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936B1 -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 Google Patents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936B1
KR100648936B1 KR1020040093185A KR20040093185A KR100648936B1 KR 100648936 B1 KR100648936 B1 KR 100648936B1 KR 1020040093185 A KR1020040093185 A KR 1020040093185A KR 20040093185 A KR20040093185 A KR 20040093185A KR 100648936 B1 KR100648936 B1 KR 100648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digital camera
til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581A (ko
Inventor
유인석
박재석
한정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서강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09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5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지표면 측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이미지에서도 하측을 향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가 지표면에 대해 형성하는 기울어짐이 보상되도록,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메라의 기울어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화소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변화시켜 읽어들인 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기울기 감지부, 디지털 카메라, 촬상소자

Description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HAVING FUNCTION OF REVISING INCLINED IMAGE}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입사된 이미지를 각 화소 단위로 판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디지털 카메라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기울인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상태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4(b) 및 4(c)는 디지털 카메라를 각각 수평 상태,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 및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로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기울기 감지부를 구성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촬영부 11 : 렌즈
12 : 촬상소자 20 : 기울기 감지부
21 : 기울기 감지 센서 22 : 구
23 : 접촉센서 A 24 : 접촉센서 B
25 : 접촉센서 C 30 : 제어부
40 : 메모리
본 발명은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때 상기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기울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감지하여, 상기 이미지 내의 지표면 측이 상기 이미지의 하측으로 위치하도록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정지 영상을 촬영하여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 생성 기기로서,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는 소정의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 정보를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가공, 저장 및 재생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소정의 컴퓨터와 같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의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직접 확인하고, 편집 및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시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가 기울어진다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항상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수평으로 촬영된 상태만을 상정하여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이미지를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였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기울인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면, 후에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소정의 표시부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상기 이미지를 전송받은 컴퓨터 등을 통해 확인할 때, 상기 이미지가 상기 촬영 당시의 카메라의 기울어졌던 만큼 기울어져 보였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입사된 이미지를 각 화소 단위로 판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디지털 카메라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기울인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상태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한 이미지를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에서의 좌측 그림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기울인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낸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소정의 LCD 창에는 피사체의 모습이 비춰지고 있다. 도면에서의 우측은 상기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기울인 상태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피사체를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고 있는 상태로써, 디지털 카메 라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와는 반대로 피사체가 시계 방향으로 90°기울어진 상태로 보여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소자를 사용하여 촬영한 영상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될 때에는 상기 촬영시 디지털 카메라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이미지에 대한 화소의 색깔 정보를 좌상부의 화소로부터 우하부의 화소의 순서로 읽어들인다.
상기의 좌상부의 화소로부터 우하부의 화소의 순서로 읽어들인다는 것은, 먼저 상기 촬상소자에 입사된 이미지의 좌상부에 위치한 상기 촬상소자의 화소로부터 ① 라인을 따라 우측으로 순차적으로 각 화소에 대한 색깔 정보를 읽어들이고, 상기 ① 라인의 읽기가 종료되면, 다음으로 ② 라인의 각 화소의 색깔 정보를 좌로부터 우로 읽어들이고, 이후, 하측으로 라인을 변경시키면서 상기 이미지의 모든 화소의 색깔 정보를 순차적으로 읽어들이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읽어들인 이미지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이후, 독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때에는,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읽혀져서 전송되는 순서에 따라 상기 이미지의 모든 화소의 색깔 정보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를, 이 후 소정의 출력수단에 출력할 때에는, 상기 출력수단을 구성하는 좌상부 색깔 표시 소자로부터 우하부 색깔 표시 소자의 순서로 표시된다.
