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043B1 -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043B1
KR100647043B1 KR1020040080435A KR20040080435A KR100647043B1 KR 100647043 B1 KR100647043 B1 KR 100647043B1 KR 1020040080435 A KR1020040080435 A KR 1020040080435A KR 20040080435 A KR20040080435 A KR 20040080435A KR 100647043 B1 KR100647043 B1 KR 10064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102A (ko
Inventor
우메자와요헤이
닛타요시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5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상 통신요금으로부터 구분된 특별 통신요금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 통신단말들간의 통신에 설정될 수 있으며,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가 큰 개선이 없이도 기존의 이동교환망상에 부가된 신규한 장치에 의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나의 이동통신단말로부터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을 수행해 달라는 요청에 응답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허용을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기 위해, 제어서버는 이동통신단말들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이동통신방법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SERVER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도 2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이동전화단말의 비휘발성 RAM (NVRAM) 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서버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제어서버의 단말 (이동전화단말)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개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도 1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이 수행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 은 도 1 에 나타낸 제어서버에서 통신이력기록부에 기록된, 각 이동전화단말의 통신이력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도 1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종료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 은 도 1 에 나타낸 이동교환망의 이동서비스교환센터 (MSC) 에 기록된, 각 이동전화단말의 통신이력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전화단말들간의 통신 동작 시퀀스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서버의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개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전화단말들간의 동작 시퀀스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개시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은 도 15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전화단말의 동작 시퀀스에 대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낸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 (presence) 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어서버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 은 도 20 에 도시된 제어서버의 프리젠스정보 제어기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5 : 이동전화단말 201~203 : 기지국
300 : 제어서버 301 : 제어기
302 : 통신기능장치 303 : 단말정보저장부
304 :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5 : 통신이력정보기록부
400 : 과금시스템 500 : 이동교환망
501 : MSC 601~603 : BSC
1011 : 제어기 1012 : 통신애플리케이션
1013 : NVRAM 1014 : 무선통신장치
1015 : 사용자 I/F 1016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단말들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 템,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시스템 및 제어서버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 통신요금에서 분리된 특별 통신요금이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단말들간의 통신에 설정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이동통신단말을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 또는 이동통신망과 링크된 공중교환전화망 (PSTN) 상에 고정된 단말에 접속하는 이동통신서비스는 이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서비스는 통신사업자가 통신망 (이동교환망) 및 통신망에 접속된 기지국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망을 구축하는 것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을 기지국에 할당하는 것에 의해 구현되어 왔다.
최근, 이동통신사업에서, 통화요금의 저감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와 다른 사업자와 차별적인 서비스를 원하는 통신사업자의 요구가 결합되어, 이동단말이 특정 영역에 할당될 때, 통화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가능하게 하는 과금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요청되어 왔다.
예를 들면, 회사의 사무실 건물내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동일한 사무실 건물내에 위치하고 있는 또 다른 사원의 단말과 통신을 하고 통화요금의 할인 또는 면제를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과금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을 때, 사용자는 통화요금을 절약할 수 있으며 사업자는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숫자를 증가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전화시스템이, 일본특허공보 제 H8-502391 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동통화시스템에서, 정해진 그룹내의 통화를 그룹밖의 통화로부터 구분하기 위해 이동교환망내에 특별한 장치를 부가한다. 이 경우에, 교환국을 포함하는 기존의 이동교환망이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를 이용하기 위해 크게 개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뒤에 설명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기존의 이동교환망상에 설치된 특별 부가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단말들간의 통신에 통상 통신요금으로부터 구분된 특별 통신요금을 설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를 큰 개선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이동교환망상에 설치된 특별 부가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단말들간의 통신에 통상 통신요금으로부터 구분된 특별 통신요금을 설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를 큰 개선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이동교환망상에 설치된 특별 부가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단말들간의 통신에 통상 통신요금으로부터 구분된 특별 통신요금을 설정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를 큰 개선없이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및 제어서버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기지국들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들; 및 이동통신단말들의 통신에 대해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과금장치를 구비하되,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 및 과금장치에 접속되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어떤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에 대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적용하는 제어서버를 더 구비하며,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은, 기지국에 자신의 단말이 제어서버에 할당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는 제 1 송신장치; 및 제어서버로부터의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한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요청하는 요청장치를 구비하며, 제어서버는,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에 대해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특정 기지국인지를 나타내는 단말소속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수단;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단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수단;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개시를 요청할 때, 제 1 저장수단 및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된 단말소속정보 및 단말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 각각이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을 때,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는 통신수단;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어떤 이동통신단말이 수행할 때, 특별 과금시스템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통신요금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별과금 적용정보를 과금장치에 송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특별과금 적용정보는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에 대한 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의 증가 및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로 모이는 고객의 증가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단말이,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제어서버로부터 요청할 때,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identificaiton) 를 송신하는 제 2 송신수단을 더 구비하며, 제어서버는,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수단; 및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어떤 구성에서도, 제어서버는,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기지국 영역에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는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이동통신단말들에 대해 특별 과금시 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한지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기지국들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들; 및 이동통신단말들의 통신에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과금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서버로서, 제어서버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 및 과금장치에 접속되며,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이 