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183B1 -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83B1
KR102314183B1 KR1020200059118A KR20200059118A KR102314183B1 KR 102314183 B1 KR102314183 B1 KR 102314183B1 KR 1020200059118 A KR1020200059118 A KR 1020200059118A KR 20200059118 A KR20200059118 A KR 20200059118A KR 102314183 B1 KR102314183 B1 KR 10231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heat exchange
ventilation
b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인
이경순
태경응
명노훈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은성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화학(주) filed Critical 은성화학(주)
Priority to KR102020005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열교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냉방, 제습 및 공기청정이 모두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 내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서로 이격되어 일면에 형성되며, 타면에는 내기가 유입되는 환기구, 및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환기케이싱, 상기 환기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케이싱의 내부로 도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소자, 상기 외기구로 도입된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외기공간, 상기 환기구로 도입된 내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환기공간,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친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배기공간,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친 외기가 실내로 도입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급기공간, 상기 환기공간으로 도입된 내기를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기구로 배기하여 내기를 제외하고 외기만 열교환소자를 거침에 따라 외기냉방을 수행하기 위한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로 도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의 온도를 낮춰 제습 또는 냉방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기공간으로 도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환기케이싱에서 내기와 외기가 지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배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와 열교환하면서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All-in-one heat exchange ventilator that allows air cooling bypass and de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열교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냉방, 제습 및 공기청정이 모두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규모의 건축물에는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고 내기를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환기장치는 강제적으로 송풍팬에 의해 내기와 외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었는데,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계절에는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냉난방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내기와 외기가 서로 열교환함에 따라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열교환소자가 설치된 환기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열교환소자가 설치된 환기장치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5312호(2013.8.12.공고)의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된 하우징,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물의 증발잠열에 의하여 통과하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셀과,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고 제1열교환셀과 접촉되어 냉각된 실내 공기로부터 냉각열을 전달받아 통과하는 실외 공기를 냉각하는 제2열교환셀을 포함하는 간접증발기 및 흡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인시키는 흡기팬과, 배기유로 상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시키는 배기팬을 포함하는 송풍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동절기와 하절기 각각의 경우에 대응하여 효과적으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간접증발기를 이용한 공기조화기는 간절기 시 간접증발기에 의해 열교환하지 않은 외기를 직접 도입하는 외기냉방효과를 발생할 수 없어 냉방효율이 하락될 뿐만 아니라, 냉난방부에 의해 냉방을 수행 시 온도차이로 인한 결로의 발생으로 인해 악취 및 세균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필터가 설치되지 않아 여과되지 않은 공기가 실내로 재유입되면서, 실내 공기질을 하락시키며, 냉난방부의 코팅이 산화하면서 발생하는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난방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실외기를 별도로 설치해야하는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하지 않도록 내기를 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하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하여 간절기 시 외기에 의한 냉방을 수행할 수 있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증발기, 압축기, 및 응축기가 설치되어 실내로 도입되는 외기에 의해 냉방을 수행하거나, 제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응축기가 배기구에 설치되어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냉매를 압축과 팽창시켜 냉방을 수행할 수 있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나의 바이패스댐퍼에 의해 내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청정모드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기를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로 보내 바이패스모드로 작동하거나, 열교환소자가 위치된 방향으로 보내 열교환모드를 수행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며, 복수 개의 댐퍼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필터가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청정시킨 후 실내로 재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조덕트부에 의해 증발기의 결로발생을 방지하여 악취 및 세균의 증식을 방지할 수 있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 내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서로 이격되어 일면에 형성되며, 타면에는 내기가 유입되는 환기구, 및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환기케이싱, 상기 환기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케이싱의 내부로 도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소자, 상기 외기구로 도입된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외기공간, 상기 환기구로 도입된 내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환기공간,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친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배기공간,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친 외기가 실내로 도입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급기공간, 상기 환기공간으로 도입된 내기를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기구로 배기하여 내기를 제외하고 외기만 열교환소자를 거침에 따라 외기냉방을 수행하기 위한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로 도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의 온도를 낮춰 제습 또는 냉방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기공간으로 도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환기케이싱에서 내기와 외기가 지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배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와 열교환하면서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한다.
