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711B1 - 기록 매체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711B1
KR100640711B1 KR1020050009175A KR20050009175A KR100640711B1 KR 100640711 B1 KR100640711 B1 KR 100640711B1 KR 1020050009175 A KR1020050009175 A KR 1020050009175A KR 20050009175 A KR20050009175 A KR 20050009175A KR 100640711 B1 KR100640711 B1 KR 10064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moving
connector
cam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921A (ko
Inventor
기요유키 이토우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2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70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2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70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2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17051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25Devices on which the patient can sit, e.g. mounted on a toilet bowl ; Devices containing liquid pumped by the patient's weigh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41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supplied by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66Stands, holders or storage means for irrig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4Mounting of mother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 G06F1/187Mounting of fixed and removable disk dri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를 갖는 기록 매체를 자동적으로 반송할 수 있고, 또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기록 매체가 장전된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내부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록 매체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록 매체 (1) 가 삽입부 (10A) 에 삽입되면, 피가압부 (52a) 가 눌려지고 이동부재 (50) 가 이동하기 때문에,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가 기록 매체 (1) 의 오목부 (2d) 를 건다. 이 때 동시에, 제 1 스위치부재 (17a) 가 전환되고, 캠부재 (12) 가 회전하여 동력 전달 수단 (90) 이 장치 내부 (Y1 방향) 로 이동됨으로써, 인입부재 (70) 를 탑재한 이동부재 (50) 도 장치 내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 (1) 를 장치 내부로 반송할 수 있다. 기록 매체 (1) 가 비정상적인 방향에 있는 경우에는, 걸림부 (74) 가 오목부 (2d) 를 거는 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기록 매체 (1) 가 장치 내부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 매체 장착 장치{AN APPARATUS FOR MOUNTING A RECORD MEDIUM}
도 1 은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하부 섀시와 캠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 는 주로 도 3 의 A1-A1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기록 매체가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 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 은 기록 매체가 삽입되어 인입부재에 의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 6 과 동일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8 은 장치측의 내부 커넥터와 기록 매체측의 끼움(差入) 커넥터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5 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9 는 장치측의 내부 커넥터에 기록 매체측의 끼움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 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록 매체 2: 카트리지
2a: 개구부 2d: 오목부
3: 끼움 커넥터 (외부 접속부) 10: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1: 하부 섀시 12: 캠부재
12a: 제 1 슬라이딩 홈 12a1: 대원호 홈
12a2: 소원호 홈 12a3: 광폭(廣幅)부
12a4: 연결부 12a5: 최내주부
12b1: 외주 단부 12b2: 내주 단부
15: 요동부재 15a: 제어 핀
17a: 제 1 스위치부재 17b: 제 2 스위치부재
17c: 제 3 스위치부재 20: 베이스 섀시
21: 개구구멍 21a: 제 1 래크부
30: 가이드부재 32c: 가이드 긴구멍
32d: 경사부 32e: 지지구멍
32f: 지지부 32g: 규제부
40: 내부 커넥터 42: 접속부
43: 개구부 50: 이동부재
51: 개구구멍 52a: 피가압부
53: 가압부 56: 창
60: 가동부재 61: 개구부
62: 제 2 래크부 70: 인입(引入)부재
72: 아암부 74: 걸림부
75: 규제 돌기 80: 슬라이드부재
90: 동력 전달 수단 91: 대직경 피니언 기어
92: 소직경 피니언 기어 93: 슬라이딩 핀
M: 구동 모터 S1, S2, S3: 탄성부재
본 발명은, 리무버블 (removable)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가 장전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 로딩 기구를 구비한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네트워크의 브로드밴드 (broadband) 화나, 고성능 PC 의 저가격화, 디지털 스틸 카메라ㆍ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가정으로의 침투, 디지털 방송화가 진행되고 있어, 가까운 곳에서 영상, 음악, 사진을 비롯한 정보의 디지탈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 녹화가 가능한 PC 나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텔레비전ㆍ전화기 등 정보를 취급하는 기기 면에서도, 정보기기나 가전과 같은 종래의 카테고리를 넘어선 새로운 단계에 돌입하고 있다.
현재, AV 기기의 분야 등에 있어서는 대량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3.5 인치형의 고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고 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로는 해마다 급속히 진행되는 대용량화에 대응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최근의 고밀도화 기술에 의해, 대량 데이터를 충분히 축적 가능한 2.5 인치형이나 1.8 인치형의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Removable Hard Disk Drive) 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에서는,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 내부에 디스크에 회전을 주기 위한 드라이브 기구나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자기 헤드 등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와 상기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가 장전되는 외부기기 (기록 매체 장착 장치) 사이에서 신호 등을 주고 받는 것이 오로지 커넥터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를 상기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장착할 때에는,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측 커넥터가 기록 매체 장착 장치측 커넥터에 장착될 필요가 있고, 또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를 떼어낼 때에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측 커넥터로부터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측 커넥터를 이탈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47554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것에서는,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 등 기록 매체측 커넥터를 기록 매체 장착 장치측 커넥터에 장착함에 있어서 사용자 자신이 수동으로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에게 부담을 준 다는 문제가 있다.
