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076B1 -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076B1
KR100789076B1 KR1020060065185A KR20060065185A KR100789076B1 KR 100789076 B1 KR100789076 B1 KR 100789076B1 KR 1020060065185 A KR1020060065185 A KR 1020060065185A KR 20060065185 A KR20060065185 A KR 20060065185A KR 100789076 B1 KR100789076 B1 KR 10078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network
exchange
mobile
authent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조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훈 filed Critical 조영훈
Priority to KR102006006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82Criteria or parameters used for performing billing operations
    • H04M15/8235Access 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04M3/382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using authorisation codes or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할당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과, 각 이동 단말의 인증 데이터별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각 이동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데이터가 기설정된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면,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동 전화 번호를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발신 정보로 포함시켜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개시함으로써, 가입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 요금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착신자가 발신 정보를 교환기의 유선 번호 또는 임시 번호가 아닌 발신자의 이동 전화 번호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음성 통화의 요금을 유선 요금을 기반으로 가입자의 이동 전화 번호에 과금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public communication service using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과 교환기가 연결되는 유선 네트워크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단말 110 : 무선 연결부
120 : 유선 연결부 130 : CDMA 연결부
140 : 저장부 150 : 키패드부
16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 중앙 처리부
171 : 모드 처리부 172 : 무선 처리부
173 : 유선 처리부 174 : CDMA 처리부
175 : 인증 처리부 200 : 액세스 포인트
300 : 교환기 310 : 인터페이스부
320 : 데이터 베이스 330 : 스위칭부
340 : 메시지 처리부 400 : 과금 서버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네트워크 기술 및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 및 보급으로 개인이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을 소유하고 있으며, 유무선 통신,방송,융합망 환경 하에서 와이브로(WiBro), DMB 및 IP-TV 등 다양한 매체를 지원하고, 음성/데이터, 메신저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복합단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합 단말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중 하나가 원폰이다.
원폰이란, 이종망간 통합은 구축되지 않으나, 유선/무선을 상호 연결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써, 하나의 단말을 이용하여 집 또는 사무실에서 휴대폰과 일반 유선 전화를 이용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폰 시스템은 가입자가 하나의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음성 통화 및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패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원폰 시스템은 이동 단말이 집이나 사무실에 설치되는 블루투스 AP에 접속하여, 임시 번호를 할당받아 음성 통화 및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원폰 시스템은 접속하는 이동 단말이 음성 통화를 요청할 때, 예를 들어, 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발신 정보(CID)는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가 아닌 임시 번호(유선전화번호)가 됨으로, 착신자는 발신자를 음성 통화가 연결되기 전까지 확인할 수 없음으로, 별도의 요금을 지불하는 발신자 확인 서비스가 무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가입자가 소지하고 있는 이동 단말(휴대폰)을 이용하여 공중 전화 망을 통해 음성 통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입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공중 전화 망으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발신 정보를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가 포함되도록 하여 착신자가 발신자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할당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과, 각 이동 단말의 인증 데이터별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각 이동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데이터가 기설정된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면,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동 전화 번호를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발신 정보로 포함시켜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증 데이터는, IP 주소 정보 또는 패스워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방식의 네트워크, 지그비 방식의 네트워크 또는 센서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이동 단말은, USB 네트워크 또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에 연결되어,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충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이동 단말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되는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무선 연결부와, USB 네트워크 또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에 연결되는 유선 연결부와,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이동 통신 업체에 접속하여, 상대 단말과 연결되는 CDMA 연결부와, 할당되는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교환기와 연결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교환기로 전송하고, 가입자가 통화 대기 상태를 선택하면, 발신음을 출력하며,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처리부는, 무선 연결부로 교환기가 연결되는 무선 모드, 유선 연결부로 교환기가 연결되는 유선 모드 또는 CDMA 연결부를 통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CDMA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처리부와, CDMA 모드가 설정되면, CDMA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가 선택하는 상대 단말과 음성 통화를 설정하는 CDMA 처리부와, 무선 모드가 설정되면,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출력하며,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여 공중 전화망으로 음성 통화를 설정하는 무선 처리부와, 유선 모드가 설정되면,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출력하며,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여 