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283B1 -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283B1
KR101065283B1 KR1020090056261A KR20090056261A KR101065283B1 KR 101065283 B1 KR101065283 B1 KR 101065283B1 KR 1020090056261 A KR1020090056261 A KR 1020090056261A KR 20090056261 A KR20090056261 A KR 20090056261A KR 101065283 B1 KR101065283 B1 KR 10106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netary
tax
resource management
ac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967A (ko
Inventor
고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즈디시젼메이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즈디시젼메이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즈디시젼메이킹
Priority to KR102009005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283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은, (a)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회계정보들 중 계정과목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b)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을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부터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절차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분개정보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계시스템과 기업관리시스템이 별도로 운용되는 불편을 해소하고,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하면서도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56261
회계시스템, 기업관리시스템, 화폐적 정보, 비화폐적 정보, 계정과목, 세세목, 예산수립

Description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A method and a system for managing resources and compilation of budget by associating monetary informations with non-monetary informations in keeping accounts, and computer-readable media in which programs are recorded for managing resources and compilation of budget}
본 발명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되, 최초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회계정보 입력단계부터 회계시스템과 자원관리시스템 상호간의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하고,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효율적으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회계시스템은 거래내역 발생시 기업이나 세무회계사무소의 회계담당자가 세금계산서, 카드영수증, 금전등록기영수증, 간이계산서, 입금표 등의 증빙서류를 보고 컴퓨터 회계프로그램에 각종 회계정보들을 입력함으로써 운용된다.
기업의 회계시스템에 각종 회계정보들을 저장할 때, 회계담당자는 기업에서 발생한 거래 데이터에 기반하여 평균의 복식 부기 원리에 의해 차변과 대변을 구분하면서 계정과목과 거래금액을 입력하고, 거래일자 및 그 거래내용을 요약 설명하는 적요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업에서 발생한 거래 데이터에 기반하여 평균의 복식 부기 원리에 의해 차변과 대변의 계정 과목을 선정하여 각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금액을 결정하는 회계 절차를 분개라고 한다.
현재까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회계프로그램은 복식 부기 원리에 의한 분개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4대 재무제표 중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를 자동으로 제공하여 기업의 영업활동, 재무활동 및 투자활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회계시스템은 회계처리의 간편화 및 자동화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지만 화폐적 정보에 국한되어 운용된다. 그러나, 기업의 자원은 화폐 자원 이외에도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을 위한 데이터로는 비화폐적 정보가 유용한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회계시스템은 화폐적 정보에 국한되어 운용되기 때문에 기업의 자원관리 등에 유용한 비화폐 적 정보의 파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업 등에서는 회계 시스템과는 별도로 기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위한 기업관리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의 기업의 영업활동을 금전적으로 계획하고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판매시스템의 판매계획을 검토하고 승인함으로써 판매계획 및 이에 따른 생산계획의 기초를 제공하고, 부서별 예산수립 및 확정된 예산에 의한 계정과목별 예산통제를 통하여 기업의 비용발생 및 자산취득 금액을 일정 한도내에서 통제하며, 예산수립 내역과 실제 사용내역을 다양한 형태로 비교 분석하여 당기의 예산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수립예산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차기의 예산수립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회계시스템과 기업관리시스템은 각각 별개로 운용되고 상호 간의 데이터의 통합이나 자료의 교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유기적인 통합 활용을 어렵게 하고 있고, 회계시스템과 자원관리시스템 상호 간의 데이터의 완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화폐적 정보를 관리하는 기업관리시스템에서 화폐적 정보를 추출해 내기가 쉽지 않으며, 반대로 회계시스템에서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해 내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회계시스템의 분개장에는 사무용품비라는 계정과목이 차변에 기재되고 100만원이라는 금액이 대변에 기재되어 있어 사무용품비가 한 해에 100만원이 발생하였다는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화폐적 정보만으로는 기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지침을 지시할 수 없다.