상기 환기구를 통해 내기를 도입하여 상기 배기구로 내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배기송풍기, 및 상기 외기구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급기구로 외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급기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급기공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공간으로 도입된 내기를 상기 급기공간으로 보내 다시 실내로 급기하거나, 상기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를 지나거나,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내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연결하는 제1 공간부,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급기공간을 연결하는 제2 공간부,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열교환소자를 연결하는 제3 공간부, 및 상기 제1 공간부, 상기 제2 공간부 및 상기 제3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개폐하는 원판형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로 도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기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케이싱은 상기 배기송풍기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킨 후 상기 배기송풍기로 재유입되도록 상기 배기송풍기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과 상기 증발기가 위치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건조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부는 상기 건조덕트부를 개폐하는 건조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기가 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를 형성하여 간절기 시에 차가운 외기를 온도변화 없이 실내로 공급하여 외기냉방의 효과를 발생함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환기케이싱의 내부에 증발기, 압축기, 및 응축기가 모두 설치되어 별도의 실외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냉매를 순환시켜 외기를 냉각시킴으로써, 냉방 및 제습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바이패스댐퍼에 의해 열교환환기모드, 및 외기냉방모드, 및 냉방 또는 제습 모드를 함께 구현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필터가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청정시킨 후 실내로 재도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필터가 증발기의 전방에 위치되어 증발기의 이물질이 급기구를 통해 실내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기송풍기가 설치된 부분에 건조덕트부가 설치되어 증발기의 주변 공기를 재순환시킴으로써, 증발기를 건조시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결로에 의한 악취 및 세균증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열적인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배기공간에 응축기가 설치되어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되는 내기에 의해 냉각시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외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내기의 이동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구성하는 바이패스댐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외기냉방모드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공기청정모드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A-A선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건조모드 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환기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환기케이싱(110)은 내부가 빈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환기케이싱(110)의 내부로는 내기와 외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내기와 외기가 지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환기케이싱(110)의 일측면에는 환기케이싱(110)의 내부로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구(111)가 형성되고, 외기구(111)와 이격되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환기케이싱(110)의 외기구(111)와 배기구(117)가 형성된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환기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구(115)가 형성되고, 급기구(115)와 이격되어 환기케이싱(110)의 내부로 내기가 도입되는 환기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환기케이싱(110)은 하기에 설명할 열교환소자(120)에 의해 구획되어 열교환소자(120)를 내기와 외기가 지나도록 외기구(111)와 연통되는 외기공간(112)이 형성되며, 배기구(117)와 연통되는 배기공간(118)이 형성되고, 급기구(115)와 연통되는 급기공간(116)과 환기구(113)와 연통되는 환기공간(114)이 각각 구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기공간(112)과 배기공간(118)은 환기케이싱(110)의 상부와 하부가 층을 이루도록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환기공간(114)과 급기공간(116)도 환기케이싱(110)의 상부와 하부가 층을 이루도록 구획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간(118), 환기공간(114), 급기공간(116), 외기공간(112)은 하기에 설명할 열교환소자(120)와 연관성이 있으므로 열교환소자(120)를 설명할 때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열교환소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열교환소자(120)는 내기와 외기가 서로 독립된 채널을 통해 교차하여 지나면서 내기와 외기를 서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열교환소자(120)는 외기와 내기의 온도차이가 심하게 발생하는 예컨대, 겨울철 또는 여름철에 내기와 외기가 상호 열교환하여 온도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냉난방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교환소자(120)는 내기와 외기의 현열 또는 습기를 포함하는 잠열을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소자(120)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열교환소자(120)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교환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소자(120)는 환기케이싱(110)의 마름모의 기둥 형태로 환기케이싱(11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누워진 형태로 