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282B1 -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282B1
KR100643282B1 KR1020040088405A KR20040088405A KR100643282B1 KR 100643282 B1 KR100643282 B1 KR 100643282B1 KR 1020040088405 A KR1020040088405 A KR 1020040088405A KR 20040088405 A KR20040088405 A KR 20040088405A KR 100643282 B1 KR100643282 B1 KR 10064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ortable
message
user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9280A (ko
Inventor
정동신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282B1/ko
Priority to JP2005300769A priority patent/JP2006134315A/ja
Priority to EP05256670.0A priority patent/EP1655665B1/en
Priority to CNB200510117323XA priority patent/CN100464525C/zh
Priority to US11/264,024 priority patent/US7962097B2/en
Publication of KR2006003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282B1/ko
Priority to JP2008223978A priority patent/JP5226436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상의 다수의 재생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를 신속히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를 통하여 휴대용 장치에 포함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전송 받은 컨텐츠 재생기기가 기기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UPnP, 컨텐츠,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컨트롤, XML

Description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 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device on UPnP network, and playing content through the device}
도 1은 종래의 UPnP 환경에서 컨텐츠 재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
도 3는 UPnP의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기기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기기 리스트의 항목에 시각적 표시를 나타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 타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5는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300, 500 :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
200, 400, 600 : 컨텐츠 재생장치
110, 310 : 디스플레이 50 :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
60 :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 70 :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상의 다수의 재생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를 신속히 선택하고 선택된 장치를 통하여 휴대용 장치에 포함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카메라 폰이나 MP3(MPEG layer-3) 플레이어 등과 같이 휴대용 컨텐츠 관리 장치들의 성능이 향상되고, 다양한 컨텐츠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 장치를 통하여 제작하거나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서, 컨텐츠를 휴대할 수 있는 장치가 다양해지고, 이러한 장치가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빠르고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와 같은 미들웨어에 의하여 구축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컨텐츠 관리 장치가 보유한 컨텐츠를 홈 네트워크 상의 재생장치를 통하여 재생시키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동일한 재생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컨텐츠 재생장치들 중, 원하는 특정 재생장치를 판별하기 위하여 테스트 재생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재생장치를 명시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네트워크에 연결된 특정 재생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스커버리(Discovery), 및 디스크립션(Description)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재생하려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들의 리스트가 생성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UPnP 환경에서 컨텐츠 재생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휴대용 컨텐츠 관리 장치(10)가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컨텐츠 재생장치들(20, 30, 40) 중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30)를 발견하는 과정을 나타 낸다.
먼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는 컨텐츠 재생장치들(20, 30, 40)과 디스커버리 과정을 수행한 후(S1), 휴대용 컨텐츠 관리 장치(10)는 디스커버리 과정을 통하여 발견된 컨텐츠 재생장치들(20, 30, 40)로부터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20, 30, 40)들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디스크립션을 요청한다(S2). 그리고, 컨텐츠 재생장치들(20, 30, 40)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한다(S3).
그 다음, 컨텐츠 관리장치(10)는 상기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장치들(20, 30, 40)의 리스트를 생성한다(S4).
이 후 사용자는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를 찾기 위해서는 테스트 재생 과정(S5, S6, S7)이 필요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 제시된 재생장치들 중, 자신이 재생장치가 어떠한 것인지 알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3개의 컨텐츠 재생장치에 대한 테스트 재생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테스트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리스트 중 어떠한 컨텐츠 재생장치가 자신이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30)인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30)를 통하여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컨트롤 명령을 전송한다(S8).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된 컨텐츠 재생장치들 중 특정 컨텐츠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재생장치들에 대해 반복적인 테스트를 시도하여야 한다.
