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536B1 - 자동분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분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536B1
KR100643536B1 KR1020060031103A KR20060031103A KR100643536B1 KR 100643536 B1 KR100643536 B1 KR 100643536B1 KR 1020060031103 A KR1020060031103 A KR 1020060031103A KR 20060031103 A KR20060031103 A KR 20060031103A KR 100643536 B1 KR100643536 B1 KR 10064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ournal
automatic
budg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관식
최승기
박혜수
Original Assignee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최승기
박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최승기, 박혜수 filed Critical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분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사업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사업과 관련한 예산과목 및 계정과목을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선택받고, 선택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에 포함된 단위업무중 작업할 단위업무를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단위업무에서 처리할 세부 내역을 입력받고, 세부 내역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자동분개 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분개를 처리하여 분개정보를 생성하도록 구현하여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단순한 정보 입력만으로 자동분개 처리가 가능하여 회계에 관한 전문지식 없는 사용자도 분개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분개, 거래유형, 단위업무, 예산과목, 계정과목

Description

자동분개 시스템{Automatic Journalizing System}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처리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정보 검증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환경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개요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과목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세출 및 세입에 관련한 예산과목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과목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계정과목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단위업무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 는 단위업무 구성정보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거래유형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거래유형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관리항목 데이타 리드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분개 데이타 생성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부대발생계정과목 생성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환경 설정부에 의해 정의되는 예산과목-계정과목 맵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환경 설정부에 의해 정의되는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매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타베이스 서버 20 : 웹 서버
30 : 컴포넌트 서버 100 : 자동분개 시스템
110a :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 110b :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
110c :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 120 : 사업선택부
130 : 예산과목 선택부 140 : 계정과목 선택부
150 :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 160 : 단위업무 선택부
170 :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 180 :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
190 : 자동분개 처리부
본 발명은 자동분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부부문의 재정활동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에 입력되는 정보의 조합만으로 분개를 위한 별도의 입력절차 없이 정해진 분개시점에 자동으로 분개가 처리되도록 하는 자동분개 기술과 관련한 것이다.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경제적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거래를 식별하고 이를 측정·처리하여 그 결과를 전달·보고하는 것이 회계의 중심적 기능이며, 일반적으로 측정은 자기검증의 기능을 가지는 복식부기(Double-entry Bookkeeping)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분개(Journalizing)란 발생한 거래 데이터를 복식부기의 원리에 의해 계정과목을 정하고 대차를 구분하여 해당 금액을 대차평균에 맞도록 배분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계정과목의 설정과 대차의 구분 및 금액 산정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인식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자동 분개 처리이다.
특허출원 제10-2003-0014026호(2003.03.06)와 같은 자동 분개 처리에 관한 종래기술은 거래적요를 유형화하고 거래적요 별로 분개를 정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거래적요를 선택하여 분개 처리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종래기술에서의 거래적요는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 중 분개가 발생하는 단계만을 각각 구분하여 정의한 것으로, 사용자가 시스템으로 처리하는 업무 중 분개가 발생하는 업무를 구분하여야 하고 분개를 위한 별도의 선택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오류 발생 가능성이 매우 컸다. 또한, 거래적요를 정의함에 있어 예상되는 거래적요를 계속적으로 세분화한다 하더라도 완전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최종적으로 선택된 거래적요 내에서 계정과목을 선택해야 하는 한계점을 가졌다.
수입, 지출, 자금 및 자산·부채 관리에 이르는 정부부문의 재정활동은 미리 정해진 예산과목에 근거하여 집행되는 특징을 가지며, 정보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의하여 정부부문의 회계는 복식부기의 원리에 의한 거래 측정뿐만 아니라 거래로 인한 예산과목의 집행 결과도 측정하여야 하므로, 정부부문에서의 자동 분개 처리는 예산과목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정부부문의 업무 담당자는 회계전문가가 아니므로 분개를 위하여 업무 담당자로 하여금 계정과목을 선택하게 하거나, 미리 정해놓은 거래적요를 선택하게 하는 것은 분개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므로, 단지 업무담당자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정보의 조합만으로 자동 분개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사용자가 회계에 관한 전문지식 없이도 분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업무를 처리를 위해 입력하는 내역과 선행적으로 구성해 놓은 자동분개 환경설정 정보를 참조하여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실시간으로 자동 분개 처리를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가 업무를 처리를 위해 입력하는 내역과 선행적으로 구성해 놓은 자동분개 환경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 내에서 실시간으로 자동 분개 처리함으로써, 회계에 관한 전문지식 없는 사용자도 분개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동분개 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정활동에서 발생하는 거래유형을 예산과목에 근거하여 집행되는 부분과 예산과목과 관계없이 집행되는 부분으로 자동분개환경을 정의하여 업무담당자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정보의 조합만으로 자동 분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래유형의 다양성을 충족하면서 사용자의 회계 지식의 정도가 낮더라도 사용자가 분개처리에 대하여 