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5937B1 -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5937B1
KR100645937B1 KR1019990057772A KR19990057772A KR100645937B1 KR 100645937 B1 KR100645937 B1 KR 100645937B1 KR 1019990057772 A KR1019990057772 A KR 1019990057772A KR 19990057772 A KR19990057772 A KR 19990057772A KR 100645937 B1 KR100645937 B1 KR 10064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oom
product
wire
lif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477A (ko
Inventor
오까다히사꼬
하세가와히로시
미우라쥰
미야하라료헤이
우시로다고이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5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6Position indicators for suspended loads or for cran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건물 밖으로부터 양중기로 건물 내의 기기를 수직으로 조작할 때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원자로 격납 용기(10)] 밖에 배치된 양중기의 붐(4)으로부터 늘어뜨린 와이어(3)를 상기 건물에 설치한 개구(11)를 통해 상기 건물 내에 넣고, 상기 건물 내에서 상기 와이어(3)로 기기[제품(2)]를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릴 때에, 상기 기기의 자중을 상기 와이어(3)와 상기 건물 내의 구조물[방사선 차폐벽(16)] 사이에서 이동하는 과정의 도중에서, 상기 기기의 자중이 상기 와이어(3)로 이동한 때의 붐(4)의 어긋남을 3차원 계측기(7)로 계측하고, 그 어긋남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붐(4)의 위치를 붐(4)의 기복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기를 수직으로 매달아 올리는 위치로 수정하는 과정을 갖는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을 제공한다.
대형 양중기, 와이어, 붐, 가이드 롤러, 3차원 계측기

Description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METHOD FOR HANDLING AN EQUIPMENT INSIDE THE BUILDING STRUCTURE BY A CRAWLER CRANE DISPOSED OUTSIDE OF THE BUILDING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대형 양중기에 의한 제품의 매달아 올리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대형 양중기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대형 양중기에 의한 제품의 매달아 올림 개시 상태의 측면도를 (a)도로, 매달아 올림 직후 순간 상태의 제품의 횡진동을 (b)도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한 대형 양중기에 의한 제품의 반출 및 반입·설치 상황을 도시한 해설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형 양중기로 제품을 매달아 올리기(땅에서 떨어짐)까지의 붐의 변위량을 3차원 계측기로 감시한 순서 ①②③④ 및 대형 양중기의 운전 조작에 의해 피드백·보정을 하는 상황을 도시한 해설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이드 롤러의 설치예를 도시한 해설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형 양중기
2 : 제품
3 : 와이어
4 : 붐
6 : 가이드 롤러
7 : 3차원 계측기
10 : 원자로 격납 용기
본 발명은 건물 밖의 양중기에 의해 건물 내에서의 기기 조작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정 단축, 숙련공·현장 노동자 부족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발전소·화학 플랜트 등의 건설 프로젝트, 보수 프로젝트에 대형 양중기가 적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보수 프로젝트에 있어서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제품 등의 구성 기기의 교환 작업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그 교환 작업에 수반하여, 기존 설비와의 간섭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대형 양중기에 대해 세밀한 고도의 운전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그 교환 작업에 관한 내용이 일본 특허 공개 평8-43577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반출에 있어서, 제품의 하중이 제품의 설치면으로부터 대형 양중기측으로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대형 양중기의 붐은 전방 방향으로 쓰러지 는 형태가 되어 붐 선단부가 제품의 연직선상으로부터 변위하여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접지하여 고정되어 있는 제품측에는 붐 전방 방향으로의 장력이 와이어로부터 작용하게 된다.
땅에서 떨어졌을 때(제품을 매달아 올린 순간)에는 제품은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되므로, 상기 장력에 의해 전방으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취한다.
또한, 제품의 반입·설치에 있어서는 제품의 하중을 대형 양중기측으로부터 제품의 접지면(설치 위치)으로 옮기는 데 수반하여 대형 양중기의 붐은 제품의 연직선상으로부터 후방 방향으로 복귀하는 형태가 되어, 제품측에는 붐 후방 방향으로의 수평 하중이 와이어로부터 작용하게 된다.
대형 양중기를 이용한 공법은 종래까지는 주로 신규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되어 왔다. 건설 단계에서의 제품의 매달아 올림은 옥외의 임시 적치 장소로부터 행하였으므로, 가령 땅에서 떨어질 때에 제품이 흔들려도 주위의 인접물과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도록 대처되어 있었다.
