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977A -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977A
KR20210080977A KR1020190173092A KR20190173092A KR20210080977A KR 20210080977 A KR20210080977 A KR 20210080977A KR 1020190173092 A KR1020190173092 A KR 1020190173092A KR 20190173092 A KR20190173092 A KR 20190173092A KR 20210080977 A KR20210080977 A KR 20210080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document
business
module
document edi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진
Original Assignee
정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진 filed Critical 정규진
Priority to KR1020190173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0977A/ko
Publication of KR2021008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목적과 업종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과 계층적 구조의 시장조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비지니스 문서를 작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웹 소켓 연결을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나 전문가를 인증하고 관리자나 검수자 기능을 처리하는 관리자 모듈과,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기능을 처리하는 사용자 모듈과, 전문가들이 미리 시장조사를 통해 구축한 소정수 카테고리의 시장자료와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인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소정의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를 수행하는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과,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이 생성한 비지니스 문서를 입력받아 소정의 평가비표에 근거하여 평가하여 첨삭을 처리하여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출력하는 평가모듈과, 상기 최종 비지니스 문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블록체인 모듈을 포함하여 비지니스 문서 작성/편집/저장/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및 시스템{Business document editing method and system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적과 업종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과 계층적 구조의 시장조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비지니스 문서를 작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업계획서란 창업, 자금조달, 신규사업, 투자유치, 신년도 사업계획 등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사업의 내용을 정리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문서이다. 사업계획서의 내용은 항목이나 양식이 따로 정해진 것은 아니고 사업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용도에 따라 대략적인 폼(양식)이 정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사업계획서는 사업을 준비하는 이에게 사업에 대한 구상을 체계적이면서 구체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부문별 사업 내용을 반복적으로 점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의 시행착오 예방과 사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공보에 공개번호 제10-2001-0067545호로 '인터넷상에서의 사업계획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이 공개된 바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이 미흡한 단순한 아이디어 수준에 머물고 있고, 공개번호 제10-2019-0069770호로 공개된 '사업계획서 분석을 통한 사업 성공 예측 시스템'은 이미 작성된 사업계획서를 기준으로 하여 딥러닝 기계학습을 통해 사업의 성공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최근 들어 정부의 지원 아래 각종 창업활동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스타트업 기업들에서 정부기관이나 금융기관에 제출하기 위한 사업계획서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스타트업 기업들의 실패요인을 살펴보면, 제품설계 미흡 59%, 비즈니스모델 미흡 17% 등 기초 사업계획의 부실이 70% 이상으로 나타나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교육이나 사업계획서 작성을 도와줄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목적과 업종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템플릿과 계층적 구조의 시장조사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비지니스 문서를 작성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에 따른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웹 소켓 연결을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나 전문가를 인증하고 관리자나 검수자 기능을 처리하는 관리자 모듈과,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기능을 처리하는 사용자 모듈과, 전문가들이 미리 시장조사를 통해 구축한 소정수 카테고리의 시장자료와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인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소정의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를 수행하는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과,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이 생성한 비지니스 문서를 입력받아 소정의 평가 지표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첨삭을 처리하여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출력하는 평가모듈과, 상기 최종 비지니스 문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블록체인 모듈을 포함하여 비지니스 문서 작성/편집/저장/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은 상기 평가모듈이 출력한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서비스 서버가 소정의 화면을 제공하여 업종을 입력받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업종을 입력받으면, 서비스 서버가 해당 업종에 관련된 다수의 폼을 제시하여 폼을 선택받는 제 2 단계와,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폼에 들어갈 기업정보를 입력받는 제 3 단계와, 서비스 서버가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사업계획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1차 사업계획서의 완성도를 평가하여 첨삭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제 5 단계와, 첨삭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와 