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258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258B1
KR100643258B1 KR1020050000567A KR20050000567A KR100643258B1 KR 100643258 B1 KR100643258 B1 KR 100643258B1 KR 1020050000567 A KR1020050000567 A KR 1020050000567A KR 20050000567 A KR20050000567 A KR 20050000567A KR 100643258 B1 KR100643258 B1 KR 100643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temperature
outdoo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421A (ko
Inventor
나카지마토시미츠
신시미키야스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exhaustion of inside air from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환기동작을 행하더라도, 적어도 실내기 측에서는 결로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장치(15)에 의해에, 실온이 외기(外氣)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의 운전 중에는,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T2와 실외 습도센서(36)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습도 H2에 근거해 옥외공기의 노점온도 Tc를 구하고, 다음에 노점온도 Tc와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를 비교하고, Tc>T1+α (단, α>0)로 될 때에는, 급기(給氣)하려고 해도 급기 팬(34)이 기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은 경우의 운전 중에는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과 실내 습도센서(14)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습도 H1에 근거해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Tc를 구하고, 상기 노점온도 Tc와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를 비교하고, Tc>T2+β (단, β>0) 으로 될 때에도 급기하려고 해도, 급기 팬(34)은 기동하지 않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도 1은 제 1실시예의 공기 조화기 설명도이다.
   도 2는 제 2실시예의 공기 조화기 설명도이다.
  도 3은 제 3실시예의 공기 조화기 설명도이다.
  도 4는 제 4실시예의 공기 조화기 설명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다른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외벽 2 벽구멍
3 냉매관  4 환기관
4A 실내배관부분 5 리모컨
6A, 6B 결로센서 10 실내기
11 실내측 열교환기(열교환기) 12 배기 팬
13 실내 온도센서(온도센서)  14 실내 습도센서(습도센서)
15 제어장치 20 배기관
21 급기관 22 배기유닛
23 덕트 25 환기용 송풍기
26 팬 27 환기관
28, 29 급배기구 30 실외기
31 압축기 32 열교환기
33 유로변환밸브 34 급기팬
35 실외 온도센서(온도센서) 36 실외 습도센서(습도센서)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공기 조화기로서는,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기(10)에 배기관(20)과 급기관(21)을 설치하고, 환기유닛(22)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한쪽 팬의 회전에 의해, 실내 공기를 배기관(20)과 덕트(duct)(23)를 개재시켜 예를 들면 옥외로 배기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쪽 팬의 회전에 의해, 옥외 공기를 급기관(21)과 턱트(23)를 개재시켜 실내로 취입해서, 실내 환기를 행하도록 구성한 공기 조화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참조). 
또한,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기(10)에 환기용 송풍기(25)를 설치하 고, 팬(26)의 정역전(正逆轉)변환에 의해, 1개의 환기관(27)을 개재시켜 실내공기를 옥외로 배기함과 동시에, 옥외 공기를 실내로 취입함으로서, 실내 환기를 행하도록 구성한 공기 조화기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즉, 도에서 (28)과 (29)는 급배기구이다.
[특허 문헌 1] 특허 제2629665호 공보
[특허 문헌 1] 특허공개 2000-19326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 2 등에서 제안된 환기장치부착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실내를 원하는 온도로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실내를 환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창문을 정기적으로 여는 등, 실내 환기를 행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의 환기장치부착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환기중에 실내기 측에서 결로(結露)하고, 그 결로의 원인으로 곰팡이가 발생해서 비위생적 이였다. 