또한,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컨트롤(UPnP 표준의 control)을 위해서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와 재생장치들 사이에 디스커버리 및 디스크립션 과정을 거친 후에야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를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 UPnP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수의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재생장치들 중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 컨텐츠 재생장치를 통하여 용이하게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휴대용 저장장치와 재생장치 사이의 불필요한 셋업 과정 없이 신속히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전송 받 은 컨텐츠 재생기기가 기기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전송 명령을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 중 하나의 컨텐츠 재생장치를 통하여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전송 명령에 따라서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기기 리스트 중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대응되는 항목에 식별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은, 단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로부터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의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UPn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컨텐츠 재생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UPnP 시스템은,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아,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따라서 기기 알림을 수행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컨텐츠 재생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UPnP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전송 명령을 입력 받아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기기 리스트 중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대응되는 항목에 식별 표시를 하는, 특정 컨텐츠 재생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컨텐츠 재생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UPnP 시스템은, 단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로부터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명령을 UPnP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하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 및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메시지에 따른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노트북 PC 등 컨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를 생성하여 저장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장치(이하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 라고 함)에 저장된 컨텐츠를 UPnP 네트워크 상의 컨텐츠 재생 장치(PDP, TV, PC 모니터 등 비디오 재생 장치 또는 AV 리시버, TV 등 오디오 재생 장치)를 통하여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여기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억세스 포인트(9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억세스 포인트 (90)와 컨텐츠 재생장치(200A, 200B) 및 다른 UPnP 기기(80)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와 컨텐츠 재생장치(200A, 200B)는 동일한 UPnP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UPnP 네트워크 전체가 무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는 유선 일부는 무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그 휴대용 특성상 무선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로, 컨텐츠 재생장치(200A, 200B)는 피제어 기기(controlled device)로 동작한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UPnP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 가능하면서 휴대 할 수 있는 형태의 장치로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저장 공간은 착탈이 가능하며 추가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메모리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자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한다.
컨텐츠 재생장치(200A, 200B)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장치이다. 컨텐츠 재생장치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에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한 후 재생하거나, 스트림의 형태로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있다. 실시간으로 재생할 수 있는 스트림의 형태로는 MPEG-2 전송스트림(transport steam) 또는 일반 컨텐츠 파일을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방식에 따라 스트림화한 형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장치가 스스로 알림(notification)을 수행하는 방법(이하 제1 실시예라 함)과, 컨텐츠 재생장치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통해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이하 제2 실시예라 함)와, 특정 컨텐츠 재생장치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의 요청에 따라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결합 과정(association)을 거친 후, 이를 기반으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가 컨텐츠 재생장치를 컨트롤 하는 방법(이하 제3 실시예라 함)으로 나뉘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동작하는 UPnP 기술의 개략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 본 후, 상기 각 실시예 별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UPnP 기술
UPnP(Universal Plug and Play) 기술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가전 기기 간에 복잡한 설정절차 없이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서 한 기기가 가진 서비스를 다른 기기가 자동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UPnP를 사용하게 되면 일반 사용자는 단지 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만 시켜주면 기존에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기기들이 자동으로 새로 추가된 기기를 발견하여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므로 기기를 설치하거나 설정하는데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다.
UPnP는 IP, TCP, UDP, HTTP, XML과 같은 기존의 프로토콜들을 사용한다. 유선 또는 무선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디바이스간에 교환하는 데이터는 XML로 표현되고, HTTP를 통해서 통신한다. IP 네트워킹을 채택한 이유는 다른 물리적 미디어로 확장이 용이하며 실제 복수 벤더간의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며 인터넷과 많은 가정 및 사무실의 인트라넷과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 다. 또한 브릿징을 통해서, non-IP 프로토콜을 올린 미디어를 수용한다.
도 3는 UPnP의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UPnP device architecture)는 컨트롤 포인트와 피제어 기기들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컨트롤, 이벤팅, 및 프리젠테이션을 위하여 UPnP 디바이스 아키텍쳐는 도 3와 같은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갖는다.
최상위 "UPnP vendor" 계층은, 각 기기에 대한 UPnP 제조자 특정 정보(vendor-specific information)를 포함한다. 그 다음 "UPnP Forum" 계층은 UPnP 포럼에 의하여 정의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그 다음 "UPnP Device Architecture" 계층 이하에는 SSDP, GENA, SOAP 등 UPnP에 특화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여기서,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는 네트워크상의 서비스를 찾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GENA(General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는 한 디바이스의 상태가 변했을 때 이를 다른 디바이스에게 알리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은 한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에게 제어 명령을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들은 UDP 상에서 동작하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유니캐스트(unicast) HTTP, 또는 TCP 상에서 동작하는 표준 HTTP를 통하여 전송된다. 최종적으로 모든 메시지들은 IP를 통하여 전송된다.
UPnP에서 디바이스 간에 주고 받는 정보는 XML로 표현되며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UPnP를 통한 디바이스 간의 통신은 디스커버리 단계, 디스크립션 단계, 컨트롤 단계, 이벤팅 단계, 및 프리젠테이션 단계로 나뉘어진다.