환기케이싱(110)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열교환소자(120)는 복수 개의 열교환소자(120)가 서로 연결되어 누워진 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소자(120)는 마름모 형태의 열교환소자(120)의 둘레를 차례로 제1 면(121), 제2 면(122), 제3 면(123), 제4 면(124)이라 할 때, 제1 면(121)이 급기공간(116)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제2 면(122)은 환기공간(114)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제3 면(123)은 외기공간(114)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4 면(124)은 배기(118)과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열교환소자(120)의 제1 면(121)과 제2 면(122)이 접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급기공간(116)과 환기공간(114)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급기공간(116)은 제1 면(121)과 마주하는 상층부에 위치되고, 환기공간(114)은 제2 면(122)과 마주하는 하층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공간(114)과 환기공간(116)은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된 부분에서는 상하로 구획되다가 환기구(113) 또는 급기구(115)가 위치된 부분에서는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3 면(123)과 제4 면(124)이 접하는 모서리를 중심으로 외기공간(112)과 배기공간(118)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외기공간(112)은 제3 면(123)과 마주하는 하층부에 위치되고, 배기공간(118)은 제4 면(124)과 마주하는 상층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기공간(112)과 배기공간(118)은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된 부분에서는 상하로 구획되다가 외기구(111) 또는 배기구(117)가 위치된 부분에서는 양측으로 분할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이렇게 환기케이싱(110)에 설치된 열교환소자(120)는 외기구(111)를 통해 외기가 외기공간(112)으로 도입되면 제3 면(123)을 통해 제1 면(121)으로 배출되면서, 제1 면(121)과 마주하는 급기공간(116)으로 배출되고, 급기공간(116)의 외기는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환기구(113)를 통해 내기가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되면, 제2 면(122)을 통해 제4 면(124)으로 배출되면서, 제4 면(124)와 마주하는 배기공간(118)으로 배출되고, 배기공간(118)의 내기는 배기구(117)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때, 내기와 외기는 서로 접촉되지는 않지만 열교환소자(120)를 교차하여 지나면서 서로 열교환하게 됨으로써, 내기와 외기의 온도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는 환기구(113)로 도입된 내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기구(117)로 배출될 수 있도록 환기공간(114)과 배기공간(118)을 연결할 수 있다.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는 환기공간(114)과 배기공간(118)을 바로 연결하도록 환기케이싱(110)의 측면 또는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로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는 외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는 열교환소자(120)를 내기가 거치지 않음으로써, 열교환소자(120)에 외기만 지나면서, 내기와 열교환하지 않은 상태 즉, 외기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외기를 실내로 도입함으로써, 외기에 의한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높을 경우,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칠 경우, 외기의 온도가 내기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열교환하여 실내로 도입되기 때문에 냉방을 별도로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를 통해 내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치지 않음으로써,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이 이뤄지지 않아 외기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실내로 도입하여 실내보다 낮은 온도의 외기에 의한 냉방효과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배기송풍기(161)와 급기송풍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송풍기(161)는 내기를 환기케이싱(110)의 내부로 도입하고, 도입된 내기를 배기구(117)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배기송풍기(161)는 배기공간(118)에 설치되어 배기공간(118)에 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내기가 환기구(113)를 통해 열교환소자(120)를 거쳐 배기공간(118)으로 도입되고, 배기공간(118)으로 도입된 내기를 배기구(117)를 통해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급기송풍기(163)는 급기공간(116)에 설치되어 급기공간(116)에 저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외기가 외기구(111)를 통해 열교환소자(120)를 거쳐 급기공간(116)으로 도입되고, 급기공간(116)으로 도입된 외기를 급기구(115)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배기송풍기(161)와 급기송풍기(163)는 구동모터에 의해 송풍팬을 회전시켜 강제적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증발기(171), 응축기(175), 압축기(173),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71), 응축기(175), 압축기(173), 및 팽창밸브는 냉동사이클을 이뤄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높은 날씨에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거나, 습기가 높은 날씨에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증발기(171), 응축기(175), 압축기(173), 및 팽창밸브는 냉매의 압축과 팽창에 따라 냉매를 상변화시켜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171)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변의 온도를 낮춰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으며, 증발기(171)는 열효율에 따라 실내로 도입되는 외기를 냉각시켜 바로 실내로 도입할 수 있도록 급기구(115)와 인접한 급기공간(116)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73)는 증발기(171)에서 증발된 냉매를 강제적으로 압축시킬 수 있으며, 압축기(173)는 압축기(173)는 환기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압축기(173)는 내기와 외기의 온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기구(117)와 외기구(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73)는 구동모터가 실린더에서 피스톤을 왕복운동시켜 압축시킬 수 있다.