또 수동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기록 매체 전부를 장치 내부에 수납할 수 없고, 그 일부가 장치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이 되기 쉽다. 이 때문에, 동작 중에 상기 기록 매체의 일부에 외력이 작용하면 데이터 에러를 일으키거나, 또는 데이터 파괴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기록 매체가 장전된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내부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도 있다.
또, 기록 매체를 자동적으로 반송하는 로딩 메커니즘을 생각할 때, 구성의 간소화 및 소형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기록 매체와 커넥터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갖는 기록 매체를 자동적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한 오토 로딩 기구를 구비한 기록 매체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기록 매체가 장전된 경우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장치 내부로 반송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기록 매체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소형화, 및 커넥터와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 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착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를 갖고,
상기 로딩 기구가, 상기 기록 매체를 걸어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끌어 들이는 인입부재와, 상기 인입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를 장치의 삽입부에 장전하는 것만으로, 기록 매체를 자동적으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반송된 기록 매체 전체를 장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중의 기록 매체의 일부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 기록시 또는 재생시에 있어서의 데이터 에러나 데이터 파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는, 상기 인입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거는 걸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오목부에 상방에서부터 들어옴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가 걸리도록 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서는, 기록 매체의 높이 방향에서부터 오목부를 거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횡(橫)폭 치수를 소형화한 기록 매체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인입부재의 걸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긴구멍과, 상기 걸림부를 상기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는 비걸림상태로 설정하는 지지구멍과, 상기 걸림부를 상기 지지구멍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긴구멍 안으로 안내하여 상기 오목부를 거는 걸림상태로 유도하는 경사부를 갖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구멍으로부터 상기 경사부를 하강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오목부를 거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수단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기록 매체측의 오목부를 거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기록 매체를 확실하게 삽입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멍의 삽입 방향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서는, 기록 매체가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삽입된 경우, 걸림부가 기록 매체의 오목부를 거는 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착 완료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를 갖고,
상기 로딩 기구가, 제 1 슬라이딩 홈을 갖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캠부재 와,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캠부재의 제 1 슬라이딩 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핀을 구비한 이동 기어와, 상기 이동 기어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탑재되어 상기 기록 매체를 거는 인입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의 이동력을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력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 수단, 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복수의 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부재마다 전용의 기어 기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는 동시에, 고장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 변환 수단은, 상기 이동 기어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에 따른 회전을 발생시키는 제 1 래크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 상기 이동 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삽입 방향의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래크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단에서는,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기록 매체의 이동량의 거의 절반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변환 수단에 상기 제 2 래크부를 갖는 가동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가 제 1 탄성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어가, 소직경 기어와 대직경 기어가 동축 상에 일체로 형성된 2 단 기어이고, 상기 소직경 기어가 상기 제 1 래크부에 맞물리고, 또한 상기 대직경 기어가 상기 제 2 래크부에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서는, 소직경 기어의 잇수와 대직경 기어의 잇수 사이에 비 (잇수의 비) 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기어를 탑재한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량에 대하여 이동부재 및 가동부재의 이동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기록 매체 및 이것을 유지한 이동부재의 이동량의 절반 이하로 할 수 있어, 장치 전체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맞닿는 피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 2 탄성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삽입 방향에 약간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탑재된 상기 슬라이딩 핀의 이동을 허용하는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서는, 상기 제 2 탄성부재가 댐퍼로서 기능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삽입력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삽입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인입부재에 의해 걸렸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스위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삽입부측인 삽입 대기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지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2 스위치부재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 는 상기 장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3 스위치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수단에서는, 제어부가 장치 전체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캠부재에는 제 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어 핀을 갖는 동시에,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에 따라서 상기 제 2 스위치부재와 제 3 스위치부재의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는 요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불완전한 상태로 끼워지고, 이들 사이에 발생한 삽입 부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제한된 후에, 상기 가동부재만이 상기 장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장력이 상기 삽입 부하를 초과할 때에,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를 완전히 끼워 맞출 수가 있다.