또한, 제품의 반입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충격을 고려한 기초 구조물로의 착지이므로, 반입에 요구되는 정밀도는 크레인 운전자의 기량에 의존하는 것만으로 충분했다.
한편, 보수 프로젝트에 있어서 제품의 반출시, 건물 내의 기존 설비가 인접하는 협소한 환경하에서 어떠한 대책도 강구할 수 없는 경우, 제품을 매달아 올린 순간에 제품은 횡요동을 일으켜 기존 설비에 충돌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새롭게 반입하는 제품의 부착 위치와의 맞춤 작업 혹은 새롭게 반입하는 제품과 걸맞는 기존 배관과의 맞춤 작업을 위한 미세 조정에 필요한 제품의 이동 범위의 제어는 이미 서술한 와이어로부터의 수평 하중을 어떻게 회피하는가가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미리 붐을 역방향으로 늦추게 한 상태에서 매달아 올리는 대책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4-38397호 공보에 따르면, 실제 매달아 올림 개시 전에 하중 시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연산 장치에 입력시킴으로써, 실제 땅에서 떨어질 때 일정 하중량에 있어서 미리 역방향으로 늦추는 양을 수치적으로 예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평1-167199호 공보에 있어서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79826호 공보에 있어서는 하중에 의한 크레인 지브의 만곡 변형에 의한 작업 반경의 변화를 토지 측량에 이용되는 타키메타(tachymeter)와 지브에 복수 설치된 반사경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1-256497호 공보에 있어서는 실제 매달아 올릴 때에 붐의 휨에 의한 붐 길이, 기복 각도의 변화를 검출하고, 붐의 기복량을 자동적으로 수정함으로써 땅에서 떨어질 때의 제품의 하중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평1-256496호 공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5-46882호 공보,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소63-4989호 공보에 있어서도 이미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소64-38397호 공보 등에 예를 든, 사전 시험 등에 의한 하중 정보를 기억시킴으로써, 매달아 올릴 때에 미리 붐을 역방향으로 늦추는 양을 자동적으로 구하는 방법에서는 실제 매달아 올릴 때의 외부 저해 요인(예를 들어 바람 등의 기상 조건)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매달아 올릴 때의 횡진동을 전혀 없게 하는 것은 어렵다.
일본 특허 공개 평9-79826호 공보에 예를 든, 타키메타와 반사경을 이용하여 크레인 지브의 반경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서는, 얻게 된 변화량을 크레인 조작에 결부시키는 방법이 명확하지가 않다.
또한, 측정점을 크레인 지브마다 마련하고 있어 측정 횟수와 정보량이 많아져 크레인 조작에의 단시간으로의 피드백이 어렵다.
일본 특허 공개 평1-256497호 공보에 예를 든, 붐 길이나 기복 각도의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서는 크레인마다 특유의 검출 장치가 필요해 측정이 용이하지가 않다. 또한, 땅에서 떨어진 후의 제품(지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의 제품)의 요동에 의한 주위의 기존 시설물과의 충돌 회피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하지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밖으로부터 양중기로 건물 내의 기기를 수직으로 조작할 때의 제어를 정밀도 좋게 행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기본적 구성 요건은 건물 밖에 배치된 양중기의 붐으로부터 늘어뜨린 와이어를 상기 건물에 마련한 개구를 통해 상기 건물 내에 넣고, 상기 건물 내에서 상기 와이어로 기기를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릴 때에, 상기 기기의 자중을 상기 와이어와 상기 건물 내의 구조물 사이에서 이동하는 과정의 도중에서, 상기 붐의 위치를 기복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기를 수직으로 매달아 올리는 위치로 수정하는 과정을 갖는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으로서, 양중기의 운전실로부터 건물 내부가 보이지 않아도, 건물 내 기기의 수직 방향의 조작을 정밀도 좋게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적용 사례를 해설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은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격납 용기(10)로서, 그 지붕 부분은 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원자로 격납 용기(10)의 주위에는 원자로 격납 용기 차폐벽(14)이 배치되어 있다.