고민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자동분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사업선택을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사업과 관련한 예산과목 및 계정과목을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선택받고, 선택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고,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에 포함된 단위업무중 작업할 단위업무를 선택받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단위업무에서 처리할 세부 내역을 입력받고, 세부 내역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자동분개 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분개를 처리하여 분개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회계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다 하더라도 별 어려움 없이 분개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수입, 지출, 자금 및 자산·부채 관리에 이르는 정부부문의 재정활동은 미리 정해진 예산과목에 근거하여 집행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예산과목과 계정과목 및 단위업무 등을 표준화하여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정업무를 예산거래와 비예산거래로 구분하고 구분된 거래에 대하여 각각 발생 가능한 거래유형을 정의한다. 거래유형은 분개 유형이 구분되는 표준화된 단위업무의 조합을 의미하며, 거래유형을 정의하는 목적은 거래유형별로 표준화된 단위업무의 종류와 처리 순서를 규정함으로써, 거래유형의 선택으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처리해야 할 단위업무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거래유형을 정의하는 또 다른 목적은 거래유형별로 분개가 발생하는 표준화된 단위업무와 분개 방법, 분개를 위한 정보관리항목을 규정함으로써, 자동분개 환경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예산거래는 처리하고자 하는 예산의 조회 및 예산과목의 선택에서 거래가 시작되며 선택된 예산과목 별로 발생 가능한 거래유형이 결정된다. 비예산거래는 관리계획의 조회 및 선택에서 거래가 시작되며 선택된 관리계획에 따라 거래유형이 결정된다.
예산과목 또는 관리계획의 선택으로 거래유형이 결정되면, 거래유형별로 정해진 표준화된 단위업무의 조합에 따라 시스템에서 순차적으로 단위업무가 처리되며, 입력되는 거래 내역과 자동분개 환경설정 정보에 의해 자동 분개가 처리된다.
본 발명은 예산편성시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별도로 구분하여 예산과목과 매칭한 테이블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예산 편성시와 예산의 집행계획 수립시 예산편성 계정과목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거래의 시작부터 분개를 위한 핵심 계정과목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며, 거래유형의 추가, 표준화된 단위업무의 추가, 거래유형을 구성하는 표준화된 단위업무 조합의 변경, 예산과목과 계정과목의 추가 및 변경 등 변화요인에 대해 자동분개 환경설정만으로 쉽게 연동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은 자동분개를 위한 각종 환경설정정보를 저장한 데이타베이스 서버(10)와, 사용자로부터 자동분개 처리를 위한 각종 데이타를 입력받는 웹 서버(20)와, 상기 데이타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환경설정정보와 웹 서버(20)를 통해 입력된 데이타를 기반으로 자동분개를 처리하는 컴포넌트 서버(30)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트라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웹 서버(20)에 접근하여 단위업무에 대한 자료를 입력하면, 이 입력된 자료는 컴포넌트 서버(30)에 전달되고, 컴포넌트 서버(30)는 웹 서버(20)로부터 전달된 자료와 데이타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환경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를 처리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와,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110b)와,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110c)와, 사업선택부(120)와, 예산과목 선택부(130)와, 계정과목 선택부(140)와,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150)와, 단위업무 선택부(160)와,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170)와,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와, 자동분개 처리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컨데,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와,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110b)와,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110c)는 도 1 에 도시한 데이타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되도록, 상기 사업선택부(120)와, 예산과목 선택부(130)와, 계정과목 선택부(140)와,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150)와, 단위업무 선택부(160)와,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170)는 도 1 에 도시한 웹 서버(20)상에 구성되도록,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와, 자동분개 처리부(190)는 도 1 에 도시한 컴포넌트 서버(30)상에 구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는 사업정보와, 예산편성정보와,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와, 거래유형정보와, 단위업무 구성정보와, 자동분개 환경정보와,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110b)는 세부내역이 입력된 단위업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110c)는 분개처리된 분개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사업선택부(120)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사업정보를 참조하여 사업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업선택을 입력받는다.
상기 예산과목 선택부(130)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예산편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업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사업과 관련한 예산과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예산과목을 선택받는다.
상기 계정과목 선택부(140)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예산편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업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사업과 상기 예산과목 선택부(130)에 의해 선택된 예산과목과 관련한 계정과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계정과목을 선택받는다.
상기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150)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예산과목 선택부(130)와 계정과목 선택부(140)에 의해 선택된 계정과목과 관련한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선택받는다.
상기 단위업무 선택부(160)는 상기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거래유형정보로부터 단위업무를 선택받는다.
상기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170)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단위업무 구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위업무 선택부(160)에 의해 선택된 단위업무에서 처리할 세부 내역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세부 내역을 입력받아 상기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110b)에 세부내역이 입력된 단위업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는 상기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170)에 의한 세부 내역 입력에 따라,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자동분개 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를 생성한다.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190)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분개를 처리하여 분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110c)에 저장한다.