그러므로 디지털 카메라를 지표면에 수평인 상태로 하여 촬영을 수행한 경우 는, 촬영 당시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 본 이미지와 메모리에 저장되어 이 후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이미지의 각 화소의 색깔 정보의 읽어들이는 순서 및 상기 각 화소의 색깔 정보를 출력수단의 각 색깔 표시 소자에서 출력하는 순서가 동일하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 내의 지표면이 상기 출력수단의 하부를 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기울인 상태로 하여 촬영을 수행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를 통해 본 이미지와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는 이미지가 상기 카메라가 기울어졌던 방향에 따라 기울어져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는 사용자에 의한 카메라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형식에 따라 상기 이미지를 읽어들이므로, 촬영 종료 후 소정의 출력 수단을 통해 확인할 때, 기울어진 이미지는 사용자가 보기가 불편하므로, 상기 이미지 내의 지표면이 상기 출력수단의 하부를 향하는 정상 상태로 회전시켜 편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상기 촬영되는 피사체의 지표면 측이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이미지에서도 하측을 향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가 지표면에 대해 형성하는 기울어짐이 보상되도록,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메라의 기울어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화소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변화시켜 읽어들인 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형성하는, 수평 상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 및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가지 상태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한 결과, 상기 카메라가 수평 상태인 경우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좌상부 화소 위치로부터 우하부 화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좌하부 화소 위치로부터 우상부 화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우상부 화소 위치로부터 좌하부 화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촬영부는 소정의 렌즈와 촬상소자를 포함하며, 후술할 제어부로부터의 소정의 촬영 개시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렌즈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상기 촬상소자가 전기적인 디지털화된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한 소정의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상기 촬상소자를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색깔 인식용 화소(미도시)에서 상기 입사되는 이미지의 색깔을 각 화소별로 인식하고 상기 화소마다의 색깔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것이다.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수평 상태,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 및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의 적어도 3가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울기 감지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메모리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상기 촬영된 디지털 이미지의 각 화소의 색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을 개시하도록 소정의 촬영 신호를 상기 촬영부로 전송하고,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각 화소에 대한 색깔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4(a), 4(b) 및 4(c)는 디지털 카메라를 각각 수평 상태,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 및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로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한 후,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디지털 카메라가 수평상태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수평인 상태에서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게 되면, 상기 촬영된 이미지의 각 화소에 대한 색깔 정보(이하,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 및 상기 읽어들인 화소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순서는 상기 카메라를 지표면에 수평으로 할 때를 기준으로 좌상부로부터 우하부로 동일하므로, 이 후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촬영된 이미지 내의 지표면의 방향이 상기 저장된 후 출력되는 이미지에서도 아래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상기 촬영되는 이미지의 기울어짐 보정이 불필요하다.
도 4(b)는 디지털 카메라가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의 좌측의 그림은 디지털 카메라를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피사체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뷰파인더(미도시)에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의 우측의 그림은 상기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카메라를 지표면과 수평으로 하여(상기 기울어진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90° 다시 기울임) 상기 뷰파인더에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촬영에 의한 이미지의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는 상기 카메라를 지표면에 수평으로 할 때를 기준으로 좌하부로부터 우상부로 되고(도 4(b)의 좌측), 상기 읽어들인 화소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순서는 상기 카메라를 지표면에 수평으로 할 때를 기준으로 좌상부로부터 우하부가 되므로, 이 후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내의 지표면의 방향이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에서는 우측을 향하게 된다(도 4(b)의 우측).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상기 촬영되는 이미지의 기울어짐 보정이 필요하다.
도 4(c)는 디지털 카메라가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c)의 좌측의 그림은 디지털 카메라를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피사체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뷰파인더(미도시)에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의 우측의 그림은 상기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카메라를 지표면과 수평으로 하여(상기 기울어진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90° 다시 기울임) 상기 뷰파인더에 보여지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촬영에 의한 이미지의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는 상기 카메라를 지표면에 수평으로 할 때를 기준으로 우상부로부터 좌하부로 되고(도 4(c)의 좌측), 상기 읽어들인 화소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순서는 상기 카메라를 지표면에 수평으로 할 때를 기준으로 좌상부로부터 우하부가 되므로, 이 후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소정의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이미지 내의 지표면의 방향이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에서는 좌측을 향하게 된다(도 4(c)의 우측).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상기 촬영되는 이미지의 기울어짐 보정이 필요하다.
상기 기울어짐의 보정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적절히 제어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로 촬영한 경우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촬영부로부터 읽어들일 때, 그 읽어들이는 순서를 좌하부로부터 우상부로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로 촬영한 경우에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읽어들일 때 그 읽어들이는 순서를 우상부로부터 좌하부로 되도록 제어한다.
좌하부로부터 우상부의 순서로 이미지를 읽어들인다는 것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②'.. 의 순서로 상기 이미지의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것이고, 우상부로부터 좌하부의 순서로 읽어들인다는 것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②"..의 순서로 상기 이미지의 화소를 읽어들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를 소정의 촬상소자로부터 읽어들이는 방향을 변경함 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이미지의 각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시작점 및 읽어들이는 방향을 달리 설정함으로써 디지털 카메라가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 및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회전을 보정하여, 항상 상기 이미지의 지표면측이 상기 이미지의 하측을 향하게 하여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 및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울기 감지부를 구성하는 기울기 감지 센서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기울기 감지 센서는 내부에 구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의 내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구를 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구 형상의 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구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의 접촉 센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구는 중력에 의해 상기 구 내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접촉된 센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기울기 감지 센서는, 상기 접촉 센서가 적어도 3 방향에 형성되어, 3 방향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지표면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0 ~ 44° 및 반시계 방향으로 0 ~ 44°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구가 접촉 센서 A에 접촉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카메라가 수평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4(a)와 같이 상기 촬영부로부터의 이미지를 읽어들인다. 또한,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지표면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46 ~ 134°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구가 접촉 센서 B에 접촉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4(b)와 같이 상기 촬영부로부터의 이미지를 읽어들인다. 또한,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지표면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46 ~ 134°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구가 접촉 센서 C에 접촉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제어부는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90° 기울어진 상태에서 촬영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4(c)와 같이 상기 촬영부로부터의 이미지를 읽어들인다.