그 원자로 건물(10)의 돔 형상 지붕의 일부분에는 원자력 발전소의 구성 기기인 중량이 350톤 정도의 증기 발생기[이하, 제품(2)이라 함]를 상하 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는 크기의 개구(11)가 제품(2)을 교환하는 작업에 앞서 설치된다.
그 교환 작업은 도1에서 도시한 대형 크롤러 크레인(이하, 대형 양중기라 함)으로 제품(2)을 개구(11)를 통과시켜 원자로 건물(10) 내에 매달아 넣거나, 반대로 매달아 내거나 한다.
제품(2)을 매달아 올리기 위해 대형 양중기(1)의 와이어(3)는 대형 양중기(1)의 기계실(13)로부터 기둥(12)의 정점부를 경유하여 붐(4)의 정점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뜨려 내리고, 제품과 후크 등의 현수 천칭을 거쳐서 연결되게 된다. 기계실(13)로부터 기둥(12)의 정점부를 경유하여 기둥(12)의 정점부에는 붐(4)을 기립 방향으로 일으키거나 엎어지는 방향으로 쓰러뜨리거나 하기 위한 다 른 와이어가 걸려 있다. 어떠한 와이어도 기계실(13) 내의 상향 권취 장치에 의해 와이어를 드럼으로부터 풀어내거나 권취하거나 할 수 있어, 와이어(3)를 권취하면 제품(2)은 매달아 올려지고 풀어내면 제품(2)은 매달아 내려진다는 상향 권취 조작이, 그리고 전술한 다른 와이어를 권취하면 붐(4)은 기립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풀어내면 붐(4)은 엎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기복 조작이 가능하다. 그 기복 조작에 의해 붐(4)의 기복 각도가 변화하고, 붐(4)으로부터 매달린 화물에 수직으로 늘어뜨린 와이어의 수평 도달 거리가 변화한다.
그들의 각 조작은 기계실(13) 근방의 대형 양중기(1) 부분에 장착 구비된 운전실에서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다. 이 운전실에는 와이어(3)에 가해진 현수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계의 표시기가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대형 양중기(1)는 큰 중량 물건을 현수하는 능력이 부여되는 관계 상, 와이어(3)의 직경은 크고 권취 횟수도 많아, 와이어(3) 자신의 중량이 커져 와이어(3)가 기둥(13) 정점부와 붐(4) 정점부 사이에서 자중에 의해 늘어뜨려진 형태가 된다.
도2에 대형 양중기(1)에 의한 제품(2)의 매달아 올림 개시 상태로부터 매달아 올리는 순간까지의 상태를 측면도로 도시한다.
상기 도1에 있어서의 대형 양중기(1)에 가해지는 하중이 무부하 상태(도2에 파선으로 도시함)에서 도2의 (a)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상태가 됨에 따라, 즉 제품(2)의 접지면에 가해지고 있던 하중이 대형 양중기(1)의 와이어(3)를 거쳐서 대형 양중기(1) 측으로 이동하는 데 수반하여, 와이어(3)는 늘어난 형태가 되고 붐(4)은 전방 방향으로 엎어지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품(2)의 중량이 하중으로서 접지면으로부터 와이어(3)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도2의 (a)의 점선 표시로부터 실선 표시의 상태로 붐(4)의 변위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에 수반하여,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는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에서 어긋나 붐(4)으로부터 늘어뜨려 내려진 와이어(3)가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아직 접지하고 있는 제품(2) 측에는 붐(4)의 전방 방향으로의 장력이 와이어(3)를 거쳐서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품(2)이 부상하여 매달려 올라간 순간에는 제품(2)이 도2의 (b)의 점선 표시로부터 실선 표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되므로 상기 장력에 의해 전방, 즉 도2의 (b) 중 화살표 방향으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취한다.
이로 인해, 제품(2)의 반출시, 건물 내의 기존 설비가 인접하는 협소한 환경 하에서 어떠한 대책도 강구하지 않을 경우, 매달려 올라간 순간에 제품(2)은 횡진동을 일으켜 기존 설비에 충돌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를 회피하기 위해, 전술한 기복 조작으로 미리 붐(4) 선단부를 매달아 올릴 제품(2)의 연직상으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매달아 올리는 대책을 생각할 수 있는 데, 어느 정도의 복귀가 필요해지는지 수치적인 예측이 어렵다. 제품(2)을 대형 양중기(1)로 조작하는 현장이 대형 양중기(1)의 운전석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원자로 건물(10) 내이고, 또한 제품(2)의 인접 부위에는 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여 접촉 사고를 일으키기 쉬운 환경인 것이 그 조작 정밀도 향상의 요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래서, 3차원 계측기를 활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에 개시한다.