디스커버리 단계에서 컨트롤 포인트(UPnP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들을 찾고 서비스들은 컨트롤 포인트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UPnP는 SSD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이는 발견을 위해서 멀티캐스트 UDP 상에서 동작하는 HTTP와 발견에 대한 응답을 위한 유니캐스트 UDP 상에서 동작하는 HTTP로 이루어진다. SSDP 프로토콜에서 발견 메시지는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 상의 어느 곳에 있는지를 모르는 디바이스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성을 위해서 멀티캐스트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일단 컨트롤 포인트가 서비스를 찾으면 TCP 상의 HTTP를 통해서 기술 문서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디스크립션 단계를 수행한다. 이는 표준 HTTP GET 명령을 통해서 수행된다. 디바이스에 대한 UPnP 기술 문서는 XML로 표현되며 모델명, 모델 번호, 시리얼 번호, 제조자명, 벤더 종속적인 웹사이트의 URL 등과 같은 벤더에 종속적인 정보와 제조자의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기술 문서는 제어, 이벤팅,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뿐만 아니라 내장된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리스트도 포함한다. 각 서비스에 대한 기술 문서는 그 서비스가 응답할 명령(또는 액션), 각 명령에 대한 매개변수 리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에 대한 기술 문서는 변수 리스트를 포함하며 변수들은 런타임 때 서비스의 상태를 나타낸다.
컨트롤 포인트가 디바이스의 기술 문서를 가져온 후 컨트롤 포인트는 디바이스의 서비스에게 명령을 보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컨트롤 단계이다. 이를 위해서 컨트롤 포인트는 서비스의 제어 URL로 적합한 제어 메시지를 보낸다. 제어 메시지는 XML로 표현되며, SOA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함수 호출처럼 제어 메시지에 응 답하기 위해서 서비스는 명령에 종속적인 값을 반환한다. 서비스의 런타임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 값이 변화됨으로써 명령의 효과가 나타난다.
이 후 이벤팅 단계와, 프리젠테이션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 단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핵심 단계는 아니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벤팅 단계는 GENA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프리젠테이션 단계는 TCP 기반 일반 HTTP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가 자신이 선택된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기기 알림(device notification)을 취하는 경우이다. 도 4는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와 컨텐츠 재생장치들(200A, 200B, 200C)간에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수행한다(S11). 그리고,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컨텐츠 재생장치(200A, 200B, 200C)에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요청하고(S12), 컨텐츠 재생장치들(200A, 200B, 200C)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한다(S13). 이러한 디스크립션은 XML로 표현되며, 컨텐츠 재생장치의 모델명, 모델번호, 시리얼 번호, 제조자 번호, 제조자의 URL, 제품의 URL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이러한 디스크립션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등)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재생장치 1(120), 컨텐츠 재생장치 2(130), 및 컨텐츠 재생장치 3(140) 모두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을 예 로 하여 설명한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14). 도 5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기기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컨텐츠 재생장치들(200A, 200B, 200C)에 대한 리스트가 표시되는데, 각 항목은 컨텐츠 재생장치의 모델명, 시리얼 번호, 제조자명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항목이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UPnP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컨텐츠 재생장치에 대응되기는 하지만, 사용자는 어떤 항목이 어떤 컨텐츠 재생장치와 대응되는지 알기는 어렵다. 물론, 가정과 같이 간단한 UPnP 네트워크에서는, 제품명, 제조자명 등 디스크립션에 표시되는 식별 명칭에 의하여 구분할 수도 있겠지만, 다양한 기기들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일반적인 "Ubiquitous 환경"에 놓여 있는 UPnP 네트워크에서는 그 식별이 보다 어렵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기기 리스트에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한다(S15). 항목을 선택하는 방법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가 갖고 있는 버튼(미도시됨), 또는 펜 입력 장치(미도시됨)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컨텐츠 재생장치 1(120)은 기기 알림을 수행한다(S16). 여기서, "기기 알림(device notification)" 이란 상기 기기 리스트의 특정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가 사용자에게 자신을 알리기 위한 식별 동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기 알림은 컨텐츠 재생장치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게 될 수 있는데, 오디오 재생 장치인 경우 특정 음향 효과를 통하여 동작될 수 있고, 비디오 재생장치인 경우 화면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특정 메시지 박스, 이미지, 또는 화면 깜빡임 등의 시각 효과를 통해 동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장치가 수행하는 기기 알림을 통해 기기 리스트 중 현재 선택한 항목에 대응되는 재생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지된 컨텐츠 재생장치가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장치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는 기기 리스트의 다른 항목을 선택하여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가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다른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한다(S17). 그러면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은 컨텐츠 재생장치는 기기 알림을 수행한다(S18).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결국 자신이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해당되는 항목을 발견하게 되고, 상기 발견된 항목을 선택하여 컨텐츠 재생 명령을 전송한다(S19).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은 SOAP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 즉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후 재생하는 방식과 실시간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있다.