상기 수단에서는, 인입부재에 의한 인입력에 추가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인장력을 보조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어 보다 큰 힘으로 상기 기록 매체측의 외부 접속부와 장치측 커넥터를 완전히 끼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의 장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착 완료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딩 기구는,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반송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를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접속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이동 반송부보다도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큰 힘을 작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의 외부 접속부가 장치측 커넥터에 끼워 맞춰질 때에, 기록 매체를 삽입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보다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접속부를 커넥터에 확실하게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딩 기구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이동 반송부로서 기능하는 제 1 캠 홈과, 상기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제 2 캠 홈이 연속하여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캠 홈은, 상기 캠부재의 외주측에 형성된 곡률 반경이 큰 대원호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캠 홈은 상기 제 1 캠 홈보다도 내주측에 형성된 곡률 반경이 작은 소원호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단에서는, 외주측의 제 1 캠 홈보다도 내주측의 제 2 캠 홈쪽이 큰 토크를 발생시킨다는 회전 캠부재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기록 매체의 이동과 접속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캠 홈과 상기 제 2 캠 홈은 연속하는 슬라이딩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 록 매체의 반송 동작에서 커넥터끼리의 접속 동작으로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로딩 기구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맞닿는 피가압부와 상기 기록 매체를 거는 인입부재를 갖고 또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캠 홈과 제 2 캠 홈내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핀과, 상기 슬라이딩 핀을 탑재하여 상기 슬라이딩 핀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딩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캠 홈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었을 때에, 상기 슬라이딩 핀의 이동을 허용하는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단에서는, 상기 탄성부재가 댐퍼로서 기능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삽입력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삽입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인입부재에 의해 걸렸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스위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삽입부측인 삽입 대기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2 스위치부재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상기 장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었는지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3 스위치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수단에서는, 제어부가 장치 전체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은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하부 섀시와 캠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주로 도 3 의 A1-A1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우선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기록 매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에 이하에 나타내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것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탈이 자유로운 기록 매체 (1) 이다. 상기 기록 매체 (1) 는 얇은 정육면체 형상의 카트리지 (2) 를 갖고 있고, 예를 들어 도 1 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1.8 인치형 (소형) 과, 그것보다도 Y 방향으로 길게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2.5 인치형 (대형) 이 규격화되어 있는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 등이다. 또, 상기 1.8 인치형의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는 예를 들어 40G 바이트의 기억 용량을, 2.5 인치형의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는 예를 들어 80G 바이트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 (2) 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2) 의 Y1 측의 전면 (2A) 에는 개구부 (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 (2a) 에는 접속용 끼움 커넥터 (외부 접속부: 3) 가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2) 의 X1 및 X2 방향의 측면 (2B, 2B) 의 Y1 측의 전방 위치에는, 도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 (2b, 2b)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홈 (2b, 2b) 의 상방 (Z1 측) 에는 마찬가지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부 (2c, 2c)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 (2c, 2c) 에는 피걸림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 (2d, 2d)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2) 의 내부에는, 자기 디스크 (4) 와, 이 자기 디스크 (4) 를 회전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등의 회전 구동 수단 (5)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트리지 (2) 내에는, 자기 헤드 장치 (6) 가 내장되어 있다. 자기 헤드 장치 (6) 는, 자기 디스크 (4) 의 자기 기록면에 대향하는 자기 헤드 칩 (6a) 과, 이 자기 헤드 칩 (6a) 에 소정의 로드압을 부여하는 로드빔 (6b) 과, 상기 로드빔 (6b) 을 축 (6d) 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액세스 액츄에이터 (6c) 를 갖고 있다.
상기 자기 헤드 칩 (6a) 은, 자기 디스크 (4) 의 기록면에 대향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에 장착된 자기 저항 효과 소자에 의한 판독부와, 박막 인덕티브 헤드에 의한 기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록 매체 (1) 에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는 동작, 또는 기록 매체 (1) 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재생하는 동작에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자기 디스크 (4) 표면의 에어 베어링에 의해 자기 헤드 칩 (6a) 이 약간 떠오른 자세가 된다. 그리고 액세스 액츄에이터 (6c) 에 의해 로드빔 (6b) 이 요동 동작되어 자기 디스크 (4) 의 기록면의 섹터가 검색되고, 상기 판독부와 기록부가 트래킹하여 판독 동작이나 기록 동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카트리지 (2) 내부에는, 회로 기판이 실장되어 있고, 이 회로 기판에, 상기 회전 구동 수단 (5) 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 회로, 자기 헤드 장치 (6) 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기록 신호를 포맷화하고 판독 신호를 디포맷팅화하는 등의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및 인터페이스부 등이 실장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상기 끼움 커넥터 (3) 는, 예를 들어 기판의 표리 양면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전부 (3a) 가 X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열된 슬롯 인 타입의 것이다. 단, 상기 끼움 커넥터 (3) 는 복수의 접속 핀이 형성된 타입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 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에서의 각종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기록 매체가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초기 상태에서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부분 측면도, 도 7 은 기록 매체가 삽입되어 인입부재에 의해 걸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6 과 동일한 부분 측면도, 도 8 은 장치측의 내부 커넥터와 기록 매체측의 끼움 커넥터가 접속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5 와 동일한 평면도, 도 9 는 장치측의 내부 커넥터에 기록 매체측의 끼움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 와 동일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는,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실내 또는 차량 탑재용 AV 기기 등의 기기 본체 (도시 생략) 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기록 매 체 장착 장치 (10) 를 통하여 기록 매체 (1) 와 기기 본체 사이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이나 기록이 이루어진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는 하방 (Z2 측) 에 하부 섀시 (11) 가 형성되고, 그 상방 (Z1 측) 에 베이스 섀시 (20) 가 형성되어 있고, 양 섀시 (11, 20) 는 평행한 상태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섀시 (11) 의 바닥판 (11A) 에는 축 (11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 (11a) 에는 커다란 원반모양의 캠부재 (12) 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 (12) 의 표면 (Z1 측의 면) 에는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이 형성되어 있고, 이면 (Z2 측의 면) 에는 제 2 슬라이딩 홈 (12b) 과 슬라이딩 리브 (12c)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부재 (12) 의 외주측 면을 따라서 이 (12d)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은, 외주측과 내주측을 연결하는 2 종류의 원호형 홈을 연결시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캠부재 (12) 표면의 외주측에는 직경 치수가 큰 곡률로 이루어지는 대(大)원호 홈 (12a1) 이 거의 둘레의 절반 정도에 걸쳐 형성되고, 내주측에는 상기 대원호 홈 (12a1) 보다도 작은 곡률로 이루어지는 소(小)원호 홈 (12a2) 이 거의 둘레의 절반 정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원호 홈 (12a1) 으로부터 소원호 홈 (12a2) 으로 전환되는 부분이 연결부 (12a4) 이다.
