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534B1 - N-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534B1
KR100642534B1 KR1019990052126A KR19990052126A KR100642534B1 KR 100642534 B1 KR100642534 B1 KR 100642534B1 KR 1019990052126 A KR1019990052126 A KR 1019990052126A KR 19990052126 A KR19990052126 A KR 19990052126A KR 100642534 B1 KR100642534 B1 KR 10064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rolactone
hydroxybutyric acid
alkyl
reaction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5624A (ko
Inventor
다카하시가즈나리
세토요코
우쓰노미야마사루
오리타소우이치
마루야마가즈타카
오쿠비도모노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3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5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24Oxygen or sulfur atoms
    • C07D207/262-Pyrrolidones
    • C07D207/2632-Pyrrolidon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C07D207/2672-Pyrrolidon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를 알킬아민과 반응시킴을 포함하고, 이때 (i)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이 85중량% 이하이고, (ii)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합계 투입량에 대한 1급 아민과 2급 아민의 합계 투입량의 몰 비가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6025635438-pat00001
위의 수학식 1에서,
A1, A2, B1, B2 및 B3은 각각 1급 아민, 2급 아민,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몰량을 나타낸다.
피롤리돈 유도체, 알킬아민,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

Description

N-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N-alkyl-2-pyrrolidone derivative}
본 발명은 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γ-부티로락톤 등과 알킬아민과의 반응을 포함하는 N-알킬-2-피롤리돈의 제조방법에서의 개선점에 관한 것이다.
피롤리돈 유도체는 각종 산업 공정에서 내열성 용매로서, 예를 들면, 금속 세정제 및 기능성 중합체용 용매로서 사용되며, 최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피롤리돈 유도체, 예를 들면, N-알킬-2-피롤리돈은 일반적으로 모노알킬아민과 γ-부티로락톤 사이의 반응에 의해 산업상의 규모로 제조된다. 출발 모노알킬아민은 트리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및 상응하는 알칸올 및 암모니아 사이의 탈수 반응에 의해 수득된 모노알킬아민의 혼합물로부터 분리하여 산업적으로 제조한다.
모노알킬아민 대신 출발 물질로서 트리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및 모노알킬아민의 혼합물의 사용은 JP-B 제47-18751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또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따라, 가한 알킬아민 및 γ-부티로락톤의 양은 수학식 1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Figure 111999015428808-pat00002
상기식에서,
A1, A2, B1, B2 및 B3은 각각 1급 아민, 2급 아민,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몰량을 나타낸다.
또한, 달성되는 수율 및 반응 속도는 모노알킬아민 단독으로 출발하는 경우 보다 더 낮다.
JP-B 제6-78305호는 모노메틸아민을 과량으로 사용하고, 모노알킬아민, 트리알킬아민, 디알킬아민, 및 반응 동안 미반응 모노메틸아민의 이성체화로부터 생성되는 암모니아의 혼합물을 회수하고, 반응 시스템에 재순환시키고, 새로운 모노메틸아민으로 재보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 알킬아민 중의 모노메틸아민 함량은 명백히 85중량%를 초과하는데, 이는 혼합된 아민을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산업적으로 유익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출발 물질 중의 하나로서 1급 아민, 2급 아민 또는 3급 아민 또는 이의 혼합물, 특히 암모니아 및 알칸올로부터의 알킬아민 제조시 수득된 혼합 아민을 사용하여 피롤리돈 유도체를 고수율로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광범위한 조사 결과, 본 발명자들은 γ-부티로락톤을 혼합된 알킬아민과 특정 비로 반응시켜 모노알킬아민을 사용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고수율(예: 90% 이상)로 피롤리돈 유도체를 수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요지는 하나 이상의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를 알킬아민과 반응시킴을 포함하고, 이때 (i)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이 85중량% 이하이고, (ii)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합계 투입량에 대한 1급 아민과 2급 아민의 합계 투입량의 몰 비가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피롤리돈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다.
