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616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616B1
KR100736616B1 KR1020050081380A KR20050081380A KR100736616B1 KR 100736616 B1 KR100736616 B1 KR 100736616B1 KR 1020050081380 A KR1020050081380 A KR 1020050081380A KR 20050081380 A KR20050081380 A KR 20050081380A KR 100736616 B1 KR100736616 B1 KR 100736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air inlet
outdoor uni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장세동
고철수
정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1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온풍기와 연결되며 실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 흡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배기구에 설치되어 공기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흡입구의 상측과 전면을 가리워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외기, 공기조화, 후드, 전열히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를 통해서 공기가 송풍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2: 공기흡입구
14: 공기배기구 20: 열교환기
30: 송풍팬 40: 이물질유입방지후드
50: 전열히터 60: 온도감지센서
70: 제어장치 100: 실외기
본 발명은 냉온풍기와 연결되며 실외에 설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실외 또는 실내 공기간의 열교환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냉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냉매의 상태는 압축기-응축기-팽창장치-증발 기를 지나면서 열역학적 사이클에 따라서 변화되고, 특히 증발기 및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냉매의 상변화를 통한 열전달에 의하여 실내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성되는 일체형과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주로 창문에 설치된다.
한편,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가 실내의 벽 또는 천장에 부착되는 반면에,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는 아파트의 베란다와 같은 실외공간에 설치된다.
실외기는 냉매의 이동을 안내하는 냉매배관 및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관을 포함한 배관부를 통하여 실내기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실외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외기는 케이스(1) 내부에 실외 열교환기(2) 및 실외 열교환기(2)로 실외공기를 송풍하는 팬(3)이 구비된다. 또한, 실외기(1)의 일측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압축기 등의 각종 전장부품이 장착되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또한 실외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의 상면에는 공기 토출구(1a)가 형성되고, 케이스(1)의 전후방에는 공기 흡입구(1b)가 형성된다.
따라서, 팬(3)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 흡입구(1b)를 통과한 흡입공기는 실외 열교환기(2)를 지나서 공기 토출구(1a)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실외 열교환기(2)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실외공기와 열교환 된다. 이후,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냉매관(미도시)을 통하여 실내기에 구비된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된다.
그러나, 종래의 실외기는 배란다와 같은 실외공간에 설치 시 특히 겨울철 난방 운전 중 눈이 실외 열교환기(2)로 유입되어 열교환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외에도 저온 다습한 지역에 실외기가 설치될 경우에는 습기가 실외 열교환기(2)에 착상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제상운전이 요구됨으로써, 제상운전으로 인한 운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외기의 공기 흡입구측에 히터가 구비된 후드를 설치하여 겨울철이나 저온 다습한 지역에서도 실외 열교환기의 운전효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 흡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배기구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흡입구의 상측과 전면을 가리워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 흡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배기구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시켜 운전효율을 증대시키는 전열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는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실외온도가 -10℃(상대습도 80%이상) 이하에서 전열히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 흡 배기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공기흡입구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배기구에 설치되어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흡입구를 가리워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시켜 운전효율을 증대시키는 전열히터가 구비된 이물질유입방지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를 통해서 공기가 송풍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는 케이스(10)와 열교환기(20)와 송풍팬(30)과 케이스(10)에 설치된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과 연통된 상면과 양측면에는 공기를 흡기와 배기시킬 수 있도록 공기 흡 배기구(12)(1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의 수용공간에는 열교환기(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케이스의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실외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면, 열교환기(20)는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 하게 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송풍기(30)가 공기배기구(14)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실외 공기를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과 동시에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케이스(10) 내부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압축기 및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어 동력을 제공하거나 통상의 실외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의 공기흡입구(12)에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들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의 정의를 겨울철 지상으로 내리는 눈(雪)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케이스에 설치된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는 실외기가 실외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눈과 같은 이물질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열교환기(20)의 기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즉,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는 공기흡입구(12)의 전면과 상면을 가리우는 형태로 제조 및 설치되어 지상에서 내리는 이물질이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의 외면 을 따라 지면에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는 케이스(10)에 설치 시 하향 개구된 상태로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케이스(10) 내부로 유입하게 되는데, 이때 설치시 주의점은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의 설치 위치가 지면과 너무 가까울 경우 지면의 먼지 등이 유입될 수 있음으로, 지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함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에는 다수개의 통기공(미도시)이 전면측에 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기공은 케이스의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흐름을 보다 원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공기흡입구(12)와 인접부위 또는 공기흡입구(12)의 내 외측면에는 전열히터(5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열히터(50)는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시켜 열교환기(20)의 운전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전열히터(50)의 설치는 공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기능만 구비되면 되는 것임으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 그리고 위치 등을 제조자가 원하는 설계상의 형태대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열히터(50)의 작동은 실외온도가 -10℃(상대습도 80%이상)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실외온도가 -10℃(상대습도 80%이상) 이상에서 작동시 열교환기(20)를 통해 열 교환되는 효율이 전열히터(50)의 가동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외온도의 감지는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60)를 통해 이루어지며, 제어장치(70)를 통해 전열히터(50)를 ON/OFF시키게 된다.