또한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외주측 (상기 대원호 홈 (12a1) 의 외주측) 의 홈 폭은, 내주측의 홈 폭 및 소원호 홈 (12a2) 의 홈 폭에 비하여 확장된 광폭부 (12a3) 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최내주부 (소원호 홈 (12a2) 의 최내주: 12a5) 는 상기 축 (11a) 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은 캠부재 (12) 의 이면 (Z2 측의 면) 에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직경 치수로 거의 둘레의 1/4 정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단,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의 일방의 단부인 외주 단부 (12b1) 는, 상기 소정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큰 직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타방의 단부인 내주 단부 (12b2) 는 상기 소정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작은 직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의 외주 단부 (12b1) 와 내주 단부 (12b2) 사이에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외주측을 형성하는 광폭부 (12a3)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 (12c) 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의 안쪽에 링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단면은 도시 Z2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형상이다. 즉, 캠부재 (12) 는, 하부 섀시 (11) 의 바닥판 (11A) 위를 상기 슬라이딩 리브 (12c) 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축 (11a) 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 리브 (12c) 가 슬라이딩시의 마찰 저항을 경감시키고 있다.
상기 하부 섀시 (11) 의 바닥판 (11A) 상이면서 상기 캠부재 (12) 의 근방에는, 원기둥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전달 기어 (14) 가 회전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달 기어 (14) 의 하부측에 형성된 이 (14a) 가 상기 캠부재 (12) 의 이 (12d) 에 맞물려 있다. 상기 전달 기어 (14) 의 상단에는, 직경 치수가 큰 기어 (14b)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섀시 (20) 상에 고정된 구동 모터의 웜 기어 (M1) 에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 (M) 가 발생하는 동력이 상기 전달 기어 (14) 를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상기 캠부재 (12) 는 시계 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섀시 (11) 의 바닥판 (11A) 상이면서 상기 캠부재 (12) 의 외주부 근방에는 요동 축 (11b)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동 축 (11b) 에는 요동부재 (15) 가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요동부재 (15) 의 일단은 상기 바닥판 (11A) 와 캠부재 (12)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요동부재 (15) 의 일단에는 도시 Z1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어 핀 (15a)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핀 (15a) 은 상기 캠부재 (12) 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2 슬라이딩 홈 (12b) 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동부재 (15) 의 타단은, 도시 Z1 방향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형성된 가압부 (15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섀시 (11) 의 도시 Y1 측의 전방 위치에는 기판 (16)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 (16) 의 상면에는 제 1 스위치부재 (17a) 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 (16) 의 하면에는 제 2 스위치부재 (17b) 와 제 3 스위치부재 (17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는, 도시 Z1 방향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Z 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롭게 형성된 액츄에이터 (17a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는, 상기 액츄에이터 (17a1) 가 가압 조작될 때마다 스위치의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스위치부재 (17b) 와 제 3 스위치부재 (17c) 는 상기 기판 (16) 의 Y1 측 가장자리부에 X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제 3 스위치부재 (17b, 17c) 는, 상기 기판 (16)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도시 Y1 방향으로 돌출하는 액츄에이터 (17b1, 17c1) 를 갖고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 (17b1, 17c1) 는 도시 X1 및 X2 방향으로 조작시킬 때마다 스위치의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액츄에이터 (17b1, 17c1) 의 전방 위치에 상기 요동부재 (15) 의 가압부 (15b) 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 (12) 가 도 3 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최대량 회전하여 상기 제어 핀 (15a) 이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의 외주 단부 (12b1) 에 도달하면, 상기 요동부재 (15) 가 요동 축 (11b) 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 (15b) 가 상기 제 2 스위치부재 (17b) 의 상기 액츄에이터 (17b1) 를 도시 X1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상기 제 2 스위치부재 (17b) 의 스위치상태가 전환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 (12)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최대량 회전하여 상기 제어 핀 (15a) 이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의 내주 단부 (12b2) 에 도달하면, 상기 요동부재 (15)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 (15b) 가 상기 제 3 스위치부재 (17c) 의 액츄에이터 (17c1) 를 도시 X2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상기 제 3 스위치부재 (17c) 의 스위치상태가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 핀 (15a) 이 상기 외주 단부 (12b1) 와 내주 단부 (12b2) 이외의 제 2 슬라이딩 홈 (12b) 내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요동부재 (15) 의 가압부 (15b) 는, 제 2 스위치부재 (17b) 와 제 3 스위치부재 (17c) 중 어디에도 접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캠부재 (12)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최대량 회전된 초기 상태 (도 5 참조) 인지, 또는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최대량 회전된 장착 완료 상태인지 (도 9 참조), 또는 이들 이외의 로딩 상태 (도 8 참조) 에 있는지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부재 (17a, 17b, 17c) 의 각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스위치 신호는, 기기 본체 내에 형성된 제어부 (도시 생략) 에 송출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섀시 (20) 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 및 펀칭 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섀시 (20) 의 중앙에는 대략 가운데 구멍이 있는 동전모양으로 개구하는 개구구멍 (21)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구멍 (21) 의 X1 측 가장자리부에는 제 1 래크부 (21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폭 방향 (X1 및 X2 방향) 양단에는, 도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구멍 (22a, 22b) 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구멍 (22a, 22b) 에는, 후술하는 이동부재 (50) 에 형성된 피가압부 (52a, 52a) 가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구멍 (21) 의 양측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긴구멍 (23a, 23b) 이 형성되고, 상기 일방의 긴구멍 (22b) 과 일방의 가이드 긴구멍 (23b) 사이에도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구멍 (24)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폭 방향 양단에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30, 30) 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 (30) 는, 저면 (31), 측면 (32) 및 상면 (33) 의 3 개의 면을 둘러싸도록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32) 및 상면 (33) 은 도시 Y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3 개의 면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상기 카트리지 (2) 의 X1 및 X2 방향의 측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면 (31), 측면 (32) 및 상면 (33) 의 3 개의 면의 전단에는, 경사면 (31a, 32a, 33a)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경사면 (31a, 32a, 33a) 으로 둘러싸인 부분이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삽입부 (10A) 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저면 (31) 에는 도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구멍 (31b) 과 장착구멍 (31c, 31d) 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구멍 (31c, 31d) 을 베이스 섀시 (20) 에 형성된 고정구멍 (25a, 25b) 에 위치를 맞춰서 나사로 고정시키면,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긴구멍 (22a, 22b) 과 상기 긴구멍 (31b, 31b) 이 서로 겹쳐진다.