수학식 1
Figure 111999015428808-pat00003
위의 수학식 1에서,
A1, A2, B1, B2 및 B3은 각각 1급 아민, 2급 아민,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몰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 중의 하나는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 "저분자량"은 "중합도가 약 2 내지 10"임을 의미한다. 이들 출발 물질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의 존재 하에 평형 반응으로부터 생성되는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타 출발 물질인 알킬아민은 2개 이상의 1급 아민, 2급 아민 및 3급 아민의 혼합물일 수 있거나, 1급 아민 또는 2급 아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알킬아민의 알킬 잔기는 환식 또는 비-환식,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포화 또는 불포화될 수 있다. 2급 아민 또는 3급 아민의 알킬 잔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알킬 잔기가 포화된 직쇄 알킬 그룹이고, 2급 아민 또는 3급 아민 중의 2개 또는 3개의 알킬 잔기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그룹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1급 아민의 예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및 프로필아민이고, 2급 아민의 예는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프로필아민, 메틸에틸아민, 메틸프로필아민 및 에틸프로필아민이고, 3급 아민의 예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디메틸에틸아민, 디메틸프로필아민, 디에틸메틸아민, 디에틸프로필아민, 디프로필메틸아민 및 디프로필에틸아민이다. 1급 아민으로서 메틸아민, 2급 아민으로서 디메틸아민 및 3급 아민으로서 트리메틸아민이 바람직하다.
혼합된 아민이 사용되는 경우, 혼합비는 일반적으로 산업상 수득되는 혼합된 아민의 비, 즉 1급 아민 20 내지 40중량%, 2급 아민 50 내지 75중량% 및 3급 아민 5 내지 10중량%일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경제적인 관점에서, 상기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된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1급 아민, 2급 아민 또는 3급 아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더 유익하다. 그러나, 반응 속도의 관점에서, 1급 아민이 3급 아민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출발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 함량이 8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롤리돈 유도체를 고수율로 수득하기 위해 알킬아민이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에 대한 1급 아민과 2급 아민의 총량의 몰 비(여기서, 몰 비는 수학식 2로 나타내며, 이후 "파라미터 값"이라 한다)가 1.0 이상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Figure 111999015428808-pat00004
위의 수학식 2에서,
A1, A2, B1, B2 및 B3은 각각 1급 아민, 2급 아민,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투입량(몰수)을 나타낸다.
출발 화합물이 1.0 미만의 파라미터 값을 산출하는 양으로 사용되는 경우, γ-부티로락톤의 전환율이 감소되거나 목적하는 피롤리돈 유도체에 대한 선택성이 감소되는 것과 같은 단점을 초래할 수 있다.
파라미터 값의 상한선은 통상 10.0, 바람직하게는 5.0이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파라미터 값이 이러한 값 미만인 경우, 알킬아민의 회수 및 재사용 단계에서 과도한 부하를 피할 수 있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물의 존재하에 수행한다. 물은 통상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 mol당 0.5 내지 20mol,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mol의 양으로 사용한다. 물의 양이 적절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반응 속도가 증가하고, 생성된 피롤리돈 유도체로부터의 출발 γ-부티로락톤으로의 역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 190 내지 350℃의 범위이다. 생성물의 순도, 색조 등의 관점에서, 반응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3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35 내지 275℃이다.
반응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응은 대기압 또는 감압 또는 가압하에 수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반응은 채택된 반응 조건하에 생성되는 압력, 즉 온도, 반응기 용량 및 출발 물질의 양 등에 의해 결정되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총압 하에 수행하는 것이 편리한다. 반응에 불활성인 기체, 예를 들면, 질소 또는 아르곤이 반응기에 존재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통상 온도, 압력 등에 따라 0.1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시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γ-부티로락톤으로부터 유도된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또는 이의 저분자량 중합체 이외의 카복실산, 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카복실산 아미드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복실산 화합물은 카복실산,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에난트산, 석신산 및 말레산; 카복실산 에 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 포르메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부티레이트, 메틸 에난테이트, 메틸 석시네이트, 메틸 말레에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및 카복실산 아미드,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프로피온아미드, N,N-디메틸부티르아미드 및 N,N-디메틸에난트아미드를 포함한다. 이들 카복실산 화합물 중에서, 카복실산으로서 아세트산, 카복실산 에스테르로서 메틸 아세테이트 및 카복실산 아미드로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아세트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이들 카복실산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이의 2개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 mol당 통상 0.005 내지 1mol,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3mol의 총량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제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예시되나, 본 발명이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모든 %는 중량에 의한 것이다.
실시예 1
유도 교반기가 장착된 500ml들이 오토클레이브에 γ-부티로락톤 120.0g(1.40mol), 100% 모노메틸아민 46.2g(1.49mol), 50% 디메틸아민 수용액 110.0g(1.24mol), 100% 트리메틸아민 11.0g(0.19mol) 및 물 45.44g을 충전시키고, 27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압력을 반응 동안 71kgf/cm2에서 유지시킨다.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은 41%이다. 파라미터 값은 1.42이다. 반응 시스템에서 물의 총량은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 mol당 4.0mol이다.