응축기(175)는 압축기(173)에서 압축된 냉매를 온도를 낮춰 응축시킬 수 있으며, 응축기(175)는 외부로 배기되는 내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도록 배기공간(118)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팽창밸브는 응축기(175)와 증발기(171)의 사이에 위치되어 응축기(175)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171)로 공급할 수 있다.
증발기(171), 응축기(175) 압축기(173), 팽창밸브는 모두 냉매가 순환할 수 있는 관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바이패스댐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댐퍼(150)는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되는 내기를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로 보내거나, 열교환소자(120)를 거치도록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보내거나, 외기의 도입 없이 실내로 재유입시킬 수 있도록 급기공간(116)으로 선태적으로 보낼 수 있다.
바이패스댐퍼(150)는 환기공간(114)과 급기공간(116) 및 바이패스유로(140)가 서로 모이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이패스댐퍼(150)는 원판형도어(155)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댐퍼(150)의 일측에는 환기공간(114)으로 유입된 내기를 외기냉각 바이패스유로(140)로 보내기 위해 외기냉각 바이패스유로(140)와 연통되는 제1 공간부(151)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이패스댐퍼(150)의 타측 상부에는 환기공간(114)으로 유입된 내기를 상부에 위치된 급기공간(116)으로 보내 순환시키기 위해 급기공간(116)과 환기공간(114)을 연통하는 제2 공간부(152)가 형성되고, 제2 공간부(152)의 하부에는 환기공간(114)의 내기를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보내는 제3 공간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부(151), 제2 공간부(152), 및 제3 공간부(153)는 동일 원주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원판형도어(155)는 바이패스댐퍼(15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원판형도어(155)에는 관통공(156)이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원판형도어(155)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공간부(151)와 관통공(156)이 일치되면, 환기공간(114)의 공기가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로 공급되고, 제2 공간부(152)와 관통공(156)이 일치되면, 환기공간(114)의 공기가 급기공간(116)으로 공급되며, 제3 공강부와 관통공(156)이 일치되면 환기공간(114)의 공기가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이패스댐퍼(150)는 원판형도어(155)에 의해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된 내기를 급기공간(116)으로 보내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재유입시킬 수 있으며, 환기공간(114)의 내기를 열교환소자(1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로 보낼 수 있으며, 환기공간(114)의 내기를 열교환소자(120)로 선택적으로 보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공기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공기필터(130)는 급기공간(116)에 설치되어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공기필터(130)는 여과성이 높은 헤파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공기필터(130)는 급기공간(116)에서 증발기(171)보다는 급기구(115)에 더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증발기(171)를 지난 공기를 여과시켜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급기구(115)에 대해 공기필터(130)가 증발기(171)의 후방에 위치될 경우, 증발기(171)에 발생하는 오염물질(예컨대, 증발기(171)의 코팅층에서 산화된 수산화알루미늄이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급기구(115)에 대해 증발기(171)가 공기필터(13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건조덕트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건조덕트부(180)는 급기공간(116)의 공기를 순환시켜 증발기(171)를 건조시킴으로써, 증발기(171)에 발생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건조덕트부(180)는 급기공간(116)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형태로 증발기(171)에 의한 온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건조덕트부(180)는 환기케이싱(110)에서 급기송풍기(163)의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과 마주하는 부분과 증발기(171)가 설치된 부분을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건조덕트부(180)는 증발기(171)에 결로가 발생한 경우, 급기송풍기(163)의 작동하면, 급기송풍기(163)의 흡입력에 의해 증발기(171)가 위치되는 부분의 공기가 건조덕트부(180)를 통해 급기송풍기(163)로 이동하고, 급기송풍기(163)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증발기(171)를 지나면서 순환시키는 형태로 증발기(171)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건조덕트부(180)에는 열선이 설치되어 건조덕트부(180)를 지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건조된 공기에 의해 증발기(171)의 결로를 제거하는 제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증발기(171)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온도차에 따라 결로가 발생하고, 결로가 발생하면, 세균이 번식하면서 악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건조덕트부(180)는 급기공간(116)의 공기를 순환시켜 증발기(171)를 건조시킴으로써, 세균의 증식 및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덕트부(180)에는 증발기(171)를 건조시킬 때에만 급기공간(116)의 공기를 순환시켜 증발기(171)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건조덕트부(180)를 개폐하는 건조댐퍼(18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외기댐퍼(111a)와 배기댐퍼(117a)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기댐퍼(111a)는 외기구(111)에 설치되어 외기구(111)를 개폐할 수 있으며, 배기댐퍼(117a)는 배기구(117)에 설치되어 배기구(117)를 개폐할 수 있다.