이 때,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190)는 자동분개 파라미터 분석부(191)와, 거래유형 결정부(192)와, 자동분개부(193)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분석부(191)는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에 의해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분석한다.
상기 거래유형 결정부(192)는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여 분개유형을 확정한다.
상기 자동분개부(193)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를 참조하여 상기 거래유형 결정부(192)에 의해 확정된 분개유형에 대응하는 분개로직에 따라 해당 거래유형에 대한 차변/대변을 결정하여 분개를 처리하고, 분개정보를 생성한 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이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부(102)와,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10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부(102)는 예산편성과목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예산편성과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
상기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104)는 세입인지 세출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세입인지 세출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다.
이 때, 상기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부(102)에 의해 예산편성 과목이라 선택된 경우, 상기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104)를 통해 세입/세출 여부를 선택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104)에 의해 세출이라 선택된 경우, 상기 사업선택부(120)를 통해 사업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처리동작을 알아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흐름도이다.
정부부문 재정활동의 경우, 편성된 예산에 근거하여 집행하는 업무와, 편성 된 예산과는 무관하게 집행되는 업무가 있으며, 편성된 예산에 근거하여 집행하는 업무는 세출(지출)과 세입(수입)으로 나뉘어 업무가 진행되게 된다.
따라서, 정부부문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일 먼저 예산편성과목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10 에서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부(102)를 통해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예산편성과목 여부를 선택받는다.
만약, 상기 단계 S110 에서 비예산편성 과목이라 선택된 경우, 단위업무는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자동분개 환경과 자동분개 로직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되게 된다.
만약, 상기 단계 S110 에서 예산편성 과목이라 선택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20 에서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104)를 통해 세입인지 세출인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세입인지 세출인지 여부를 선택받는다.
만약, 상기 단계 S120 에서 예산편성 과목에 근거한 세출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30 에서 사업선택부(120)를 통해 사업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업선택을 입력받는다.
만약, 상기 단계 S120 에서 예산편성 과목에 근거한 세입이 선택되면, 사업을 선택하는 상기 단계 S130 이 생략된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40 에서 예산과목 선택부(130)를 통해 상기 사업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사업과 관련한 예산과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예산과목을 선택받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50 에서 계정과목 선택부(140)를 통해 상기 사업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사업과 예산과목 선택부(130)에 의해 선택된 예산과목과 관련한 계정과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계정과목을 선택받는다. 이 때, 상기 단계 S140 과 단계 S150 은 그 입력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S140 및 S150 에 의해 사업과 관련한 예산과목 및 계정과목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이 단계 S160 에서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150)를 통해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선택받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70 에서 단위업무 선택부(160)를 통해 상기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150)에 의해 선택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거래유형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거래유형에 포함된 단위업무를 선택받는다.
상기 단계 S110 에서 비예산편성 과목으로 선택되어, 거래유형이 직접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터베이스(110a)에 저장된 거래유형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거래유형에 포함된 단위업무가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 템(100)은 단계 S180 에서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170)를 통해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단위업무 구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위업무 선택부(160)에 의해 선택된 단위업무에서 처리할 세부 내역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단위업무에서 처리할 거래내역 등의 세부 내역을 입력받아 상기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110b)에 세부내역이 입력된 단위업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170)에 의해 세부 내역이 입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90 에서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를 통해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자동분개 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를 생성한다.
자동분개 파라미터가 생성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은 단계 S195 에서 자동분개 처리부(190)를 통해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에 저장된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자동분개를 처리하여 분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110c)에 저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의 조합만으로 자동 분개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회계 지식의 정도가 낮더라도 사용자가 분개처리에 대하여 고민하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자동분개 처리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의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180)에 의해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가 생성되면, 자동분개 처리부(190)는 단계 S210 에서 자동분개 파라미터 분석부(191)를 통해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분석한다. 이 때,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보관할 임시 메모리를 확보하여, 확보된 메모리에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임시 저장하고,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하나씩 분석한다.
자동분개 파라미터가 분석되면, 자동분개 처리부(190)가 단계 S220 에서 거래유형 결정부(192)를 통해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여 분개유형을 확정한다.