할당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단말위치정보를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로부터 획득하는 제 1 획득수단;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에 대해 특정 기지국인지를 나타내는 단말소속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수단;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의 단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수단;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개시를 요청할 때, 제 1 저장수단 및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된 단말소속정보 및 단말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 각각이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을 때,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는 통신수단;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어떤 이동통신단말이 수행할 때, 특별 과금시스템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통신요금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별과금 적용정보를 과금장치에 송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어떤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적용하는 제 어서버가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특별과금 적용정보는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에 대한 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의 증가 및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로 모이는 고객의 증가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서, 제어서버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획득하는 제 2 획득수단;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수단; 및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에서, 제어서버는,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기지국 영역에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는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이동통신단말들에 대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한지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기지국들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 들; 이동통신단말들의 통신에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과금장치;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 및 과금장치에 접속하여,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을 위한 특정 기지국임을 나타내는 단말소속정보 및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이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단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방법으로서, 자신의 단말이 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제어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제어서버로부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개시를 요청할 때, 제어서버에 의한 단말소속정보 및 단말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특정 기지국들에 할당되어 있을 때,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제어서버로부터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제어서버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과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의 통신요금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별과금 적용정보를 제어서버로부터 과금장치에 송신함으로써,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어떤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적용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특별과금 적용정보는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에 대한 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의 증가 및 기지국이 설치된 장소로 모이는 고객의 증가가 실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방법은,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제어서버에 의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제어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그룹의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될지 나타내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방법이,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기지국 영역에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이 위치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획득함으로써, 사용자는 통신을 개시하기 전에 이동통신단말들에 대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한지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이점 및 특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히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통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도 1 에 나타낸다. 이동통신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그룹 (200; 예를 들면, 영역 (201a) 및 영역 (202b)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영역, 또는 2개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음), 제어서버 (300), 기지국 (203), 과금시스템 (400), MSC (501; MobileService Switching Center) 를 갖는 이동교환망 (500) 및 BSC (601~603; Base Station Controllers) 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 (203), 과금시스템 (400), 이동교환망 (500) 및 BSC (601~603) 는 이미 기존의 설비이다. 기지국 (203) 은 BSC (603) 를 통해 이동교환망 (500) 의 MSC (501) 에 접속되어 있다.
영역 (201a) 은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및 BSC (601) 을 통해 이동교환망 (500) 의 MSC (501) 에 접속되어 있는 기지국 (201) 을 포함한다. 유사하게도, 영역 (202a) 은 이동전화단말 (103 및 104) 및 BSC (602) 를 통해 이동교환망 (500) 의 MSC (501) 에 결합되어 있는 기지국 (202) 을 포함한다. 도 1 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기지국 (201) 은 영역 (201a) 을 생성하고, 영역 (201a) 내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은 기지국 (201) 에서 발생된 무선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무선통신에 의해 영역 (201a) 내의 기지국 (201) 에 할당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전화단말 (103 및 104) 은 무선통신에 의해 영역 (202a) 내의 기지국 (202) 에 할당된다. 어떤 이동전화단 말이 그것의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어떤 영역에도 진입할 수 있으며 그 기지국에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지국은 대략 100 m 반경의 영역 (이른바 "피코 셀 (pico cell)")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작은 영역을 갖는 기지국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 에, 도 1 에 나타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전화단말 (101) 은 제어기 (1011),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NVRAM (1013; nonvolatile random-access memory), 무선통신장치 (1014), 사용자 I/F (1015; Interface) 및 디스플레이 (1016) 를 구비한다. 다른 이동전화단말 (102~105) 도 이동전화단말 (101) 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즉, 이동전화단말 (10X; X는 2 내지 5 중의 한 정수) 은 제어기 (10X1),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X2), NVRAM (10X3), 무선통신장치 (1014), 사용자 I/F (10X5) 및 디스플레이 (10X6) 를 구비한다.
제어기 (1011; CPU)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다른 맴버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는 Java (R) 또는 BREW (R) 와 같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통신에 관한 처리를 하고,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 저장부를 갖는다. 제어기 (1011) 는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을 실행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NVRAM (1013) 은 그것 자신의 단말이 소속되는 기지국의 기지국 ID 및 자신의 단말이 현재 위치하는 기지국의 기지국 ID 를 저장한다. 무선통신장치 (1014)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이 기지국과 통신하며 정보 또는, 예를 들면, 전송되는 정보를 무신신호로 인코딩하거나 수신된 무선신호를 정보로 디코딩하는, 신호변환을 처리하는 기능유닛이다. 사용자 I/F (1015) 는 사용자가 명령을 이동전화단말 (101) 에 입력하는 기능유닛이며, 숫자키, 문자키, 포인팅장치, 터치패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1016) 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기능유닛이며 LCD, 스피커, 진동기 등과 같은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소속하는" 은 이동전화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영역을 특별 과금시스템이 통신에 적용되는 영역으로서 등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동전화단말 (101) 이 기지국 (201) 에 의해 형성된 영역 (201a) 을 등록하면, 영역 (201a) 은 이동전화단말 (101) 의 특정 영역으로 나타난다.
또한, "위치하는" 은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영역 (셀) 내에 이동전화단말이 존재할때를 의미하고, 이 이동전화단말은 기지국에 "할당된다".
따라서, 하나의 이동전화단말이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에, 도 1 에 나타낸 제어서버 (300) 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서버 (300) 는 제어기 (301), 통신기능장치 (302), 단말정보저장부 (303) 및 통신이력정보기록부 (305) 를 포함한다. 제어기 (301) 는 제어서버 (300) 다른 맴버들을 제어한다. 통신기능장치 (302) 는 기지국 (201 및 202) 및 과금시스템 (400) 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유닛이며, 예를 들면 송신되는 정보를 무신신 호로 인코딩하거나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정보로 디코딩하는, 정보변환을 처리한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말정보저장부 (303) 는 이동전화단말이 소속한 단말 ID 및 각 그룹의 모든 기지국에서 이동전화단말이 위치하는 단말 ID 를 저장한다. 통신이력정보기록부 (305) 는 기지국의 사용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는 이동전화단말, 이동전화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이 이동전화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시간과 같은 통신이력정보를 기록한다.