상기 측면 (32) 의 전방 위치에는, 측면 (32) 으로부터 Z1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측면 (32A)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32) 에는 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긴구멍 (32c)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긴구멍 (32c) 의 Y2 방향의 전단에는, 상기 가이드 긴구멍 (32c) 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 (Z1 방향) 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부 (32d)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기 측면 (32) 과 상기 연장측면 (32A) 에 걸친 위치에는, 상기 경사부 (32d) 에 연속되는 직사각형상의 지지구멍 (32e)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구멍 (32e) 의 Y2 측 하단이 지지부 (32f) 이고, Y1 측의 가장자리부가 규제부 (32g) 이다. 또한 상기 측면 (32) 의 내벽의 Y1 측에는, 도시 안쪽으로 볼록한 모양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도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 (32h)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섀시 (20) 에는 수용측이 되는 내부 커넥터 (40) 가 기판 (39) 상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커넥터 (40) 는 전체를 덮는 절연성의 외장 커버 (41) 를 갖고 있다. 외장 커버 (41) 의 전측 (Y1 측) 이 접속부 (42) 이고, 이 접속부 (42) 의 안쪽에는 개구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커넥터 (40) 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복수의 도전성 접속 단자가 상기 개구부 (43) 의 상하 면에 폭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록 매체 (1) 측의 끼움 커넥터 (3) 를 상기 개구부 (43) 에 끼워 넣으면, 상기 각 접속 단자가 상기 끼움 커넥터 (3) 의 기판의 표리 양면에 형성된 각 도전부 (3a) 를 탄성적으로 누르면서 접촉하는 타입의 커넥터 등이다. 또는, 상기 기록 매체 (1) 측의 끼움 커넥터 (3) 가 접속 핀인 경우에는, 상기 접속 핀을 삽입할 수 있는 리셉터클이 복수 배열된 타입의 커넥터이다.
상기 기판 (39) 의 폭 방향 양단에는 나사구멍 (39a, 39a)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 (39) 은 상기 나사구멍 (39a, 39a) 이 상기 가이드부재 (30) 의 장착구멍 (31d, 31d) 에 겹쳐진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재에 의해 함께 조여져 고정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섀시 (11) 와 베이스 섀시 (20) 사이에는, 이동부재 (50) 와 가동부재 (6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 (50) 는 금속판을 구부림으로써 평면 T 자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基部) (50A) 와, 상기 기부 (50A) 의 폭이 넓은 부분의 양단을 수직으로 구부려 형성한 측부 (50B, 50B) 를 갖고 있다. 상기 기부 (50A) 의 중심에는 대략 가운데 구멍이 있는 동전모양으로 개구하는 개구구멍 (51)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 (50A) 상에서 상기 측부 (50B, 50B) 근방에는 절개 구멍 (52, 52)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개 구멍 (52, 52) 의 가장자리부에는 그 일부를 수직으로 구부린 피가압부 (52a, 5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이동부재 (50) 에는, 상기 기부 (50A) 의 일부를 도시 Z2 방향으로 함몰시킴으로써 형성된 가압부 (5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 (53) 는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에 대향 배치된다.