공중 전화망으로 음성 통화를 설정하는 유선 처리부와, 무선 연 결부 또는 유선 연결부를 통해 교환기와 연결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각 이동 단말이 교환기를 통해 설정되는 음성 통화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공중 전화망의 요금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 요금을 산출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에 과금하는 과금 서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각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되는 음성 통화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를 과금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은, 교환기가 각 이동 단말로 인증 데이터를 할당하고, 각 이동 단말별 인증 데이터 및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각 이동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공준 전화망으로 교환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각 이동 단말이 할당된 인증 데이터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교환기가 각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유선 발신음을 제공하는 단계와, 각 이동 단말이 유선 발신음을 출력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교환기가 해당 이동 단말의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동 전화 번호를 발신 정보로 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 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은, 각 이동 단말이 가입자가 유선 네트워크로 공중 전화망을 통해 교환기에 접속시키면, 인증 데이터를 교환기로 전송하고,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은, 교환기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전화망으로 음성 통화가 설정되는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를 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과금 서버가 음성 통화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공중 전화망의 요금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 요금을 산출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에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 단말(100)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에 접속하여 교환기(300)에 연결되거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와 연결된다.
그리고, 교환기(300)는 가입자가 이동 단말(100)을 통한 음성 통화에 대한 전화 요금을 과금하는 과금 서버(400) 및 이동 통신망(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공중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착신 단말과 연결된다.
이동 단말(100)과 액세스 포인트(200)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블루투스, 지그비 또는 센서 네트워크 등과 같은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200)의 설치 위치는 건물내 자판기 근처, 커피숍, 길거리 벤치 근처, 숙박업소, 관공서 및 아파트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100)과 교환기(300)가 연결되는 유선 네트워크는 USB(Universal Serial Bus) 네트워크 또는 케이블(RJ-45/RF-11)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100)은 액세스 포인트(200)를 통해 공중 전화망으로 교환기(300)에 접속되거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 전화망으로 교환기(300)에 접속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이동 단말(100)을 교환기(300)와 연결하며, 무선 네트워크를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즉, 인증 데이터, 통화 요청 메시지 및 음성 데이터를 교환기(300)로 전송하고, 교환기(300)로부터 수신되는 발신음, 응답 메시지 및 음성 데이터를 이동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200)는 이동 단말(100)이 교환기(300)를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인터넷망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킷을 이동 단말(100)로 전송 하거나, 가입자의 선택에 따른 패킷을 인터넷 망으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100)은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액세스 포인트(200)를 검색하여, 액세스 포인트(200)가 검색되면, 무선 모드를 설정하면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에 접속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액세스 포인트(200)가 검색되면, 가입자에게 액세스 포인트(200)가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어, 'ANY ZONE에 진입하였습니다')를 음성/영상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접속하면, 유선 모드를 설정하면서 교환기(300)에 접속한다. 이때, 이동 단말(100)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예를 들어, '케이블로 연결되었습니다')를 음성/영상으로 출력한다.
또한, 이동 단말(100)은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교환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충전한다.
한편, 이동 단말(100)은 무선 모드 또는 유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가입자가 통화 대기 상태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이동 단말(100)의 폴더를 열거나, 슬라이드를 올리면, 교환기(300)로부터 제공되는 유선 통화 가능음(발신음)을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100)은 무선 모드 또는 유선 모드가 설정되면, 기설정되는 인증 데이터(IP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전송하여,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교환기(300)는 초기 서비스에 가입하는 각 이동 단말(100)별로 할당되는 인 증 데이터(IP 주소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이동 단말(100)의 고유 정보(예를 들어, 기기식별 번호, 이동 전화 번호 등)별로 저장하고,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가 기저장된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면, 해당 이동 단말(100)을 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으로 연결되는 착신 단말과 음성 통화를 위해 연결하거나, 인터넷 망에 접속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에 할당되는 IP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인터넷 망에 접속하며, 단말간 음성 통화를 설정하거나, 단말이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IP 교환기(300)이며, 이동 단말(100)의 이동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음성 통화를 설정함으로 다수의 이동 단말(100)에 동시에 음성 통화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불일치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발신 정보를 해당 이동 단말(100)의 이동 전화 번호 정보를 포함시켜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이 유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착신 단말과 음성 통화 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하는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과금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교환기(300)는 해당 이동 단말(100)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 및 이동 전화 번호 정보와,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과금 서버(400)로 전송한다.
