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순으로, 각 용매당 36시간 동안 3회 용매를 교환하여 분획깔대기로 분획하고(M-H, M-C, M-E) 남은 것을 메탄올에 녹였으며(M-M) 각각의 용매 분획물을 여과포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흰쥐의 간 성상세포주인 HSC-T6 cell(Mount Sinai Medical Center, NY, Dr. Friedman으로부터 제공)을 1.5 x 104 cells/well로 24 well에 seeding한 후 37℃에서 40시간 동안 지난 후 175 μM의 아세트 알데하이드, β-aminopropionitrile fumarate (100 μg/ml), L-ascorbic acid (50 μg/ml)을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 다. 이 배양액을 carbonate/bicarbonate buffer (pH 9.6)으로 희석하여, ELISA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Immuno-well plate에 0.01% glutaraldehyde를 100 ㎕씩 분주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증류수로 plate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였다. 상기의 희석배양액을 분주하여 2시간 반응시킨 후 다시 plate를 세척하고 blocking solution (0.5% BSA)으로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collagen type I polyclonal antibody(Abcam, Cambridge, UK)를 1:4,000 (0.5% BSA)으로 희석하여 100 ㎕씩 분주하고 37℃에서 다시 1시간 반응시켰다. Anti-rabbit IgG conjugated peroxidase(Sigma, St. Louis, USA)를 1:8,000으로 0.5% BSA에 희석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각 단계에서 plate는 세 번씩 세척과 물기제거를 반복하였다. 기질 (TMB 10 mg/ml DMSO, 3% H2O2, 50 mM sodium acetate buffer,pH 5.1)을 well 당 100 ㎕씩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키고, 1 M의 황산을 50 ㎕씩 첨가하여 반응을 완전히 중단시킨 후 microplate reader(Model 550, BIO-RAD laboratories, USA)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시행한 결과, 각각의 추출물을 0.1 m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산수유 (28.0%), 솔잎 (23.8%), 녹차 (26.8%)에서의 억제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미도시). 또한, 다시 농도를 희석하여 50 ug/ml 및 100 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억제활성을 살펴보았다. 도 1은 HSC-T6 cell상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 메탄올 추출물의 type I collagen 생성 억제 효과를 보인 도표이다. 여기서, Type I collagen의 생성억제활성(%)은 아래 식에 따라 환산하였다.
Inhibitory activity of Type I collagen production (%)
=[1 - (As - Ab / Ac - Ab) ] × 100
Ac: 아세트 알데하이드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의 흡광도
Ab: 아세트 알데하이드 처리한 후, sample 처리하지 않은 배양액의 흡광도
As: 아세트 알데하이드 처리한 후, sample 처리한 배양액의 흡광도
실시예 2 : 간경화 모델인 DMN 처리 흰쥐에서의 간섬유화 예방효과의 검정
간경화를 모델을 유도하기 위하여 체중 240 ± 7 g 정도의 웅성 wister 흰쥐(샘타코)를 각 군당 8마리씩 대상으로 하여, dimethylnitrosamine (DMN) 10 mg/kg body weight(0.15 mol/l pyrogen free sterile NaCl에 희석)를 1일 1회씩 주당 3일 연속으로 일정한 시간에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본 실험은 4주간 지속되었으며, 샘플은 식수에 1.5 mg/l와 3 mg/l 두 군으로 나뉘어져 식수와 함께 자유로이 음용되었다. 컨트롤군에는 NaCl이 동일량으로 투여되었다. 희생 후 간을 적출하고, 간무게의 10배 부피의 phosphate buffer(0.5 M)를 가하여 균질화 한 후 Teflon glass homogenizer(Glas-Col)로 균질화한 후, 10,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간내 과산화 지질 측정과 간내 collagen의 감소를 알 수 있는 지표인 hydroxyproline assay를 통하여 세가지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참조: Spector et al. Cells, a laboratory manual, Vol. 1, 34.1~55.1, CSHL Press, 1998).
