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171B1 -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171B1
KR100651171B1 KR1020060090212A KR20060090212A KR100651171B1 KR 100651171 B1 KR100651171 B1 KR 100651171B1 KR 1020060090212 A KR1020060090212 A KR 1020060090212A KR 20060090212 A KR20060090212 A KR 20060090212A KR 100651171 B1 KR100651171 B1 KR 10065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fixed
exhaust muffler
protrusion
rotary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알
Priority to KR102006009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차 조립 라인에서 서스펜션장치와 배기 머플러장치를 동시에 로딩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볼플런저(111, 121)가 삽입고정되고 양측으로 대향되게 고정된 볼플런저(11, 12)하우징과, 일측 끝단에 양측으로 대향되고 원형으로 돌출된 돌부(13)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일측에 양측으로 수직 고정되고 상부 끝단에 원형핀(211)이 고정된 핀브라켓(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과, 상기 핀브라켓(21)에 마주보고 상기 돌부(13)에 회동가능토록 고정된 제1회전암(23)로 구성된 서스펜션지지부(20)와; 상기 회전함(23)에 근접하게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돌부(311)가 구비된 회전지지봉(31)와, 상기 돌부(311)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제 2회전암(32)과, 상기 제 2회전암(32)의 하방에 상기 회전지지봉(31) 측면에 고정되고 둘레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돌부(331, 332))가 구비된 회전암스토퍼(33)로 구성된 배기머플러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자동차 부품 라인중 승용차 생산 조립 라인에서 자동차 부품중 서스펜션이나 배기 머플러를 로딩조립함으로서 생산성 및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캐리어, 서스펜션, 배기머플러, 자동차조립라인

Description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loading forRear suspension and exhauster buffler Carrier Appara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12 : 볼플런저하우징
13 : 돌부 20 : 서스펜션지지부
21 : 핀브라켓 22 : 서스펜션리어브라켓
23 : 제1회전암 30 : 배기머플러지지부
31 : 회전지지봉 32 : 제2회전암
33 : 회전스토퍼 40 : 서스펜션장치
50 : 배기머플러장치 100 : 캐리어
111, 121 : 볼플런저 211 : 원형핀
231 : 원형돌부 232 : 제1지지바
233 : 받침대 234 : 패드
235 : 제2지지바 311 : 돌부
321 : 원형돌부 322 : 지지바
323 : 받침대 324 : 패드
325 : 지지봉 326 : 걸림바
331, 332 : 돌부
본 발명은 승용차 조립 라인에서 서스펜션장치와 배기 머플러장치를 동시에 로딩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승용차 조립 라인에서 서스펜션장치와 배기 머플러장치가 2개의 공정으로 조립되어 지는 것을 한 공정에서 작업 가능하도록 캐리어에 로딩하여 서스펜션과 배기 머플러장치를 동시에 승용차에 로딩하여 조립할 수 있는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용차 조립라인에서 서스펜션장치와 배기 머플러장치를 동시에 차체 에 로딩이 불가하여 각 조립공정 및 서브공정이 분리되어 라인 공정이 이루어졌으며, 배기 머플러 조립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차체에 DECK;G 시켰으며, 배기 머플러 형상이 난이하여 지그의 로딩이 불가했을 뿐만아니라, 승용조립 라인 특성상 서스펜션 조립용 캐리어와 배기 머플러용 캐리어를 동시에 콘베어에 로딩하여 사용 할수 없었으며, 배기 머플러 형상이 난이하고 잡기 어려워 자동 로딩 장치가 불가했다.