분개 유형이 확정되면, 단계 S230 에서 자동분개 처리부(190)가 자동분개부(193)를 통해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를 참조하여 상기 거래유형 결정부(192)에 의해 확정된 분개유형에 대응하는 분개로직(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에 따라 분개를 처리하여 분개 데이타 생성 기준에 따라 분개정보를 생성하는데, 주거래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주거래 금액을 결정하고, 주거래 차/대변을 결정하여 주거래 분개 내역을 생성하고, 부거래 계정과목이 있을 경우, 부거래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부거래 금액을 결정하고, 부거래 차/대변을 결정하여 부거래 분개 내역을 생성함으로써, 해당 거래유형에 대한 차변/대변을 결정하여 분개를 처리하고, 분개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생성되는 분개정보(도면 도시 생략)는 복식부기의 분개 방법에서 정의한 형식에 맞도록 출력 가능한 데이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회계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다 하더라도 시스템상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업무 데이타를 이용하여 별 어려움 없이 자동으로 분개 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이 분개정보 출력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개정보 출력부(200)는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190)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를 화면 출력하거나 프린터 장치 등으로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이 분개정보 검증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개정보 검증부(210)는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190)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의 오류를 검증한다.
이 때, 상기 분개정보 검증부(210)는 데이타 형식 검증부(211)와, 관리항목 검증부(2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타 형식 검증부(211)는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190)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가 정의된 분개데이타 형식에 맞나 여부를 검증한다.
상기 관리항목 검증부(212)는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및 계정과목별 관리항목이 정확히 생성 및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정보 검증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자동분개 처리부(190)에 의해 분개정보가 생성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정보 검증부(210)가 먼저, 단계 S310 에서 데이타 형식 검증부(211)를 통해 자동분개 처리부(190)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가 정의된 분개데이 타 형식에 맞나 여부를 검증한다.
만일, 상기 단계 S310 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가 정의된 분개데이타 형식에 맞지 않는다 판단된 경우, 자동분개 처리를 취소하고 분개오류를 반환한다.
만일, 상기 단계 S310 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가 정의된 분개데이타 형식에 맞는다 판단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정보 검증부(210)가 단계 S320 에서 관리항목 검증부(212)를 통해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및 계정과목별 관리항목이 정확히 생성 및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상기 단계 S320 에 의해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및 계정과목별 관리항목이 정확히 생성 및 입력되었다 판단된 경우에는 자동분개가 성공되었다 판단하여 자동분개를 종료하고,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및 계정과목별 관리항목이 정확히 생성 및 입력되지 않았다 판단된 경우에는 자동분개 처리를 취소하고 분개오류를 반환함으로써 분개처리되어 생성된 분개정보를 검증한다.
분개 오류가 발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은 해당 단위업무에 대한 분개처리 과정에서 생성된 데이타들을 삭제하고, 단위업무 처리전의 상태로 되돌린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은 이러한 분개정보 검증과정을 통해 분개과정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100)이 분개환경 설정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개환경 설정부(220)는 분개환경을 설정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의 분개환경 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개요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분개처리를 하기 위한 환경정보들 중 간접적으로 참조하여 사용할 정보들을 먼저 정의한 후, 직접적으로 참조하여 사용할 정보들을 정의한다.
자동분개처리시 간접적으로 참조할 환경정보는 사업을 정의한 사업정보와, 예산과목과 계정과목을 정의한 예산편성정보와, 거래유형을 정의한 거래유형정보와, 단위업무의 구성을 정의한 단위업무 구성정보와, 정의된 거래유형과 분개발생 단위업무를 참조하여 거래유형 결정 기준을 정의한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와, 예산과목과 계정과목을 매핑한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정보 등이다.
자동분개처리시 직접적으로 참조할 환경정보는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 생성시 참조되는 자동분개 환경정보와, 분개 데이타 리드(Data Read) 기준 및 분개 데이타 생성(Data Create) 기준과 부대발생 계정과목 데이타 생성 기준과 관리항목 데이타 리드 기준 등을 정의한 자동분개 로직정보 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개환경 설정부(220)는 과목정의부(221)와,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부(222)와, 단위업무 정의부(223)와, 거래유형 정의부(224)와,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과목정의부(221)는 예산과목 및 계정과목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의 예산편성정보로 저장한다.
도 7a 및 도 7b 는 각각 상기 과목정의부(221)에 의해 정의되는 세출 및 세 입에 관련한 예산과목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를 참조해 보면, 세출에 관련한 예산과목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예산과목코드를 지정(S410)하고, 예산편성비목을 지정(S420)하고, 예산통계비목을 지정(S430)하고, 기타 추가항목을 지정하되, 기타 추가항목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 반복 지정(S44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세출에 관련한 예산과목의 데이타 구조는 다음 표1과 같다.
(표1)
예산과목코드 예산편성비목 예산통계비목 기타 추가항목
한편, 도 7b 를 참조해 보면, 세입에 관련한 예산과목은 예산과목코드를 지정(S510)하고, 예산편성 관을 지정(S520)하고, 예산편성 항을 지정(S530)하고, 예산편성 목을 지정(S540)하고, 기타 추가항목을 지정하되, 기타 추가항목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 반복 지정(S55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세입에 관련한 예산과목의 데이타 구조는 다음 표2과 같다.