또한, 그것에 기인해서 이취(異臭)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난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냉방운전중에 있어서, 급기관을 개재시켜 고온다습한 외기를 실내로 취입할 때에는, 실내로 취입되는 외기가 실온과 거의 일치하는 온도로 되어 있는 급기관의 부분을 통과할 때에 노점 온도이하까지 냉각되면, 옥외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급기관 내부에서 응축해서 결로하고, 급기관 내에서 곰팡이나 이취(異臭) 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 낮은 경우의 난방운전중에 있어서, 급기관을 개재시켜 온도가 낮은 외기를 실내에 취입할 때에는, 내부를 통과하는 저온 외기에 의해 급기관이 냉각되고, 그 급기관의 바깥 표면(外表面)에 접촉하는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응축해서 급기관의 바깥 표면에서 결로하고, 그 결로수가 마루 등의 위에 적하(滴下)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환기동작을 행하더라도, 적어도 실내기 측에서는 결로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를 내부에 구비한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와 냉매관을 개재시켜 접속되는 실외기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공기의 실외로의 배출, 실외공기의 실내로의 취입의 어느 쪽인가를 가능하게 한 환기수단을 갖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외 및 실내의 계측온도에 근거해 상기 환기수단의 운전을 제한하는 환기운전 제한수단을 설치한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옥외공기(실외공기)의 노점온도 Tc와 실내공기의 온도 T1를 비교하고, 예를 들면 Tc > T1+α (단, α>0)로 될 때, 즉, 온도가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냉 방운전중과,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Tc와 옥외공기의 온도 T2를 비교하고, 예를 들면 Tc > T2+β (단, β>0)로 될 때, 즉,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 낮은 경우의 난방운전중에는, 급기수단을 기동해서 급기하고 실내를 환기하려고 해도, 상기 급기수단이 기동하지 않도록, 환기수단의 운전을 제한하는 환기운전 제한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1~도4에 근거해 설명한다. 즉,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이들 도에 있어서도 상기 도5, 도6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제1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100)는,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옥외에 설치되는 실외기(30)를 구비해서 구성되고, 상기 실내기(10)에 설치한 실내측 열교환기(11)와, 실외기(30)에 설치한 압축기(31), 실외측 열교환기(32) 및 사방밸브로 이루어진 유로변환밸브(33)는, 건물 외벽(1)에 개설한 벽구멍(2)을 개재시켜 배관되는 냉매관(3)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유로변환밸브(33)에 의해 유료변환이 가능한 냉매 순환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매관(3)과 마찬가지로, 건물 외벽(1)의 벽구멍(2)을 개재시켜 배관된 환기관(4)에 의해, 실내기(10)에 설치한 환기용 배기 팬(12)과, 실외기(30)에 설치한 환기용 급기 팬(34)이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실내기(10)와 실외기(30)는, 벽구멍(2)을 개재시켜 배선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환기용 급기 팬(34)은, 실외기(30)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상기 벽구멍(2)과 실외기(30)의 중간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환기용 급기팬(34)은 배기 팬과 마찬가지로, 실내기(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는, 실외기(30)의 압축기(31)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한 냉매증기가 실외측 열교환기(32)를 경유해서 실내기(10)의 실내측 열교환기(11)에 이르고, 그 후 압축기(31)로 되돌아가도록 유로변환밸브(33)를 세트(Set)했을 때에는, 실외측 열교환기(32)에서 옥외 공기로 방열해서 응축한 냉매를, 상기 실내기(10)의 실내측 열교환기(11)에서 증발시켜 실내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1)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한 냉매증기를 실내측 열교환기(11)로 직접 보내고, 그 후 실외측 열교환기(32)를 경유해서 압축기(31)로 되돌아가도록 유로변환밸브(33)를 세트(Set)했을 때에는, 압축기(31)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한 냉매증기가 실내측 열교환기(11)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해서 응축하고, 주로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실내공기를 가열할 수 있으므로, 실내기(10)가 설치된 실내의 냉난방 등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10)의 배기 팬(12)을 운전하면, 실내 공기가 배기 팬(12)에 흡입되고, 환기관(4)과 실외기(30)의 급기 팬(34)을 경유해서 옥외(실외)로 배출되고, 한편, 급기 팬(34)을 운전하면, 옥외(실외) 공기가 급기 팬(34)에 흡입되고, 환기관(4)과 실내기(10)의 배기 팬(12)을 경유해서 실내로 취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는, 냉난방운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기 팬(12), 급기 팬(34)의 어느 한쪽을 운전함으로서, 실내 환기가 행해진다. 즉, 배기 팬(12)을 운전하면 실내 공기가 옥외로 배출되고, 대기압 보다 저압이 된 실내에 신선한 실외공기가 새들어와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고, 급기 팬(34)을 운전하면 신선한 옥외 공기가 실내로 취입되어, 대기압보다 고압이 된 실내공기가 옥외로 빠져나가 환기가 이루어진다.