즉, 사무용품비에 있어서 볼펜이 10,000자루 (총액 50만원), 종이가 20,000장 (총액 50만원)인 경우 종이사용량에 비교하여 과다한 볼펜의 사용량을 1,000자루 이하로 줄이라는 자원관리 지침을 내릴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무용품비에 있어서 볼펜이 50자루 (총액 50만원), 종이가 200장 (총액 50만원)일 경우에는 지나치게 비싼 볼펜의 구입 단가를 1,000원 이하로 줄이라는 자원관리 지침을 내릴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회계시스템에서는 '사무용품비', '100만원'이라는 데이터만 전산으로 관리되며, "볼펜 10,000자루 (총액 50만원)" 및 "종이 20,000장 (총액 50만원)"의 정보, 또는 "볼펜 50자루 (총액 50만원)" 및 "종이 200장 (총액 50만원)"의 정보는 '적요란'에만 기재됨으로 인하여 회계시스템의 화폐적 정보로부터는 볼펜의 구입 수량과 단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없다. 즉, 통상의 회계시스템에서는 단순히 계정과목과 금액에 대한 정보만 제공함으로써 자원관리요소 및 예산수립 참고요소를 발견해 낼 수 없다. 앞서의 사례에서 만일 사무용품비가 연간 100만원인 것이 기업의 입장에서 용납이 가능한 수준이라면 볼펜의 구입 수량이 과다한 것 또는 구입 단가가 비싼 것을 발견할 수 없게 되고 연간 45만원의 볼펜 구입비의 절감요소를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종래의 회계시스템에서의 화폐적 정보만으로는 기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지침을 지시할 수 없고, 사 무용품비의 관점에서 볼펜 10,000자루(총액 50만원), 종이 20,000장(총액 50만원)의 수량이라는 비화폐적 정보가 화폐적 정보와 결합될 때 비로소 종이사용량에 비교하여 과다한 볼펜의 사용량을 1,000개 이하로 줄이는 구체적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는 기존의 회계시스템의 분개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없어 별도로 기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위한 기업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536호에서는 예산수립, 예산과목의 집행과 분개처리를 서로 연계하여 자동으로 분개하는 자동분개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예산편성시 사용되는 계정과목을 별도로 구분하여 예산과목과 매칭한 테이블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예산 편성시와 예산의 집행계획 수립시 예산편성 계정과목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거래의 시작부터 분개를 위한 핵심 계정과목이 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536호는 예산 편성과 집행 계획수립 시에 예산편성 계정과목을 선정하여야 하고, 계정과목을 예산과목과 맵핑시켜야 하므로 계정과목 외에 별도의 예산과목을 설정하여 입력하여야 불편이 있고, 예를 들어 사무용품비라는 계정과목의 금액으로부터 볼펜의 수량이라는 비화폐적 정보는 여전히 추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계시스템과 기업관리시스템이 별도로 운용되는 불편을 해소하고,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하면서도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회계시스템에 기반한 새로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기술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회계시스템과 기업관리시스템이 별도로 운용되는 불편을 해소하고,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하면서도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은,
(a)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회계정보들 중 계정과목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b)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을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부터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절차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분개정보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화 폐적 정보는 수량 또는 회수이고, 상기 화폐적 정보는 총액 또는 단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은 사무용품비, 식대, 비품 및 지급수수료 등일 수 있고, 상기 사무용품비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볼펜, 종이, 자 및 칼 등, 상기 식대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빵, 음료수 및 과자 등, 상기 비품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못, 볼트, 너트 및 전구 등 그리고 상기 지급수수료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은행수수료, 기장료 및 변호사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테이블은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은,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분개정보를 당기로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기예산테이블은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수량 또는 회수, 및 총액을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할 때,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과,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최초 입력단계부터 계정과목의 화폐적 정보와, 이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와의 상호간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가 자원관리나 차기예산수립을 위한 사전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전기준선은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거나 금액 비례 기준선일 수 있고,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에 따라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 그리고 상기 계정과목이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한 입력회계정보 DB와,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처리를 수행한 결과로 얻은 분개정보가 저장된 분개정보 DB를 구비하는 분개 처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저장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의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부터 확인하고,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하며, 상기 분개정보 DB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 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과,
상기 생성된 자원관리테이블이 저장되는 자원관리 회계정보 DB와,
상기 생성된 차기예산테이블이 저장되는 차기예산 회계정보 D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화폐적 정보는 수량 또는 회수이고, 상기 화폐적 정보는 총액 또는 단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은 사무용품비, 식대, 비품 및 지급수수료 등일 수 있고, 상기 사무용품비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볼펜, 종이, 자 및 칼 등, 상기 식대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빵, 음료수 및 과자 등, 상기 비품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못, 볼트, 너트 및 전구 등 그리고 상기 지급수수료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은행수수료, 기장료 및 변호사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테이블은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되어 자원관리 회계정보 DB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상기 분개정보 DB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당기로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 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 DB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세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차기예산 회계정보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기예산 회계정보 DB에 저장된 차기예산테이블은 세세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의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수량 또는 회수, 및 총액을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할 때,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과,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최초 입력단계부터 계정과목의 화폐적 정보와, 이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와의 상호간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자원관리나 차기예산수립을 위한 사전기준선 정보가 저장된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 을 생성하여 각각 자원관리 회계정보 DB 또는 차기예산 회계정보 DB에 저장한 후,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가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은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거나 금액 비례 기준선일 수 있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에 따라 상기 사전기준선을 조정 변경하고, 변경된 사전기준선을 사전기준선 정보 DB에 저장하여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확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와,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검색하고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원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계시스템과 기업관리시스템이 별도로 운용되는 불편을 해소하고,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 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하면서도 이들 상호간의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비화폐적 정보로 구성된 관리데이터의 활용은 루틴한 영업활동을 매년 수행하는 병원업, 아파트관리사무소업, 호텔업 또는 정부기관 등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즉, 당년도에 발생한 실적자료를 차년도의 예산자료로 활용하여 구체적인 목표수량으로 관리할 경우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은 화폐적 정보에서 다른 쪽 측면인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는 것과, 반대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는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각각의 정보의 완전성 검증은 물론 두 정보가 결합됨으로써 각각의 정보가 가지는 효과를 배가시키는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536호의 경우 예산편성시 사용하는 계정과목이 별도로 존재하여야 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은 예산을 구성하는 자원의 명칭, 즉 세세목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기존에 등록된 세세목이 없다면 그 자원의 명칭을 그대로 세세목으로 사용하면 되는 추가적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 및 그 주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은 사전기준선 정보 DB(110),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 차기예산 회계정보 DB(140),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 사용자 정보 DB(160) 및 웹 서버(1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과 연결되는 주변 시스템에는 다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81, 182, 183), 통신망(200) 및 분개 처리 시스템(30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의 주요 구성요소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상기 통신망(200)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81, 182, 183)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110),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 상기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 상기 차기예산 회계정보 DB(140) 및 상기 사용자 정보 DB(160)에 연결되어 이들 DB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이들 DB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상기 분개 처리 시스템(300)내에 구비되는 분개처리 모듈(330)과 제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개처리 모듈(330)의 제어를 통해 상기 분개 처리 시스템(300)내에 구비된 입력회계정보 DB(310) 및 분개정보 DB(32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이들 DB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한편, 분개 처리 시스템(300)의 분개처리 모듈(33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되는 각종 회계정보(예를 들어, 차변대변구분, 계정과목, 일자, 적요, 금액, 상기 계정과목이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 그리고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입력 회계정보 DB(310)에 저장하고 이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분개처리를 수행하며, 이러한 분개처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데이터를 분개정보 DB(320)에 저장한다.