제어서버 (300) 는 각각의 영역 (201a 및 202a) 을 생성하는 기지국 (201 및 202) 및 과금시스템 (400) 에 접속되어 있다.
과금시스템 (400), MSC (501) 및 BSC (601~603) 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결함을 위해 생략한다.
이하, 전술한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도 6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에, 제어서버 (300)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특정 이동전화단말에 적용하기 위해, 단말정보저장부 (303) 는 이동전화단말들의 단말 ID 및 기지국들의 기지국 ID 를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복수개의 이동전화단말의 그룹 및 이들 이동전화단말들이 소속된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서 미리 저장한다. 이동전화단말 (101~104) 의 NVRAM (1013~1043) 은 각각의 이동전화단말들이 소속되는 기지국의 기지국 ID 를 각각 저장한다.
이하, 이동전화단말 (101) 이 송신측에 있고 이동전화단말 (102) 이 수신측 에 있다고 가정한다. 이동전화단말 (101) 이 기지국 (201 및 202) 에 소속되어 있고 이동전화단말 (102) 이 기지국 (202) 에만 소속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이동전화단말 (101) 이 초기 상태에서 기지국 (201) 에 의해 형성된 영역 (201a) 내에 위치하고 이동전화단말 (102) 이 기지국 (202) 에 의해 형성된 영역 (202a) 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도 6 에는,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의 개시때에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01/예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이 미리 위치된 영역 (201a) 에서 기지국 (202) 에 의해 형성된 영역 (202a) 으로 이동하면,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애플리케이션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을 이용함으로써 제어기 (1011) 는 이 변화를 감지하며, 즉, 자신의 단말이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고, 단계 S102 에서, 제어신호를 기지국 (202) 로 전송한다.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단계 S103 에서, 기지국 (202) 은 이동전화단말 (101) 의 단말 ID, 즉, 제어신호의 송신소스 및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제어서버 (300) 에서, 기지국 (202) 으로부터 단말 ID 및 기지국 ID 를 수신하면, 단계 S104 에서, 제어기 (301) 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전화단말 (101) 이 기지국 (202) 에 위치하기 위해 단말정보저장부 (303) 의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105/예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수행하기 동작, 예 를 들면 통신요금이 없는 내선통신, 이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 I/F (1015) 에 입력되면, 단계 S106 에서, 통신애플리케이션 (1012)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제어기 (1011) 는 이 동작을 감지하고 자신의 단말 (101) 이 특정 영역, 즉, 이동전화단말이 소속되는 기지국 (201 또는 202) 에 의해 형성된 영역 (201a 또는 202a) 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106/예 에서, 자신의 단말이 특정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단계 S107 에서는, 통신애플리케이션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제어신호 또는 내선식별정보를 무선통신장치 (1014) 에 의해 기지국 (202) 으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써, 단계 S107 에서, 제어기 (101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단말 ID 를 수신한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를 기지국 (202) 으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하며 통신을 수행한다.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제어신호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를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수신하면, 단계 S108 에서, 기지국 (202) 은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 및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단말 ID 를 나타내는 정보에 부가하여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제어서버 (300)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 및 송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단말 ID 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109 에서, 제어기 (301) 는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이 동일한 그룹에서 각각의 기지국에 소속되어 있으며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09/예 에서,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동일한 그룹의 각각의 기지국에 소속되어 있고 이동전화단말들이 각각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10 에서, 제어기는 통신기능장치 (302) 를 사용함으로써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 송신한다.
이동전화단말 (101)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계 S111 에서, 제어기는 통상적인 통신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발호 (calling out) 하기 위해, 통신 애플리케이션 (1012) 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후, 제어기 (1011) 는 통신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함으로써 통상 과금시스템의 통신과 같은 동일한 절차로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들간의 접속을 확립하고 그 접속을 유지한다.
단계 S106/아니오 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이 특정 영역, 즉, 영역 (201a 또는 202a), 내에 위치하지 않거나 단계 S109/아니오 에서, 이동전화단말 (102) 이 특정 영역, 즉, 영역 (202a), 내에 위치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 경우에, 제어기 (1102) 는 통신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불가능하 다는 메시지를 이동전화단말 (101) 의 디스플레이 (1016) 상에 표시하는 것을 실행한다.
이하, 통신이 개시된 후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전술된 절차로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도 7 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이 이동전화단말에 적용되는 조건하에서 통신이 개시된 후에 이동전화단말들간의 통신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계 S201 에서는, 제어서버 (300) 에서, 제어기 (301)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중 적어도 하나가 또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1/아니오 에서, 제어기 (301) 가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중 어떤 것도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단계 S201 에서, 제어기 (301) 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금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중 적어도 하나가 또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 S201/예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중 적어도 하나가 또 다른 영역으로 이동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02 에서, 제어기 (301) 는 이동된 이동전화단말의 목표 영역이 동일한 그룹에 속하며 목표 영역이 이동된 이동전화단말의 특정 영역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2/예 에서는, 이동후,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위치하는 영역이 동일한 그룹에 소속되고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특정 영역인 경우, 단계 S203 에서, 제어기는 이동전화단말들 (101 및 102) 간의 확립된 통신에 특별 과금 시스템을 적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3/아니오 에서, 이동전화단말들 (101 및 102) 간의 확립된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204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이 확립된 통신에 적용된다. 단계 S204/예 에서, 이동전화단말들 (101 및 102) 간의 확립된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으면, 확립된 통신이 유지된다.