즉, 실내기(10)가 기밀성(氣密性)이 높은 실내에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그 실내에 대한 공기 누입, 누출은 적어지고, 특히 배기 팬(12)을 운전해서 실내공기를 옥외로 배기하고, 감압된 실내에 실외공기를 누입해서 실내 환기를 할 때에는 불리해지므로, 고기밀(高氣密) 주택에서는 배기 팬(12)과 급기 팬(34)을 교대로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한 것과 같이 어느 한쪽만을 운전함으로서도 실내 환기는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10)에는 실내공기의 온도(실온)를 계측하기 위한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공기의 습도(실내습도)를 계측하기 위한 실내 습도센서(14)가 설치되고, 한편, 실외기(30)에는 옥외공기의 온도(외기 온도)를 계측하기 위한 실외 온도센서(35)와, 옥외공기의 습도(옥외 습도)를 계측하기 위한 실외 습도센서(3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10)에는 제어장치(15)가 설치되고, 리모컨(5) 등의 조작에 의해, 실내기(10)의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 습도센서(14)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과 습도 H1에 근거한 냉난방 및 제습운전과, 배기 팬(12) 또는 급기 팬(34)을 기동해서 환기운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는, 리모컨(5) 등의 조작으로 급기 팬(34) 의 기동에 의한 환기운전을 지시해도,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특정 조건 시에는 급기 팬(34)이 기동하지 않고, 실내기(10)측에서 결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온보다도 외기온도가 높을 때의 냉방운전중에 있어서, 상기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환기하면, 실내에 취입되는 옥외공기가, 실온과 거의 일치하는 온도로 되어 있는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부분을 통과할 때에 노점온도 이하까지 냉각되기 때문에, 옥외공기중의 수분으로서의 수증기가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내부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은, 우선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와, 실외 습도센서(36)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습도 H2에 근거해 그 공기의 노점온도 Tc를 연산산출하고, 다음으로 그 노점온도 Tc와,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을 비교하도록 구성해 있다.
즉,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온도는,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실내로 취입하는 고온의 옥외공기가 접촉하면 상승한다. 그 때문에, 실내에 취입되어 있는 옥외공기가 온도 T1까지 저하하는 일은 없으므로,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실내로 취입하고 있는 옥외공기의 노점온도 Tc가,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과 일치해도, 실내에 취입되어 있는 옥외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가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부분에서 결로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옥외공기를 실내에 취입할 때의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온도 상승폭, 상승속도는, 그들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의 비열이나 열전도율 등의 물성, 형상 및 크기 등에도 의존하므로, 각종 실험에 의해 정한 보정치 α를 고려해서,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취입하는 옥외공기의 노점온도 Tc와,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을 비교하도록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을 구성해 있다.
그리고,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의 냉방운전중에 있어서, 예를 들면 Tc >T1+α (단, α>0)로 될 때에는, 리모컨(5) 등을 조작해서 급기 팬(34)을 기동하려고 해도, 기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 결로하기 쉬운 고온의 옥외공기를 실내로 취입함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고, 이에 따라 옥외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내측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부적당한 경우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한편, 외기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은 경우의 난방운전중에 있어서, 급기 팬(34)을 운전하고, 환기관(4)과 배기 팬(12)을 개재시켜 저온의 옥외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면,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온도가 내려간다. 그리고,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온도가 낮은 부분에 접촉되어 실내공기의 온도가 노점온도 이하로 저하하고,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외면부분에 실내공기중의 수증기가 응축해서 결로하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제어장치(15)의 도지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格納)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은, 우선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과, 실내 습도센서(14)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습도 H1에 근거해서 실내 공기의 노점온도 Tc를 연산산출하고, 그 노점온도 Tc와,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를 비교하도록 구성해 있다.
즉,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온도는,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실내로 취입하는 저온의 옥외공기가 접촉되어 저하하지만, 그 외면측은 옥외공기보다는 온도가 높은 실내공기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외면측 온도가 옥외공기의 온도 T2까지 저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Tc가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실내로 취입하고 있는 옥외공기의 온도T2와 일치해도,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외면측에서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으로서의 수증기가 응축해서 결로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옥외공기를 실내에 취입할 때의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온도 저하폭, 온도 저하속도도, 그들을 구성하고 있는 소재의 비열(比熱)이나 열전도율 등의 물성, 형상 및 크기 등에도 의존하므로, 각종 실험에 근거해서 정한 보정치 β를 고려해서,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Tc와,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를 비교하도록 구성해 있다.