여기에서는, 3차원 계측기에 광파식 측량기를 이용한 경우의 구체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는 광파식 측량기가 발하는 빛 등의 파가 목표점에 설치되어 있는 광학 측정용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고, 그 빛을 광파식 측량기가 받아 냄으로써, 목표점의 위치를 3차원의 좌표로서 산출하는 것이다.
도3에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한 대형 양중기에 의한 제품의 반출 상황도를 도시한다.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에 설치한 광학 측정용 반사경(8, 8')의 좌표를 붐(4) 선단부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 내로 설정한 3차원 계측기(7)로 판독한다. 광학 측정용 반사경(8)의 좌표로부터 반사경(8')의 좌표를 잇는 벡터[벡터의 방향은 반사경(8)의 좌표로부터 반사경(8')의 좌표 방향]에 의해 붐(4)의 방향을 표현할 수 있고, 광학 측정용 반사경(8)의 좌표로부터 반사경(8')의 좌표를 잇는 벡터의 지상면에 수평인 성분을 X축, 연직인 성분을 Z축, 지상면에서 X축에 직각인 방향을 Y축이 되도록 좌표를 고치고, 점(8)을 기준(제로) 좌표로 치환한다. 이는 크레인 운전자에게 있어 전후 방향을 X축, 좌우 방향을 Y축, 상하 방향을 Z축이라 함으로써, 기준점의 이동량을 크레인 운전자가 알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 의해, 대형 양중기(1)의 붐(4)의 이동량을 좌표에서 3차원적으로 감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4에 실제로 대형 양중기(1)로 제품(2)을 매달아 올리는 순간까지의 붐의 이동량을 3차원 계측기(7)로 감시하는 순서 및 대형 양중기(1)의 운전 조작에 의한 피드백·보정을 행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제품(2)은 당초 원자로 격납 용기 내에 서 증기 발생기 지지 가대(1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제품(2)의 주변에는 방사선 차폐벽(16)이 구조물로서 인접하고 있다. 이 방사선 차폐벽(16)에는 제품(2)의 위치를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 롤러(6)가 제품(2) 주위의 배치로써 부착되고, 가이드 롤러(6)의 롤러면은 제품(2)에 대향하고, 롤러면은 수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해진다.
본 도면의 ①에서는 매달아 올림 개시 전[대형 양중기(1) 측에 제품(2)의 하중을 가하기 전, 대형 양중기(1) 측 : 무부하 하중 Ot → 제품(2) 접지면 : 전하중시]에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에 설치된 광학 측정용 반사경(8')의 좌표를 대형 양중기(1)로부터 분리된 외부 차폐벽(14)의 높은 곳에 설치한 3차원 계측기(7)로 판독하고, 상술한 방법으로 좌표 변환한 후, 점(8)을 기준(제로) 좌표로 치환한다.
본 도면의 ②는 제품(2) 접지면으로의 하중이 대형 양중기(1) 측으로 이동을 개시하고 나서의 붐(4) 선단부의 변위량을 정량화하므로, 붐(4) 선단부에 설치한 광학 측정용의 반사경(8)의 위치를 3차원 계측기(7)로 판독하고, 붐(4) 선단부의 이동 후의 좌표를 산출한다.
다음에, 본 도면의 ③에 있어서는 붐(4) 선단부의 이동 후의 좌표를 대형 양중기(1)의 운전 조작으로 피드백하므로, XYZ 방향 각각의 이동량이 크레인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이 전달 방법은 하나의 예로서, 3차원 계측기(7)를 이용한 측정을 행하는 측정자로부터 무선 통신기로 크레인 운전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크레인 운전자는 대형 양중기(1)의 붐(4) 기상 및 와이어(3)의 하향 권취 조작을 반복하면서,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의 이동 후의 좌표를 하중 무부하 상태의 기준 좌표로 복귀시킴으로써,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와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의 어긋남을 보정한다.