단계 S202 로 돌아가, 단계 S202/아니오 에서, 비록 목표 영역이 동일한 그룹에 소속된다고 하더라도, 이동된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목표 영역이 동일한 영역에 소속되는 기지국들에 의해 형성된 영역이 아니며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특정 영역이 아니라면, 단계 S205 에서, 제어기 (3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간의 확립된 통신에 통상 과금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5/아니오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간의 확립된 통신에 통상 과금시스템이 적용되고 있지 않으면, 단계 S206 에서, 통상 과금시스템이 확립된 통신에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의 적어도 하나가 통신중에 특정 영역에서 이동하더라도, 제어서버 (300) 의 동작에 의해 통신이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사용에 의해 통신이 수행되는 이동전화단말, 이동전화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이 이동전화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통신시간 등과 같은 통신이력정보가 통신이력기록부 (305) 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송신측 및 수신측 어떤 이동전화단말이 특정 영역 밖으로 이동되면, 비록 이동전화단말들간의 통신이 전술한 보통 과금시스템에 의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통신이 단절될 수 있다.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의 종료시에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도 9 및 도 10 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 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단절되는 통신 종료시에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이 통신 종료시에 기지국 (202) 에 의해 형성된 영역 (202a) 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이동교환망 (500) 에서, MSC (501) 는, 도 10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전화단말들 및 그들의 통신시간 등의 통신이력을 저장한다. 통신이 종료되면, 단계 S301 에서, MSC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통신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과금티켓 등과 같은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출력한다. 한편, 동시에, 단계 S302 에서는, 통신 종료시에 이동전화단말 (101) 이 소속된 기지국 (202) 이 통신 종료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제어서버 (300) 에서, 기지국 (202) 으로부터 통신 종료를 수신하면, 단계 S303 에서는, 제어기 (3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통신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과금티켓 등과 같은 정보를 통신이력기록부 (305) 에 저장된 통신이력정보에 기초하여 과금 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과금티켓 등의 정보 및 환불티켓 등의 정보를 제어서버 (300) 의 제어기 (301) 로부터 수신하면, 단계 S304 에서, 과금 시스템 (400) 은 환불티켓에 의해 과금티켓을 상쇄한다. 그 결과, 특별 과금시스템, 즉, 이동전화단말들간의 통신에 대한 요금의 할인 또는 면제가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중 적어도 하나가 통신중에 특정 영역을 일단 벗어나면, 제어서버 (300) 는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는 환불티켓을 과금시스템 (400) 으로 전송한다.
도 11 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조건하에,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이동전화단말 (102) 로의 통신이 수행될 때의 동작 시퀀스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또는 영역 (202a) 등과 같은 특정 영역으로 진입하면,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또는 영역 (202a) 내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선통신장치 (1014) 를 이용하여 기지국 (201 및 202) 으로 송신하는 것을 실행한다 (A101). 이 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 (201 및 202) 은 이동전화단말 (101) 의 단말 ID 및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A102). 그후, 제어서버 (300) 는 기지국 (201 및 202) 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A103).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 I/F (1015) 에 입력되면,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영역 (201a) 또는 영역 (202a) 등의 특정 영역내에 그것 자신의 단말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NVRAM (1013) 에 저장된 정보를 체크하는 것을 실행한다 (A104). 그것 자신의 단말이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제어신호,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및 그것 자신의 단말 ID 를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 송신하는 것을 실행한다 (A105). 기지국 (201 또는 202) 은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수신된 정보 이외에도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A106).
제어서버 (300)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부터 수신하면, 제어기 (301)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A107). 그후, 제어기 (30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기능장치 (302) 를 이용함으로써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 송신한다 (A108). 기지국 (201 또는 202) 은 제어서버 (300) 의 제어기 (301) 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이동전화단말 (101) 로 전송한다 (A109).
이동전화단말 (101)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201 또는 202) 로부터 수신하면, 통신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통상의 통신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통신의 확립을 실행한다 (A110).
이동교환망 (500) 에서는, 통신이 종료되면, MSC (5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통신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과금티켓 등과 같은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A111). 한편, 기지국 (201 및 202) 은 통신 종료 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A112). 제어서버 (300) 에서, 통신 종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기 (3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요금을 환불하기 위한 환불티켓 등의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A113).
과금시스템 (400) 은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발호된 통신의 요금 할인 및 면제를 달성하기 위해 환불티켓의 요금을 환불함으로써 과금티켓의 청구요금을 상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을 갖는 사용자가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고 수신측 이동전화단말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사용자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서버는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 이동교환망의 MSC 로부터 분리되어 동작하므로, 제어서버는 또 다른 사업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공급자 (ASP) 는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및 단말들의 제어, 및 제어서버의 동작, 즉, 이동전화단말의 위치정보의 제어 등의 서비스 및 통신요금의 환불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도 12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시스템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생략한다.
도 12 에, 이동통신시스템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서버 (300) 의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동전화단말, 사용자명, 비밀번호, 생물측정학 정보 등을 특정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ID 가 이동전화단말의 사용자에게 설정되고, 제어서버 (300) 는 각 기지국에 소속된 이동전화단말의 단말 ID 이외에도 사용자 ID 정보를 그것의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기지국은 기지국이 소속된 사용자 및 이동전화단말에 미리 설정된다.
도 13 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계 S401/예 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이 한 기지국의 한 영역으로부터 또 다른 기지국 또 다른 영역으로 이동되면, 단계 S402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은 그것 자신의 단말 ID 를 목표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단말 ID 를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수신하면, 단계 S403 에서, 기지국은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및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수신된 단말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제어서버 (300) 에서,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404 에서, 제어기 (301)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단계 S405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가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용자 ID 를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 I/F (1015) 로 입력하면, 단계 S406 에서,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NVRAM (1013) 의 정보를 검색하고 그것 자신의 단말이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 S406/예 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또는 202a) 등과 같은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단계 S407 에서,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내선식별정보와 같은 제어신호, 사용자 ID, 자신의 단말 (101)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들을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 전송한다. 이하,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에 위치하고 이동전화단말 (102) 이 영역 (202a) 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408 에서, 기지국 (201) 은 수신된 정보에 부가하여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전송한다.