전문가의 입력에 근거하여 첨삭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2차 사업계획서를 완성하는 제 6 단계와, 2차 사업계획에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공유토록 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은, 재무추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재무추정정보에 근거하여 1차 투자제안서를 생성하는 단계와, 1차 투자제안서의 사업성을 평가하는 단계, 평가결과에 따라 첨삭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와 전문가의 입력에 근거하여 첨삭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2차 투자제안서를 완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사업계획서나 2차 투자제안서로 최종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은, 생성된 2차 사업계획서나 최종보고서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타트업과 같은 초기 창업자가 업종이나 목적에 따라 맞춤형 사업계획서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전관리와 접근제어를 통해 허락된 사용자만이 해당 문서에 접근하여 보거나 수정할 수 있게 하고, 이전의 수정 이력을 확인하여 문서의 내용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작성된 사업계획서를 관계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업무를 처리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의 전체 구성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업계획서 작성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의 전체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사업계획서 작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와, 인터넷(102)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사업계획서 작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관리자 단말기(300), 선행적으로 기초자료를 검색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의 사업계획서를 검수할 수 있게 하는 전문가 단말기(40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00)는 인터넷(102)을 통해 웹 소켓 연결을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 모듈(110)과, 관리자와 전문가를 인증하고 관리자 기능을 처리하는 관리자 모듈(120), 사용자 모듈(130), 전문가들이 미리 시장조사를 통해 구축한 21개 카테고리의 시장자료와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0),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DBMS 모듈(142),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 비지니스 문서 평가모듈(160), 암호화모듈(170), 블록체인화모듈(180), 버전관리모듈(190)을 포함한다.
웹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인터넷(102)을 통해 웹 소켓 연결을 제공하고, 관리자 모듈(120)은 웹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나 전문가를 인증하고 관리자나 검수자 기능을 처리하며, 사용자 모듈(130)은 웹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기능을 처리한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전문가들이 미리 시장조사를 통해 구축한 21개 카테고리의 시장자료와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이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베이스(140)는 DBMS 모듈(142)에 의해 관리된다. DBMS 모듈(142)은 접근제어를 통해 인가된 사용자가 허가된 문서에만 접속할 수 있게 한다.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은 웹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인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소정의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를 수행하고, 평가모듈(160)은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이 생성한 비지니스 문서를 입력받아 완성도를 평가하여 첨삭을 처리함과 아울러 내용 디자인을 첨삭하여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에 제공한다.
암호화 모듈(170)은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이 출력한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암호화하고, 블록체인 모듈(180)은 암호화 모듈(170)에 의해 암호화된 최종 비지니스 문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비지니스 문서 작성/편집/저장/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블록체인 모듈(180)은 새로운 블록에 담긴 정보의 합의를 위해서 모든 블록이 아니라 관련된 블록들만 합의하도록 처리하여 처리용량과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버전관리모듈(190)은 1차 사업계획서가 생성된 이후 해당 문서에 대한 관리코드와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생성자(사용자)에게 전달함과 아울러 문서의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백업을 통해 이전 문서들의 변경내용을 열람 및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관련자에게 관리코드와 비밀번호를 전달하여 허락된 사용자만이 허가된 문서를 열람하거나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1차에서 최초 사업계획서(1차 사업계획서) 생성 후, 2차 데이터 추가, 3차 데이터 삭제, 4차 데이터 삭제, 5차 데이터 추가, 6차 최종 보고서 완성된 경우에, 수정시 변경된 부분만 백업으로 남긴 후 일정기간 후 변경된 내용과 원본 내용을 합쳐 풀 백업본을 생성한다. 따라서 허가된 열람자는 원하는 차수의 내용과 열람중인 차수의 이전/이후 내용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위/변조 방지와 데이터 무결성을 위해 증분백업 내용의 SHA(Secure Hash Algorithm)값을 특정코드와 암호를 넣어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생성한 후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URL에서 기존에 제공된 암호코드를 통해 접속할 수 있게 한다. 접속된 페이지에서는 권한을 통해 특정한 문서의 이력에만 접근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업계획서 작성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계획서 편집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는 크게 온라인상에서 자동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온라인 자동 사업계획서 작성 과정(S10)과, 작성된 사업계획서를 평가하는 사업계획서 평가과정(S20), 작성된 사업계획서를 암호화하여 보안을 적용하는 블록체인 기반 문서보안 과정(S30), 1차 사업계획서 작성 이후부터 최종본까지 전체 문서의 이력을 관리하고 변경내용들을 백업하며 암호화를 통해 허가된 사용자만 허가된 문서에 접속하게 하는 버전 관리과정(S40)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면 메인화면을 제공하는데,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로그인하면, 서비스 서버(100)가 업종선택을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S101~S103).