즉,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은 경우의 냉방운전중에 있어서, 예를 들면 Tc >T2+β (단, β>0)로 될 때에는, 리모컨(5) 등을 조작해서 급기 팬(34)을 기동하려고 해도, 기동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공기의 노점온도가 높 아져 있는 것과 같은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 있어서, 극단적으로 온도가 낮은 옥외공기를 실내로 취입함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고, 이에 따라 실내공기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외측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부적당한 경우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2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대한 공기 조화기(100)의 실내기(10)에는 공기유로변환용 댐퍼(16)가 설치되고, 실내기(10)의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 습도센서(14)에서 실내공기의 온도와 습도뿐만 아니라, 급기 팬(34)을 기동하고, 환기관(4)과 배기 팬(12)을 개재시켜 취입한 옥외공기의 온도와 습도가 계측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실외기(30)에는 온도세서와 습도센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예를 들면 댐퍼(16)를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환했을 때에는, 실내측 열교환기(11)를 향해 흐르는 실내공기가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 습도센서(14)를 향해 흐르고,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 습도센서(14)에서 실내공기의 온도 T1과 습도 H1이 계측된다. 댐퍼(16)를 도 2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환하고, 또한, 급기 팬(34)을 운전하고 환기관(4)과 배기 팬(12)을 개재시켜 옥외로부터 공기를 취입할 때에는, 상기 취입된 옥외공기가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 습도센서(14)를 향해 흐르고, 실내 온도센서(13)와 실내 습도센서(14)에서 옥외공기의 온도 T2와 습도 H2가 계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 그램이,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 옥외공기의 온도 T2, 실내 습도센서(14)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습도 H1, 옥외공기의 습도H2를 이용해서,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냉방운전시에는, 옥외공기의 노점온도Tc,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 낮은 경우의 난방운전시에는, 실내공기의 노점(露点)온도 Tc를 각각 연산하고, 상기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는, 예를 들면 Tc >T1+α (단, α>0)로 된 때에는, 급기 팬(34)의 운전을 정지하고,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 예를 들면 Tc >T2+β (단, β>0)로 된 때에는, 급기 팬(34)의 운전을 정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도,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 결로하기 쉬운 고온의 옥외공기를 실내로 취입함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으므로,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내측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부적당한 경우가 발생하는 일은 없고, 실내공기의 노점온도가 높아져 있는 것과 같은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 극단적으로 온도가 낮은 옥외공기를 실내로 취입함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없으므로,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외측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부적당한 경우가 발생하는 일도 없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 3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대한 공기 조화기(100)의 실외기(30)에는 염가(廉價)인 실외 온도센서(35)는 설치되어 있지만, 고가인 온도센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옥외공기의 습도는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온도 T2에 근거해 추정하고, 상기 추정습도로부터 옥외공기의 노점온도 Tc를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에서 연산하고, 상기 노점온도 Tc와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에 근거해서,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냉방운전시에, 옥외로부터 실내로 취입하는 공기가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내부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일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가, 예를 들면 28℃ 미만일 때에는 습도 80%, 28℃ 이상일 때는 습도 70%로 상정해서,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에 근거해 그 옥외공기의 노점온도Tc를 결정하고, 상기 노점온도 Tc와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 T1에 근거해,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 낮은 경우의 운전시에, 옥외로부터 실내로 취입하는 공기가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내부에서 응축해서 결로하는 일이 없도록, 예를 들면 Tc >T1+α (단, α>0)로 된 때에는 급기 팬(34)의 운전을 정지해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실시예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도,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의 운전중에, 결로하기 쉬운 고온의 옥외공기를 실내로 취입함으로서 환기가 이루어지는 일은 없으므로,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내측에서, 옥외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으로서의 수증기가 응축해서 결로하는 부적당한 경우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옥외공기의 온도와 습도와의 관계를 테이블로 해서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기억해 두고, 상기 테이블과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 T2로부터 상기 옥외공기의 습도를 추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15)에는 시계회로를 설치하고,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T2에 계절과 시각을 가미해서 옥외공기의 습도를 추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상기 제3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는,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은 경우의 난방운전시에, 상기 제1실시예인 공기 조화기(100) 등과 마찬가지로,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이, 실내 온도센서(13)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온도T1, 실내 습도센서(14)가 계측한 실내공기의 습도 H1에 근거해 실내공기의 노점온도 Tc를 연산해서 구하고, 상기 노점(露点)온도 Tc와 실외 온도센서(35)가 계측한 옥외공기의 온도T2를 비교하고, 예를 들면 Tc >T2+β (단, β>0)로 된 때에는 급기 팬(34)의 운전을 정지해서,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과 배기 팬(12)의 외측에서 실내공기가 응축해서 결로하는 부적당한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 4에 근거해 설명한다. 상기 제4실시예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는,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의 개구단측의 내측과, 환기관(4)의 실내배관부분(4A)의 외측에 각각 결로센서(6A, 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온이 외기 온도보다도 낮은 경우의 냉방운전중에,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온도가 높은 옥외공기를 환기관(4)과 배기 팬(12)을 개재시켜 실내로 취입하고 있을 때에, 환기관(4)의 내부에 설치한 결로센서(6A)의 표면에서 결로가 있고, 결로센서(6A)가 소정의 신호를 출력했을 때에는, 급기 팬(34)의 운전을 즉시 정지하고, 또한, 외기 온도가 실온보다도 낮은 경우의 난방운전중에, 급기 팬(34)을 운전해서 온도가 낮은 옥외공기를 환기관(4)과 배기 팬(12)을 개재시켜 실내로 취입하고 있을 때에, 환기관(4)의 외부에 설치한 결로센서(6B)의 표면에서 결로가 있고, 결로센서(6B)가 소정의 신호를 출력했을 때에도, 급기 팬(34)의 운전을 즉시 정지하도록,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한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4실시예의 공기 조화기(100)에 있어서는, 환기운전중에 결로가 있으면 환기운전은 즉시 정지되므로, 결로수(結露水)는 결로부의 그 후의 온도상승에 의해 증발하고, 결로는 해소된다.