상기 이동부재 (50) 의 상기 개구구멍 (51) 근방에는, 기부 (50A) 로부터 상하 양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핀 (54, 55)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가이드 핀 (54, 55) 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이동부재 (50) 의 측부 (50B, 50B) 에는 창 (56, 56)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창 (56, 56) 의 근방에는 인입부재 (70, 7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입부재 (70) 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부 (50B) 의 Y1 측 위치에 형성된 축 (71) 에 있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인입부재 (70) 는, 도시 Y2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 (72) 와 도시 Z1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기편 (73) 을 갖고 있다. 상기 아암부 (72) 선단의 내면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걸림부 (7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 (72) 의 외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규제 돌기 (75)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 (56) 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입부재 (70) 는, 상기 규제 돌기 (75) 가 상기 창 (56) 의 상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범위 내에서 상기 축 (71) 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 (50) 의 측부 (50B, 50B) 의 Y2 방향 전단에는, 도시 Z1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기편 (57, 57) 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기편 (57, 57) 은 약간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이 걸기편 (57, 57) 과 상기 인입부재 (70) 의 걸기편 (73, 73)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 (S1, S1) 가 압축된 상태로 가설(架設)되어 있다. 따라서, 인입부재 (70) 는 상기 아암부 (72) 의 선단부가 도시 하방 (Z2 방향) 으로 회전시켜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 (60) 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에는 대략 가운데 구멍이 있는 모양으로 개구하는 개구부 (6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 (61) 의 도시 X2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제 2 래크부 (6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 (60) 의 폭 방향 (X 방향) 의 치수는 상기 이동부재 (50) 의 기부 (50A) 의 폭이 좁은 부분의 폭 치수와 거의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 (60) 는 상기 기부 (50A) 의 하면 (Z2 측의 면) 에 접하고 있다. 상기 가동부재 (60) 의 상기 개구부 (61) 양측에는, 도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긴구멍 (63, 6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긴구멍 (63, 64) 에는 상기 이동 부재 (50) 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핀 (54, 55) 의 하단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 (60) 는, 상기 가이드 핀 (54, 55) 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 (50) 의 하면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긴구멍 (63, 64) 에 따른 Y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 (60) 의 도시 Y1 측이면서 X2 측의 가장자리부에는 도시 X2 방향으로 돌출하는 걸기부 (65)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기부 (65) 와 상기 이동부재 (50) 의 기부 (50A) 의 측면에 형성된 걸기부 (58) 사이에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 (S2) 가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 (60) 와 이동부재 (50) 는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Y 방향으로 끌어 당기고 있다. 따라서, 통상은 상기 이동부재 (50) 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핀 (54, 55) 의 하단은, 상기 가동부재 (60) 의 가이드 긴구멍 (63, 64) 의 Y1 측 단부에 맞닿아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표면 상이면서 상기 일방의 가이드부재 (30) 와 타방의 가이드부재 (30) 사이의 영역에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재 (8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의 중앙에는 축 (81)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은 슬라이드부재 (80) 의 하면으로부터 도시 Z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축 (81) 의 선단에는 동력 전달 수단 (90) 이 회전이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은,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의 상부에 소직경 피니언 기어 (92) 가 일정하게 형성된 2 단 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의 하면에는 도시 Z2 방향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딩 핀 (93)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의 잇수를 N1, 소직경 피니언 기어 (92) 의 잇수를 N2 로 하면, N1>N2 이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의 폭 방향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가이드 긴구멍 (82, 83)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긴구멍 (82, 83) 에는 상기 이동부재 (50) 에 형성된 가이드 핀 (54, 55) 의 선단이 삽입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핀 (54, 55) 은, 베이스 섀시 (20) 의 가이드 긴구멍 (23a, 23b) 에 삽입 통과되고, 다시 그 선단이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의 가이드 긴구멍 (82, 83) 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 (80) 는, 상기 가이드 핀 (54, 55) 과 가이드 긴구멍 (82, 83) 에 의해 도시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는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표면을 Y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Y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베이스 섀시 (20) 와 기판 (39) 의 간극에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긴구멍 (83) 근방에는, 슬라이드부재 (80)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도시 X1 방향으로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도시 Z2 방향으로 구부러진 돌출편 (84)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 (84) 은 상기 베이스 섀시 (20) 에 형성된 긴구멍 (24) 에 삽입되고, 그 전단은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하면에 도달하고 있다. 상기 돌출편 (84) 의 선단에는 걸기부 (8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기부 (85) 와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전방 위치에 형성된 걸기부 (26)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 (S3) 가 압축된 상태로 가설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는, 항상 상기 베이스 섀시 (20) 상에 있어서 전방 (도시 Y2 방향) 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가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표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의 소직경 피니언 기어 (92) 가 상기 베이스 섀시 (20) 의 개구구멍 (21) 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래크부 (21a) 에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의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는, 상기 이동부재 (50) 의 개구구멍 (51) 과 가동부재 (60) 의 개구부 (61)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 (60) 에 형성된 제 2 래크부 (62) 에 맞물려 있다. 즉,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은, 제 1 래크부 (21a) 와 제 2 래크부 (62) 에 의해 X 방향의 양측에서 맞물려져 있다.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 (93) 은, 상기 캠부재 (12) 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기 상태)