외기댐퍼(111a)와 배기댐퍼(117a)는 각각 도어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키는 형태로 배기구(117) 또는 외기구(111)를 개폐할 수 있으며, 외기댐퍼(111a)와 배기댐퍼(117a)는 외기구(111)와 배기구(117)를 개폐할 뿐만 아니라, 개도를 조절하여 내기의 배출량 또는 외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환기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환기컨트롤러는 내기와 외기의 환기를 위해 전자적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환기컨트롤러는 열교환환기모드, 외기냉방모드, 냉방 또는 제습모드, 공기청정모드, 건조모드 등의 환기작동에 따른 다양한 작동모드가 내장되어 선택되는 작동모드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환기컨트롤러가 제어하는 각 작동모드는 하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한다.
환기컨트롤러는 온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는 실외의 온도와 실내의 온도를 각각 감지할 수 있으며, 환기컨트롤러는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정보에 따라 각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환기컨트롤러는 오염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염감지센서는 내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여 오염감지센서에서 측정된느 오염정도에 따라 작동모드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오염감지센서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먼지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환기컨트롤러는 작동모드를 수동조작이 가능하도록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환기케이싱(110)의 배기구(117)와 외기구(111)가 형성된 일측면과 환기구(113)와 급기구(115)가 형성된 타측면의 사이에 열교환소자(120)가 설치된다.
열교환소자(120)는 마름모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환기케이싱(110)에 누운 상태로 설치되며, 열교환소자(120)는 복수 개가 환기케이싱(11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환기케이싱(110)의 내부공간은 열교환소자(120)를 중심으로 배기구(117)와 연통되는 배기공간(118)과, 외기구(111)와 연통되는 외기공간(112)과, 환기구(113)와 연통되는 환기공간(114)과 급기구(115)와 연통되는 급기공간(116)으로 구획되어 환기케이싱(110)의 내부로 도입되는 내기와 외기가 서로 혼입되지 않고 지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급기공간(116)에는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기 위한 급기송풍기(163)가 설치되며, 배기공간(118)에는 내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송풍기(161)가 설치된다.
또한, 환기케이싱(110)에는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된 내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배기공간(118)으로 배출할 수 있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가 형성될 수 있다.
급기공간(116)에는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171)가 설치되며, 배기공간(118)에는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175)가 설치되고, 배기구(117)와 외기구(111)의 사이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7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와 환기공간(114) 및 급기공간(116)이 서로 인접한 환기케이싱(110)의 부분에는 바이패스댐퍼(150)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댐퍼(150)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와 연통되는 제1 공간부(151)와, 급기공간(116)과 연통되는 제2 공간부(152)와,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된 방향과 연통되는 제3 공간부(153)가 형성되며, 원판형도어(155)가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각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된 내기를 바이패스유로(140)로 보내거나,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된 방향으로 보내거나, 급기공간(116)으로 보낼 수도 있다.
그리고, 환기케이싱(110)에서 배기송풍기(161)의 흡입구와 대응되는 부분과 증발기(171)가 위치된 부분은 건조덕트부(180)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건조덕트부(180)에는 건조덕트부(180)를 개폐하는 건조댐퍼(181)가 설치된다.