또한, 조립 라인의 가동율과 생산성 저하의 요인으로 메인라인에서의 조립외에 별도의 서브라인을 할 수 없었으며, 형상이 난이하고 길어서 배기 머플러조립시 양쪽에서 잡고 가체결 후 조립해야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한편, 캐리어를 서스펜션과 배기 머플러를 동시에 로딩시 차체 조립후 리턴콘베이어에 빈 캐리어가 로딩시 외관의 형상이 크기 때문에 콘베어 양쪽에 설치된 부품박스에 간섭이 발생하였으며, 현 상태의 서스펜션용으로는 형상이 크고 길이가 긴 배기 머플러를 로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승용차 조립 라인에서 서스펜션장치와 배기 머플러장치가 별도의 조립공정에서 서브(Sub)조립이 이루어져 라인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공간 또한, 많이 사용되며 작업시간도 배로 많이 적용되어 이런 불합리한 공정 배분과 인원 감소와 승용차 조립라인의 컴팩트한 구성을 위하여 2개의 공정을 한 공정에서 작업 가능한 캐리어를 이용하여 사람이 차체에 서브(sub)하는 것을 캐리어에 로딩하여 서스펜션과 배기 머플러장치를 동시 에 승용차에 로딩하여 조립할 수 있는 캐리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서스펜션 장치(40)와 배기 머플러(50)를 동시에 조립하기 위한 캐리어(100)에 있어서, 볼플런저(111, 121)가 삽입고정되고 양측으로 대향되게 고정된 볼플런저(11, 12)하우징과, 일측 끝단에 양측으로 대향되고 원형으로 돌출된 돌부(13)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일측에 양측으로 수직 고정되고 상부 끝단에 원형핀(211)이 고정된 핀브라켓(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과, 상기 핀브라켓(21)에 마주보고 상기 돌부(13)에 회동가능토록 고정된 제1회전암(23)로 구성된 서스펜션지지부(20)와; 상기 회전함(23)에 근접하게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돌부(311)가 구비된 회전지지봉(31)와, 상기 돌부(311)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제 2회전암(32)과, 상기 제 2회전암(32)의 하방에 상기 회전지지봉(31) 측면에 고정되고 둘레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돌부(331, 332))가 구비된 회전암스토퍼(33)로 구성된 배기머플러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암(23)는 일측은 상기 회전지지부(21)에 결합되는 원형돌부(231)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원형돌부(231)에 제1지지바(232)로 연결된 받침대(2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바(232) 보다 하방으로 일정각도로 구비된 제2지지바(235)로 구성되며, 상기 제2회전암(32)은 일측은 상기 회전지지주(31)에 고정되는 원형돌부(321)이 구비되고 타측은 지지바(322) 끝단에 고정된 받침대(323)가 고정되며, 상기 원형돌부(321)를 중심으로 일측은 지지바(322)가 구비되고 타측은 막대형상의 걸림바(3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과 받침대(233, 323)는 상부 끝단에 우레탄 또는 MC재질 중 어느하나로 선택된 패드(221, 234,324)가 각각 결합고정되며, 상기 제 1회전암(23)과 상기 제2회전암(32)는 9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이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서스펜션 장치(40)와 배기 머플러(50)를 동시에 조립하기 위한 캐리어(100)로 구성을 살펴보면,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에 서스펜션장치(40)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지지부(20)과, 배기머플러장치(50)를 지지하기 위한 배기머플러지지부(30)으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상면에 양측으로 대항되게 고정되고 높 이를 서로 다르게 설치된 볼플런저하우징(11, 12)에 볼플런저(111, 121)가 삽입고정되고 상면 일측에 양측으로 고정되어 있는 원형형상의 돌출된 돌부(13)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볼플런하우징(11)이 다른 볼플런하우징(12)보다 높게 설치되도록 하여 하기에 설명하게 되지만 일측의 볼플런하우징(11)에 고정된 볼플런저(111)는 제1지지바(232)에 걸리도록 하고 타측의 볼플런하우징(12)에 고정된 볼플런저(121)는 제2지지바(235)에 걸리도록 하여 원하는 회전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회전암(23)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은 스틸(steel)이나 선택적으로 우레탄이나 MC나일론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지지부(2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일측에 양측으로 수직 고정되고 상부 끝단에 돌출된 원형핀(211)이 고정된 핀브라켓(21)이 고정되어 상기 서스펜션장치(40)을 상기 돌출된 원형핀(211)에 의해 설치될 때 설치된 위치에서 뒤로 벗어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은 서스펜션의 리어측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핀브라켓(21)에 마주보고 상기 돌부(13)에 회동가능토록 고정된 제1회전암(23)은 일측은 상기 돌부(13)에 결합되는 원형돌부(231)가 회동가능토록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원형돌부(231)에 고정된 제1지지바(232)에 연결된 받침대(233)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받침대(233)에서 상기 서스펜션장치(40)의 밑부분을 지지하도록하고, 상기 제1지지바(232) 하방에 제 1지지바(232)와 일정각도로 이루면서 고정된 제2지 지바(235)는 볼플런저(111, 112)에 의해 상기 제1회전암(23)이 일정한 각도 이상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즉 90도 이상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회전암(23)이 회전하여 펼쳐졌을 경우에는 상기 제2지지바(235)에 볼플런저(121)에 의해 접혀지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하고, 다시 상기 제1회전암(23)을 회전시켜 접을 경우에는 제1지지바(232)가 상기 볼플런저(111)을 거쳐 안쪽으로 접혀지고 