(표2)
예산과목코드 예산편성 관 예산편성 항 예산편성 목 기타 추가항목
도 8 은 상기 과목정의부(221)에 의해 정의되는 계정과목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을 참조해 보면, 계정과목은 계정과목코드를 지정(S610)하고, 계정과목을 지정(S620)하고, 지정된 계정과목의 주 거래가 차변 계정과목인지 대변 계정과 목인지를 구분하는 차/대변구분을 지정(S630)하고, 기타 추가항목을 지정하되, 기타 추가항목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 반복 지정(S64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계정과목의 데이타 구조는 다음 표3과 같다.
(표3)
계정과목코드 계정과목 차/대변 구분 기타 추가항목
상기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부(222)는 거래유형 결정을 위한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의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로 저장한다.
도 9 는 상기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부(222)에 의해 정의되는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 를 참조해보면, 거래유형 결정기준은 예산편성과 관련한 세출 또는 세입거래에서 발생하는 거래유형인지, 예산편성과목과 관계가 없이 발생하는 거래유형인지를 구분하는 세출/세입/비예산 구분을 지정(S710)하고, 거래유형코드를 지정(S720)하고, 거래유형결정기준코드를 지정(S730)하고, 거래유형결정기준을 지정(S740)하고, 이러한 기준을 사용할 단위업무ID를 지정(S75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의 데이타 구조는 표4와 같다.
(표4)
세출/세입/ 비예산구분 거래유형 코드 거래유형결정 기준코드 거래유형 결정기준 단위업무 ID
상기 단위업무 정의부(223)는 표준화된 단위업무 형태를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의 단위업무 구성정보로 저장한다.
도 10 은 상기 단위업무 정의부(223)에 의해 정의되는 단위업무 구성정보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을 참조해보면, 단위업무 구성정보는 단위업무ID를 지정(S810)하고, 단위업무를 지정(S820)하고, 기타 추가항목을 지정하되, 기타 추가항목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 반복 지정(S83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단위업무 구성정보의 데이타 구조는 표5와 같다.
(표5)
단위업무ID 단위업무 기타 추가항목
상기 거래유형 정의부(224)는 단위업무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다수의 거래유형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의 거래유형정보로 저장한다.
도 11 은 상기 거래유형 정의부(224)에 의해 정의되는 거래유형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 을 참조해보면, 거래유형은 예산편성과목과 관련한 세출/세입거래에서 발생하는 거래유형인지, 예산편성과목과 관계가 없이 발생하는 거래유형인지를 구분하는 세출/세입/비예산 구분을 지정(S910)하고, 거래유형코드를 지정(S920)하고, 거래유형을 지정(S93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거래유형의 데이타 구조는 표6와 같다.
(표6)
세출/세입/ 비예산 구분 거래유형코드 거래유형
상기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225)는 자동분개를 위한 자동분개 환경과 자동분개 로직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110a)의 자동분개 환경정보 및 자동분개 로직정보로 저장한다. 상기 자동분개 환경은 자동분개로직에 의해 해석되는 자동분개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타 포맷을 정의하는 부분이며, 상기 자동분개 로직정보는 자동분개 처리시 수행되는 절차를 정의한 정보이다.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타 포맷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는 실시예적인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분개로직은 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 관리항목 데이타 리드 기준, 분개 데이타 생성 기준, 부대발생계정과목 생성 기준 등을 포함한다.
도 12 는 상기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225)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 를 참조해 보면, 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은 단위업무별 분개에 대한 처리를 정의하는 것으로, 주 거래에 대한 분개로직 정의와 부대발생계정과목의 확장에 대한 정의 등의 처리를 단계별로 정의한다. 먼저, 처리할 단위업무를 선택(S1010)하고, 처리할 계정과목의 식별자를 지정(S1020)하고, 처리순서를 지정(S1030)하고, 단위업무로부터 전달받을 자동분개파라미터정보 중 필수적으로 받 아야 하는 항목인지 여부를 지정(S1040)하고, 지정한 식별자의 값이 자동분개파라미터정보에서 전달받은 값을 별도의 가공 없이 바로 사용할지, 요청(Query)문을 생성하여 값을 추출하여 사용할지를 판단하는 SQL생성여부를 지정(S1050)하고, 지정한 식별자가 주 거래에 대한 처리기준정보가 아니고 부대계정과목에 대한 확장인지 여부를 지정(S1060)하고, 해당 식별자에 대한 값을 추출하기 위해 요청(Query)문 생성해야 하는 경우라면, 참조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명, 컬럼명, 조건절, 조건절식별자 등을 지정하되, 조건절과 조건절식별자가 여러 개이면 실행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모두 지정(S1070)한다. 이와같이 하여 하나의 식별자에 대한 정의를 완료하고, 정의해야 할 식별자가 더 있다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추가 처리한다. 이 과정을 통해 주 거래에 대한 자동분개와 부대계정과목에 대한 자동분개에 대한 로직을 구조화하여 정의할 수 있게 된다.