반응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키고, 반응 생성물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다. 목적 생성물인 N-메틸-2-피롤리돈의 수율이 134.4g(1.36mol, 97%)이고, γ-부티로락톤 전환율이 100%임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2
유도 교반기가 장착된 500ml들이 오토클레이브에 γ-부티로락톤 99.14g(1.15mol), 모노메틸아민 0.96mol을 함유하는 40% 수용액 74.93g, 디메틸아민 0.52mol을 함유하는 50% 수용액 47.26g 및 물 34.82g을 충전시키고, 27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동안 압력을 56kgf/cm2에서 유지시킨다.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은 56%이다. 파라미터 값은 1.02이다. 반응 시스템에서 물의 총량은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 mol당 5.0mol이다.
반응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킨다. 반응 생성물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N-메틸-2-피롤리돈의 수율이 107.55g(1.09mol, 94%)이고, γ-부티로락톤 전환율이 100%임을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유도 교반기가 장착된 500ml들이 오토클레이브에 γ-부티로락톤 99.60g(1.16mol), 모노메틸아민 1.04mol을 함유하는 40% 수용액 80.88g, 디메틸아민 0.12mol을 함유하는 50% 수용액 10.44g 및 물 50.53g을 충전시키고, 27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동안 압력을 49kgf/cm2에서 유지시킨다.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은 86%이다. 파라미터 값은 0.94이다. 반응 시스템에서 물의 총량은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 mol당 5.0mol이다.
반응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킨다. 반응 생성물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N-메틸-2-피롤리돈의 수율이 92.85g(0.94mol, 81%)이고, γ-부티로락톤 전환율이 97%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유도 교반기가 장착된 500ml들이 오토클레이브에 γ-부티로락톤 77g(0.9mol), 100% 모노메틸아민 30.65g, 디메틸아민 0.85mol을 함유하는 50% 수용액 76.5g, 100% 트리메틸아민 7.66g, 메틸 아세테이트 13.33g(0.18mol) 및 물 26.55g을 충전시키고, 255℃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동안 압력을 55kgf/cm2에서 유지시킨다.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은 45%이다. 파라미터 값은 1.5이다. 반응 시스템에서 물의 총량은 γ-부티로락톤,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및 4-하이드록시부티르산의 저분자량 중합체의 총량 mol당 4.0mol이다.
반응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킨다. 반응 생성물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N-메틸-2-피롤리돈의 수율이 84.55g(0.854mol, 94.9%)이고, γ-부티로락톤 전환율이 100%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유도 교반기가 장착된 500ml들이 오토클레이브에 γ-부티로락톤 100g(1.16mol), 모노메틸아민 0.88mol을 함유하는 40% 수용액 67.84g, 디메틸아민 0.75mol을 함유하는 50% 수용액 67.84g, 100% 트리메틸아민 6.78g,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21g(0.23mol) 및 물 6.78g을 충전시키고, 255℃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동안 압력을 50kgf/cm2에서 유지시킨다.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 함량은 40%이다. 파라미터 값은 1.02이다. 반응 시스템에서 물의 총량은 충전된 γ-부티로락톤의 mol당 3.9mol이다.
반응 후, 오토클레이브를 냉각시킨다. 반응 생성물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N-메틸-2-피롤리돈의 수율이 106.6g(1.09mol, 93.8%)이고, γ-부티로락톤 전환율이 98%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라, N-알킬-2-피롤리돈을 알킬아민 및 γ-부티로락톤을 특정 비로 반응시켜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9)

  1. γ-부티로락톤을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3 이하인 알킬아민과 반응시킴을 포함하고, 이때 (i)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3 이하인 알킬아민 중의 1급 아민의 함량이 20중량% 이상 85중량% 이하이고, (ii) γ-부티로락톤의 투입량에 대한 1급 아민과 2급 아민의 합계 투입량의 몰 비가 아래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N-C1-3-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수학식 1
    1.0 ≤(A1 + A2/2.5)/(B1)
    위의 수학식 1에서,
    A1, A2 및 B1은 각각 1급 아민, 2급 아민, γ-부티로락톤의 몰량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γ-부티로락톤의 투입량에 대한 1급 아민과 2급 아민의 합계 투입량의 몰 비가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시키는, N-C1-3-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A1 + A2/2.5)/(B1) ≤10
    위의 수학식 3에서,
    A1, A2 및 B1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3. 제1항에 있어서, γ-부티로락톤의 투입량에 대한 1급 아민과 2급 아민의 합계 투입량의 몰 비가 아래의 수학식 4를 만족시키는, N-C1-3-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A1 + A2/2.5)/(B1) ≤5
    위의 수학식 4에서,