상기 볼플런저(111)에 의해 바깥으로 더 이상 펼쳐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바(232)와 제2지지바(235)가 상기 볼플런저(111, 121)에 부딪히는 부분은 모따기(C1, C2)에 의해 무리하게 힘을 주지 않아도 볼플런저(111, 112)를 지나갈 수 있고 상기 볼플런저(111, 121) 접촉되는 부분이 파손됨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상기 볼플런저(111, 112)는 힘에 의해서만 작동되고 자중에 의해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배기머플러지지부(30)는 배기머플러장치(50)을 지지하는 것으로 구성으로는 상부에 돌부(311)가 구비된 회전지지봉(31)가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돌부(311)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제 2회전암(32)에 일측은 상기 회전지지봉(31)의 돌출된 돌부(311)에 중앙에 관통된 원형홀이 구비된 원형돌부(321)에 결합되어 상기 돌부(311)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지지바(322) 끝단에 고정된 받침대(323)가 고정되며 상기 받침대(323)의 상면에는 패드(324)가 결합고정되고 상기 받침대(323)에는 지지봉(325)이 결합되고 다른쪽에는 또 다른 지지블럭이 구비되어 상기 배기머플러장치(50)이 설치될 때 상기 지지봉(325)과 지지블럭(미도 시)에 의해 고정되었으며, 상기 지지바(322) 반대쪽에는 짧은 걸림바(326)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확대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제 2회전암(32)의 하방에 상기 회전지지봉(31) 측면에 고정되고 둘레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돌부(331, 332)와 상기 지지바(322) 측면에 볼트로 결합되는 암스토퍼(333)으로 구성된 회전암스토퍼(33)가 상기 회전지지봉(31)에 고정된 제 2회전암(32)이 작업하기 위해 펼쳐졌을 때에는 상기 걸림바(326)에 길게 돌출된 돌부(332)에 결려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작업이 완료되어 다시 캐리어(100) 안쪽으로 접을 때에는 짧게 돌출된 돌부(331)에 암스토퍼(333)이 걸려 바깥쪽으로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암스토퍼(333)은 펼칠 때나 접을 때는 간섭이 발생하므로 분리한 다음에 상기 제2회전암(3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회전암(23)은 회전에 의해 접거나 펼쳤을 때 상기 회전암스토퍼(33)에 의해 일정각도 즉, 90도 이상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각각의 상기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과 제1회전암(23)에 결합된 받침대(233) 및 제 2회전암(32)의 받침대(323)는 상부 끝단에 우레탄 또는 MC재질 중 어느하나로 선택된 패드(221, 234,324)가 각각 결합고정되는데 이것은 캐리어(100) 제작 후 서스펜션장치(40)과 배기머플러(50)이 닿는 부위를 MC나일론이나 우레탄을 사용하여 제작함으로서 제작 후 긁힘, 찍힘방지 및 창고 보관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우레탄이나 MC로 봉합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캐리어장치의 실시예도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캐리어(100)의 서스펜션지지부(20)과 배기머플러지지부(30)에 각각 구성된 상기 제 1회전암(23)과 상기 제2회전암(32)은 9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는 차체에 조립 완료 후, 빈 캐리어(100)가 리턴컨베이어(미도시)를 타고 재투입될 경우 콘베이어 양쪽에 배치된 부품 적재대에 간섭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외관 크기로는 다시 공급되어 캐리어(100)가 돌아올 수 없으나 상기 서스펜션지지부(20)의 상기 제 1회전암(23)과 배기머플러지지부(30)의 상기 제2회전암(32)를 90도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캐리어(100)의 크기와 형상을 반으로 줄여 조립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리턴시 폭을 감소시켜 공정라인의 크기를 정상적인 조립 라인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캐리어(100)는 서스펜션장치(40)만 조립할 경우 작업자증가, 공정 분배수의 공정증가, 생산성, 가동율저하, 조립라인공간이 과다하게 많이 사용되는 단점을 보완하여 배기 머플러장치(40)를 동시에 조립하여 각 공정 분배의 이중으로 드는 인건비를 절감하고 생산성 및 가동율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생산성, 가동율 향상과 공정 편의성으로 사이클타임(CYCLE TIME)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캐리어(100)는 자동차 부품중 라인의 특성에 따라 서스펜션장치(40)만 캐리어에 장착하여 차체에 조립하거나 배기 머플러장치(50)만 차체에 조립할 수 있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바람직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서스펜션장치(40)과 배기머플러장치(50)을 적재하기 위한 캐리어(100) 이 도착하면, 상기 서스펜션장치(40)을 적재하기 위해 양측에 구비된 제1회전암(23)을 동시에 펼치게 된다. 이때 펼쳐진 제1회전암(23)이 제 2지지바(235)의 안측면이 상기 볼스크류(111)에 걸려 안쪽으로 밀려 가지않는지를 확인한다. 이후에 상기 서스펜션장치(40)를 핀브라켓(21)과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 및 상기 제1회전암(23)에 의해 캐리어(100)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서스펜션장치(40)을 설치한 후, 상기 배기머플러장치(50)를 상기 캐리어(100)에 설치하기 위해 제2회전암(32)의 측면에 볼트나 기타체결수단에 의해 설치된 암스토퍼(333)를 풀어주어 제2회전암(32)을 밖으로 당겨 양쪽에 두개의 제2회전암(32) 회전시켜 펼치고 상기 제2회전암(32)를 회전시킨 다음에 다시 암스토퍼(333)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제 1회전암(23)과 제2회전암(32)를 동시에 펼친 다음에 서스펜션장치 (40)과 배기머플러장치(50)을 동시에 캐리어(100)에 로딩시켜 작업을 진행한다.