정의된 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의 데이타 구조는 표7와 같다.
(표7)
단 위 업 무 I D 실 행 순 서 계 정 과 목 식 별 자 파 라 미 터 필 수 여 부 S Q L 생 성 여 부 부 대 계 정 확 장 여 부 설 명 참 조 테 이 블 명 참 조 컬 럼 명 조 건 절 1 조 건 절 식 별 자 1 조 건 절 2 조 건 절 식 별 자 2 조 건 절 3 조 건 절 식 별 자 3 조 건 절 4 조 건 절 식 별 자 4
도 13 은 상기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225)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관리항목 데이타 리드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 을 참조해 보면, 관리항목 데이타 리드 기준은 자동분개를 처리하여 계정과목별 분개내역이 생성된 자료에 계정과목별로 관리되어야 할 기타 세부내역들에 대한 관리항목을 생성하는 기준을 정의하는 것으로, 처리할 단위업무를 선택(S1110)하고, 계정과목을 선택(S1120)하고, 관리항목식별자를 지정(S1130)하고, 관리항목을 추출하기 위해 참조해야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명, 컬럼명, 조건절, 조건절식별자 등을 지정하되, 조건절과 조건절식별자가 여러 개 이면 실행순서에 맞게 순차적으로 모두 지정(S1140)한다. 이와같이 하여 하나의 관리항목식별자에 대한 정의를 완료하고, 정의해야 할 계정과목에 대한 관리항목식별자가 더 있다면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추가 처리한다.
정의된 관리항목 데이타 리드 기준의 데이타 구조는 표8와 같다.
(표8)
단 위 업 무 I D 실 행 순 서 계 정 과 목 관 리 항 목 식 별 자 참 조 테 이 블 명 참 조 컬 럼 명 조 건 절 1 조 건 절 식 별 자 1 조 건 절 2 조 건 절 식 별 자 2 조 건 절 3 조 건 절 식 별 자 3 조 건 절 4 조 건 절 식 별 자 4
도 14 는 상기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225)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분개 데이타 생성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 를 참조해 보면, 분개 데이타 생성 기준은 자동분개 처리에 의해 생성되어 분개정보 데이터베이스(110c)에 저장되는 분개정보 데이타를 정의하는 것으로, 처리할 단위업무를 선택(S1210)하고, 메모리에 보관될 식별자와 연결(맵핑)할 수 있는 식별자들을 분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맞게 순차적으로 정의(S1220)한다.
정의된 분개 데이타 생성 기준의 데이타 구조는 표9와 같다.
(표9)
단 위 업 무 식 별 자 결의서 번 호 식 별 자 순 번 식 별 자 계 정 과 목 식 별 자 차 대 구 분 식 별 자 금 액 식 별 자 관 리 항 목 1 관 리 항 목 2 관 리 항 목 3 관 리 항 목 4 관 리 항 목 5 관 리 항 목 6 관 리 항 목 7 관 리 항 목 8 관 리 항 목 9 관 리 항 목 10 관 리 항 목 11 관 리 항 목 12
도 15 는 상기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225)에 의해 정의되는 자동분개로직 중 부대발생계정과목 생성 기준 정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 를 참조해 보면, 단위업무별로 발생할 수 있는 부대계정과목들은 주거래 금액 이외의 부가적인 발생 금액에 의해서 결정되고, 이때 발생된 금액이 양의 값이냐, 음의 값이냐에 따라 계정과목과 차/대변의 결정요인이 되는데, 부대발생계정과목 생성 기준은 이때의 부대계정과목을 결정지을 정보를 정의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처리할 단위업무를 선택(S1310)하고, 분개 데이타 리드 기준정보에서 정의한 부대계정과목 식별자를 지정(S1320)하고, 먼저 양의 값이 발생하는 경우 계정과목과 차/대변 구분자를 지정(S1330)하고, 다음으로 음의 값이 발생하는 경우 계정과목과 차/대변 구분자를 지정(S1340)한다.
정의된 부대발생계정과목 생성 기준의 데이타 구조는 표10와 같다.
(표10)
단위업무 ID 식별자 설명 양의값일 경우 계정과목 양의 값일 경우 차/대변 구분 음의값일 경우 계정과목 음의 값일 경우 차/대변 구분
한편, 상기 분개환경 설정부(220)를 통해 예산과목-계정과목 맵핑 및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매핑에 대한 정의를 할 수 도 있다.