제어서버 (300) 에서, 기지국 (201) 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기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와 동일한 ID 가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되어 있는지 아닌지 체크한다.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가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면, 단계 S409 에서, 제어기 (301) 는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게 된다.
단계 S409/예 에서,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단계 S410 에서, 제어서버 (300) 의 제어기 (30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기능장 치 (302) 를 이용하함으로써 이동전화단말 (101) 로 송신한다.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서버 (300) 로부터 수신하면, 단계 S411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은 통신을 확립하기 위해 통상적인 통신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통신확립 후에, 과금시스템의 스위칭 및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요금의 환불 등의 동작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조건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이동전화단말 (102) 로의 통신이 수행될 때 동작 시퀀스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또는 202a) 과 같은 특정 영역으로 이동되면,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또는 202a) 내로 이동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무선통신장치 (1014) 를 이용함으로써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 송신한다 (B101). 이 정보를 수신하면, 기지국 (201 또는 202) 은 이동전화단말 (101) 의 단말 ID 및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B102). 그후, 제어서버 (300) 는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함으 로써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B103).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가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자신의 사용자 ID 를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 I/F (1015) 로 입력하면,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NVRAM (1013) 의 정보를 검색하고 그것 자신의 단말이 영역 (201a 또는 202a) 과 같은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B104). 그것 자신의 단말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제어신호,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그것 자신의 단말 ID 및 사용자 ID 를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 송신한다 (B105). 기지국 (201 또는 202) 은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수신된 정보 이외에도 그것 자신의 기지국 ID 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B106).
제어서버 (300) 에서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부터 수신하면, 제어기 (301)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와 동일한 ID 가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되어 있는지 아닌지 체크한다.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가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일치하면, 제어기 (301) 는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게 된다 (B107). 따라서, 제어기 (30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 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기능장치 (302) 를 이용함으로써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 송신한다 (B108). 기지국 (201 또는 202) 은 제어서버 (300) 의 제어기 (301) 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제어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이동전화단말 (101) 로 전송한다 (B109).
이동전화단말 (101)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 (201 또는 202) 으로부터 수신하면, 통신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통상의 통신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신의 확립을 실행한다 (B110).
이동교환망 (500) 에서는, 통신이 종료되면, MSC (5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통신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과금티켓과 같은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B111). 한편, 기지국 (201 및 202) 은 통신 종료 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B112). 제어서버 (300) 에서, 통신 종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기 (3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요금을 환불하기 위한 환불티켓 등의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B113).
과금시스템 (400) 은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발호된 통신요금의 할인 및 면제를 달성하기 위해 환불티켓의 요금을 환불함으로써 과금티켓의 청구요금을 상쇄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본 실시형태에서, 비록 이동전화단말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용자 ID 를 미리 등록하지 않으면, 사용자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또 다른 사람이 사용자의 이동전화단말을 사용하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수행될 수 없다. 그 결과, 다른 사람에 의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효과적으로 금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도 15 내지 도 17 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시스템은, 제어서버 (300) 와 기지국 (201 또는 202) 간의 데이터통신이 있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 경우에, 이동전화단말 (101~105) 에 데이터통신기능이 제공되고 기지국 (201 및 202) 을 무선신호 및 전기신호의 변환을 위한 물리적인 리피터국 (repeater station) 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어서버 (300) 와의 데이터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이동전화단말의 무선통신장치 (1014) 및 제어서버 (300) 의 통신기능장치 (302) 는 데이터통신기능을 가진다.
도 16 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계 S501/예 에서, 이동전화단말들 (101~105) 중의 하나가 한 기지국의 한 영역으로부터 또 다른 기지국의 또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면, 단계 S502 에서, 이동전화단말은 그것 자신의 단말 ID 및 이동전화단말이 소속된 기지국의 기지국 ID 를 무선통신장치 (1014) 의 데이터통신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이러한 정보를 이동전화단말로부터 수신하면, 단계 S503 에서, 기지국의 제어기 (301) 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이하, 이동전화단말 (101) 이 송신측에 있고 이동전화단말 (102) 이 수신측에 있다고 가정한다. 단계 S504 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가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면, 단계 S505 에서,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그것 자신의 단말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을 실행한다.
단계 S505/예 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및 202a) 과 같은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단계 S506 에서, 통신애플리케이션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 그것 자신의 단말이 소속된 기지국의 기지국 ID 및 자신의 단말 (101)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를 데이터통신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이하,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에 위치하고 이동전화단말 (102) 이 영역 (202a) 에 위치한다고 가정한다.
제어서버 (300) 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면, 단계 S507 에서, 제어기 (301)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단계 S507/예 에서,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면, 단계 S508 에서, 제어서버 (300) 의 제어기 (30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기능장치 (302) 의 데이터통신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로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서버 (300) 로부터 수신하면, 단계 S509 에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은 통상적인 통신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신을 확립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전술한 통신 확립후에, 과금시스템의 스위칭 및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요금의 환불 등의 동작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조건에서,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이동전화단말 (102) 로의 통신이 수행될 때 동작 시퀀스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동전화단말 (101) 이 영역 (201a 또는 202a) 과 같은 특정 영역으로 이동되면,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이 특정 영역내로 이동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C101). 그후, 제어서버 (300) 는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C102).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이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 I/F (1015) 로 입력되면,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NVRAM (1013) 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수 행하고 그것 자신의 단말이 영역 (201a 또는 202a) 과 같은 특정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수행한다 (C103). 그것 자신의 단말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내선식별정보와 같은 정보,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2) 의 단말 ID, 그것 자신의 단말 ID 및 이동전화단말이 위치하는 기지국의 기지국 ID 를 무선통신장치 (1014) 의 데이터통신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하는 것을 수행한다 (C104).