각각의 작업이 완료되면 캐리어(100)에 얹혀진 상태에서 차체에 장착하고 작업 완료후 캐리어(100)를 하강시킨 후 정위치 시키고, 작업 완료된 캐리어(100)를 각각의 서스펜션용지지부(20)의 제 1회전암(23)와 배기 머플러지지부(30)의 제 1회전암(23)를 캐리어(100) 안쪽으로 밀어 넣고 리턴컨베이어(RETURN CONVEYOR)로 반출 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100)에는 서스펜션장치(40)과 배기 머플러장치 (50)를 자동으로 로딩시켜 동시에 조립할 수 있으며, 서스펜션장치(40)과 배기 머플러장치 (50)가 얹어져 있어도 공정이동이 원활하며, 차체에 동시에 DECK'G이 자 유롭고, 종래에 두개의 작업공정에서 한 개의 작업공정으로 공정단순화 및 여유 공간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서스펜션장치(40)와 배기 머플러장치(50)의 형상이 상이하고 복잡한 형상이라도 동시 로딩 및 DECK'G가 가능하여 별도의 서브라인이 필요없이 메인라인 한 공정에서 작업시간을 절감, 생산성,가동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캐리어(100) 외관은 서스펜션장치(40)과 크기가 동일한 조건에서 배기 머플러장치(50)까지 로딩이 되어, 작업이 끝난 캐리어(100)가 리턴될 경우 서스펜션지지부(20)의 제1회전암(23)과 배기머플러지지부(30)의 제2회전암 (32)가 콘베어 양쪽에 적재된 조립 부품에 간섭을 주지 않고, 차체에 DECK'G시 캐리어(100)의 공차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각도가 주어져야 차체에 DECK'G시 양쪽의 여유의 폭을 가지고 자유로이 조립이 이루어져 차체의 조립공차를 보전해주게 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립 후 캐리어(100)의 크기에서는 빈 캐리어 (100)가 리턴되어 다시 작업공정으로 투입될 경우 캐리어(100)의 외관 폭 때문에 콘베어 양쪽에 설치된 부품박스가 캐리어(100)의 외관 폭에 의해 간섭이 생기기 때문에 빈 캐리어(100)가 리턴(RETURN) 될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턴 될 때의 캐리어(100)는 작업시의 캐리어(100)보다 형상과 외부 돌출부가 없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 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라인중 승용차 생산 조립 라인에서 자동차 부품중 서스펜션이나 배기 머플러를 로딩하여 차제에 조립하거나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캐리어에 로딩하여 조립이 가능하고 차체에 DECK'G시 각각의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분리하여 작업하지 않고,한 개의 캐리어에 서스펜션과 배기 머플러를 동시에 차체에 DECK'G하여 조립할 수 있으며, 차체에 서스펜션과 배기 머플러를 조립후 빈 캐리어(CARRIER)가 리턴콘베이어를 타고 구동시에도 양쪽에 적재된 부품에 간섭을 주지않고 캐리어의 외형이 컴팩트하게 작아지도록 고안 설계되어 작업성 및 캐리어의 리턴시 전혀 외관의 부품에 간섭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습니다.