도 16 은 상기 분개환경 설정부(220)에 의해 정의되는 예산과목-계정과목 맵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6 을 참조해 보면, 예산과목-계정과목 맵핑은 편성된 예산과목과 계정과목을 대응시켜 요구되는 산물에 따라 자료를 발생시키고, 보여 주기 위한 참조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예산과목과 계정과목을 서로 연결(맵핑)해 주는 것으로, 예산과목이 세출예산인지 세입예산인지를 구분하는 세출/세입 구분을 지정(S1410)하고, 예산과목코드를 지정(S1420)하고, 예산과목에 대응시킬 계정과목을 지정(S1430)하고, 기타추가항목을 지정하되, 기타 추가항목이 여러개 존재할 경우 반복 지정(S144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예산과목-계정과목 맵핑 데이타 구조는 표11와 같다.
(표11)
세출/세입 구분 예산과목코드 계정과목코드 기타 추가항목
도 17 은 상기 분개환경 설정부(220)에 의해 정의되는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매핑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 을 참조해 보면,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매핑은 분개시 발생하는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의 구조를 정의하여 자동분개시 참조하기 위한 것으로, 일련번호를 지정(S1510)하고, 예산편성과목과 관련한 세출/세입거래에서 발생하는 유형인지, 예산편성과목과 관계가 없이 발생하는 거래유형인지를 구분하는 세출/세입/비예산 구분을 지정(S1520)하고, 세출/세입/비예산 구분이 비예산이 아닌 경우에만 예산과목코드를 지정(S1530)하고, 계정과목코드를 지정(S1540)하고, 거래유형코드를 지정(S1550)하고, 회계처리시 발생되는 계정과목이 차/대변인지를 구분하는 차/대변구분을 지정(S1560)하고, 회계처리시 발생되는 계정과목코드를 지정(S1570)함에 의해 정의된다.
정의된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매핑 데이타 구조는 표12와 같다.
(표12)
일련번호 세출/세입/ 예산구분 예산과목 코드 계정과목 코드 거래 유형코드 회계처리시 차/대변 구분 회계처리시 계정과목 코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에서 예산과목은 예산과목 코드에 의해, 계정과목은 계정과목 코드에 의해, 거래유형 결정 기준은 거래유형 결정 기준 코드에 의해, 단위업무는 단위업무ID에 의해, 거래유형은 거래유형 코드에 의해 각각 식별된다. 이러한 코드 또는 ID 식별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함에 의해 본 발명은 자동분개환경을 정의하여 업무담당자 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입력하는 정보의 조합만으로 자동 분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회계 지식의 정도가 낮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분개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무를 처리를 위해 입력하는 내역과 선행적으로 구성해 놓은 자동분개 환경설정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 내에서 실시간으로 자동 분개 처리함으로써, 회계에 관한 전문지식 없는 사용자도 분개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기반으로 표준화된 자동분개 환경을 정의함으로써 서로 다른 업무 시스템간에도 유기적으로 통합 적용하여 분개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0)

  1. 사업정보와, 예산편성정보와,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와, 거래유형정보와, 단위업무 구성정보와, 자동분개 환경정보와,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저장하는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와;
    세부내역이 입력된 단위업무정보를 저장하는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와;
    분개처리된 분개정보를 저장하는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사업정보를 참조하여 사업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업선택을 입력받는 사업선택부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예산편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업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사업과 관련한 예산과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예산과목을 선택받는 예산과목 선택부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예산편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업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사업과 상기 예산과목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예산과목과 관련한 계정과목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계정과목을 선택받는 계정과목 선택부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예산과목 선택부와 계정과목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계정과목과 관련한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선택받는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와;
    상기 거래유형 결정기준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거래유형정보로부터 단위업무를 선택받는 단위업무 선택부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단위업무 구성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단위업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단위업무에서 처리할 세부 내역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세부 내역을 입력받아 상기 단위업무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세부내역이 입력된 단위업무정보를 저장하는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와;
    상기 단위업무 내역 입력부에 의한 세부 내역 입력에 따라,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자동분개 환경정보를 참조하여 자동분개 파라미터(Parameter)를 생성하는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자동분개 로직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에 따라 자동분개를 처리하여 분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분개정보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자동분개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시스템이: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를 출력하는 분개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시스템이: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의 오류를 검증하는 분개정보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시스템이:
    분개환경 설정을 위한 분개환경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가:
    상기 자동분개 파라미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자동분개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자동분개 파라미터 분석부와;
    거래유형 결정기준에 따라 거래유형을 결정하여 분개유형을 확정하는 거래유형 결정부와;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거래유형 결정부에 의해 확정된 분개유형에 대응하는 분개로직에 따라 해당 거래유형에 대한 차변/대변을 결정하여 분개를 처리하고, 분개정보를 생성하는 자동분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개정보 검증부가:
    상기 자동분개 처리부에 의해 생성된 분개정보가 정의된 분개데이타 형식에 맞나 여부를 검증하는 데이타 형식 검증부와;
    예산과목/계정과목별 거래유형 및 계정과목별 관리항목이 정확히 생성 및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관리항목 검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개환경 설정부가:
    예산과목 및 계정과목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예산편성정보로 저장하는 과목정의부와;
    거래유형 결정을 위한 거래유형 결정기준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거래유형 결정기준정보로 저장하는 거래유형 결정기준 정의부와;
    표준화된 단위업무 형태를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단위업무 구성정보로 저장하는 단위업무 정의부와;
    단위업무들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다수의 거래유형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거래유형정보로 저장하는 거래유형 정의부와;
    자동분개를 위한 자동분개 환경과 자동분개 로직을 정의하여 상기 환경설정정보 데이타베이스의 자동분개 환경정보 및 자동분개 로직정보로 저장하는 자동분개 환경 정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8. 제 1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시스템이:
    예산편성과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부와;
    세입인지 세출인지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시스템이:
    상기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에 의해 세출이라 선택된 경우, 상기 사업선택부를 통해 사업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분개 시스템이:
    상기 예산편성과목 여부 선택부에 의해 예산편성 과목이라 선택된 경우, 상기 세입/세출 여부 선택부를 통해 세입/세출 여부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분개 시스템.