상기한 본 도면의 ②에 의한 붐(4) 선단부의 변위량을 3차원 계측기(7)로 계측하고, 본 도면의 ③에서 붐(4)이 변위한 만큼을 대형 양중기(1) 측의 운전 조작으로 피드백하는 일련의 조작은 제품 전하중의 10%(이 비율은 하중 시험 등의 경험으로부터 미리 결정해 둠)가 대형 양중기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대형 양중기(1)의 하중계의 표시기를 보고 제품의 전하중의 10% 마다 반복하여 행한다.
본 도면의 ④는 제품(2)을 최종적으로 매달아 올리기 직전에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에 설치된 광학 측정용 반사경(8)의 좌표를 계측하고,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와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의 어긋남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제품(2)의 전하중이 대형 양중기(1) 측으로 이동하여 제품(2)이 접지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큰 중량의 제품(2)은 횡이동하는 일 없이 매달아 올릴 수 있게 된다.
땅에서 떨어진 제품(2)은 기존 설비이기도 한 방사선 차폐벽(16)이 인접하는 협소한 공간을 대형 양중기(1)의 조작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바람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제품(2)이 횡진동을 개시하면, 방사선 차폐벽(16)에 충돌하는 등의 우려가 있어 방사선 차폐벽(16)을 파손하게 하는 등 매우 위험하다. 도5는 방사선 차폐벽(16)에 가이드 롤러(6)를 설치하고, 제품(2)의 위치를 일정한 범위 내로 규제하여 횡진동을 억제하고, 제품(2)의 원활한 유도를 조장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해, 땅에서 떨어진 후에 대형 양중기(1)의 와이어(3)만으로 지지된 불안정한 자세의 제품(2)은 방사선 차폐벽(16)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6)에 의해 위치가 대폭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되어 유도되고, 횡진동하는 일 없이 안전하게 반출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대형 양중기(1)에 의한 제품(2)의 반입·설치에 있어서는 제품이 착지하기 전[대형 양중기(1) 측으로부터 제품(2)의 설정부에 제품(2)의 하중을 옮기기 전]에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에 설치된 광학 측정용 반사경(8, 8')의 좌표를 3차원 계측기(7)로 판독하고, 상술한 방법으로 좌표 변환한 후, 점(8)을 기준(제로) 좌표로 치환한다.
대형 양중기(1) 측의 부하 하중이 차례로 저감되고, 전하중이 제품(2)의 설정부에 가해지기 까지의 붐(4) 선단부의 변위량을 정량화하므로, 붐(4) 선단부에 설치한 광학 측정용 반사경(8)의 위치를 3차원 계측기(7)로 판독하고, 붐(4) 선단부의 이동 후의 좌표를 산출한다.
붐(4) 선단부의 이동 후의 좌표를 대형 양중기(1)의 운전 조작으로 피드백하므로, XYZ 방향 각각의 이동량이 크레인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크레인 운전자는 대형 양중기(1)의 붐(4)의 쓰러뜨림 및 와이어(3)의 상향 권취 조작을 반복하면서, 대형 양중기(1)의 붐(1) 선단부의 이동 후의 좌표를 기준(제로) 좌표로 복귀시킴으로써,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와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의 어긋남을 보정한다.
상기 붐(4) 선단부의 변위량을 3차원 계측기(7)로 계측하고, 붐(4)이 변위한 만큼을 대형 양중기(1) 측의 운전 조작으로 피드백하는 일련의 조작은 제품의 전하중의 10%(이 비율은 하중 시험 등의 경험으로부터 미리 정해 둠)가 제품(2)의 설정부측으로 이동할 때마다 반복하여 행한다.