또한, 후술하는 자원관리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로부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를 판독하고, 이러한 판독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되는 회계정보가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에는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저장하게 된다.
이때,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저장되는 계정과목 중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 되는 계정과목은 사무용품비, 식대, 비품 및 지급수수료 등일 수 있고, 상기 사무용품비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볼펜, 종이, 자 및 칼 등, 상기 식대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빵, 음료수 및 과자 등, 상기 비품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못, 볼트, 너트 및 전구 등, 그리고 상기 지급수수료에 대응하는 세세목은 은행수수료, 기장료 및 변호사비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비화페적 정보와 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사용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계정과목과 이러한 계정과목에 대응하는 세세목들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입력회계정보 DB(310)에는 세세목과 함께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로서 각 세세목의 수량 또는 회수, 각각의 세세목의 화폐적 정보로서 각 세세목의 금액, 총액 및/또는 단가가 저장된다.
참고로, 분개 처리 시스템(300)은 수동, 자동 또는 반자동(semi-automatic)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각종 회계정보(예를 들어, 차변대변구분, 계정과목, 일자, 적요, 금액, 상기 계정과목이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 그리고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이용하여 분개처리를 수행하고, 분개처리를 수행하여 얻은 회계처리 결과 데이터를 분개정보 DB(320)에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분개 처리 시스템(300)에는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에 이미 알려진 다 양한 분개 처리 시스템(300)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다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 중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즉,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에는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에 대응하여 세세목 "볼펜", "종이", "자", "칼", "스테플러", 계정과목 "식대"에 대응하여 세세목 "빵", "음료수", "과자", 계정과목 "비품"에 대응하여 세세목 "못", "볼트", "너트", "전구", 그리고 계정과목 "지급수수료"에 대응하여 세세목 "은행수수료", "기장료", "변호사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로부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를 판독하고, 이러한 판독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 DB(310) 및 분개정보 DB(320)에 저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사무용품비"라는 계정과목이 입력되면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로부터 판독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존재하므로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판단하고,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세세목 "볼펜", "종이", "자", "칼", "스테플러"와 같은 선택항목을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세세목 "볼펜"을 선택하게 되면 비화폐적 정보로서 "볼펜"의 수량과 화폐적 정보로서 "금액 또는 단가"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수량 10개, 금액 50,000원을 입력하면 입력회계정보 DB(310)에는 사무용품비-볼펜-수량 10개-금액 50,000원이 연계되어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세세목 "종이"를 추가로 선택하게 되면 비화폐적 정보로서 "종이"의 수량 "20 매", 화폐적 정보로서 "종이"의 금액 "50,000원"을 입력하면 입력회계정보 DB(310)에는 사무용품비-종이-수량 20매-금액 50,000원이 연계되어 저장된다. 만약,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입력하고자 하는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에 해당하는 세세목이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클라이언트는 기타 항목을 선택하거나 직접 세세목 명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특정기간에 대해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한다. 상기 예의 경우, 세세목 "볼펜", "종이"와 연계되어 저 장된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추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와 연계시켜 저장된 세세목 "볼펜", "종이"와, 세세목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0개, 세세목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20매, 세세목 "볼펜"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50,000원, 세세목 "종이"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50,000원을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한다.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상기 추출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자원관리테이블을 세세목, 계정과목, 분개일련번호, 차대구분, 일자, 적요,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하여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에 저장한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당기 기중분개 정보 및 차기 기중분개 정보로부터 형성된 자원관리테이블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당기(예를 들어, 2001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에 대해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한다. 상기 예의 경우, 세세목 "볼펜", "종이"와 연계되어 저장된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추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와 연계시켜 저장된 세세목 "볼펜", "종이"와, 세세목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0개(분개일련번호 001) 및 9,990개(분개일련번호 002), 세세목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20매(분개일련번호 001) 및 19,980매(분개일련번호 002), 세세목 "볼펜"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50,000원(분개일련번호 001) 및 금액 450,000원(분개일련번호 002), 세세목 "종이"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50,000원(분개일련번 호 001) 및 금액 450,000원(분개일련번호 002)을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한다(도 6 참조).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상기 추출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차기예산테이블을 세세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 등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형태로 생성하여 차기예산 회계정보 DB(140)에 저장한다. 