KR1020060031103A 2006-04-05 2006-04-05 자동분개 시스템 KR10064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03A KR100643536B1 (ko) 2006-04-05 2006-04-05 자동분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103A KR100643536B1 (ko) 2006-04-05 2006-04-05 자동분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536B1 true KR100643536B1 (ko) 2006-11-13

Family

ID=3765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103A KR100643536B1 (ko) 2006-04-05 2006-04-05 자동분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5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83B1 (ko) * 2009-06-24 2011-09-16 주식회사 위즈디시젼메이킹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84440B1 (ko) 2009-11-10 2011-11-21 윤상봉 자동분개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6500B1 (ko) * 2010-02-22 2012-01-20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데이터 축적을 이용한 자동 분개 시스템 및 방법
WO2012020916A1 (ko) * 2010-08-09 2012-02-16 Sim Woochen 결의서를 이용한 자동 분개방법
KR101211671B1 (ko) 2012-02-09 2012-12-12 김대원 자동 분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221A (ja) 1999-09-27 2001-06-22 Tsugio Goto 自動仕訳記帳システム
JP2004310186A (ja) 2003-04-02 2004-11-04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自動仕訳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5063108A (ja) 2003-08-11 2005-03-10 Casio Comput Co Ltd 仕訳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221A (ja) 1999-09-27 2001-06-22 Tsugio Goto 自動仕訳記帳システム
JP2004310186A (ja) 2003-04-02 2004-11-04 Hitachi Systems & Services Ltd 自動仕訳処理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5063108A (ja) 2003-08-11 2005-03-10 Casio Comput Co Ltd 仕訳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283B1 (ko) * 2009-06-24 2011-09-16 주식회사 위즈디시젼메이킹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84440B1 (ko) 2009-11-10 2011-11-21 윤상봉 자동분개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6500B1 (ko) * 2010-02-22 2012-01-20 주식회사 플레이오토 데이터 축적을 이용한 자동 분개 시스템 및 방법
WO2012020916A1 (ko) * 2010-08-09 2012-02-16 Sim Woochen 결의서를 이용한 자동 분개방법
KR101145427B1 (ko) * 2010-08-09 2012-05-15 심우천 결의서를 이용한 자동 분개방법
KR101211671B1 (ko) 2012-02-09 2012-12-12 김대원 자동 분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7303B2 (en) Grants management system
US71850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ntegrated log information
CN109887153A (zh) 一种财税处理方法和处理系统
CN113935434A (zh) 一种数据分析处理系统及自动建模方法
CN110119977A (zh) 财务记账凭证自动生成方法、系统、介质和电子设备
KR100643536B1 (ko) 자동분개 시스템
US9201774B1 (en) Generating test scenario templates from testing data of different organizations utilizing similar ERP modules
US7302408B2 (en) Technique for transaction reconciliation
US72899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reconciliation
US6745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nd correcting data records in a database
CN112395846B (zh) 一种可配置模板的电子实验记录本报告生成系统
US9201773B1 (en) Generating test scenario templates based on similarity of setup files
CN103903082A (zh) 一种利用erp系统中的单据数据生成会计凭证的方法
CN112506892A (zh) 一种基于元数据技术的指标溯源管理系统
CN110533379B (zh) 一种基于互联网的保险双录剧本生成系统
CN102208061A (zh) 数据核销处理装置和数据核销处理方法
CN107862067B (zh) 一种银行贷款数据查询的筛选方法及装置
CN113822749A (zh) 基于rpa及ai的商户结算付款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040015382A1 (en) Data-driven management decision tool for total resource management
KR102241885B1 (ko) 이메일 관리 장치
KR100885047B1 (ko) 현금흐름표 및 현금흐름표 부속명세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4327607A (zh) 一种bs代码自动生成方法
US201702128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plifying a check testing data interface
KR2021008097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KR20100120802A (ko) 회계처리 품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