상기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의 구조는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다.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50)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기의 주소가 기록되는 Source Device Address 필드(51)와,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기의 주소가 기록되는 Destination Device Address 필드(52)와,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명령이 기록되는 Notification Request Message 필드(54)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필드(54)의 크기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UPnP 네트워크에서 기기의 주소는 IP 주소를 사용한다. 그리고,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명령은 기기간에 미리 약속된 명령 코드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의 구성은 도 7에 도시된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는 사용자 입출력 모듈(120)과, 컨텐츠 저장 모듈(130)과, UPnP 모듈(140)과, 제어 모듈(150)과,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 생성 모듈(160)과, 송수신 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 모듈(120)은 소정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장치의 리스트(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의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는다.
컨텐츠 저장 모듈(130)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UPnP 모듈(140)은 UPnP 표준에 따라서 컨텐츠 재생장치(200)와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또는 컨트롤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15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내의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 어한다.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 생성 모듈(16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할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송수신 모듈(17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모듈은 이더넷(ethernet), 무선랜 표준(IEEE 802.11 계열), 블루투스, 무선 PAN 표준(IEEE 802.15.3) 등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200)의 구성은 도 8에 도시된다. 컨텐츠 재생장치(200)는 컨텐츠 표시 모듈(220)과, 컨텐츠 재생 모듈(230)과, UPnP 모듈(240)과, 제어 모듈(250)과, 기기 알림 수행 모듈(260)과, 송수신 모듈(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모듈(23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컨텐츠 디코딩 방식은 컨텐츠의 포맷에 따르는데, MPEG-2, MP3, JPEG 등 다양한 인코딩 포맷에 맞는 디코딩 방식을 선택한다.
컨텐츠 표시 모듈(220)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비디오 또는 이미지의 경우 LCD, CRT, PDP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오디오의 경우 A/V 리시버 등의 음향 장치로 구현된다.
UPnP 모듈(240)은 UPnP 표준에 따라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와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또는 컨트롤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250)은 컨텐츠 재생장치(200)내의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기 알림 수행 모듈(26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로부터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50)를 수신하여 기기 알림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기 알림 동작은 컨텐츠 재생장치의 사양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게 될 수 있는데, 오디오 재생 장치인 경우 특정 음향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고, 비디오 재생장치인 경우 화면에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특정 메시지 박스, 이미지, 또는 화면 깜빡임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송수신 모듈(27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모듈(27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의 송수신 모듈(170)과 호환된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사용자가 컨텐츠 재생장치의 특정 기능을 동작(activation)시켜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가 컨텐츠 재생장치로부터 전송된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보내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9은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와 컨텐츠 재생장치들(400A, 400B, 400C)간에 디스커버리(discovery) 과정을 수행한다(S21). 그리고,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는 컨텐츠 재생장치(200A, 200B, 200C)에 디스크립션(description)을 요청하고(S22), 컨텐츠 재생장치들(200A, 200B, 200C)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한다(S23).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도 5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S24).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이 재생을 원하는, 즉 자신이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가 생성된 기기 리스트 중에서 어떤 항목에 대응되는지를 알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컨텐츠 재생장치(400B)가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에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 즉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의 전송 명령을 입력한다(S25). 이와 같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방법으로는, 컨텐츠 재생장치(400B)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로부터 원격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재생장치(400B)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에 전송한다(S26). 이와 같은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는 도 6와 같이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 있지만, 이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포맷을 가질 수도 있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는 상기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기기 알림을 수행한다(S27).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가 수행하는 기기 알림 과정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에 나열되어 있는 기기 리스트(311, 312, 313)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재생장치(400B)에 대응되는 항목(313)이 인지될 수 있도록 식별 표시를 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도 10와 같이 이러한 기기 리스트의 항목(313)에 시각적 표시(314)을 나타내거나, 음향을 통하여 어떤 항목이 선택되었음을 알리는 방법(음향적 표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결국 자신이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해당되는 항목을 발견하고, 상기 발견된 항목을 선택하여 컨텐츠 재생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S28). 그러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 즉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후 재생하는 방식과 실시간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있다.
도 9의 설명에서 기기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S24)은 생략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기기 리스트를 통한 기기 알림 과정(S27)을 수행할 때 비로소 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면서 동시에 선택된 항목을 표시하여 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의 구성은 도 11에 도시된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는 사용자 입출력 모듈(320)과, 컨텐츠 저장 모듈(330)과, UPnP 모듈(340)과, 제어 모듈(350)과, 기기 알림 수행 모듈(360)과, 송수신 모듈(3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 모듈(320)은 소정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장치의 리스트(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리스트 중의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는다.