즉, 실외온도가 -10℃이하이거나 상대습도가 80%이상일 경우에는 온도센서가 제어장치(70)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신호를 수신받은 제어장치(70)는 전열히터(50)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외기는 케이스의 공기흡입구(12)에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 및 전열히터(5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열교환기(20)의 운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 내측면에 전열히터(50)를 설치하게 되면 열교환기(20)의 운전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전열히터(50)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각각 이격되게 설치하여 공기건조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의 내측면에 전열히터(50)가 설치되면, 송풍팬(30)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는 저온 다습한 공기를 전열히터(50)가 건조시켜 열교환기(20)의 운전효율을 증대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물질유입방지후드(40)는 눈과 같은 이물질의 케이스(10) 내부 유입을 차단하여, 실외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최상의 운전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 흡입구측에 히터가 구비된 후드를 설치하여 겨울철이나 저온 다습한 지역에서도 실외 열교환기의 운전효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대해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삭제
  2.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배기구로 토출하는 송풍팬; 및
    상기 케이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시켜 운전효율을 증대시키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며, 실외온도가 -10℃(상대습도 80%이상) 이하에서 전열히터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배기구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상기 공기흡입구의 상측과 전면을 가리워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시켜 운전효율을 증대시키는 전열히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히터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배기구로 토출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상기 공기흡입구의 상측과 전면을 가리워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유입방지후드; 및
    상기 이물질유입방지후드의 전면측에 천공되어 공기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복수개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50081380A 2005-09-01 2005-09-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736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380A KR100736616B1 (ko) 2005-09-01 2005-09-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380A KR100736616B1 (ko) 2005-09-01 2005-09-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616B1 true KR100736616B1 (ko) 2007-07-09

Family

ID=3850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380A KR100736616B1 (ko) 2005-09-01 2005-09-0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61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5260A (zh) * 2011-12-20 2013-06-26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JP2017129308A (ja) * 2016-01-20 2017-07-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KR101861677B1 (ko) * 2012-02-22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473427A (zh) * 2020-05-09 2020-07-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延缓制热结霜的回风网罩、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JPWO2020148888A1 (ja) * 2019-01-18 2021-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DE102020211244A1 (de) 2020-09-08 2022-03-1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ußeneinheit für eine Wärmepumpe oder eine Klimaanlage
KR20220096375A (ko) 2020-12-31 2022-07-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공기의 수분과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518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에어컨 실외기의 단자판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518A (ko) * 1997-11-29 1999-06-15 윤종용 에어컨 실외기의 단자판 보호커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43518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5260A (zh) * 2011-12-20 2013-06-26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KR101861677B1 (ko) * 2012-02-22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7129308A (ja) * 2016-01-20 2017-07-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ユニット
JPWO2020148888A1 (ja) * 2019-01-18 2021-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7031019B2 (ja) 2019-01-18 2022-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1802695B2 (en) 2019-01-18 2023-10-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CN111473427A (zh) * 2020-05-09 2020-07-3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延缓制热结霜的回风网罩、控制方法、空调器及存储介质
DE102020211244A1 (de) 2020-09-08 2022-03-1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ußeneinheit für eine Wärmepumpe oder eine Klimaanlage
KR20220096375A (ko) 2020-12-31 2022-07-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공기의 수분과 온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616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723948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705670B1 (ko) 다수의 열교환부를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0643258B1 (ko) 공기 조화기
KR101839598B1 (ko) 혹한기에 작동이 가능한 열회수 환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6832760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建物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JP5066960B2 (ja) 浴室換気空調装置
CN201095705Y (zh) 新型热泵式干衣柜
KR100690897B1 (ko) 에어컨의 응축열을 이용한 건조기 키트 및 이를 구비한에어컨 시스템
KR102314183B1 (ko)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JP4589140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100762511B1 (ko) 핀 피치가 다른 열교환부를 갖는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0717133B1 (ko) 재생증발식 냉각 환기장치 및 그의 운전 방법
JP2005164113A (ja) 換気装置
KR100702431B1 (ko) 통합환기시스템
JP6022387B2 (ja) 除湿機
JP3197596B2 (ja) 空気調和機
CN106546074A (zh) 一种车间及厂房内使用的烘房
JPH022952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9980013140U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JP3015576B2 (ja) 浴室用空気調和機
KR10051198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7132097B2 (ja) 乾燥機能付き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