Claims (5)

  1. 서스펜션 장치(40)와 배기 머플러(50)를 동시에 조립하기 위한 캐리어(100)에 있어서,
    볼플런저(111, 121)가 삽입고정되고 양측으로 대향되게 고정된 볼플런저(11, 12)하우징과, 일측 끝단에 양측으로 대향되고 원형으로 돌출된 돌부(13)로 구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일측에 양측으로 수직 고정되고 상부 끝단에 원형핀(211)이 고정된 핀브라켓(21)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 상면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된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과, 상기 핀브라켓(21)에 마주보고 상기 돌부(13)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제1회전암(23)로 구성된 서스펜션지지부(20)와;
    상기 회전함(23)에 근접하게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돌부(311)가 구비된 회전지지봉(31)와, 상기 돌부(311)에 회동가능토록 결합된 제 2회전암(32)과, 상기 제 2회전암(32)의 하방에 상기 회전지지봉(31) 측면에 고정되고 둘레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의 돌부(331, 332)가 구비된 회전암스토퍼(33)로 구성된 배기머플러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암(23)는 일측은 원형돌부(231)가 구비되고 타측은 상기 원형돌 부(231)에 제1지지바(232)로 연결된 받침대(2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바(232) 하방에 일정각도로 구비된 제2지지바(2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암(32)은 일측은 상기 회전지지주(31)에 고정되는 원형돌부(321)이 구비되고 타측은 지지바(322) 끝단에 고정된 받침대(323)가 고정되며, 상기 원형돌부(321)를 중심으로 일측은 측면에 암스토퍼(333)가 결합된 지지바(322)가 구비되고 타측은 막대형상의 걸림바(3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
  4. 제 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리어브라켓(22)과 받침대(233, 323)는 상부 끝단에 우레탄 또는 MC재질 중 어느하나로 선택된 패드(221, 234,324)가 각각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
  5. 제 2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암(23)과 상기 제2회전암(32)는 9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 캐리어장치.
KR1020060090212A 2006-09-18 2006-09-18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KR10065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12A KR100651171B1 (ko) 2006-09-18 2006-09-18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212A KR100651171B1 (ko) 2006-09-18 2006-09-18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171B1 true KR100651171B1 (ko) 2006-11-30

Family

ID=3771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212A KR100651171B1 (ko) 2006-09-18 2006-09-18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8912A (zh) * 2019-04-01 2019-06-07 重庆赛科机电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发动机合装托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814Y1 (ko) * 1996-07-25 1998-12-01 양재신 엔진과 크로스 멤버 조립용 지그
KR0126796Y1 (ko) * 1996-07-25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미션 운반용 지그
KR20060078403A (ko) * 2004-12-31 2006-07-05 (주)포리코리아 자동차 언더 바디의 샤시 조립 공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814Y1 (ko) * 1996-07-25 1998-12-01 양재신 엔진과 크로스 멤버 조립용 지그
KR0126796Y1 (ko) * 1996-07-25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미션 운반용 지그
KR20060078403A (ko) * 2004-12-31 2006-07-05 (주)포리코리아 자동차 언더 바디의 샤시 조립 공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8912A (zh) * 2019-04-01 2019-06-07 重庆赛科机电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发动机合装托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09055A1 (en) Robot turning apparatus for extending working area of robot
WO2010114966A4 (en) Vehicle seat assembly
US6726548B1 (en) Parts hangers for rotating table blast machine
KR100651171B1 (ko) 서스펜션과 배기머플러를 동시에 적재 가능한 조립용캐리어장치
KR20120072600A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US6921011B1 (en) Work piece holder having top mounted robot and method of use
JP5672308B2 (ja) ローラヘミング装置
JPH10157470A (ja) 産業車両のガスボンベ保持装置
CN216781628U (zh) 一种前副车架总成装配工装
EP3634176B1 (en) A furniture base and a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such a furniture base
JP3149826B2 (ja) 車載用クレーンの脚部構造
JP2007313585A (ja) 電機設備盤の組立作業用装置及び組立作業方法
CN215294445U (zh) 一种视觉传达设计专用可移动式展示装置
CN210830420U (zh) 车辆机械式防溜坡装置
CN108455455B (zh) 一种多功能操作台
KR19990017881A (ko) 자동차 엔진 조립용 지그
CN110355762A (zh) 一种双机器人加工工作站
CN110449857B (zh) 一种汽车流水线组装中的旋转式配件备料盘装置
CN219540703U (zh) 一种带转台的喷涂机器人装置
KR101382333B1 (ko) 차량용 실린더블록 고정장치
CN109678088B (zh) 承载平台
KR200243129Y1 (ko) 롤 쵸크 회전방지장치
JPH07330297A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アタッチメント
JP3731855B2 (ja) リヤ足回り部品小組装置
JP3301521B2 (ja) エンジン組立用部品移載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