과금 서버(400)는 각 이동 단말(100)이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음성 통화 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한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기설정된 공중 전화 요금을 기준으로 하는 서비스 요금 표를 기반으로 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한다.
이때, 과금 서버(400)는 요금을 해당 이동 단말(100)의 이동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이동 통신 업체를 통해 과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100)은, 무선 연결부(110), 유선 연결부(120), CDMA 연결부(130), 저장부(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키패드부(150) 및 중앙 처리부(170)를 포함하고, 중앙 처리부(170)는 모드 처리부(171), 무선 처리부(172), 유선 처리부(173), CDMA 처리부(174), 및 인증 처리부(175)를 포함한다.
저장부(140)는 이동 단말(100)의 이동 전화 번호, 초기 가입시 할당받는 인증 데이터인 IP 주소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출력부 및 음성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가입자가 교환기(300)를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 서비스 또는 인터넷 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키패드부(150)는 다수개의 키를 구비하며, 가입자가 착신 전화 번호 및 통화 요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CDMA 연결부(130)는 이동 통신망과 정합되어, 이동 통신 업체를 통해 다른 이동 단말(100)과 연결된다.
무선 연결부(11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와 정합되며, 유선 연결부(120)는 유선 네트워크와 정합되어, 교환기(300)와 연결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과 교환기가 연결되는 유선 네트워크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100)의 유선 연결부(120)는 USB 케이블을 통해 공중 전화망에 접속하여 교환기(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RJ-45 또는RJ-11 케이블을 통해 공중 전화망에 접속하여 교환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연결부(110)는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를 검색한다.
모드 처리부(171)는 무선 연결부(110)가 액세스 포인트(200)를 검색하면, 무선 모드를 설정하고, 유선 연결부(120)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와 연결되면, 유선 모드를 설정하고, CDMA 연결부(130)를 통해 이동 통신망과 연결되면, CDMA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 모드 처리부(171)는 무선 모드/CDMA 모드 및 유선 모드/CDMA 모드와 같은 복합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동시에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를 들어, 이동 단말(10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CDMA 연결부(130)를 통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대 이동 단말(100)과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CDMA 처리부(174)는 CDMA 모드가 설정되면, CDMA 연결부(130)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에 상응하는 상대 이동 단말(100)과 음성 통화를 연결하거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망에 접속한다.
무선 처리부(172)는 무선 모드가 설정되면, 무선 연결부(110)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에 접속하고, 액세스 포인트(200)를 통해 교환기(300)와 연결한다.
그리고, 무선 처리부(172)는 연결되는 교환기(300)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무선 처리부(172)는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300)로 전송한다.
유선 처리부(173)는 유선 모드가 설정되면,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 교환기(300)와 연결하고, 교환기(300)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해 출력한다.
유선 처리부(173)는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300)로 전송한다.
한편, 인증 처리부(175)는 무선 연결부(110) 또는 유선 연결부(120)를 통해 교환기(300)와 연결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인 IP 주소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교환기(3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300)는 복수개의 인터페이스부(310), 스위칭부(330) 및 데이터 베이스(320)를 포함하고, 스위칭부(330)는 메시지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제 1 인터페이스부(310-1)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동 단말(100)과 연결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로 접속하여 연결되는 이동 단말(100)과 정합한다.
즉, 제 1 인터페이스부(310-1)는 공중 전화망을 통해 이동 단말(1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인터페이스부(310-2)는 네트워크(이동 통신망 또는 공중 전화망)를 통해 착신 단말과 연결된다.