컨텐츠 저장 모듈(330)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UPnP 모듈(340)은 UPnP 표준에 따라서 컨텐츠 재생장치(400)와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또는 컨트롤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35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내의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기 알림 수행 모듈(360)은 컨텐츠 재생장치(400)로부터 전달되는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기기 알림을 수행한다(S27). 상기 기기 알림 과정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의 디스플레이(310)에 나열되어 있는 기기 리스트(311, 312, 313)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재생장치(400B)에 대응되는 항목(313)이 인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송수신 모듈(37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모듈은 이더넷(ethernet), 무선랜 표준(IEEE 802.11 계열), 블루투스, 무선 PAN 표준(IEEE 802.15.3) 등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400)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된다. 컨텐츠 재생장치(400)는 컨텐츠 표시 모듈(420)과, 컨텐츠 재생 모듈(430)과, UPnP 모듈(440)과, 제어 모듈(450)과, 기기 알림 수행 모듈(460)과, 송수신 모듈(470), 및 사용자 명령 입력 모듈(4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모듈(43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며, 컨텐츠 표시 모듈(420)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UPnP 모듈(440)은 UPnP 표준에 따라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와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또는 컨트롤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450)은 컨 텐츠 재생장치(400)내의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사용자 명령 입력 모듈(480)은 컨텐츠 재생장치(400B)가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에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다.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방법으로는, 컨텐츠 재생장치(400B)에 구비된 특정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또는,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로부터 원격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 생성 모듈(460)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라서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50)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50)는 도 6와 같이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100)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포맷과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 있지만, 이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포맷을 가질 수도 있다.
송수신 모듈(47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모듈(47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300)의 송수신 모듈(370)과 호환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600)가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의 기기 정보(device information)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에 전달해 주고, 이를 기반으로 추가적인 디스커버리 또는 디스크립션 과정 없이,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가 컨텐츠 재생장치(500)를 곧바로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13은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디스커버리 및 디스크립션 과정을 전제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와 컨텐츠 재생장치(600) 간에 디스커버리 및 디스크립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황에서도 동작될 수 있다.
먼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는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를 컨텐츠 재생장치(600)에 전송한다(S31). 상기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다양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60)의 구성은 도 14에 도시된다.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60)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기, 즉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의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가 기록되는 Source Device Address 필드(61)와, 기기 결합을 요청하는 명령이 기록되는 Device Association Request Message 필드(63)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필드(63)의 크기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기 결합을 요청하는 명령은 기기간에 미리 약속된 명령 코드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장치(600)는 전송된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S32).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70)의 구성은 도 15에 도시된다.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70)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기,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주소가 기록되는 Source Device Address 필드(71)와, 기기 결합에 응답하여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디스크립션"이 기록되는 Device Association Information 필드(73)를 적어도 포함 하며, 상기 필드(73)의 크기를 나타내는 Length 필드(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 및 컨텐츠 재생장치(600)는 이미 UPnP 표준을 준수하는 기기이므로,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디스크립션은 UPnP 표준에서 정의하는 형태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재생장치(600)는 생성된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70)를 상기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에 전송한다. 그러면,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는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70)에 포함된 디스크립션을 해석한다(S34).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는 컨트롤 포인트 역할을 담당하므로, 디스크립션을 수신한 이후에는 컨텐츠 재생장치(600)에 대한 각종 UPnP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는 상기 해석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명령을 컨텐츠 관리장치(600)에 전송한다(S35). 상기 컨텐츠 재생 명령은 SOAP 프로토콜을 통하여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 즉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컨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러한 컨텐츠 재생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 후 재생하는 방식과 실시간 스트림을 수신하여 재생하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의 구성은 도 16에 도시된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는 단거리 통신 모듈(520)과, 컨텐츠 저장 모듈(530)과, UPnP 모듈(540)과, 제어 모듈(550)과,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 생 성 모듈(560)과, 송수신 모듈(5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저장 모듈(530)은 컨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제공한다. 그리고, UPnP 모듈(540)은 UPnP 표준에 따라서 컨텐츠 재생장치(600)와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또는 컨트롤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 모듈(55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내의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 생성 모듈(560)은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전송할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거리 통신 모듈(520)은 상기 생성된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거리 통신 모듈(520)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다양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 모듈(57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기기 알림 요청 메시지를 제외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모듈은 이더넷(ethernet), 무선랜 표준(IEEE 802.11 계열), 블루투스, 무선 PAN 표준(IEEE 802.15.3) 등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구성은 도 17에 도시된다. 