도 6에는 당기 기중분개 정보로부터 형성된 차기예산테이블이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은 자원관리나 차기예산수립을 위한 사전기준선 정보가 저장된 사전기준선 정보 DB(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 또는 차기예산 회계정보 DB(140)에 각각 저장된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가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기준선은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거나 금액 비례 기준선일 수 있는데, 세세목 볼펜의 경우 사용량 비례 기준선을 종이 20매 당 볼펜 한 자루로, 금액 비례 기준선을 1,000원 당 볼펜 한 자루로 할 수 있다. 만약, 사전기준선이 종이 20매 당 볼펜 한 자루의 사용량 비례 기준선인 경우,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에 저장된 자원관리테이블에서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9,990개(분개일련번호 002), 그리고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9,980매(분개일련번호 002)를 판독하여 종이 대 볼펜의 사용량을 산 출하고 이를 상기 사전기준선과 비교한다. 상기 예의 경우, 종이 2매 당 볼펜 한 자루의 볼펜 사용량이 산출되므로 상기 사용량 비례 기준선인 종이 20매 당 볼펜 한 자루를 10배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볼펜의 사용량이 과다하다고 판단하고 볼펜 사용량을 줄일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볼펜 사용량을 줄일 것을 지시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의 메시지는 용지 등에 출력되어 직원들에게 배포될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에 인트라넷 등으로 연결된 기업의 직원들의 PC에 이메일이나 온라인 쪽지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은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고,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에 따라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이 조정 변경하고, 변경된 사전기준선을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하여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예에서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에서 종이 2매 당 볼펜 한 자루의 볼펜 사용량이 산출되는데, 이러한 과다한 볼펜 사용량이 직원들의 물자낭비가 원인이 아니고 경기불황의 여파로 볼펜 제조업체에서 볼펜 하나 당 잉크양을 줄여 생산하는 경우가 원인일 수 있고 이러한 물가나 경기 변동의 경우 종이 20매당 볼펜 한 자루의 사전기준선을 맞추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종이 20매당 볼펜 한 자루의 사전기준선을 현실에 맞게 종이 2매 당 볼펜 한 자루로 변경하여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하여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갱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내에 제공된 사용자 정보 DB(160)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신원 확인을 위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클라이언트 ID,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연락처 등)가 저장된다.
통신망(20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회사의 사내 LAN일 수 있고 인터넷일 수도 있다. 통신망(200)으로는 물리적 의미에서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위성 방송망 등 다양한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웹 서버(170)는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이동 통신 단말기(181), PDA(182) 또는 개인용 PC(183)와 통신망(200)을 통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 및/또는 분개처리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하고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입력하는 것을 지원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가 대표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판독하는 기능을 가진 다양한 접속기기,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 키오스크, PDA와 같은 개인용 정보 단말기, 개인용 PC, 디지털 TV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분개 처리 시스템(300)과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이 모두 하나의 PC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PC 내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예를 들어,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된 전체 단계(S100~S400)를 수행하는 것]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PC를 구동시키기 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하드디스크, CD 또는 플래쉬 메모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의 블럭도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 2a는 기중분개단계(S100), 자원관리테이블 생성단계(S200) 및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S30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2b는 기중분개단계(S100), 자원관리테이블 생성단계(S200),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S300) 및 사전기준선 조정단계(S400)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a의 각 주요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이 당기의 분개정보 DB(320)로부터 판독한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자원관리테이블 및 차기예산테이블의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이 당기에서 생성한 차기예산테이블과 차기의 분개정보 DB(320)로부터 판독한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한 예산실적분석 사례와, 차기의 자원관리테이블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2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의 순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은 기중분개단계(S100)를 수행한 후, 자원관리테이블 생성단계(S200)를 수행하고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S300)를 수행한다. 자원관리테이블 생성단계와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모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b의 순서도는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여 사전기준선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사전기준선 조정단계(S400)를 수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a의 순서도와 동일하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기중분개단계를 수행하는 과정(S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81, 182, 183) 및 통신망(200)을 통해 기장을 위한 각종 회계정보를 입력한다(S110).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차변대변을 구분하면서 계정과목명을 입력하고, 일자, 적요 및 해당 계정과목의 금액도 입력한다. 분개 처리 시스템(300)의 분개처리 모듈(330)은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각종 회계정보를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저장한다.