제품(2)을 최종적으로 설정하기 직전에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에 설치된 광학 측정용 반사경(8)의 좌표를 계측하고,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와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의 어긋남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나서, 제품(2)의 전하중이 제품(2)의 설정부로 이동하고, 대형 양중기측의 전부하 하중이 빠짐으로써, 대형 양중기(1)의 와이어(3)로부터 제품(2)에 가해지는 수평 하중을 회피하여 제품(2) 설정시의 충격 하중을 제어하면서 반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형 양중기(1)에 의한 제품(2)의 반입· 설치에 있어서, 착지하기 전의 제품(2)은 대형 양중기(1)의 와이어(3)만으로 지지된 불안정한 자세이며, 바람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횡접촉을 개시하면, 방사선 차폐벽(16)에 충돌하는 등의 우려가 있어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반출과 마찬가지로, 방사선 차폐벽(16)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6)는 제품의 횡접촉을 억제하여 제품(2)을 원활하게 유도하고, 제품(2)의 반입에 있어서의 제품(2)의 횡접촉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품(2)이 착지하여 그 전하중을 설정부로 옮길 때, 대형 양중기(1)의 와어어(3)로부터 가해지는 수평 하중이 상기의 방법으로 완전하게는 회피되지 않은 경우에도 방사선 차폐벽(16)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6)가 제품(2)이 설정부로부터 횡방향 어긋남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제품(2)은 방사선 차폐벽(16) 내를 상하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조작된다. 그 통과시에 제품(2)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 예를 들어 노즐 등의 부분과 방사선 차폐벽(16)의 내면으로부터 제품(2) 방향으로 돌출한 부분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부딪히는 등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이하의 설비가 준비되어 있다.
즉, 제품(2)에는 제품(2)에 일단부가 연결되어 제품(2)에 우측으로 수평하게 권취된 와이어(이하, 우측 권취 와이어라 함)와 마찬가지로 좌측으로 수평하게 권취된 와이어(이하, 좌측 권취 와이어라 함)를 구비한다. 한 편, 방사선 차폐벽(16)에는 전술한 좌측 권취 와이어와 우측 권취 와이어의 타단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체인 블록이 높이 방향으로 어느 부위엔가 장착 구비된다.
그리고, 방사선 차폐벽(16) 내를 제품(2)이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통과해 갈 때에 서로 돌출한 부분이 상하 방향에서 접촉할 것 같은 경우에는 좌측 권취 와이어와 우측 권취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제품(2)을 수평면에서 자전시키고 싶은 방향에 맞추어 선택하고, 그 선택된 와이어를 가장 가까운 높이의 체인 블록에 연결하고, 그 선택된 와이어를 체인 블록의 조작에 의해 당긴다.
그 선택된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제품(2)은 선택된 와이어의 제품으로의 권취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수평면 내에서의 자전 작용을 시작한다.
그 자전에 의해 상호 돌출부가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난 곳에서 체인 블록의 조작을 정지하여 제품의 자전을 정지시키고, 체인 블록과 선택된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하고, 이어서 목적하는 상방향 내지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계속한다.
체인 블록과 선택된 와이어의 연결을 해제한 경우에, 원래의 회전 위치로 제품(2)이 복귀하려고 하면, 그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제품(2)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선택된 와이어를 느슨하게 하도록 체인 블록을 조작하여 원래의 회전 위치로 제품(2)이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면서 제품(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대 방향으로 제품(2)을 자전시키기 위해서는 선택할 와이어를 변경하여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또, 제품(2)의 자전은 제품(2)의 설치 위치나 제품에 접속하는 배관 등의 접속물에의 위치 맞춤시에 행하고,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정밀도 좋은 설치 등의 작업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사선 차폐벽(16) 내라는 협소부에서의 제품(2)의 조작을 안전하면서도 정밀도 좋게 행한다.
