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5707B1 -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5707B1
KR100655707B1 KR1020040103183A KR20040103183A KR100655707B1 KR 100655707 B1 KR100655707 B1 KR 100655707B1 KR 1020040103183 A KR1020040103183 A KR 1020040103183A KR 20040103183 A KR20040103183 A KR 20040103183A KR 100655707 B1 KR100655707 B1 KR 100655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noid
bracket
variable intake
engine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362A (ko
Inventor
이지웅
신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57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6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5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5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는, 엔진의 일측에 브라켓이 이용되며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 및 부하 상태에 따라서 공기 흡입 통로를 조절하여 상기 엔진의 전 운전 영역에서 엔진 출력을 향상키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엔진의 서지탱크와 상기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해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한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중앙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밴딩되며 밴딩각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와 브라켓의 접촉면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서지탱크, 브라켓

Description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STRUCTURE OF COMBINING SOLENOID OF VARIABLE INDUC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엔진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2의 A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도 2의 브라켓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브라켓
21. 체결부
22. 보강부
30. 보강부재
40. 볼트
본 발명은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변 흡기장치(VIS; Variable Induction System)는, 엔진의 회전영역에 따라 공기의 흡입저항이 달라지며 이는 엔진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저속에서는 흡기관 내의 흡기 유속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흡기관의 직경은 작고 길이는 길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고속에서는 흡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흡기관의 직경을 크게, 길이는 짧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각 회전영역에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흡기 다기관의 길이나 단면적을 저속과 고속에 각각 유리한 치수로 변경시키는 방법으로 가변흡기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변흡기장치는 도 1의 'A'의 원 내에 나타내 보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는, 엔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엔진(10)의 회전 및 부하 상태에 따라서 공기 흡입 통로를 조절하여 엔진(10)의 전 운전 영역에서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는 장치로 이용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11)의 브라켓(12)과의 장착면이 평형성을 잃어 흔들림으로써 서지탱크(SURGE TANK)(13)로부터의 진동을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11) 단품으로 배가시켜 사양(SPEC.)을 초과하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평형성을 잃음으로써 흔들림이 발생하여 상기 서지탱크(13)로부터의 진동이 배가된다.
이와 같은 원인을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11) 단품 상에 브라켓(12)과 서지탱크(13) 체결을 위한 볼트(Bolt)(14)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솔레노이드(11)와 브라켓(12) 장착면이 변형되어 평형성 잃게 된다.
한편, 도 4의 참조부호 12a는 서지탱크(13) 체결용 볼트(14)의 용접 퇴적물을 나타내 보인 것이고, 도 4의 화살표는 상기 용접 퇴적물(12a)로 인해 좌우 흔들림 발생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볼트(14)의 부착 방법을 다음과 같이 개선하였다.
우선, 상기 볼트(14)와 브라켓(12)을 전면 용접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접촉성 내구 및 강도는 좋으나, 브라켓(12)의 면 평형성을 흐트러트려 흔들림을 발생시킨다. 즉, 진동이 배가된다.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3점 코킹(caulking)을 실시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 용접을 함으로써 생긴 흔들림 현상을 방지키 위해 3점 코킹을 하였으나, 흔들림 현상은 개선되지 않았으며, 전면 용접시보다 접촉점 강도 저하되어 내구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가변흡 기장치의 솔레노이드와 브라켓의 접촉면의 구조를 변경하여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진동을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는, 엔진의 일측에 브라켓이 이용되며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 및 부하 상태에 따라서 공기 흡입 통로를 조절하여 상기 엔진의 전 운전 영역에서 엔진 출력을 향상키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엔진의 서지탱크와 상기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해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한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중앙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밴딩되며 밴딩각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는, 엔진의 일측에 도 5와 같은 브라켓(20)이 이용되며 설치되어 엔진의 회전 및 부하 상태에 따라서 공기 흡입 통로를 조절하여 엔진의 전 운전 영역에서 엔진 출력을 향상키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를 체결하여 이 솔레노이드의 진동 치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 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브라켓(20)은, 엔진의 서지탱크와 브라켓(20)을 체결하기 위해 볼트(40)가 체결되는 체결부(21)와, 이 체결부(21)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형성되어 브라켓(20)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한 보강부(22)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체결부(21)는 체결부(21)의 양단부에서 볼트(40)의 몸체부(41)가 상방으로 향한 상태에서 볼트(40)의 헤드(42)가 밀착되며 체결되는 중앙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밴딩되며 밴딩각(θ)이 형성된다.
상기 밴딩각(θ)은 10∼15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1)의 상면 양단에는 브라켓(20)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30)가 설치되는데, 이 보강부재(30)는 용접되며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11)의 브라켓(12)과의 장착면은 최초에 평형하게 설계되어 볼트(14) 용접시 조금이라도 변형될 경우 평형성을 잃어 흔들리게 되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설계시 브라켓(20)의 양단을 안쪽으로 밴딩각(θ)을 주어 볼트(40) 용접시 변형에 대비하여 안착성을 개선하여 진동을 줄인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브라켓(20)의 체결부(21) 양단을 안쪽으로 밴딩각(θ)을 10∼15도를 줌으로써 양단이 브라켓(20)을 지지하여 전면 용접시에도 흔들림 현상 전혀 없으며, 강도 및 내구성 역시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와 체결부(21)의 가장자리(Edge)가 맞닿음으로써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와 브라켓의 접촉면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엔진의 일측에 브라켓이 이용되며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 및 부하 상태에 따라서 공기 흡입 통로를 조절하여 상기 엔진의 전 운전 영역에서 엔진 출력을 향상키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엔진의 서지탱크와 상기 브라켓을 체결하기 위해 볼트가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의 구조가 보강되도록 한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양단부에서 상기 볼트가 체결되는 중앙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밴딩되며 밴딩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각은 10∼15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면 양단에는 상기 브라켓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용접되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KR1020040103183A 2004-12-08 2004-12-08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KR100655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83A KR100655707B1 (ko) 2004-12-08 2004-12-08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83A KR100655707B1 (ko) 2004-12-08 2004-12-08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62A KR20060064362A (ko) 2006-06-13
KR100655707B1 true KR100655707B1 (ko) 2006-12-11