컨텐츠 재생장치(600)는 컨텐츠 표시 모듈(620)과, 컨텐츠 재생 모듈(630)과, UPnP 모듈(640)과, 제어 모듈(650)과,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 생성 모듈(660)과, 송수신 모듈(6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모듈(63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 츠를 디코딩하여 재생하고, 컨텐츠 표시 모듈(620)은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UPnP 모듈(640)은 UPnP 표준에 따라서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와 디스커버리, 디스크립션, 또는 컨트롤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650)은 컨텐츠 재생장치(600)내의 다른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 생성 모듈(66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로부터 수신된 기기 결합 요청 메시지(60)에 응답하여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70)를 생성한다. 기기 결합 응답 메시지는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디스크립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에서 컨텐츠를 컨텐츠 관리장치(600)에서 재생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크립션은, 예를 들어,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모델명, 모델 번호, 시리얼 번호, 제조자명, 벤더 종속적인 웹사이트의 URL 등과 같은 벤더에 종속적인 정보와 제조자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 및 컨텐츠 재생장치(600)는 이미 UPnP 표준을 준수하는 기기이므로, 상기 컨텐츠 재생장치(600)의 디스크립션은 UPnP 표준에서 정의하는 형태로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거리 통신 모듈(68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500)의 단거리 통신 모듈(520)과 호환된다. 따라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 다양한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 모듈(67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기기 알림 응답 메시지(70)를 제외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신 모듈(670)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 (500)의 송수신 모듈(570)과 호환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software component)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addressing)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class)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task)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processes), 함수들(functions), 속성들(properties), 프로시저들(procedures), 서브루틴들(sub-routines), 프로그램 코드(program code)의 세그먼트들(segments), 드라이버들(drivers), 펌웨어(firmwares), 마이크로코드(micro-codes), 회로(circuits), 데이터(data), 데이터베이스(databases), 데이터 구조들(data structures), 테이블들(tables), 어레이들(arrays), 및 변수들(variables)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통신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퓨터들을 실행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기존의 UPnP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 사이의 통신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장치로부터 연결하고자 하는 장치들에 대한 디스커버리 및 디스크립션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발견된 장치가 UPnP 실제로 어떠한 장치를 가리키는 것인지를 사용자가 알기는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정을 통하여 발견된 장치가 실제로 어떠한 장치를 가리키는 것인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알고 있는 특정 컨텐츠 재생장치에 곧바로 컨텐츠를 재생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네트워크로부터 재생장치에 대한 별도의 디스커버리 및 디스크립션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특정 컨텐츠 재생장치를 통하여 재생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휴대용 기기가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를 전송 받은 컨텐츠 재생기기가 특정 음향 효과 또는 특정 시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기기 알림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기의 주소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기의 주소와,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
  4. 휴대용 기기가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 중 하나의 컨텐츠 재생장치가 사용자로부터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전송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전송 명령에 따라서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용 기기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기기 리스트 중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대응되는 항목에 식별 표시를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기의 주소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기기의 주소와,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표시는 시각적 표시 또는 음향적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인,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기기 리스트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 받아,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에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선택된 항목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장치가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따라 특정 음향 효과 또는 특정 시각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기기 알림을 수행하는, 특정 컨텐츠 재생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와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컨텐츠 재생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의 전송 명령을 입력 받아 기기 알림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장치들로부터 디스크립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디스크립션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기 리스트를 휴대용 컨텐츠 관리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기기 리스트 중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컨텐츠 재생장치에 대응되는 항목에 식별 표시를 하는, 특정 컨텐츠 재생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삭제
KR1020040088405A 2004-11-02 2004-11-02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KR100643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05A KR100643282B1 (ko) 2004-11-02 2004-11-02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JP2005300769A JP2006134315A (ja) 2004-11-02 2005-10-14 UPnPネットワーク上で特定機器を識別する方法、識別された特定機器を通じて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EP05256670.0A EP1655665B1 (en) 2004-11-02 2005-10-27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device on a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and playing content using the device
CNB200510117323XA CN100464525C (zh) 2004-11-02 2005-11-01 用于识别装置并使用该装置播放内容的方法和系统
US11/264,024 US7962097B2 (en) 2004-11-02 2005-11-02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device on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and playing content using the device