제어서버 (300) 에서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 (101) 로부터 수신하면, 제어기 (301)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고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 (101 및 102) 이 각각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C105). 따라서, 제어기 (301) 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기능장치 (302) 의 데이터통신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이동전화단말 (101) 로 전송한다 (C106).
이동전화단말 (101) 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부터 수신하면,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통상적인 통신과 동일한 방법으로 통신의 확립을 실행한다 (C107).
이동교환망 (500) 에서, 통신이 종료되면, MSC (5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통신요금을 과금하기 위한 과금티켓과 같은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C108). 한편, 기지국 (201 또는 202) 은 통신 종료 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 송신한다 (C109). 제어서버 (300) 에서, 통신 종료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기 (301) 는 이동전화단말 (101) 의 통신요금을 환불하기 위한 환불티켓과 같은 정보를 과금시스템 (400) 으로 송신한다 (C110).
과금시스템 (400) 은 이동전화단말 (101) 로부터 발호된 통신의 요금 할인 및 면제를 달성하기 위해 환불티켓의 요금을 환불함으로써 과금티켓의 청구요금을 상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을 도 18 내지 도 21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된 실시형태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통시에 적용하기 위해,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전화단말들이 각각의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송신측 이동전화단말의 사용자가 통신을 확립하기 전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수신측 이동전화단말이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미리 알 필요가 있다.
또한, 이동전화단말의 사용자가 또 다른 이동전화단말이 어떤 기지국의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또 다른 이동전화단말의 또 다른 이용자를 만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의 편의성 및 조작성이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들을 위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시스템의 본 실시형태에서, 이후에 설명될 것과 같이, 이동 전화단말의 사용자는 다른 이동전화단말이 어떤 기지국의 영역내에 위치하는지, 특히,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 위치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8 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전화단말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단말은 도 2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이동전화단말의 멤버들 이외에도 프리젠스 정보저장부 (1019; presence information storage) 를 더 포함한다. 프리젠스 정보저장부 (1019) 는 어떤 이동전화단말 프리젠스정보의 전달에 대한 각 요청 및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도 19 에, 도 18 에 나타낸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 정보저장부 (1019) 에 저장된 정보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젠스 정보저장부 (1019) 는 어떤 이동전화단말 프리젠스정보의 전달에 대한 각 요청 및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ID 들의 결합 정보를 저장하며, 이 프리젠스정보는 이동전화단말이 위치하는 기지국들의 기지국 ID, 기지국 ID 에 관한 위치 또는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가능성및 불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프리젠스 정보저장부 (1019) 에서, 프리젠스 정보는 새로운 프리젠스정보가 제어서버 (300) 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갱신된다.
도 20 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제어서버 (300) 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어서버 (300) 는 도 5 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의 제어서버 맴버들 이외에도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를 더 포함한다.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는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형성된 프리젠스정보를 저장하며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정보가 갱신될 때 새로운 프리젠스정보를 생성한다.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는 각 기지국 ID 에 관한 위치 정보를 가지며 기지국 ID 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프리젠스정보의 부분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21 에, 도 20 에 도시된 제어서버 (300) 의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에 저장된 정보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는 각 이동전화단말이 어떤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정보를 요청할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정보는 이동전화단말을 요청하는 단말 ID 들의 결합, 프리젠스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는 이동전화단말의 단말 ID, 프리젠스정보의 전달이 요청되는 이동전화단말들의 프리젠스정보를 포함하며, 프리젠스정보는 이동전화단말이 위치하는 기지국의 기지국 ID, 기지국 ID 에 관한 위치 또는 장소를 나타내는 정보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가능성 및 불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 이동전화단말의 사용자는 제어서버 (300) 의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에서 어떤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정보의 전달을 요청할지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이동전화단말들 (101~105) 중 하나가 전에 위치된 영역에서 또 다른 기지국의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어서버 (300) 의 단말정보저장부 (303) 에 저장된 위치 단말들과 같은 위치 정보가 갱신되면, 프리젠스 제어기 (304) 는 각 이동전화단말이 위치하는 기지국의 각 기지국 ID 에 기초하여 각각의 이동전화단말들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ID "A1" 이 위치 정보 "본사빌딩 1층"에 관한 것이면, 프리젠스 제어기 (304) 는 기지국 ID "A1" 을 갖는 기지국 내에 위치하는 이동전화단말에 대하여 위치 정보 "본사빌딩 1층" 을 생성한다. 그후, 제어서버 (300) 의 제어기 (301) 는 새로운 프리젠스 정보를, 프리젠스정보 제어기 (304) 에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된 이동전화단말의 프리젠스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이동전화단말로 전송한다.
이하, 프리젠스정보가 제어서버 (300) 로부터 이동전화단말 (101) 로 송신된다고 가정한다. 이동전화단말 (101) 에서, 프리젠스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부터 수신하면, 제어기 (1011) 는 프리젠스정보 저장부 (1019) 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한다. 프리젠스정보를 제어서버 (300) 로부터 수신하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응답하여, 통신애플리케이션부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위해 디스플레이 (1016) 상에서 프리젠스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는 다른 이동전화단말들이 위치하는 영역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가 다른 이동전화단말들 (102~105) 과 통신을 수행할 때, 이동전화단말 (101) 의 사용자는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목표 이동전화단말들이 각각의 특정 영역내에서 또는 특정 영역밖에서 위치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통신의 동작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생략한다.