서비스 서버(100)가 업종을 입력받으면, 해당 업종에 관련된 다수의 폼(템플릿)을 제시하여 폼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S104).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타트업에 적합한 21개 카테고리와 증권사의 평가에 기반한 74개 업종으로 분류하여 유효성과 성장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폼이 선택되면, 서비스 서버(100)가 선택된 폼에 들어갈 기업정보를 입력받고,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사업계획서를 생성한다(S105,S106).
1차 사업계획서 작성 단계(S10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술분석 항목 작성 단계(S201), 시장분석 항목 작성단계(S202), 기술개발계획 분석 항목 작성단계(S203), 사업화 기획 분석 항목 작성 단계(S204), 결론 항목 작성 단계(S205)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사업계획서 항목은 하나의 예시적인 항목을 보여줄 뿐이고, 업종이나 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술분석 항목 작성 단계(S201)에서는 기술개요, 기술개발의 필요성, 기술동향과 전망, 기술혁신성 등을 입력된 기업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작성한다. 시장분석 항목 작성 단계(S202)에서는 시장개요 및 니즈 분석, 경쟁분석, 시장구조 및 특성, 시장동향과 전망 등을 입력된 기업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작성한다. 이때 시장조사는 TAM-SAM-SOM에 근거하여 최신 연도의 시장자료를 활용하고, 경쟁분석은 SPC- Search Volume을 분석하여 적합한 경쟁자를 추출하고 평가분석하며, 연평균성장율(CAGR), 시장점유율, DAU(Daily Active Users), 평균매출 등과 같은 자료에 근거하여 매출 및 손익을 추정한다. 기술개발계획 분석 항목 작성단계(S203)에서는 기술개발 인프라, 기술개발 핵심전략, 기술개발계획 진단, 기술로드맵 등을 입력된 기업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작성한다. 사업화 기획분석 항목 작성 단계(S204)에서는 기술사업화 주체역량, 내부 및 외부요인 분석, 사업화계획, 사업화추진계획 진단, 수익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입력된 기업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작성한다. 결론 항목 작성단계(S205)에서는 각 항목에서 작성된 핵심내용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작성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1차 사업계획서가 생성되면, 버전 관리 과정(S40)에서 서비스 서버의 버전관리모듈(190)이 생성된 사업계획서(문서)에 대한 관리코드와 비밀번호를 부여하여 해당 생성자(사용자)에게 전달함과 아울러 문서의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백업을 통해 이전 문서들의 변경내용을 열람 및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이와 동시에 서비스 서버의 평가모듈(160)이 사업계획서 작성 지표에 근거하여 1차 사업계획서의 완성도를 평가하여 첨삭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한다(S107,S108). 이때 첨삭에 따른 절차는 유료화할 수 있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첨삭을 요청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동으로 첨삭을 처리함과 아울러 전문가의 수동 첨삭을 부가하여 2차 사업계획서를 완성한다(S109,S110). 완성된 2차 사업계획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과 아울러 버전관리과정(S40)을 통해 변경이력이 자동으로 관리되고,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어 입력된 기업정보에 근거하여 재무추정 정보를 생성한 후 1차 투자제안서를 생성한다(S111,S112). 1차 투자제안서는 완성된 2차 사업계획서에 재무정보를 추가하여 사업성 평가를 통해 투자제안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사업계획서이고, 투자제안을 위한 사업성 평가가 필요없을 경우에는 2차 사업계획서를 바로 최종보고서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1차 투자제안서가 생성되면, 서비스 서버의 평가모듈(160)이 소정의 평가 지표에 근거하여 1차 투자제안서의 사업성을 평가하고, 추정재무 첨삭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한다(S113,S114). 이때 첨삭에 따른 절차는 유료화할 수 있고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첨삭을 요청하면, 데이터베이스 및 전문가의 투자 적합성 판단에 근거하여 첨삭을 부가하여 2차 투자제안서를 완성한다(S115). 완성된 2차 투자제안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과 아울러 버전관리과정(S40)을 통해 변경이력이 자동으로 관리되고,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150)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어 2차 사업계획서나 2차 투자제안서를 최종보고서로서 완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최종보고서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최종보고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공유토록 한다(S116~S118).