방사선 차폐벽(16)에는 높이 방향으로 몇 지점엔가 체인 블록의 일단부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가 고정 설치된다. 그 체인 블록의 타단부에 착탈 가능한 와이어가 제품에 우측으로 수평하게 권취되고, 마찬가지로 다른 와이어가 좌측으로 수평하게 권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 대상의 건물 내의 제품(2) 주위에 기존 설비가 인접하는 협소한 환경 하에서 제품이 땅에서 떨어졌을 때에 제품이 기존 설비와 충돌하는 등의 위험을 회피하여 제품을 고정밀도로 조작 제어 가능하게 하므로, 운전 플랜트의 보수성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땅에서 떨어뜨릴 때의 작업과는 반대 조작인 새롭게 제품(2)을 반입하는 작업에 관련해서, 건물 내로 반입해 온 제품(2)과 그 제품(2)의 부착 위치와의 맞춤 작업 혹은 새롭게 반입된 제품과 기존 배관과의 맞춤 작업에 있어서, 편하중·충격 하중의 관리 및 제품 미세 조정 등의 정밀도가 높은 반입·설치 관리가 가능해지므로, 플랜트 보수성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과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 사이의 어긋남을 신속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대형 양중기의 붐 조작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품(2) 측의 현수점 위치의 연직선상과 대형 양중기(1)의 붐(4) 선단부 사이의 어긋남을 3차원 계측기를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대형 양중기의 붐 조작의 정밀도를 한층 더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품(2)의 건물에 대한 반출·반입의 과정에 있어서 제품(2)의 횡진동을 억제하고, 제품(2)의 원활한 유도를 가이드 롤러(6)로 달성하여, 건물 내의 기존 설비가 인접하는 협소한 환경 하에서 제품과 기존 설비가 충돌하는 등의 위험을 회피하고, 제품(2)의 건물로부터의 반출·반입 작업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외부의 양중기로 건물 내의 기기를 조작할 때 기존 설비가 인접하는 협소한 환경 하에서 기기의 정밀도가 높은 조작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그 건물이 소속하는 플랜트의 보수성 및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건물 밖에 배치된 양중기의 붐으로부터 늘어뜨린 와이어로 상기 건물 내의 기기를 매달아 상기 건물 상방에 설치한 개구로부터 상기 건물 밖으로 반출할 때에, 상기 기기의 자중이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고 나서 상기 기기가 부상하기 이전에 상기 붐을 기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기에 가해지는 상기 와이어로부터의 수평력을 완화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진 상기 기기의 자중 변화에 의해 변화된 상기 붐의 기복 방향의 변화를 상기 양중기 밖에서 계측하고, 상기 붐의 기복 각도를 상기 변화 전의 상기 붐의 기복 각도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
  2. 건물 밖에 배치된 양중기의 붐으로부터 늘어뜨린 와이어로 매달린 기기를 상기 건물 상방에 설치한 개구를 통해 상기 건물 내로 반입하고, 상기 건물 내의 소망의 위치로 상기 기기를 매달아 내릴 때에, 상기 기기가 상기 위치에 착지하고 나서 상기 기기의 자중이 아직 상기 와이어에 남아 있는 시점에서, 상기 붐을 엎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기기에 가해지는 상기 와이어로부터의 수평력을 완화하며,
    상기 와이어에 가해진 상기 기기의 자중 변화에 의해 변화된 상기 붐의 기복 방향의 변화를 상기 양중기 밖에서 계측하고, 상기 붐의 기복 각도를 상기 변화 전의 상기 붐의 기복 각도로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의 위치를 상기 와이어의 상기 붐으로의 걸림 위치 근방의 상기 붐 부위에 기준 좌표점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 좌표점의 위치를 3차원 계측기로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인접하여 상기 건물 내의 기존 시설물에 상기 기기의 위치를 규제하는 수단을 장착 구비하고, 상기 규제하는 수단을 따라서 상기 기기를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 방법.
KR1019990057772A 1998-12-16 1999-12-15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방법 KR100645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5722698A JP3661462B2 (ja) 1998-12-16 1998-12-16 建屋外揚重機による建屋内における機器のハンドリング方法
JP98-357226 1998-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77A KR20000052477A (ko) 2000-08-25
KR100645937B1 true KR100645937B1 (ko) 2006-11-14

Family

ID=1845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772A KR100645937B1 (ko) 1998-12-16 1999-12-15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08844B1 (ko)
JP (1) JP3661462B2 (ko)
KR (1) KR1006459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1462B2 (ja) * 1998-12-16 2005-06-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建屋外揚重機による建屋内における機器のハンドリング方法
JP4674938B2 (ja) * 2000-08-09 2011-04-20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ジブクレーン
JP4759120B2 (ja) * 2000-08-09 2011-08-31 Ihi運搬機械株式会社 ジブクレーン
TW533186B (en) 2000-08-09 2003-05-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Jib crane
JP5124079B2 (ja) * 2004-10-08 2013-01-23 株式会社タダノ ブーム式クレーンに用いられる吊荷の荷おろし方法及び装置