또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120)로부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를 판독하고, 이러한 판독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된 본 계정과목이 세세목 테이블의 작성을 요구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20), "예"(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인 경우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본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세세목, 각각의 세세목의 수량 및 총액을 입력하게 한다(S130). 한편, "아니오"(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 이 아닌 경우)이면 바로 S170 단계로 이행하여 추가로 입력할 계정과목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의 분개일련번호 002의 예에서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사무용품비"라는 계정과목이 입력되면(상대계정과목에는 "현금" 900,000원 입력),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존재하므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본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판단하고,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세세목 "볼펜", "종이", "자", "칼", "스테플러" 등과 같은 선택항목을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세세목 "볼펜"을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면 비화폐적 정보로서 "볼펜"의 수량과 화폐적 정보로서 "총액"을 입력하게 한다. 이때,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수량 9,990개, 총액 450,000원을 입력하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처리모듈(330)의 제어를 통해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사무용품비-볼펜-수량 9,990개-총액 450,000원의 연계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세세목 "종이"를 추가로 선택하여 입력하고 비화폐적 정보로서 "종이"의 수량 "19,980 매", 화폐적 정보로서 "종이"의 총액 "450,000원"을 입력하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처리모듈(330)의 제어를 통해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사무용품비-종이-수량 19,980매-총액 450,000원의 연계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도 7의 분개일련번호 001의 예에서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사무용품비"라는 계정과목이 입력되면(상대계정과목에는 "현금" 500,000원 입력),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존재하므로 자원관리 및 예산수 립 모듈(150)은 본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판단하고, 사용자클라이언트에게 세세목 "볼펜", "종이", "자", "칼", "스테플러" 등과 같은 선택항목을 제공하게 되고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세세목 "볼펜"을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면 비화폐적 정보로서 "볼펜"의 수량과 화폐적 정보로서 "총액"을 입력하게 한다. 이때,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수량 25개, 총액 250,000원을 입력하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처리모듈(330)의 제어를 통해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사무용품비-볼펜-수량 25개-총액 250,000원의 연계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클라이언트가 세세목 "종이"를 추가로 선택하여 입력하고 비화폐적 정보로서 "종이"의 수량 "100 매", 화폐적 정보로서 "종이"의 총액 "250,000원"을 입력하면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처리모듈(330)의 제어를 통해 입력회계정보 DB(310)에 사무용품비-종이-수량 100매-총액 250,000원의 연계정보를 저장한다.
그런 다음, 추가로 입력할 세세목, 예를 들어, "자", "칼", "스테플러" 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S140), "예"(추가로 입력할 세세목이 있는 경우)이면 S130 단계로 복귀하여 세세목 입력, 수량 입력 및 총액 입력 과정을 반복하며, "아니오"(추가로 입력할 세세목이 없는 경우)이면 입력된 세세목들의 총액의 합을 구한다. 그리고, 본 계정과목의 금액과 본 계정과목에 대응하는 각각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0), "아니오"(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면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불일치한 원인을 분석하여 일치하도록 수정하게 한다(S160). "예"(일치하는 경우)이면 추가로 입력할 계정과목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1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계정과목의 금액과, 본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최초 입력단계부터 계정과목의 화폐적 정보와, 이와 연계되어 저장되는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와의 상호간 데이터의 완전성을 검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가로 입력할 계정과목이 있는 경우에는 S110 단계로 복귀하여 차변대변구분 입력, 계정과목 명 입력, 일자 입력, 적요 입력 및 금액 입력 과정을 반복하고, 추가로 입력할 계정과목이 없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된 회계정보들에 기초하여 분개처리 모듈(330)이 차변계정과목들의 금액들의 합계와 대변계정과목들의 금액들의 합계를 구한다(S180). 그리고, 차변계정과목들의 금액들의 합계와 대변계정과목들의 금액들의 합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90), "아니오"(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면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불일치한 원인을 분석하여 일치하도록 수정하게 한다(S192). "예"(일치하는 경우)이면 <분개일련번호>가 자동으로 부여되면서 <본 분개>가 <분개 정보 DB>(320)에 저장되어(S194), 기중분개단계(S100)가 종료된다. 도 6에는 당기의 기중분개정보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차기의 기중분개정보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S200 단계(도 4 참조) 및/또는 S300 단계(도 5 참조)로 이행하여 자원관리테이블 생성 단계 및/또는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우선, S100 단계에 따라 기중분개가 수행된 후 이 기중분개의 수행결과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원관리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200)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자원관리테이블의 생성을 원하는 검색기간을 입력하면(S210),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특정기간에 대해 검색한다. 도 6에서는 2001년 7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의 검색기간을 입력하여 생성된 자원관리테이블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에서는 2002년 1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의 검색기간을 입력하여 생성된 자원관리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특정 검색기간에 해당하는 분개정보 DB(3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한다(S220). 즉, 분개정보 DB(320)의 기중분개정보 테이블에 있어서 세세목이 포함되어 있는 행(row)(=레코드)만을 추출한다(S220).
도 6 및 도 7의 예에서는 세세목 "볼펜", "종이"와 연계되어 저장된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추출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예의 경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와 연계시켜 저장된 세세목 "볼펜", "종이"와, 세세목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9,990개, 세세목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9,980매, 세세목 "볼펜"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450,000원, 세세목 "종이"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450,000원을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도 7의 예의 경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와 연계시켜 저장된 세세목 "볼펜", "종이"와, 세세목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25개, 세세목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00매, 세세목 "볼 펜"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250,000원, 세세목 "종이"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250,000원을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추출된 행의 각각의 필드의 정렬 순위는 세세목 1순위, 계정과목 2순위, 분개일련번호 3순위로 하여 추출된 정보를 정렬하고(S230), 세세목을 기준으로 하여 부분합(수량 합계 및 금액 합계)을 구한다(S240). 도 6의 경우를 예를 들면 세세목 볼펜의 수량의 합계는 9,990개, 금액의 합계는 450,000원이 된다. 도 7의 경우를 예를 들면 세세목 볼펜의 수량의 합계는 25개, 금액의 합계는 250,000원이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의 경우에는 특정 검색기간에 있어서 세세목 볼펜이 포함되어 있는 행이 하나만 추출되었기 때문에 수량의 합계 및 금액의 합계가 앞서 언급한 하나의 레코드에 대한 수량 및 금액과 일치한다.