각 전기적 또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구성들은 환기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환기컨트롤러는 온도감지센서와 오염감지센서의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작동모드를 선택하여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온도감지센서에서 실내의 온도와 실외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 차이를 벗어나는 경우, 환기컨트롤러는 열교환환기모드를 선택하여 작동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환기모드가 선택되면, 환기컨트롤러는 배기댐퍼(117a)와 외기댐퍼(111a)를 통해 배기구(117)와 외기구(111)를 개방하고, 바이패스댐퍼(150)의 원판형도어(155)를 열교환소자(120)가 위치되는 제3 공간부(153)와 연통하도록 회전시키며, 환기컨트롤러는 배기송풍기(161)와 급기송풍기(163)를 작동시킨다.
급기송풍기(163)가 작동하면, 외기는 급기송풍기(163)의 흡입력에 의해 외기구(111)를 통해 외기공간(112)으로 도입되고, 열교환소자(120)를 거쳐 급기공간(116)을 통해 급기구(115)로 배출되면서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내기는 배기송풍기(161)에 의해 실외로 배출되는 데, 내기는 배기송풍기(161)의 흡입력에 의해 환기구(113)를 통해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되고,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된 내기는 바이패스댐퍼(150)에 의해 열교환소자(120)를 거치면서 배기공간(118)으로 유입되어 배기구(117)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렇게 열교환환기모드에서는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치면서 서로 열교환하여 온도 차를 최소화하여 실내로 도입함으로써, 온도 차가 큰 외기가 실내로 도입됨에 따라 냉난방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에서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지만, 실내의 온도가 실외의 온도보다 높아 냉방을 필요로 할 때에는 열교환컨트롤러는 외기냉방모드를 선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냉방모드가 선택되면, 배기댐퍼(117a)는 배기구(117)를 개방하고, 외기댐퍼(111a)는 외기구(111)를 개방하며, 바이패스댐퍼(150)는 바이패스통로와 연통되는 제1 공간부(151)를 개방하고, 배기송풍기(161)와 급기송풍기(163)를 작동시킨다.
급기송풍기(163)가 작동하면 외기구(111)를 통해 외기가 외기공간(112)으로 도입되고, 외기공간(112)으로 도입된 외기는 열교환소자(120)를 거쳐 급기공간(116)으로 이동하며, 급기구(11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내기는 배기송풍기(161)에 의해 환기구(113)를 통해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되며, 환기공간(114)으로 도입된 바이패스댐퍼(150)에 의해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로 이동하면서 열교환소자(120)를 거치지 않고, 배기공간(118)을 통해 배기구(117)로 배출된다.
이렇게 외기냉방모드에서는 외기만 열교환소자(120)를 거치고, 내기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를 통해 열교환소자(120)를 거치지 않고, 배기구(1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외기의 온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실내로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냉방할 수 있다.
오염감지센서에 의해 내기의 오염이 미리 설정된 오염 수치를 벗어난 경우, 또는 예컨대,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 등으로 실외의 오염이 미리 설정된 오염수치를 벗어난 경우, 환기컨트롤러는 공기청정모드를 선택하여 작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모드가 선택되면, 배기댐퍼(117a)는 배기구(117)를 폐쇄하고, 외기댐퍼(111a)는 외기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 바이패스댐퍼(150)는 급기공간(116)과 연통되는 제2 공간부(152)를 연통시킨다.
그리고, 급기송풍기(163)가 작동하면, 배기구(117)와 환기구(113)가 모두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환기구(113)를 통해 환기공간(114)으로 내기가 도입되고, 내기는 바이패스댐퍼(150)를 통해 급기공간(116)으로 이동하며, 급기공간(116)으로 이동된 내기는 급기공간(116)에 설치된 공기필터(130)를 거쳐 오염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내기를 다시 실내로 순환시켜 도입함으로써, 오염된 내기를 청정하여 실내로 도입함과 동시에 오염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온도가 높거나 습도가 높아 냉방 또는 제습이 필요할 경우에는 환기컨트롤러는 냉방 또는 제습 모드를 선택한다.
냉방 또는 제습 모드가 선택되면, 환기컨트롤러는 열교환환기모드 또는 외기냉방모드 또는 공기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동하는 중에 압축기(173)를 가동한다.