데이터 베이스(320)는 서비스에 가입한 각 이동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별 고유 정보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 베이스(320)는 접속하는 이동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인 IP 주소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에 상응하는 고유 정보인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한다.
스위칭부(330)는 통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 1 인터페이스부(310-1)를 통해 연결되는 발신 이동 단말(100)과 제 2 인터페이스부(310-2)로 접속되는 착신 단말과 음성 통화를 설정한다.
그리고, 메시지 처리부(340)는 제 1 인터페이스부(310-1)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접속되는 이동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고유 정보인 이동 전화 번호를 발신 정보로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
메시지 처리부(340)는 제 1 인터페이스부(310-1)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단말(100)이 착신 단말과 음성 통화 또는 인터넷 망에 접속하는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과금 서버(400)로 전송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교환기(300)는 서비스에 가입되는 이동 단말(100)에 인증 데이터인 IP 주소 정보 및 패스위드 정보를 할당한다(S 100).
그리고, 교환기(300)는 각 이동 단말(100)의 인증 데이터별 고유 정보인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한다(S 110).
이동 단말(100)은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200)를 검색하여 액세스 포인트(200)가 검색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20).
이동 단말(100)은 액세스 포인트(200)가 검색되면, 액세스 포인트(200)에 접속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접속한다(S 130).
한편, 이동 단말(100)은 가입자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연결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 140), 가입자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연결하면, 교환기(300)에 접속한다(S 150).
이동 단말(100)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에 접속되면, 인증 데이터를 교환기(300)로 전송한다(S 160).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와, 기설정된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70).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불일치 메시지를 이동 단말(100)을 통해 출력한다(S 180).
한편,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가 일치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발신음을 이동 단말(100)로 제공한다(S 190).
이동 단말(100)은 가입자가 통화 대기 상태를 선택하면, 발신음을 출력한다(S 200).
이동 단말(100)은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기(300)로 전송한다(S 210).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고유 정보인 이동 전화 번호, 즉 이동 단말(100)의 전화 번호가 발신 정보로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한다(S 220).
그리고, 교환기(300)는 이동 단말(100)과 착신 단말간 음성 통화가 설정되면, 해당 이동 단말(100)에 할당된 IP 주소 정보 및 이동 전화 번호 정보와,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과금 서버(400)로 전송한다(S 230).
과금 서버(400)는 각 이동 단말(100)에 설정된 음성 통화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기설정된 공중 전화 요금을 기준으로 하는 서비스 요금 표를 기반으로 요금을 산출하여 과금한다(S 240).
이때, 과금 서버(400)는 요금을 해당 이동 단말(100)의 이동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이동 통신 업체를 통해 과금할 수 있다.
또한, 교환기(300)는 각 이동 단말(100)이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인터넷 망에 접속하는 경우, 해당 이동 단말(100)의 IP 주소 정보 및 이동 전화 번호 정보와, 접속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을 과금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유선 전화 요금으로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착신 단말로 전송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발신 정보가 교환기의 유선 전화 번호 또는 이동 단말의 임시 번호가 아닌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가 포함됨으로, 착신자가 발신자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가 이동하면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하는 경우라도 요금을 이동 전화 번호로 과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하는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음성 통화를 설정함으로, 교환기가 다수의 이동 단말에 동시에 음성 통화를 설정할 수 있다.