또한, 각각의 세세목에 대한 부분합(수량 합계 및 금액 합계)을 구한 후, 세세목을 기준으로 한 금액 합계를 수량 합계로 나누어서 세세목 별 단가를 산정한다(S250). 도 6의 경우 세세목 볼펜의 수량의 합계는 9,990개, 금액의 합계는 450,000원이므로 볼펜 단가는 대략 45원이 된다. 도 7의 경우 세세목 볼펜의 수량의 합계는 25개, 금액의 합계는 250,000원이므로 볼펜 단가는 10,000원이 된다.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전술한 과정들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들에 기초하여 세세목, 계정과목, 분개일련번호, 차대구분, 일자, 적요, 금액, 수량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형태의 자원관리테이블을 생성하여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에 저장하고(S260), 자원관리테이블 생성 단계(S200)를 종료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자원관리테이블을 활용하면 자원관리에 있 어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무용품비가 한 해에 90만원이 발생했다는 것으로는 효과적인 지침을 지시할 수 없다. 사무용품비에 있어서, 볼펜이 9,990개(45만원), 종이가 19,980매(45만원)이라는 수량이라는 비화폐적 정보와 결합될 때 비로소 종이사용량에 비교하여 과다한 볼펜의 사용량을 1,000개 이하로 줄이라는 구체적인 지침을 내릴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면, 세세목 볼펜의 경우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 종이 20매 당 볼펜 한 자루로서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에 저장된 자원관리테이블에서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9,990개(분개일련번호 002), 그리고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9,980매(분개일련번호 002)를 판독하여 종이 대 볼펜의 사용량을 산출하고 이를 상기 사전기준선과 비교한다. 상기 예의 경우, 종이 2매 당 볼펜 한 자루의 볼펜 사용량이 산출되므로 상기 사용량 비례 기준선인 종이 20매 당 볼펜 한 자루를 10배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볼펜의 사용량이 과다하다고 판단하고 볼펜 사용량을 1,000개 이하로 줄일 것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종래의 회계처리시스템이 단순히 '사무용품비', '90만원'이라는 데이터만 전산으로 관리될 뿐이고 '볼펜 9,990개(45만원)', '종이 19,980매(45만원)'의 정보는 '적요란'에 기재됨으로 인하여 전산으로 볼펜 몇자루가 얼마에 구입되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없는 것과는 극명한 차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자원관리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받을 수 있는 또 다른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세세목 볼펜의 경우 금액 비례 기준선이 볼펜 1개당 1,000원으로서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자원관리 회계정보 DB(130)에 저장된 자원관리테이블에서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25개(분개일련번호 001), 그리고 "볼펜"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250,000원(분개일련번호 001)을 판독하여 볼펜의 단가를 산출하고 이를 상기 사전기준선과 비교한다. 상기 예의 경우, 볼펜 단가가 10,000원으로 산출되므로 상기 금액 비례 기준선인 볼펜 1개당 1,000원을 10배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볼펜의 단가가 비싸다고 판단하고 단가가 저렴한 볼펜을 사용할 것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여 효율적으로 화폐적 정보로부터 비화폐적 정보를 추출하고, 또한 비화폐적 정보에 부수되어 있는 화폐적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기업 등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며, 계정과목과 금액에 가려져서 놓칠 수 있는 절감요소를 발견해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S100 단계에 따라 기중분개가 수행된 후 이 기중분개의 수행결과로 얻어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300)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는 전술한 자원관리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S200)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바로 기중분개 단계(S100)가 수행된 후 수행될 수도 있다(도 2a 및 도 2b 참조).
우선,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차기예산테이블의 생성 과정을 시작하면(예를 들어,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버튼 클릭)(S310), 검색기간을 당기로 하여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가 직접 입력하게 되고(S320)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당기(예를 들어, 2001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에 대해 검색한다. 도 6에서는 2001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의 당기에 대해 생성된 차기예산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상기 검색기간에 해당하는 분개정보 DB(32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한다(S330). 즉, 분개정보 DB(320)의 기중분개정보 테이블에 있어서 세세목이 포함되어 있는 행(row)(=레코드)만을 추출한다(S330).
도 6의 예에서는 세세목 "볼펜", "종이"와 연계되어 저장된 계정과목 "사무용품비"가 추출되게 된다.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계정과목 "사무용품비"와 연계시켜 저장된 세세목 "볼펜", "종이"와, 세세목 "볼펜"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10개(분개일련번호 001) 및 9,990개(분개일련번호 002), 세세목 "종이"의 비화폐적 정보인 수량 20매(분개일련번호 001) 및 19,980매(분개일련번호 002), 세세목 "볼펜"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50,000원(분개일련번호 001) 및 금액 450,000원(분개일련번호 002), 세세목 "종이"의 화폐적 정보인 금액 50,000원(분개일련번호 001) 및 금액 450,000원(분개일련번호 002)을 분개정보 DB(320)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한다(S330).