이상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서비스 서버 102: 인터넷
110: 웹 인터페이스 120: 관리자 모듈
130: 사용자 모듈 140: 데이터베이스
142: DBMS 모듈 150: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
160: 평가모듈 170: 암호화모듈
180: 블록체인 모듈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관리자 단말기 400: 전문가 단말기

Claims (5)

  1. 인터넷을 통해 웹 소켓 연결을 제공하는 웹 인터페이스;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관리자나 전문가를 인증하고 관리자나 검수자 기능을 처리하는 관리자 모듈;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기능을 처리하는 사용자 모듈;
    전문가들이 미리 시장조사를 통해 구축한 소정 수 카테고리의 시장자료와 다양한 형태의 템플릿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상기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인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소정의 비지니스 문서 편집 절차를 수행하는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모듈이 생성한 비지니스 문서를 입력받아 소정의 평가 지표에 근거하여 평가하고 첨삭을 처리하여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출력하는 평가모듈; 및
    상기 최종 비지니스 문서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블록체인 모듈을 포함하여 비지니스 문서 작성/편집/저장/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은
    상기 평가모듈이 출력한 최종 비지니스 문서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시스템.
  3. 사용자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서비스 서버가 소정의 화면을 제공하여 업종을 입력받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업종을 입력받으면, 서비스 서버가 해당 업종에 관련된 다수의 폼을 제시하여 폼을 선택받는 제 2 단계;
    서비스 서버가 선택된 폼에 들어갈 기업정보를 입력받는 제 3 단계;
    서비스 서버가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1차 사업계획서를 생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1차 사업계획서의 완성도를 평가하여 첨삭여부를 선택하게 하는 제 5 단계;
    첨삭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와 전문가의 입력에 근거하여 첨삭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2차 사업계획서를 완성하는 제 6 단계; 및
    2차 사업계획에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공유토록 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은,
    재무추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재무추정정보에 근거하여 1차 투자제안서를 생성하는 단계;
    1차 투자제안서의 사업성을 평가하는 단계;
    평가결과에 따라 첨삭을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와 전문가의 입력에 근거하여 첨삭을 자동으로 처리하여 2차 투자제안서를 완성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사업계획서나 2차 투자제안서를 최종보고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은,
    생성된 최종보고서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KR1020190173092A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KR20210080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92A KR20210080977A (ko)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092A KR20210080977A (ko)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977A true KR20210080977A (ko) 2021-07-01

Family

ID=7686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092A KR20210080977A (ko) 2019-12-23 2019-12-23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09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1404A (zh) * 2022-08-22 2022-09-20 佳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共享文档编辑管理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81404A (zh) * 2022-08-22 2022-09-20 佳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共享文档编辑管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273B2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11138336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11036771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10275614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10282370B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20210256161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for processing data access requests
US20180373891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identifying and modifying processes that are subject to data subject access requests
Ozorhon et al. Case-based reasoning model for international market selection
US10776517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calculating and communicating cost of fulfilling data subject access requests and related methods
KR20240020167A (ko) 평가 대상 기업의 esg 수준을 판단하고 미래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업 esg 경영 관리 장치 및 그 수행 방법
US10970675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US11222309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Stodder Visual analytics for making smarter decisions faster
KR20210080977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비지니스 문서 편집 방법
US20210303603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populating a data inventory
Marcovitch et al. A data ethics framework for responsible responsive organizations in the digital world
WO2019023509A1 (en) DATA PROCESSING AND SCANN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FEEDING DATA INVENTORY
Eye Information quality maturity: Examining the progress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identifying a path forward
Web LBBu0BukkLL kk kk S
ABOWD IN THE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MIDDLE DISTRICT OF ALABAMA EASTERN DI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