DE102010038218B4 (de) * 2010-10-15 2014-02-13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Kran mit einer Struktur, mit mindestens einem an der Struktur angreifenden Aktuator und einer den Aktuator zur Unterdrückung von Schwingungen der Struktur ansteuernden Steuerung
EP3235773B8 (en) * 2012-09-21 2023-09-20 Tadano Ltd. Surrounding information-obtaining device for working vehicle
CZ305449B6 (cs) * 2013-11-22 2015-09-23 Metrostav A.S. Způsob manipulace s těžkými technologickými zařízeními, umístěnými v uzavřeném prostoru a uspořádání pro demontáž a/nebo instalaci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2024061463A (ja) * 2022-10-21 2024-05-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クレー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882U (ja) * 1991-12-04 1993-06-22 住友建機株式会社 クレーンの荷振れ防止装置
JPH0710470A (ja) * 1993-06-21 1995-01-13 Kobe Steel Ltd クレーンの吊り荷振れ止め制御装置
KR0120912Y1 (ko) * 1995-04-13 1998-08-01 김만제 무게중심 유도장치를 갖춘 천정크레인
JP2000177983A (ja) * 1998-12-16 2000-06-27 Hitachi Ltd 建屋外揚重機による建屋内における機器のハンドリ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4083A (en) * 1938-03-16 1941-08-26 Manitowoc Shipbuilding Company Remotely controlled crane or the like
DE2839665C2 (de) * 1978-09-12 1985-06-27 Liebherr-Werk Ehingen Gmbh, 7930 Ehingen Schwerlastkran
JP2673437B2 (ja) * 1988-05-13 1997-11-05 株式会社加藤製作所 クレーン等における操作装置
US5282136A (en) * 1990-03-30 1994-01-2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Vertical releasing control device of crane hanging load
JP3445907B2 (ja) 1996-11-08 2003-09-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原子炉圧力容器基礎の建設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モジュール
US5907111A (en) * 1997-04-08 1999-05-25 Lockheed Martin Idaho Technologies Company Remotely controlled sensor apparatus for use in dig-face characteriz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882U (ja) * 1991-12-04 1993-06-22 住友建機株式会社 クレーンの荷振れ防止装置
JPH0710470A (ja) * 1993-06-21 1995-01-13 Kobe Steel Ltd クレーンの吊り荷振れ止め制御装置
KR0120912Y1 (ko) * 1995-04-13 1998-08-01 김만제 무게중심 유도장치를 갖춘 천정크레인
JP2000177983A (ja) * 1998-12-16 2000-06-27 Hitachi Ltd 建屋外揚重機による建屋内における機器のハンドリング方法
US6308844B1 (en) * 1998-12-16 2001-10-30 Hitachi, Ltd. Method for handling an equipment inside a building by a crane installed outs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477A (ko) 2000-08-25
JP2000177983A (ja) 2000-06-27
JP3661462B2 (ja) 2005-06-15
US6308844B1 (en) 2001-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5167B2 (en) Crane control, crane and method
KR100645937B1 (ko) 건물 밖 양중기에 의한 건물 내에 있어서의 기기의 조작방법
CN103998367A (zh) 起重机控制
US10138094B2 (en) Crane and method for crane control
CN206172785U (zh) 风力发电机组吊具
FI125732B (en) Load handler handling
CN112794202A (zh) 显示实时吊钩偏角防斜吊监控装置及起重机
JPH10258989A (ja) クレーンの自動運転装置
CN115448185A (zh) 超大型智能塔式起重机及施工方法
JP2021147139A (ja) タワークレーンの自動経路設定システム
EP2865631B1 (en) Lifting jig and method
EP4127464B1 (en) Offshore assembly comprising a motion compensation platform carrying an object with a height of 30-50 meters or more, motion compensation platform, as well as use of the assembly
KR20190121565A (ko) 선박리프트 플랫폼 설치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선박리프트 플랫폼의 설치 방법
CN106639403A (zh) 一种馈源舱建造、停靠和维护装置
CN103274320A (zh) 风速检测装置及塔机
CN113264452A (zh) 一种用于堆垛机门架拆装的专用平台
CN113697697A (zh) 海上基座式吊机3d区域限制防碰撞装置及防碰撞的方法
KR102592606B1 (ko) 초대형 풍력 발전기용 크레인 장치
JP2577127B2 (ja) ケーブルクレーン用バケット
FI20195848A1 (en)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gripper
JPS6037367A (ja) 建築物壁面移動装置
JP4421357B2 (ja) 炉内点検作業装置
CN215364582U (zh) 一种用于堆垛机门架拆装的专用平台
CN211719273U (zh) 用于高温气冷堆乏燃料竖井内设备安装用隐藏式升降装置
EP3556710B1 (en) Crane with articulated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