그리고 나서, 추출된 행의 각각의 필드의 정렬 순위는 세세목 1순위, 계정과 목 2순위, 분개일련번호 3순위로 하여 추출된 정보를 정렬하고(S340), 세세목을 기준으로 하여 부분합(수량 합계 및 금액 합계)을 구한다(S350). 도 6의 경우를 예를 들면 세세목 볼펜의 수량의 합계는 10,000개, 금액의 합계는 500,000원이 된다.
또한, 각각의 세세목에 대한 부분합(수량 합계 및 금액 합계)을 구한 후, 세세목을 기준으로 한 금액 합계를 수량 합계로 나누어서 세세목 별 단가를 산정한다(S360). 도 6의 경우 세세목 볼펜의 수량의 합계는 10,000개, 금액의 합계는 500,000원이므로 볼펜 단가는 50원이 된다.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전술한 과정들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들에 기초하여 세세목, 금액, 수량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형태의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차기예산 회계정보 DB(140)에 저장하고(S370), 차기예산테이블 생성 단계(S300)를 종료하게 된다.
도 7에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이 당기에서 생성한 차기예산테이블과 차기의 분개정보 DB(320)로부터 판독한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된 예산실적분석 사례가 설명되어 있는데, 차기예산테이블을 활용하면 효과적인 예산실적 분석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서는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여 사전기준선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사전기준선 조정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도 2b 참조).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은 하나의 지침일 뿐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다. 도 6의 예에서는 종이 2매 당 볼펜 한 자루의 볼펜 사용량이 산출되는데, 이러한 과다한 볼펜 사용량이 직원들의 물자낭비가 원인이 아니고 경기불황의 여파로 볼펜 제조업체에서 볼펜 하나 당 잉크양을 줄여 생산하는 경우가 원인일 수 있고 이러한 물가나 경기 변동의 경우 종이 1매 당 볼펜 사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종이 20매당 볼펜 한 자루의 사전기준선을 맞추기 어렵게 된다.
또한, 다른 극단적인 예로 볼펜 가격이 폭등한 경우 볼펜 단가 1,000원을 맞출 수 없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즉, 사전기준선은 예외사항을 적출해 내기 위한 장치이다. 이와 같이 경기나 물가와 관련하여 담당자의 적절한 해명이 있다면 담당자에 대해 사전기준선의 준수를 요구하는 것은 경기나 물가와 같은 경제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년도 실적자료를 그대로 차기예산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정당성이 부여된다. 그리고, 사전기준선을 유효하게 유지하면서 자원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사전기준선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2b의 S400 단계를 수행하여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은 종이 20매당 볼펜 한 자루의 사전기준선을 현실에 맞게 종이 2매 당 볼펜 한 자루로 변경하거나 볼펜의 단가를 10,000원으로 변경한 후 변경된 사전기준선을 사전기준선 정보 DB(110)에 저장하여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갱신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 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100) 및 그 주변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기중분개단계(S100), 자원관리테이블 생성단계(S200) 및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S30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b는 기중분개단계(S100), 자원관리테이블 생성단계(S200), 차기예산테이블 생성단계(S300) 및 사전기준선 조정단계(S400)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2a의 각 주요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이 당기의 분개정보 DB(320)로부터 판독한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자원관리테이블 및 차기예산테이블의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150)이 당기에서 생성한 차기예산테이블과 차기의 분개정보 DB(320)로부터 판독한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한 예산실적분석 사례와, 차기의 자원관리테이블 사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10: 사전기준선 정보 DB
120: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
130: 자원관리 회계정보 DB
140: 차기예산 회계정보 DB
150: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
160: 사용자 정보 DB 170: 웹서버
181: 이동통신 단말기 182: PDA
183: PC 200: 통신망
300: 분개 처리 시스템
310: 입력회계정보 DB 320: 분개정보 DB
330: 분개처리 모듈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 그리고 상기 계정과목이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한 입력회계정보 DB와,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처리를 수행한 결과로 얻은 분개정보가 저장된 분개정보 DB를 구비하는 분개 처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을 이용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회계정보들 중 계정과목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b) 상기 분개 처리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을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부터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상기 (c) 단계에서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분개 처리 시스템에 의해,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절차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분개정보를 특정 기간에 대해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차기예산테이블 또는 자원관리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차기예산테이블은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수량 또는 회수, 및 총액을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할 때,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과,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가 자원관리나 차기예산수립을 위한 사전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기준선은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거나 금액 비례 기준선이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에 의해, 상기 사전기준선은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에 따라 변경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9. 사용자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 그리고 상기 계정과목이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 경우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한 입력회계정보 DB와,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처리를 수행한 결과로 얻은 분개정보가 저장된 분개정보 DB를 구비하는 분개 처리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저장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의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부터 확인하고,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하며, 상기 분개정보 DB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는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과,
    상기 생성된 자원관리테이블이 저장되는 자원관리 회계정보 DB와,
    상기 생성된 차기예산테이블이 저장되는 차기예산 회계정보 DB를 포함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화폐적 정보는 수량 또는 회수이고, 상기 화폐적 정보는 총액 또는 단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테이블은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형태로 생성되어 자원관리 회계정보 DB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상기 분개정보 DB에 저장된 분개정보를 당기로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 DB에 저장된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세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차기예산 회계정보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기예산 회계정보 DB에 저장된 차기예산테이블은 세세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 DB의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수량 또는 회수, 및 총액을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상기 입력회계정보 DB에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할 때,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과,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자원관리나 차기예산수립을 위한 사전기준선 정보가 저장된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각각 자원관리 회계정보 DB 또는 차기예산 회계정보 DB에 저장한 후,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가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기준선 정보 DB에 저장된 사전기준선은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거나 금액 비례 기준선일 수 있고, 상기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 모듈은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에 따라 상기 사전기준선을 조정 변경하고, 변경된 사전기준선을 사전기준선 정보 DB에 저장하여 사전기준선 정보 DB를 갱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시스템.