JP2008223978A JP5226436B2 (ja) 2004-11-02 2008-09-01 UPnPネットワーク上で特定機器を識別する方法、識別された特定機器を通じてコンテンツを再生する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05A KR100643282B1 (ko) 2004-11-02 2004-11-02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280A KR20060039280A (ko) 2006-05-08
KR100643282B1 true KR100643282B1 (ko) 2006-11-10

Family

ID=3581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405A KR100643282B1 (ko) 2004-11-02 2004-11-02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62097B2 (ko)
EP (1) EP1655665B1 (ko)
JP (2) JP2006134315A (ko)
KR (1) KR100643282B1 (ko)
CN (1) CN10046452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8287B2 (en) 2009-03-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95B1 (ko) * 2005-04-22 200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에서 저장 디바이스의 디스크 정보 설정 방법
US7739367B2 (en) * 2006-01-12 2010-06-15 Ricoh Company, Ltd. Managing network-enabled devices
US8509817B2 (en) 2006-03-22 2013-08-13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telephone and UPnP control point integration
US8489748B2 (en) * 2006-04-04 2013-07-16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Enhanced UPnP AV media renderer
KR100754221B1 (ko) * 2006-06-07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간의 서비스 요청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
KR100754222B1 (ko) * 2006-06-15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디바이스간에 서비스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저장 매체
US7904575B2 (en) * 2006-08-25 2011-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protocols of embedded audio/video contents
US8155628B1 (en) * 2006-09-15 2012-04-10 At&T Mobility Ii Llc Mobile initiated broadcast
US8706777B2 (en) * 2006-12-18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catalogs
JP4818178B2 (ja) * 2007-03-27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プログラム
WO2008153067A1 (ja) 2007-06-11 2008-12-18 Sharp Kabushiki Kaish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195660B2 (en) * 2007-06-29 2012-06-0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order search results in view of identified information of interest
US8949313B2 (en) * 2007-08-18 2015-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using contents
KR101458205B1 (ko) * 2007-09-17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60183B1 (ko) 2008-04-17 2015-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31165B1 (ko) * 2008-04-17 2015-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이언트의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110202A (ko) 2008-04-17 200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45137B1 (ko) 2008-04-17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4661907B2 (ja) 2008-05-30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078230B2 (en) * 2008-06-27 2011-12-1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ioritized list of display devices for display of a media file
JP2010086353A (ja) * 2008-09-30 2010-04-15 Toshiba Corp 通信装置
US8775633B2 (en) * 2009-07-08 2014-07-08 Nokia Corporation Service information exchange in wireless network
JP5582321B2 (ja) * 2009-12-17 2014-09-03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複数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装置に対する1対多データ送信を促進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689712B1 (ko) * 2010-08-26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주변 기기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814600B1 (ko) * 2010-08-26 201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2036508A2 (en) * 2010-09-16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control device in a universal plug and play home network
KR20120072115A (ko) 2010-12-23 2012-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 영역 확장 장치 및 방법
US8537753B2 (en) * 2011-03-21 2013-09-17 Broadcom Corporation In-house location based services
JP2013003661A (ja) * 2011-06-13 2013-01-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86413B2 (en) 2011-11-02 2014-07-22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isting use of control devices with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US8545331B2 (en) * 2011-09-29 2013-10-01 Echostar Technologies L.L.C. Assisting use of control devices with different content players in a network
JP6051681B2 (ja) * 2012-08-24 2016-12-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833679A (zh) * 2012-09-06 2012-12-19 北京天宇朗通通信设备股份有限公司 多媒体文件的播放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FR3000632A1 (fr) * 2012-12-28 2014-07-04 Thomson Licensing Procede d'affichage de donnees dans un reseau et dispositif mobile associe
US9407586B2 (en) * 2013-03-15 2016-08-02 Yahoo! Inc. Method and system for cross device notification
CN104580411B (zh) * 2014-12-22 2017-12-1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文件共享方法及装置
JP6572737B2 (ja) 2015-10-30 2019-09-11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端末装置
JP6822050B2 (ja) * 2016-10-14 2021-01-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5577A (ja) * 1995-12-28 1997-07-15 Toshiba Corp ディジタル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JP2002007599A (ja) * 2000-06-23 2002-01-11 Sanyo Electric Co Ltd 家庭内情報端末装置
JP2002016619A (ja) * 2000-06-30 2002-01-18 Toshiba Corp デジタルネットワーク機器
JP2002049556A (ja) 2000-08-02 2002-02-15 Sharp Corp 家庭内メディア配信システム
JP2002291039A (ja) * 2001-03-27 2002-10-04 Tdk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接続機器の選択方法
JP2002328851A (ja) 2001-04-27 2002-11-15 Sony Corp 制御方法及び伝送装置
JP2002334031A (ja) 2001-05-08 2002-11-22 Sony Corp 受信装置および方法、転送装置および方法、蓄積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337402B2 (en) * 2001-11-09 2008-02-26 Microsoft Corporation Tunable information presentation appliance using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US7299304B2 (en) * 2001-11-20 2007-11-20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rchitecture to support interaction between a host computer and remote devices
JP4160818B2 (ja) * 2001-11-29 2008-10-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を用いた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ホームゲートウエイ
US7143139B2 (en) * 2002-03-27 2006-11-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roadcast tiers in decentralized networks