도 5 및 도 6 은 하드 디스크가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 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평면도, 도 6 은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전방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 매체 (1) 의 카트리지 (2) 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30, 30) 에 형성된 경사면 (31a, 32a, 33a) 으로 둘러싸인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삽입부 (10A) 에 삽입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캠부재 (12) 는 도 3 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의 슬라이딩 핀 (93) 은, 상기 캠부재 (12) 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상기 광폭부 (12a3) 내의 Y2 측 (축 (11a) 으로부터 떨어진 측) 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부재 (50) 와 가동부재 (60) 는 상기 탄성부재 (S2)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거의 일체화된 상태로 도시 Y2 방향의 전방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드부재 (80) 도 상기 탄성부재 (S3)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전방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부재 (50) 가 전방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결과, 인입부재 (70) 의 아암부 (72) 가 탄성부재 (S1)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도 6 에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다. 즉,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가, 가이드부재 (30) 의 경사부 (32d) 에 오른 지지구멍 (32e) 내의 지지부 (32f)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위치부재 (17a) 의 액츄에이터 (17a1) 가, 이동부재 (50) 의 가압부 (53) 에 의해 가압되고 있어,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의 스위치상태가 OFF 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부재 (15)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고 있고, 제 2 스위치부재 (17b) 의 액츄에이터 (17b1) 가 가압부 (15b) 에 의해 가압되어, 제 2 스위치부재 (17b) 가 ON, 및 제 3 스위치부재 (17c) 가 OFF 로 설정되어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부재 (15)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고 있어, 제 2 스위치부재 (17b) 의 액츄에이터 (17b1) 가 가압부 (15b) 에 의해 가압되어, 제 2 스위치부재 (17b) 가 ON, 및 제 3 스위치부재 (17c) 가 OFF 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재 (50) 가 상기 삽입 대기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동작)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 (1) 의 카트리지 (2) 가 상기 삽입부 (10A) 에 삽입된다. 상기 카트리지 (2) 가 상기 삽입부 (10A) 에 삽입되면, 카트리지 (2) 의 양 측면 (2B, 2B) 이 상기 X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부재 (30, 30) 의 각 저면 (31), 측면 (32) 및 상면 (33) 사이에 끼인 상태로 삽입 방향 (Y1 방향) 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카트리지 (2) 가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면, 카트리지 (2) 의 전면 (2A) 이 상기 이동부재 (50) 에 형성된 피가압부 (52a, 52a) 에 맞닿고, 이동부재 (50) 가 상기 탄성부재 (S3) 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카트리지 (2) 와 동시에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카트리지 (2) 의 삽입시에는 상기 탄성부재 (S3) 가 상기 이동부재 (50) 의 댐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삽입 감촉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 (5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 (50) 의 가이드 핀 (54, 55) 의 하단이 상기 가동부재 (60) 의 가이드 긴구멍 (63, 64) 의 Y1 측 단부를 삽입 방향으로 누르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재 (50) 와 가동부 재 (60) 가 일체화된 상태로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가동부재 (60) 의 제 2 래크부 (62) 에 맞물리는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를 갖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도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고, 동력 전달 수단 (90) 의 슬라이딩 핀 (93) 은 상기 캠부재 (12) 의 광폭부 (12a3)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광폭부 (12a3) 안에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참조).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 (S3) 에 의한 댐퍼 기능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부재 (5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면, 인입부재 (70) 도 상기 이동부재 (50) 와 함께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가 상기 가이드부재 (30) 의 지지부 (32f) 로부터 이동하여 경사부 (32d) 에 도달하면, 상기 인입부재 (70) 가 상기 탄성부재 (S1) 에 의해 도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걸림부 (74) 는 상기 경사부 (32d) 를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단, 삽입 초기의 단계에서는, 상기 걸림부 (74) 는 카트리지 (2) 의 측면 (2B) 에 형성된 단차부 (2c) 에 지탱되어 있기 때문에, 인입부재 (70) 의 회전이 제한되어 상기 걸림부 (74) 가 가이드 긴구멍 (32c) 에 도달할 수 없도록 규제된다. 그리고, 또 카트리지 (2) 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2B) 에 형성된 오목부 (2d) 가 상기 가이드부재 (30) 의 경사부 (32d) 와 겹치는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인입부재 (70) 의 회전이 허용되게 되므로, 상기 걸림부 (74) 가 단차부 (2c) 를 하강하여 가이드 긴구멍 (32c) 에 도달하는 동시에 상기 오목부 (2d) 를 건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걸림부 (74) 가 높이 방향 (Y 방향) 으로 하강함으로써, 카트리지 (2) 의 오목부 (2d) 를 걸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2) 를 옆방향으로부터 거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전체의 폭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폭 방향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때에는, 이동부재 (50) 에 형성된 상기 가압부 (53) 가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의 액츄에이터 (17a1) 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의 스위치상태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기기 본체측의 제어부는, 상기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삽입부 (10A) 에 카트리지 (2) 가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카트리지 (2) 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삽입부 (10A) 에 대하여 오삽입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카트리지 (2) 의 후면 (2D) 측이 삽입부 (10A) 를 향하여 삽입된 경우나, 카트리지 (2) 의 상하를 거꾸로 한 상태로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74) 가 상기 카트리지 (2) 의 오목부 (2d, 2d) 를 거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인입부재 (70) 의 회전이 허용되지 않고, 인입부재 (70) 는 도 6 에 나타내는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비정상적인 방향의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 (2) 가 삽입 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면, 상기 인입부재 (70) 는 도 