  17.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회계정보들 중 계정과목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의 연계를 위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계정과목과 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을 연계시켜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와,
    (b)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차변대변 계정과목 및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을 입력회계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입력되는 계정과목이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인지 여부를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로부터 확인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세세목의 입력이 요구되는 계정과목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해당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와,
    (e) 상기 (b) 단계 및 (d) 단계에서 저장된 입력회계정보에 기초하여 분개절차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분개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에서 저장된 분개정보를 특정 기간에 대해 검색하여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계정과목을 추출하고, 이러한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비화폐적 정보 및 화폐적 정보를 상기 분개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이러한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는 차기예산테이블 또는 자원관리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기예산테이블은 세세목, 계정과목,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 항목을 포함하고, 세세목 별로 예산항목과 실적항목으로 구분되며, 금액, 수량 또는 회수, 및 단가는 총계로서 구분되는 동시에 매월 월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계정과목-세세목 연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되는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과, 각각의 세세목의 수량 또는 회수, 및 총액을 상기 계정과목과 연계시켜 입력회계정보로서 추가로 저장할 때, 상기 계정과목의 금액과, 상기 계정과목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세목의 총액의 합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0.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가 자원관리나 차기예산수립을 위한 사전기준선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컴퓨터에 의해 추가로 실행시키기 위한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기준선은 사용량 비례 기준선이거나 금액 비례 기준선이고, 물가나 경기를 반영하는 자원관리테이블 또는 차기예산테이블의 비화폐적 정보 또는 화폐적 정보에 따라 변경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90056261A 2009-06-24 2009-06-24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6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61A KR101065283B1 (ko) 2009-06-24 2009-06-24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261A KR101065283B1 (ko) 2009-06-24 2009-06-24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967A KR20100137967A (ko) 2010-12-31
KR101065283B1 true KR101065283B1 (ko) 2011-09-16

Family

ID=4351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261A KR101065283B1 (ko) 2009-06-24 2009-06-24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2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880A (ja) * 1997-05-01 1998-11-17 Dainippon Printing Co Ltd 会計処理システム
KR100643536B1 (ko) * 2006-04-05 2006-11-13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자동분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880A (ja) * 1997-05-01 1998-11-17 Dainippon Printing Co Ltd 会計処理システム
KR100643536B1 (ko) * 2006-04-05 2006-11-13 아토정보기술 주식회사 자동분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967A (ko) 201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881B2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cessing and classifying a financial transaction
US5193055A (en) Accounting system
US20060186192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bank deposits
JP2011170490A (ja) SaaS型汎用会計処理システム
CN105825425A (zh) 一种适用于阿米巴经营的存取款式的财务数据处理方法
KR101084440B1 (ko) 자동분개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Utami et al. Significant influ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use of modern accounting software
RU2474872C2 (ru)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нной формы счетоводства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данных в базу счетов учета, применяемый в нем
US8195536B2 (en) Activity information accounting system
JP6528074B1 (ja) 会計処理装置、会計処理方法、会計処理プログラム
Anandarajan et al. Historical overview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US20180053204A1 (en) Auto-population of discount information into an e-invoice
KR20140135398A (ko) 온라인 재무제표 자동 기장 시스템
JP2009157443A (ja) 仕訳データ作成装置、仕訳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及び仕訳データ作成方法
CN110941652A (zh) 银行流水数据的分析方法
KR101065283B1 (ko) 회계처리에 있어서 화폐적 정보와 비화폐적 정보를 연계한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자원관리 및 예산수립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01222656A (ja) 財務管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059582B1 (ko) 회계처리 품질 인증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회계처리 품질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115078A (ko) 재무제표 자동 기장 시스템
KR20100032476A (ko) 현금출납장을 기반으로한 복식 회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arlberg Business Analysis: Microsoft Excel 2010
JP2011040016A (ja) 財務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Simanjuntak et al. Explain How a Ledger and Posting help in The Recording Process
JP3871106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
US20240144386A1 (en) Method, apparatus for creating an enhanced database structure for more efficient automated accounting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