전술된 실시형태에서, 이동전화단말이 프리젠스정보를 제어서버로부터 수신하면, 프리젠스정보는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에 응답하여 미도시된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며, 통신애플리케이션 (1012) 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제어기 (1011) 는 사용자가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수행하는 정보를 입력할 때, 프리젠스정보 저장부 (1019) 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1016) 상에서 선택가능한 이동전화단말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것을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에 소속된 각 이동전화단말로부터 획득된 기지국 ID 에 관한 위치 정보가 다른 이동통신단말들로 송신되면, 예를 들면, 법인 사무실에 각 층마다 기지국에 제공되고 회사 사원들에 의해 소유된 이동전화단말들의 위치 정보가 제어서버로 송신된다. 제어서버는 사원들에 의해 소유된 이동전화단말들의 이러한 위치 정보를 다른 이동전화단말들로 전송하고, 모든 사원들은 어떤 사원이 사무실 안에 있는지 또는 몇층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공유하여 가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 이동전화단말로 전달된 프리젠스정보는 어떤 기지국에 의해 형성된 영역내에 어느 이동전화단말이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된 정보이며, 그 정밀도는 기지국 기반 또는 영역 기반에 의존한다. 따라서, 더 작은 영역을 가진 기지국을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프리젠스정 보의 정밀도는 개선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이므로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술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형성된 통신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전화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더라도, 이것은 그 프로그램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제어에 한정하지 않고 제어용의 전용 DSP 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형태에서, 그룹을 구성하는 영역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더라도, 체인점의 각 점포에 기지국을 설치하는 것과 같이, 그룹을 이루는 영역들은 떨어져 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특별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하지 않고 오직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의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형태들을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단말의 사용자는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특정 영역 및 통상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다른 영역에서의 통신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가 법인인 경우에, 사무실 건물이 특정 영역이 되기 위해서 기지국을 설치함으로써, 통신요금이 전혀 안 들거나 통신요금의 할인은 사 무실 건물내에서 실현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을 내선전화와 같은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무실 건물 밖에서는, 이동통신단말이 통상적인 전화로 사용될 수 있다.
편의점과 같은 상점 체인점 및 패스트푸드 식당들이 기지국을 각 지점에 설치하도록 통신사업자와 계약을 하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특정 영역내에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체인점을 방문한 고객들의 이동통신단말들간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고객들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체인점의 주인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고객을 모이게 할 수 있다.
사업자측에서는, 회사의 내선 또는 체인점의 지점 등과 같이 종래에는 사용되지 않은 영역에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이 구축될 때, 사업자는 기존의 이동교환망 및 과금시스템 등과 같은 주요 시설을 큰 규모로 개선할 필요가 없다. 즉, 단지 제어서버, 기지국 및 이동통신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만을 기존의 시설에 부가함으로써 이러한 구축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 설치되는 설비는 기지국뿐이므로 투자비는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큰 개선없이 기존의 이동교환망상의 새로운 부가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인프라스트럭쳐는 이용될 수 있으므로, 통상 통신요금으로부터 구분된 특별 통신요금이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이동단말들간의 통신에 설정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기지국들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들;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들의 통신에 대해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과금장치를 구비하되,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 및 상기 과금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어떤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에 대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적용하는 제어서버를 더 구비하며,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은,
    그 자신의 단말이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 송신하는 제 1 송신수단; 및
    상기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상기 제어서버로 요청하는 요청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특정 기지국인지를 나타내는 단말소속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수단;
    각각의 이동통신단말이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단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수단;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개시를 요청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 및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단말소속정보 및 상기 단말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송신측 및 수신측 상기 이동통신단말 각각이 상기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는 통신수단; 및
    어떤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수행할 때,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통신요금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별과금 적용정보를 상기 과금장치로 송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과금 적용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에 대한 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인, 이동통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요청할 때,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identificaiton) 를 송신하는 제 2 송신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은,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요청할 때,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송신하는 제 2 송신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 가능한지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 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
  8.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기지국들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들;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들의 통신에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과금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 하기 위한 제어서버로서,
    상기 제어서버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 및 상기 과금장치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서버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이 할당되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단말위치정보를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로부터 획득하는 제 1 획득수단;
    상기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에 대해 특정 기지국인지를 나타내는 단말소속정보를 저장하는 제 1 저장수단;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의 단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 2 저장수단;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개시를 요청할 때, 상기 제 1 저장수단 및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된 단말소속정보 및 단말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상기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 각각이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을 때,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는 통신수단;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어떤 이동통신단말이 수행할 때, 특별 과금시스템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통신요금에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별과금 적용정보를 상기 과금장치에 송신하는 전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어떤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적용하는, 제어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과금 적용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에 대한 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인, 제어서버.
  10. 제 8 항에 있어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획득하는 제 2 획득수단;
    상기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제어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획득하는 제 2 획득수단;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등록수단;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을 더 구비하는, 제어서버.
  12. 제 8 항에 있어서,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제어서버.
  13. 제 9 항에 있어서,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제어서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더 구비하는, 제어서버.