과산화지질 측정은 균질화된 조직 0.5 ml에 10% trichloroacetic acid 3.5 ml을 혼합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2 ml을 취하여 0.6% thiobarbituric acid reagent(0.25 N HCl과 즉시 혼합하여 제조) 2 ml과 다시 혼합하고, 15분간 100℃ 수조에서 반응시킨 후 흡광도 532 nm에서 측정하였다(도 2). 도 2는 급성 간경화 유발 흰쥐모델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의 간내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를 비교한 도표이다. DC: 급성 간경화 모델(DMN-treated), AL: 녹차 저농도(0.15%) 투여군, AH: 녹차 고농도(0.3%) 투여군, BL: 산수유 저농도(0.15%) 투여군, BH: 산수유 고농도(0.3%) 투여군, CL: 솔잎 저농도(0.15%) 투여군, CH: 솔잎 고농도(0.3%) 투여군. 여기서, MDA는 알코올 섭취시 발생하는 toxic한 아세트 알데하이드의 영향으로 세포내 활성산소에 대한 보호기작의 저하에 따라 지질과산화가 일어나며, 이는 간경화로 발전하는 전단계 중의 하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러한 지질과산화의 생성물인 MDA는 아래식에 따라 표현되었다.
MDA (%) = [1 - Ab/Ac] x 100
Ab : 156 mM-1·cm-1 (extinction coefficient for MDA-reactive product) x
sample 처리군 또는 간경화모델의 흡광도
Ac: 156 mM-1·cm-1 (extinction coefficient for MDA-reactive product) x
컨트롤 군의 흡광도
도 2에서 간경화 모델군의 MDA보다 샘플 고농도 투여시 MDA가 현저히 감소했으며, 특히 녹차 고농도군 (AH)에서의 MDA는 간경화 모델군의 50% 수준으로 감소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간내 collagen의 측정은 균질화된 조직을 6 N 염산에서 110℃에서 16시간 동 안 가수분해시킨 후, 이를 다시 100℃ 수조에서 증발시켜 산을 제거하고, 잔여물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일정 부피가 되게 하였다. 50% isopropanol 1.2 ml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chloramine-T solution과 혼합하여 10분간 실온에 방치하였다. 마지막으로 p-dimethylamino-benzaldehyde(60% perchloric acid)를 넣어 60℃에서 30분간 반응하여 흡광도 558 nm에서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미리 측정한 hydroxyproline standard에 따라 농도를 결정하였으며, 단위는 ㎍/g wet liver로 표시되었다. 그 결과 간경화모델군에 비해, 1.5 mg/l와 3.0 mg/l 투여농도에서 녹차는 11%와 42%, 산수유는 6%와 27%, 솔잎은 26%와 24%의 collagen 감소를 보여 간섬유화의 억제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녹차 메탄올 추출물 3.0 mg/ml의 농도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도 3). 도 3은 급성 간경화 유발 흰쥐모델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의 collagen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한 도표이다.
상기에서 희생된 흰쥐의 적출된 간을 10% formaldehyde 에 고정하여, 농도별 알코올로 탈수시키고, 파라핀으로 embedding한 후 파라핀 고정 조직을 Microme HM 340E로 7 ㎛ 두께의 절편이 되도록 자른 다음 슬라이드 글라스에서 the Mayer's hematoxylin and eosin 염색을 실시, 간조직의 변화를 검경하였다. 산수유와 솔잎은 정상군에 비해 간이 손상되었으나, 간경화 모델에 비해서는 간손상이 미미함을 보였고, 녹차는 0.3% 투여시 정상군과 같은 형태를 보임으로써 각 추출물의 높은간섬유화 억제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도 4는 급성 간경화 유발 흰쥐모델에서 산수유, 솔잎, 녹차의 간 보호 효과를 나타낸 간조직 검경사진이다. A: 정상 흰쥐, A-1: 급성 간경화 유발 모델, B: 솔잎 저농도(0.15%) 급여 흰쥐, B-1:솔잎 고 농도(0.3%) 급여 흰쥐, C: 산수유 저농도(0.15%) 급여 흰쥐, C-1:솔잎 고농도(0.3%) 급여 흰쥐, D: 녹차 저농도(0.15%) 급여 흰쥐, D-1:녹차 고농도(0.3%) 급여 흰쥐.