Claims (11)

  1.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을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할당된 인증 데이터를 제공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다수개의 이동 단말과,
    상기 각 이동 단말의 인증 데이터별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증 데이터가 기설정된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동 전화 번호를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의 발신 정보로 포함시켜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단말은, USB 네트워크 또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충전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데이터는,
    IP 주소 정보 또는 패스워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방식의 네트워크, 지그비 방식의 네트워크 또는 센서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인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이동 단말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검색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는 무선 연결부와,
    USB 네트워크 또는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교환기에 연결되는 유선 연결부와,
    이동 통신 망을 통해 이동 통신 업체에 접속하여, 상대 단말과 연결되는 CDMA 연결부와,
    상기 할당되는 인증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가입자가 통화 대기 상태를 선택하면, 발신음을 출력하며, 상기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무선 연결부로 상기 교환기가 연결되는 무선 모드, 상기 유선 연결부로 상기 교환기가 연결되는 유선 모드 또는 상기 CDMA 연결부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망에 연결되는 CDMA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처리부와,
    상기 CDMA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CDMA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가입자가 선택하는 상대 단말과 음성 통화를 설정하는 CDMA 처리부와,
    상기 무선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출력하며, 상기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여 공중 전화망으로 음성 통화를 설정하는 무선 처리부와,
    상기 유선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발신음을 출력하며, 상기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여 공중 전화망으로 음성 통화를 설정하는 유선 처리부와,
    상기 무선 연결부 또는 유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증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상기 다수개의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설정되는 음성 통화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를 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9. 다수개의 이동 단말, 액세스 포인트 및 교환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각 이동 단말로 인증 데이터를 할당하고, 상기 각 이동 단말별 인증 데이터 및 이동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각 이동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검색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공중 전화망으로 상기 교환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각 이동 단말이 할당된 인증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가 상기 각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데이터와 일치하는 인증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유선 발신음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각 이동 단말이 상기 유선 발신음을 출력하고, 가입자가 입력하는 착신 전화 번호가 포함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기가 해당 이동 단말의 인증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동 전화 번호를 발신 정보로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각 이동 단말이 상기 가입자가 유선 네트워크로 상기 공중 전화망을 통해 상기 교환기에 접속시키면, 상기 인증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전원을 구동 전원으로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공중 전화망으로 음성 통화가 설정되는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를 과금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과금 서버가 상기 음성 통화의 개시 시간 및 종료 시간과 공중 전화망의 요금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 요금을 산출하여 해당 이동 단말의 이동 전화 번호에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KR1020060065185A 2006-07-12 2006-07-12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78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185A KR100789076B1 (ko) 2006-07-12 2006-07-12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185A KR100789076B1 (ko) 2006-07-12 2006-07-12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076B1 true KR100789076B1 (ko) 2007-12-26

Family

ID=39148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185A KR100789076B1 (ko) 2006-07-12 2006-07-12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0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71A (ko) * 2002-03-05 2003-09-13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와 피시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60021467A (ko) * 2004-09-03 2006-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인터넷망과 타 통신 망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971A (ko) * 2002-03-05 2003-09-13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와 피시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60021467A (ko) * 2004-09-03 2006-03-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인터넷망과 타 통신 망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77029A1 (en) Virtual multi-line telephone service
JP2000516066A (ja) ホームゾーン内の会議電話
AU71507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proved caller interface in a fixe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CN101052184B (zh) 通信终端、通信系统和控制方法
US6977999B2 (en) Reverse charging system, reverse-charging service control apparatus, call agent and reverse charging method
KR100344011B1 (ko) 인터넷망을 이용한 휴대전화와 pc 사이의 통신 서비스제공 시스템
KR100789076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공중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6519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JP2825435B2 (ja) 仮想親子電話方式
KR100612456B1 (ko)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호처리 방법
KR100612323B1 (ko)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용 방법
KR100612445B1 (ko) 유무선 전화 연동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005554B (zh) 语音业务共享方法、设备及系统
JP3336938B2 (ja) 移動電話システム
JP4334186B2 (ja) 移動体通信機器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KR100736493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파일 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KR100510271B1 (ko)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한 유선전화기 통화시스템에서유선전화기간의 통화에 대한 과금 시스템 및 그 방법
JP33499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料金管理システム
JP5576661B2 (ja) 通信網、通信網に使用する移動端末機、通信網に使用するサービス制御ポイント、通信網に使用する基地局
KR100814535B1 (ko)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중 수신자 부담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100909825B1 (ko) 발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KR100909827B1 (ko) 통화연결음 대체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KR20040076514A (ko) 서비스 제공자 변경과 무관하게 전화번호 유지 서비스를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672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와 상한 요금제 서비스의 연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09831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발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