  15. 복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기지국들중 어느 하나에 할당되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들; 상기 이동통신단 말들의 통신에 통신요금을 과금하는 과금장치;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된 모든 기지국 및 상기 과금장치에 접속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된 어떤 기지국이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을 위한 특정 기지국임을 나타내는 단말소속정보 및 각각의 이동통신단말들이 현재 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단말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어서버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방법으로서,
    자신의 단말이 할당되어 있는 기지국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상기 제어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위치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과의 통신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의 개시를 요청할 때, 제어서버에 의한 단말소속정보 및 단말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
    송신측 및 수신측 이동통신단말들이 각각의 특정 기지국들에 할당되어 있을 때,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이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측 이동통신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과의 통신을 확립하는 단계; 및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의 통신요금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특별과금 적용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상기 과금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된 어떤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그룹에 포함된 특정 기지국에 할당되어 있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로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과금 적용정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통신에 대한 요금의 면제 또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인, 이동통신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그룹의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될지 나타내며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어서버에 의해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사용자를 특정하는 사용자 ID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그룹의 어떤 기지국이 각 사용자에 대해 특정 기지국으로서 사용될지 나타내며 상기 이동통신단말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ID 를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특별 과금시스템을 이용하는 통신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에 특별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 이후에,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어떤 이동통신단말에 관한 단말위치정보를 상기 단말위치정보의 전달을 요청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방법.
KR1020040080435A 2003-10-10 2004-10-08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 KR100647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2556 2003-10-10
JP2003352556A JP4127180B2 (ja) 2003-10-10 2003-10-10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移動体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102A KR20050035102A (ko) 2005-04-15
KR100647043B1 true KR100647043B1 (ko) 2006-11-23

Family

ID=3344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435A KR100647043B1 (ko) 2003-10-10 2004-10-08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79857A1 (ko)
JP (1) JP4127180B2 (ko)
KR (1) KR100647043B1 (ko)
CN (1) CN1607860B (ko)
GB (1) GB24084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714B1 (ko) * 1989-08-07 1992-02-24 서동진 파레트 및 파레트 일체식 콘테이너
US7603698B2 (en) * 2004-12-10 2009-10-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552728B2 (ja) * 2005-03-28 2010-09-29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費用算出方法
JP4992272B2 (ja) * 2006-03-30 2012-08-08 富士通株式会社 呼制御サーバ
JP4505443B2 (ja) * 2006-11-15 2010-07-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lanにおける単位料金区域特定システム
US20080147727A1 (en) * 2006-12-14 2008-06-19 Nortel Networks Limited Media context information
KR101087676B1 (ko) 2008-06-17 2011-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소형 기지국을 사용한 패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패킷 서비스의 과금 서버
US9234965B2 (en) * 2010-09-17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Indoor positioning using pressure sensors
CN104255046B (zh) * 2013-01-31 2018-11-20 华为技术有限公司 可定制的移动宽带网络系统和定制移动宽带网络的方法
CN105120505B (zh) * 2015-07-28 2019-04-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接入路由器的方法、装置以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7511C (fi) * 1994-12-23 1996-12-2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puhelun hinnan laskentaperusteiden parantamiseksi matkapuhelinverkossa
US6230017B1 (en) * 1997-07-31 2001-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Geographical restriction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FI973569A (fi) * 1997-09-01 1999-03-0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Tilaajatietojen hallintajärjestelmä
AU9358998A (en) * 1997-10-15 1999-05-03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ellular radio system with home area definition
KR100365784B1 (ko) * 1999-03-22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시스템에서 가입자의 과금요율 차등적용 및 위치표시 방법
US6898434B2 (en) * 2001-10-30 2005-05-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positioning of information access points
DE50107146D1 (de) * 2001-12-13 2005-09-22 Siemens Ag Verfahren zur ortsabhängigen Vergebührung mobiler Kommunikation
US7565155B2 (en) * 2002-04-10 2009-07-21 Networks In Mo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estimation and predictive route gen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07860B (zh) 2010-05-26
GB2408427B (en) 2008-05-14
KR20050035102A (ko) 2005-04-15
JP4127180B2 (ja) 2008-07-30
GB2408427A (en) 2005-05-25
GB0422274D0 (en) 2004-11-10
JP2005117570A (ja) 2005-04-28
US20050079857A1 (en) 2005-04-14
CN1607860A (zh)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003B1 (ko) 위치 관련 정보 제공 방법 및 게이트웨이 서버
US7653388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s method and mobile subscriber terminal
FI102439B (fi) Menetelmä puhelun ohjaamiseksi langattoman puhelimen tilaajalle
KR100447549B1 (ko) 멀티-네트워크 접속형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지국및 그 접속 방법
US20050227677A1 (en) Downloadable profiles for mobile terminals
KR100647043B1 (ko) 이동통신시스템, 제어서버 및 이동통신방법
EP0967815A2 (en) Access method with selection criteria
KR101803392B1 (ko) 머신 러닝 기법을 활용한 국가별 전화번호 체계 분석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전화 연결 방법
JPWO2005088953A1 (ja) 通信料課金システム、超小型無線基地局、通信料課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11809B1 (ko) 특정 구역 내의 발신 통화에 대한 통합 과금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JPH06245255A (ja) 個人情報に基づく移動体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11089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도어폰시스템과,이를 통해 거주자의 휴대폰과 통화연결이 이루어지도록서비스하는 방법
JP4149124B2 (ja) 移動体通信装置
KR20010087601A (ko) 휴대폰을 이용한 궁합/사주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31593B1 (ko) 단문메시지 서비스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 사용자의위치 및 정보 확인 방법
EP1042906A2 (en) A system having tariff information features
JPH06165244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736493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WO2009015436A1 (en) Least cost routing over separate networks
KR100462043B1 (ko) 사설 이동 통신 시스템의 내선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03125081A (ja) 通信サービス方式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682314B1 (ko) 등록된 발착신 번호를 이용한 콜렉트콜 전화 서비스 제공방법
KR20030067273A (ko) 유무선 호 중계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KR100789076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JP33499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料金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