Family

ID=3715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83A KR100655707B1 (ko) 2004-12-08 2004-12-08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57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704B1 (ko) 2008-04-16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장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86A (ko) 1973-05-09 1975-01-06
JPH0711990A (ja) * 1993-06-22 1995-01-1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9980037526A (ko) * 1996-11-22 1998-08-05 김영귀 Dohc엔진의 흡/배기 밸브 설치구조
KR20050041447A (ko) * 2003-10-31 200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86A (ko) 1973-05-09 1975-01-06
JPH0711990A (ja) * 1993-06-22 1995-01-13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9980037526A (ko) * 1996-11-22 1998-08-05 김영귀 Dohc엔진의 흡/배기 밸브 설치구조
KR20050041447A (ko) * 2003-10-31 200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704B1 (ko) 2008-04-16 2010-11-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엔진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62A (ko) 200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5707B1 (ko) 가변흡기장치의 솔레노이드 체결구조
US20180149070A1 (en) Connection member of exhaust pipe
JP3175642B2 (ja) 樹脂製スロットルボディ
JP4257528B2 (ja) 多気筒内燃機関
JPH10325354A (ja) 内燃機関
JP3389833B2 (ja) デリバリパイプ
JP3225731B2 (ja) 吸気マニホールドの支持構造
US20040194456A1 (en) Exhaust system for a V-type engine
JPH11343940A (ja) 内燃機関の吸気構造
JPH1150860A (ja) エンジン補機用ハーネスの支持構造
CN100348857C (zh) 进气歧管的固定结构
EP1522715B1 (en) Intake arrangemen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3193919A (ja) 傾斜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0179418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7332182A (ja) 吸気装置の支持構造
KR100521516B1 (ko) 배압조절기구를 갖는 머플러
JP3823761B2 (ja) オイルパン
JPH04187834A (ja) スロットルボディの支持装置
JP3198910B2 (ja) マニホールドの支持構造
JP2005214156A (ja) エンジンの吸気系および排気系の構造
JPH066197Y2 (ja) 過給機付きエンジンのサージタンク
JPH08296783A (ja) サクションパイプ取付装置
JP2004308441A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2161753A (ja) エンジンの補機取付ブラケット
JP2023084858A (ja) 配管取付構造および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