    A1, A2 및 B1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메틸 아세테이트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N-C1-3-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반응이 220 내지 350℃의 온도에서 γ-부티로락톤의 몰량 당 2 내지 10mol의 물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N-C1-3-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알킬 잔기의 탄소수가 3이하인 알킬아민이 1급 아민을 필수로 하며 2급 아민 및 3급 아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N-C1-3-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990052126A 1998-11-24 1999-11-23 N-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642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32308 1998-11-24
JP33230898 1998-11-24
JP23152099A JP4036580B2 (ja) 1998-11-24 1999-08-18 N−アルキル−2−ピロリドンの製造方法
JP99-231520 1999-08-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624A KR20000035624A (ko) 2000-06-26
KR100642534B1 true KR100642534B1 (ko) 2006-11-13

Family

ID=265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126A KR100642534B1 (ko) 1998-11-24 1999-11-23 N-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29316B1 (ko)
EP (1) EP1004577B1 (ko)
JP (1) JP4036580B2 (ko)
KR (1) KR100642534B1 (ko)
DE (1) DE6991839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3021B2 (en) 2001-06-18 2003-08-0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ethods of making pyrrolidones
CN100447132C (zh) * 2001-11-20 2008-12-31 巴斯福股份公司 连续制备n-甲基-2-吡咯烷酮(nmp)的方法
KR20040043639A (ko) * 2002-11-19 2004-05-24 한국화학연구원 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US7199250B2 (en) * 2002-12-20 2007-04-03 Battelle Memorial Institute Process for producing cyclic compounds
KR100802897B1 (ko) * 2004-04-23 2008-02-13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N-알킬피롤리돈의 제조방법
KR101388760B1 (ko) 2006-05-16 2014-04-25 바스프 에스이 N-에틸-2-피롤리돈 (nep)의 연속적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305B2 (ja) * 1988-01-21 1994-10-05 三菱化成株式会社 N−メチル−2−ピロリドンの製造方法
JPH0678304B2 (ja) * 1988-01-21 1994-10-05 三菱化成株式会社 N−アルキル置換ラクタムの製造方法
JPH0678305A (ja) * 1992-07-17 1994-03-18 Bisco Kk 複合情報伝送装置
CN1043758C (zh) * 1993-12-27 1999-06-23 化学工业部北京化工研究院 改进的N-甲基吡咯烷酮及α-吡咯烷酮的生产方法
JPH10158238A (ja) * 1996-12-02 1998-06-16 Tonen Chem Corp N−メチル−2− ピロリド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5270A1 (en) 2002-03-21
EP1004577B1 (en) 2004-06-30
DE69918399D1 (de) 2004-08-05
DE69918399T2 (de) 2005-07-14
US6429316B1 (en) 2002-08-06
JP2000219675A (ja) 2000-08-08
KR20000035624A (ko) 2000-06-26
JP4036580B2 (ja) 2008-01-23
EP1004577A1 (en) 200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6408B1 (ko) 피롤리돈 및 n-알킬피롤리돈의 제조방법
US438140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monosubstituted carbamic acid esters
KR100642534B1 (ko) N-알킬-2-피롤리돈 유도체의 제조방법
US6291712B1 (en) Process for producing saturated aliphatic carboxylic acid amide
GB2108119A (en) Process for producing cyanovaleric esters and caprolactam
GB2248234A (en) A process for preparing n-substituted amide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JPH03275662A (ja) カルバメートの製造法
US4398036A (en) Preparation of N-monosubstituted carbamates
US4310470A (en) Process for preparing a dialkyl propanediimidate dihydrohalide
US453942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formamides
JPH0678304B2 (ja) N−アルキル置換ラクタムの製造方法
US5072024A (en) Synthesis of N-substituted amides by condensation of nitriles with certain organic hydroxyl compounds
US5792880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lauroyl-L-glutamic acid di-n-butylamide
EP0330205B1 (en)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carboxamides
JP2001114760A (ja) ピロリドン類の製造方法
US4761499A (en) Carbonylation of vinyl dihalides
US5300692A (en) Process for producing 4-amino-3-fluorobenzotrifluoride
JPH01186863A (ja) N−アルキル置換ラクタムの製造方法
US6335456B1 (en) Semi-continuous process for preparing bis-silyl carboxamides
JPH0753483A (ja) アミノプロピオン酸エステル誘導体の製法
JP2991791B2 (ja) 3−カルボキシアミド−5−ビニル−2−ピロリドンの製造方法
CA2029485A1 (en) Synthesis of ethylidene bisformamide from vinyl acetate
JPH0737431B2 (ja) テレフタル酸ジアニリド類の製造法
JPH0742258B2 (ja) 3―置換アミノアクリル酸エステル類の製造法
JP3546545B2 (ja) ω−ホルミル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