압축기(173)가 가동되면, 증발기(171)를 냉매가 지나면서, 냉매가 기화되고, 기화되는 냉매는 외부의 열을 빼앗기 때문에 급기구(115)로 배출되는 외기를 냉각시켜 실내를 냉방하거나, 제습을 수행한다.
그리고, 증발기(171)를 거친 냉매는 압축기(173)를 지나면서 압축되고, 압축기(173)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175)를 지나면서 기화된 냉매가 액체상태로 응축되며,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지나면서 팽창되면서 다시 증발기(171)로 제공되는 형태로 냉매가 순환하여 외기를 냉각시켜 냉방 또는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냉방 또는 제습 모드의 동작이 완료되면, 증발기(171)에 맺힌 결로를 제거하기 위해 환기컨트롤러는 건조모드를 선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드를 선택하면, 냉매의 순환을 차단하기 위해 압축기(173)의 작동이 정지되고, 건조댐퍼(181)가 건조덕트부(180)를 개방한다.
건조덕트부(180)가 개방되면, 급기송풍기(163)에서 건조덕트부(180)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다시 증발기(171)가 위치된 부분을 분사되며, 증발기(171)에 분사된 공기는 다시 건조덕트부(180)로 유입되면서, 급기공간(116)에서 공기가 순환하면서, 증발기(171)를 건조시킨다.
이때, 건조모드는 냉방 또는 제습 모드가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만 가동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드 시에는 외기구(111)로 도입되는 외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쳐야 하며, 급기송풍기(163)에서 토출되는 외기는 공기필터(130)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열교환소자(120)와 공기필터(130)의 저항성에 의해 외기구(111)로부터 급기공간(116)으로 유입되는 외기 량 및 급기공간(116)에서 급기구(115)로 토출되는 외기량보다 건조덕트부(180)를 통해 급기공간(116)에서 외기를 순환시키는 공기량이 더 많아 증발기(171)를 건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100)는 내기와 외기가 열교환소자(120)를 거쳐 열교환에 의한 환기를 수행하여 냉난방의 효율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140)를 통해 열교환소자(120)를 내기가 우회하면서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간절기 시에 온도가 낮은 내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외기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댐퍼(150)가 급기공간(116)과 환기공간(114)을 서로 연통시켜 내기를 흡입하고, 공기필터(130)를 거쳐 여과한 후 다시 실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실외의 공기질이 하락되는 경우에도 외기의 도입없이 실내공기를 청정시켜 재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175)가 배기공간(118)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내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시킬 뿐만 아니라, 증발기(171)가 급기구(115)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제습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71)에 의한 냉방이 종류된 후에는 건조댐퍼(181)가 건조덕트부(180)를 개방하면서, 급기공간(116)의 공기를 순환시켜 증발기(171)에 결로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생한 결로를 제거하여 결로에 따른 세균의 증식 및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케이싱(110)의 내부에 증발기(171), 압축기(173), 및 응축기(175)가 함께 내장되어 별도의 실외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110: 환기케이싱
111: 외기구 112: 외기공간
111a: 외기댐퍼 113: 환기구
114: 환기공간 115: 급기구
116: 급기공간 117: 배기구
117a: 배기댐퍼 118: 배기공간
120: 열교환소자 130: 공기필터
140: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 150: 바이패스댐퍼
151: 제1 공간부 152: 제2 공간부
153: 제3 공간부 155: 원판형도어
156: 관통공 161: 배기송풍기
163: 급기송풍기 171: 증발기
173: 압축기 175: 응축기
180: 건조덕트부 181: 건조댐퍼

Claims (7)

  1.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 내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서로 이격되어 일면에 형성되며, 타면에는 내기가 유입되는 환기구, 및 외기를 실내로 도입하는 급기구가 형성되는 환기케이싱,
    상기 환기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케이싱의 내부로 도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소자,
    상기 외기구로 도입된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외기공간,
    상기 환기구로 도입된 내기가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환기공간,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친 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배기공간,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친 외기가 실내로 도입되도록 상기 환기케이싱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급기공간,
    상기 환기공간으로 도입된 내기를 상기 열교환소자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기구로 배기하여 내기를 제외하고 외기만 열교환소자를 거침에 따라 외기냉방을 수행하기 위한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구로 도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의 온도를 낮춰 제습 또는 냉방을 수행하도록 상기 배기공간으로 도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환기케이싱에서 내기와 외기가 지나지 않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및