실시예 3: 식물 추출물의 제제화 (정제)
하기의 배합의 정제를 통상의 타정기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산수유, 솔잎, 녹차추출물의 분말 20질량부
덱스트린 72질량부
분당(粉糖) 80질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8질량부
원료의 혼합과 타정은 용이하고, 정미가 양호한 정제가 얻어졌다.
실시예 4: 식물 추출물의 제제화 (갭슐제)
통상의 방법에 의해, 이하의 조성을 갖는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캡슐에는 1호 하드젤라틴캡슐을 사용하였다.
<1캡슐(1정 200mg)중의 조성>
실시예 1의 산수유, 솔잎, 녹차추출물의 분말 5mg
콘스타치 60.0mg
유당 100.0mg
유산칼슘 10.0mg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L) 10.0mg
실시예 5: 식물 추출물의 제제화 (과립)
통상의 방법에 의해, 하기의 배합의 인스턴트티 과립을 유동층조립기에 의해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산수유, 솔잎, 녹차추출물의 분말 20질량부
올리고당 40질량부
구연산 50질량부
설탕 50질량부
덱스트린 810질량부
원료의 혼합과 유동층조립기에 의한 과립화는 용이하며, 정미가 양호한 인스턴트티과립이 얻어졌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수유, 솔잎, 녹차로부터 얻은 메탄올추출물은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용 기능성 식품이나 식품첨가물 또는 약물에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산수유 (Comus officinalis) 또는 솔잎 (Pinus koraiensis)의 탄소수 1-5의 저급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산수유 (Comus officinalis) 또는 솔잎 (Pinus koraiensis)의 탄소수 1-5의 저급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콜성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식품.
  5. 삭제
KR1020040065039A 2004-08-18 2004-08-18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KR10065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39A KR100657018B1 (ko) 2004-08-18 2004-08-18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039A KR100657018B1 (ko) 2004-08-18 2004-08-18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51A KR20060016551A (ko) 2006-02-22
KR100657018B1 true KR100657018B1 (ko) 2006-12-13

Family

ID=3712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039A KR100657018B1 (ko) 2004-08-18 2004-08-18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10B1 (ko) * 2015-12-23 2020-08-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잣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 또는 간 보호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716A (ja) * 1996-06-03 1997-12-16 Itouen:Kk 家禽の脂質代謝改善剤およびそれを含む家禽飼料
JP2003171297A (ja) 2001-12-07 2003-06-17 Ito En Ltd 血中ビリルビン濃度低下剤及び黄疸治療・予防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716A (ja) * 1996-06-03 1997-12-16 Itouen:Kk 家禽の脂質代謝改善剤およびそれを含む家禽飼料
JP2003171297A (ja) 2001-12-07 2003-06-17 Ito En Ltd 血中ビリルビン濃度低下剤及び黄疸治療・予防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551A (ko) 200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5758B2 (ja) グアバ抽出物
JP4669920B2 (ja) 血糖上昇抑制且つ血圧上昇抑制作用を有する機能性素材
KR101793153B1 (ko) 검정콩잎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플라보놀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JPH09176019A (ja) 糖質分解消化酵素阻害剤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医薬品および飲食品
US20080182803A1 (en) Rubrofusarin glycoside-containing composition
JP2011195503A (ja) タンパク質糖化抑制剤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88925A (ko) 시력 보호용 조성물
JP6778026B2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JP2007513150A (ja) ウリ科植物の抽出物またはウリ科植物の抽出物から単離した精製抽出物から構成される抗脂肪生成および抗肥満活性を有する組成物
KR100657018B1 (ko) 알코올성 간섬유화 예방 및 치료용 식물 유래 추출물
KR20170052556A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2007515407A (ja) ウリ科植物の抽出物から単離した抗脂肪生成および抗肥満活性を有するアルコール化合物から構成される組成物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11184354A (ja) ケラチノサイトへのメラニンの取り込みを抑制する美白剤
JP7242042B2 (ja) 破骨細胞分化抑制剤並びに骨吸収性疾患の予防・治療・改善用の内服剤又は飲食品組成物
KR102482196B1 (ko) 천심련 추출물 또는 안드로그라폴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일주기 리듬 장애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0657017B1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l-fabp 증강제 및 그 정제방법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3072735A (ja) 乾皮症の治療又は予防用経口組成物
KR20060034879A (ko)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는 발효구아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