즉,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하는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으로서는, 냉방운전중 등의 상기 환기시에 결로센서(6A)가 소정의 신호를 출력해서 급기 팬(34)의 운전을 정지하면, 그 후 소정시간, 예를 들면 1~5분정도는 배기 팬(12)을 운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장치(15)의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을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결로가 순간적으로 생긴 환기관(4)과 배기 팬(12)의 내부에, 온도가 노점온도 이하인 실내공기를 강제적으로 보낼 수 있으므로, 결로수(結露水)보다 빠른 증발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각종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급기 팬(34)은, 환기관(4)의 배관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실외기(30)에서가 아니라, 벽구멍(2)에 가까운 외벽(1)의 외측면에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급기 팬(34)을 외벽(1)의 외벽면에 설치할 때에는, 실외 온도센서(35)와 실외 습도센서(36)는 급기 팬(34)에 근접해서 설치해도 좋고, 실외기(3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기 팬(12)과 급기 팬(34)을 바꿔서, 정전(正轉)/역전(逆轉) 변환이 가능한 하나의 팬을 환기관(4)에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나아가,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환기관(4)을 바꿔서 옥외 공기를 실내에 취입하기 위한 급기관과, 실내 공기를 옥외 등의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을 설치하고, 각각에 전용 팬을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15)의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에 격납하는 환기운전 제어프로그램으로서는, 실내기(1) 측에서 결로의 우려가 있을 때, 혹은 결로센서에 의해 결로가 확인되었을 때에, 급기 팬(34)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이 아니고, 급기 팬(34)의 회전속도를 정격(定格)속도이하, 예를 들면 정격속도의 30%(덕트의 열전도율, 비율, 굵기, 길이, 형상 등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로 억제해서, 소량의 환기를 계속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하면, 결로하는 양이 감소하므로, 환기를 정지했을 때에 결로수(結露水)의 증발이 빨리 완료하므로, 곰팡이나 이취(異臭) 발생을 억제하 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공기의 취입에 의한 급기 환기가 행해지도록 함에 따라, 실내기 측에서의 결로(結露)를 방지할 수 있고, 그 때문에 환기중의 결로에 기인해서 물방울이 적하하거나, 또는 곰팡이가 생긴다거나 하는 등의 부적당한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5)

  1.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를 내부에 구비한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와 냉매관을 개재시켜 접속되는 실외기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공기의 실외로의 배출, 실외공기의 실내로의 취입의 어느 쪽인가를 가능하게 한 환기수단을 갖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실외 및 실내의 계측온도에 근거해 상기 환기수단의 운전을 제한하는 환기운전 제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의 실내로의 취입에 의한 급기의 환기운전이, 실외 및 실내의 계측온도에 근거해 환기운전 제한수단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운전 제한수단에 의한 환기수단의 운전제한이, 상기 실내기에 설치된 습도센서가 계측한 습도 데이터를 가미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실내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흐르는 열교환기를 내부에 구비한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와 냉매관을 개재시켜 접속되는 실외기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공기의 실외로의 배출, 실외공기의 실내로의 취입의 어느 쪽인가를 가능하게 한 환기수단을 갖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의 환기로에 결로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결로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에 근거해 상기 환기수단의 운전을 제한하는 환기운전 제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센서가 실외 공기를 실내로 취입하는 급기관의 내측과, 상기 급기관에 대해 실내측 외면의 쌍방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50000567A 2004-02-18 2005-01-04 공기 조화기 KR1006432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1692 2004-02-18
JPJP-P-2004-00041692 2004-02-18
JP2004323096A JP2005265401A (ja) 2004-02-18 2004-11-08 空気調和機
JPJP-P-2004-00323096 2004-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421A KR20050082421A (ko) 2005-08-23
KR100643258B1 true KR100643258B1 (ko) 2006-11-10

Family

ID=3500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567A KR100643258B1 (ko) 2004-02-18 2005-01-0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65401A (ko)
KR (1) KR100643258B1 (ko)