JP3966053B2 (ja) * 2002-04-17 2007-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機器、ネットワーク機器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機器を区別する方法
JP2004021325A (ja) * 2002-06-12 2004-01-22 Toshiba Corp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205370B2 (ja) 2002-06-20 2009-01-07 株式会社ピートゥピーエー 会話制御システム、会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40073609A1 (en) * 2002-07-03 2004-04-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output system
JP4225743B2 (ja) 2002-07-04 2009-02-18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4015928A1 (en) * 2002-08-06 2004-02-1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network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rotocol
KR100498284B1 (ko) 2002-08-06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PnP 기반 네트워크의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20040203590A1 (en) * 2002-09-11 2004-10-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t-up of wireless consumer electronics device using a learning remote control
CN1322432C (zh) * 2002-10-25 2007-06-20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媒体内容数据文件网络发布的安全系统及方法
KR20040055450A (ko) 2002-12-21 200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UPnP 기반의 콘텐트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030012918A (ko) 2003-01-15 2003-02-12 오병준 휴대폰용 모바일기기에서 현재 작동되고 있는 콘텐츠를일반 오디오/비디오 재생 기기에서 재생하는 장치및 시스템
JP3801996B2 (ja) * 2003-02-14 2006-07-26 株式会社東芝 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利用装置、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利用方法、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利用プログラム
KR20040074713A (ko) * 2003-02-18 200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효율적인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접근이 가능한 제어포인트 서버 시스템 및 방법
KR100476105B1 (ko) 2003-03-19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웍으로 연결된 기기 상호간의 미디어 데이터 전송방법
KR100493898B1 (ko) * 2003-04-16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피제어 디바이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시스템 및 방법
US7418486B2 (en) * 2003-06-06 2008-08-26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iscovery and configuration of external network devices
US7606181B1 (en) * 2003-06-30 2009-10-20 Nortel Networks Limite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cessing audio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session
JP4196772B2 (ja) * 2003-07-24 2008-12-17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出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045510A (ja) * 2003-07-28 2005-02-17 Toshiba Corp コンテンツ情報管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情報管理方法
KR100949020B1 (ko) * 2003-09-22 2010-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캐스트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15811B1 (ko) * 2003-09-23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UPnP 기반의 미디어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전자기기 및 그 방법
GB0322792D0 (en) * 2003-09-30 2003-10-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ranslation service for a system with a content directory service
US7136709B2 (en) * 2003-11-04 2006-11-14 Universal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GB0325673D0 (en) * 2003-11-04 2003-12-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irtual content directory service
US7155305B2 (en) * 2003-11-04 2006-12-26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s for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20050077672A (ko) * 2004-01-30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파일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3960321B2 (ja) * 2004-04-30 2007-08-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26046B2 (en) * 2004-05-05 2017-11-21 Black Hills Media, Llc Device discovery for digital entertainment net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8287B2 (en) 2009-03-12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5665B1 (en) 2018-12-05
KR20060039280A (ko) 2006-05-08
CN1770721A (zh) 2006-05-10
JP2006134315A (ja) 2006-05-25
JP2009020903A (ja) 2009-01-29
EP1655665A1 (en) 2006-05-10
US20060094360A1 (en) 2006-05-04
CN100464525C (zh) 2009-02-25
JP5226436B2 (ja) 2013-07-03
US7962097B2 (en) 201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282B1 (ko)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KR101510878B1 (ko) Dlna 네트워크의 dlna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9491214B2 (en) Information-provision control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information-provision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presentation control program
US9124441B2 (en) Remote audio
US9003301B2 (en) Im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thumbnail in DLNA system
US200702587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internet protocol remote control to non-internet protocol devices
US89144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40324944A1 (en) Remote management of dlna system
US20070101381A1 (en) IP remote
US20070033288A1 (en) Method of using pause time information on media content in UPnP environment
JP5089916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WO2009028103A1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6709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176343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WO2012072105A1 (en) Recording in a local network
US20060004939A1 (en) Mechanism to control infrared devices via a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network
KR101329668B1 (ko) 푸쉬 서버를 이용한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10033277A (ja) サーバ装置
US8782717B2 (en) Method of restoring AV session and a control point for the same
JP5224387B2 (ja)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制御装置、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テンツ共有プログラム
KR101147215B1 (ko) Dlna 홈 네트워크 및 dlna 홈 네트워크에서의 썸네일 관리 방법
JP2010061306A (ja) 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情報処理方法、接続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06345306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端末装置および端末装置のコンテンツ管理方法
KR101076037B1 (ko) Dlna 홈 네트워크의 플레이리스트 구성 장치 및 방법
KR20100117396A (ko) 홈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