    상기 배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배기구로 배출되는 내기와 열교환하면서 상기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환기구를 통해 내기를 도입하여 상기 배기구로 내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배기송풍기, 및 상기 외기구로 외기를 도입하여 상기 급기구로 외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급기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환기케이싱은 상기 배기송풍기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건조시킨 후 상기 배기송풍기로 재유입되도록 상기 배기송풍기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과 상기 증발기가 위치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건조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덕트부는 상기 건조덕트부를 개폐하는 건조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급기공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환기공간으로 도입된 내기를 상기 급기공간으로 보내 다시 실내로 급기하거나, 상기 외기냉방 바이패스유로를 지나거나, 상기 열교환소자를 지나도록 내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바이패스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댐퍼는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바이패스유로를 연결하는 제1 공간부,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급기공간을 연결하는 제2 공간부,
    상기 환기공간과 상기 열교환소자를 연결하는 제3 공간부, 및
    상기 제1 공간부, 상기 제2 공간부 및 상기 제3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개폐하는 원판형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로 도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00059118A 2020-05-18 2020-05-18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KR10231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18A KR102314183B1 (ko) 2020-05-18 2020-05-18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18A KR102314183B1 (ko) 2020-05-18 2020-05-18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183B1 true KR102314183B1 (ko) 2021-10-18

Family

ID=7827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18A KR102314183B1 (ko) 2020-05-18 2020-05-18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769B1 (ko) * 2022-11-24 2023-04-05 주식회사 셀빛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
WO2024098745A1 (zh) * 2022-11-11 2024-05-1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新风装置和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791A (ja) * 2000-11-14 2002-05-22 Kimura Kohki Co Ltd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KR101578528B1 (ko) * 2015-07-31 2015-12-18 은성화학(주)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KR20170075385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7791A (ja) * 2000-11-14 2002-05-22 Kimura Kohki Co Ltd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KR101578528B1 (ko) * 2015-07-31 2015-12-18 은성화학(주)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KR20170075385A (ko) * 2015-12-23 2017-07-0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바이패스 및 재순환 기능을 겸비한 열교환형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8745A1 (zh) * 2022-11-11 2024-05-1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新风装置和空调器
KR102517769B1 (ko) * 2022-11-24 2023-04-05 주식회사 셀빛 창문 일체형 환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205B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87381B1 (ko) 환기겸용 공기조화시스템
JPH11132506A (ja) 除湿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102232441B1 (ko) 육구 공조기
JP5066960B2 (ja) 浴室換気空調装置
KR102314183B1 (ko) 외기냉방 바이패스와 제습 및 공기청정이 가능한 올인원 열교환 환기장치
CN109425063B (zh) 空调机
KR100430278B1 (ko) 히트파이프를 적용한 에너지 절약형 폐열회수 공기조화기
KR101420873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010098148A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KR100354132B1 (ko) 환기회수율 조절식 폐열회수겸용 냉난방 공기조화기
JP3980215B2 (ja) 熱交換換気装置
US9951963B2 (en) Hybrid heat pump apparatus
CN210688529U (zh) 一种一体化低温再生转轮除湿机组
KR100849549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362664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0889128B1 (ko) 공기 조화 장치
JPH0718570B2 (ja) 空気浄化換気空調装置及び該装置の制御方式
KR20210115565A (ko) 외기 처리 환기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4334Y1 (ko) 외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코너 스탠드형 에어컨
KR100885574B1 (ko) 공기 조화 장치
CN221279565U (zh) 一种变频空气调节装置
CN221279566U (zh) 一种变频空气调节装置
CN215412200U (zh) 一种空调系统
JPH06123469A (ja) 空調換気機能付き除湿ユニットの運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