CN (1) CN130138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9215B2 (ja) * 2004-11-16 2010-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8101866A (ja) * 2006-10-20 2008-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WO2008102999A1 (en) * 2007-02-22 2008-08-28 Kyungdong Everon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dew condensation of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4936B1 (ko) * 2009-11-02 2011-05-1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022804B (zh) * 2010-12-22 2013-06-12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防凝露控制方法
JP5820232B2 (ja) * 2011-10-25 2015-11-24 アズビル株式会社 表面温度推定装置、表面温度推定方法および結露判定装置
WO2015079673A1 (ja) 2013-11-26 2015-06-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排型換気装置
JP6295413B2 (ja) * 2014-01-31 2018-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排型換気装置
US11193677B2 (en) 2015-07-21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1056B1 (ko) *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180278A (zh) * 2015-09-02 2015-1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分体落地式空调器
CN106247709A (zh) * 2016-08-18 2016-12-21 刘华英 预防空调凝霜的方法和装置
JP2019032133A (ja) * 2017-08-09 2019-02-2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調機
CN108317690B (zh) * 2017-12-29 2021-04-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防凝露的控制方法及装置
CN108302708B (zh) * 2017-12-29 2021-04-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防凝露的控制方法及装置
CN108302709B (zh) * 2017-12-29 2021-04-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防凝露的控制方法及装置
CN108278741A (zh) * 2018-01-11 2018-07-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8050668A (zh) * 2018-01-11 2018-05-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8266869B (zh) * 2018-01-11 2020-07-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8253591B (zh) * 2018-01-11 2020-07-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和空调器
CN108489009A (zh) * 2018-03-07 2018-09-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空调器
CN110749056B (zh) * 2019-10-30 2021-05-2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117501052A (zh) * 2021-06-23 2024-02-02 大金工业株式会社 空气调节装置
JP7332928B2 (ja) * 2021-09-30 2023-08-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換気装置
JP2023067512A (ja) * 2021-11-01 2023-05-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換気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1941A (ja) * 1982-10-18 1984-04-23 Toshiba Corp 換気扇
CN2048135U (zh) * 1988-11-05 1989-11-22 黄伟彪 室内换气扇自动控制器
JP3917319B2 (ja) * 1999-02-26 2007-05-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312444C (zh) * 2002-03-08 2007-04-2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换气装置的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65401A (ja) 2005-09-29
CN1657837A (zh) 2005-08-24
CN1301389C (zh) 2007-02-21
KR20050082421A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258B1 (ko) 공기 조화기
JP5012777B2 (ja) 空気調和機
US9746197B2 (en) Bathroom air-conditioner
JP4915387B2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方法
JP6035509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4212036A (ja) 換気兼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1272086A (ja)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方法
JP5110152B2 (ja) 空気調和装置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US10788225B2 (en) Air-conditioning system, controller, and program
KR1007366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656174B1 (ko) 송풍기 모듈을 이용한 제습시스템 및 그 제습시스템의 작동방법
KR200474579Y1 (ko) 공기조화기
KR100437678B1 (ko) 일체형 항온 공조기
CN114341560B (zh) 带有除湿功能的热交换型换气装置
JP4633353B2 (ja) 空気調和機
JP2008138960A (ja) 空気調和機
KR100430002B1 (ko)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7465Y1 (ko) 냉난방기 일체형 항온 항습 공기 조화기
WO2012101960A1 (ja) 浴室換気空調装置
JP2010091208A (ja) 換気空調装置
KR200245714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JP2006153321A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2020094771A (ja) 除湿機能付き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