또한 상기의 경우 중,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가 시계 방향으로 45° 및 반시계 방향으로 45° 기울어진 경우나, 상기 3가지 경우를 제외한 경우(카메라를 180°정도 기울인 경우 등)는 상기 화소 정보를 읽어들이는 순서에 대한 소정의 기준을 정해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기울기 감지 센서는, 도 5에서는 A, B 및 C의 세 개의 접촉 센서를 포함하지만, 상기 접촉 센서는 세 개에 한정되지 않고, 기울어짐 정도의 세분화에 따라 더 여러 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 감지부의 상기 접촉 센서는, 소정의 저항과 전도성을 띠는 상기 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소정의 전기적 접점을 갖는 스위치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기울기 감지 센서는 특정 형태의 접촉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상기 촬영되는 이미지의 지표면측이 소정의 출력 수단에 표시되는 이미지에서도 아랫쪽을 향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보정되어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므로, 이 후 사용자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확인, 편집하고자 할 때,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다수의 화소로 이루어진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이미지가 지표면에 대해 형성하는 기울어짐이 보상되도록,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카메라의 기울어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화소를 읽어들이는 순서를 변화시켜 읽어들인 후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감지부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지표면에 대해 형성하는, 수평 상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 및 반시계 방향으 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3가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한 결과,
    상기 카메라가 수평 상태인 경우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좌상부 화소 위치로부터 우하부 화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좌하부 화소 위치로부터 우상부 화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카메라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우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우상부 화소 위치로부터 좌하부 화소 위치로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KR1020040093185A 2004-11-15 2004-11-15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KR100648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85A KR100648936B1 (ko) 2004-11-15 2004-11-15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85A KR100648936B1 (ko) 2004-11-15 2004-11-15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81A KR20060054581A (ko) 2006-05-23
KR100648936B1 true KR100648936B1 (ko) 2006-11-28

Family

ID=3715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185A KR100648936B1 (ko) 2004-11-15 2004-11-15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9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255B1 (ko) * 2007-06-04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KR101121624B1 (ko) * 2011-10-17 2012-03-05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표면의 굴곡 상태에 대한 정밀측정이 가능한 측지측량 시스템
KR101126352B1 (ko) * 2011-11-17 2012-03-16 새한항업(주) 지표 및 고도정보를 이용한 지형의 수치지도 제작용 측지확인시스템
KR101126356B1 (ko) * 2011-11-17 2012-03-16 새한항업(주) 지형의 측지측량 및 변위의 지아이에스별 확인을 통해 수치정보를 갱신하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694969B1 (ko) * 2012-10-29 2017-0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710A (ja) * 1996-05-01 1997-11-18 Canon Inc 撮像記録再生装置
JPH11341324A (ja) 1998-05-26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0078442A (ja) 1998-08-31 2000-03-14 Nec Home Electronics Ltd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装置
KR20010019196A (ko) * 1999-08-25 2001-03-15 구자홍 카메라의 영상 수평 유지장치
JP2003289466A (ja) 2003-03-27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8710A (ja) * 1996-05-01 1997-11-18 Canon Inc 撮像記録再生装置
JPH11341324A (ja) 1998-05-26 1999-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2000078442A (ja) 1998-08-31 2000-03-14 Nec Home Electronics Ltd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装置
KR20010019196A (ko) * 1999-08-25 2001-03-15 구자홍 카메라의 영상 수평 유지장치
JP2003289466A (ja) 2003-03-27 2003-10-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81A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8075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automatic orientation sensing and image correction
EP2518993B1 (en) Image capturing device, azimuth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999530B2 (ja) 撮像装置
US2007011041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7258989A (ja) デジタルカメラ、構図補正装置、および、構図補正方法
JP200119742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7201539A (ja) デジタルカメラ
US76203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hutter lag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222584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rotating image storage data subject to image capture angle, and the related digital camera
KR100648936B1 (ko) 촬영된 이미지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디지털 카메라
JP4660323B2 (ja) 画像撮像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21923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186091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006211417A (ja) 撮像装置
JPH07143434A (ja) 撮影画像方向を一定にするデ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KR20110020521A (ko) 디지털 촬영장치
JPH11205724A (ja) 映像記録装置
JP2000078442A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装置
KR101396349B1 (ko)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의 회전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57227B2 (ja) 撮像装置、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撮像方法
JP2001346081A (ja) デジタルカメラ
JPH09331473A (ja) 撮像装置
JP2004229260A (ja) 撮影時の撮像素子の傾きに応じて画像ファイルの天地を決定し記録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200434328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172501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