6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약간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어지지만, 상기 걸림부 (74) 가 지지구멍 (32e) 의 규제부 (32g) 에 맞닿아 더 이상 인입부재 (7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압압부 (53) 는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의 액츄에이터 (17a1) 의 누름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의 스위치상태의 전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정상적인 방향의 카트리지 (2) 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로딩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삽입 방향으로 반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비정상적인 방향의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 (2) 가 장치 내부로 반송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로딩 동작)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트리지 (2) 가 정상적인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스위치부재 (17a) 가 ON 상태로 전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구동 모터 (M) 를 시동시켜 캠부재 (12) 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부재 (12)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에 형성된 슬라이딩 핀 (93) 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을 따라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소직경 피니언 기어 (92) 가 상기 제 1 래크부 (21a) 에 맞물리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전동(轉動)하기 때문에, 동력 전달 수단 (90) 이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을 탑재한 슬라이드부재 (80) 가 탄성부재 (S3) 에 저항하면서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동시에, 상기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에 맞물리는 제 2 래크부 (62) 가,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의 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상기 제 2 래크부 (62) 를 갖는 가동부재 (6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동부재 (6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 (50) 가 상기 탄성부재 (S2) 를 통하여 삽입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기 때문에, 이동부재 (50) 도 가동부재 (60) 와 함께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5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부재 (50) 에 탑재된 상기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에 의해 걸려 있는 카트리지 (2) 가, 자동적으로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내부로 반송된다. 즉, 상기 캠부재 (12), 동력 전달 수단 (90), 이동부재 (50) 및 인입부재 (70) 등은, 카트리지 (2) 를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 (2) 는, 그 양 측면 (2B, 2B) 이 상기 가이드부재 (30, 30) 의 저면 (31), 측면 (32) 및 상면 (33) 의 3 개의 면에 유지된 상태로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상기 카트리지 (2) 가 가이드부재 (30, 30) 의 내부측에 도달하면, 상기 양 측면 (2B, 2B) 에 형성된 가이드 홈 (2b, 2b) 안에 상기 가이드부재 (30, 30) 의 내벽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돌출부 (32h, 32h) 가 삽입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 (2) 를 보다 안정된 자세로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2) 가 로딩되어 있을 때에는, 요동부재 (15) 의 제어 핀 (15a) 은, 상기 캠부재 (12) 의 제 2 슬라이딩 홈 (12b) 내의 상기 외주 단부 (12b1) 및 내주 단부 (12b2) 이외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요동부재 (15) 는 중립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스위치부재 (17b) 와 제 3 스위치부재 (17c) 는 모두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캠부재 (12) 가 로딩 상태에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커넥터의 접속 동작)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핀 (93) 이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연결부 (12a4) 를 지나가면,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은 소원호 홈 (12a2) 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핀 (93) 이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최내주부 (12a5) 에 도달하면, 슬라이딩 핀 (93) 의 이동에 따라서 인입부재 (70) 에 걸려 있는 상기 카트리지 (2) 의 전면 (2A) 에 형성된 개구부 (2a) 내에 내부 커넥터 (40) 의 접속부 (42) 가 삽입된다.
상기 카트리지 (2) 의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의 상기 개구부 (43) 가 서로 장착될 때에는, 이들 사이에 마찰 저항 등에 의한 삽입 부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의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에 맞물리는 가동부재 (60) 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카트리지 (2) 를 거는 인입부재 (70) 를 구비한 이동부재 (50) 는 상기 가동부재 (60) 와 함께 이동할 수 없고, 끼움 커넥터 (3) 가 내부 커넥터 (40) 에 맞닿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상기 가동부재 (60) 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 (60) 와 이동부재 (50) 사이에 가설된 탄성부재 (S2) 가 신장되어지므로, 상기 탄성부재 (S2) 의 탄성지지력이 서서히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S2) 의 탄성지지력이 상기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사이의 삽입 부하를 초과하면, 상기 끼움 커넥터 (3) 가 내부 커넥터 (40) 의 개구부 (43) 내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내부 커넥터 (40) 의 개구부 (43) 내에 카트리지 (2) 측의 상기 끼움 커넥터 (3) 가 장착되면, 끼움 커넥터 (3) 에 형성된 각 도전부 (3a) 와 내부 커넥 터 (40) 의 상기 개구부 (43) 내에 형성된 각 접속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 (1) 와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를 구비한 기기 본체 사이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재생이나 기록이 가능해진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의 장착이 완료되면, 요동부재 (15) 의 제어 핀 (15a) 은 상기 캠부재 (12) 의 제 2 슬라이딩 홈 (12b) 의 내주 단부 (12b2) 에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요동부재 (15) 는 도 9 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된다. 이 때, 요동부재 (15) 의 가압부 (15b) 가 제 2 스위치부재 (17b) 의 액츄에이터 (17b1) 를 누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캠부재 (12) 가 커넥터의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 도달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로딩 동작의 초기에서는,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의 슬라이딩 핀 (93) 이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대원호 홈 (12a1) 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이 제 1 슬라이딩 홈 (12a) 의 연결부 (12a4) 를 지나가면, 이번에는 소원호 홈 (12a2) 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대원호 홈 (12a1) 은, 소원호 홈 (12a2) 에 비하여 큰 곡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부재 (12) 가 거의 반바퀴 도는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을 도 3 에 나타내는 광폭부 (12a3) 의 위치 (a1) 로부터 도 8 에 나타내는 연결부 (12a4) 의 위치 (a2) 까지의 이동 거리 (L1) 를 이동시킨다. 이 때,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의 이동량, 즉 카트리지 (2) 의 삽입 방향에 대한 이동 거리는 L0 이다.
상기 카트리지 (2) 의 이동 거리 (L0) 와 슬라이딩 핀 (93) 의 이동 거리 (L1) 의 관계는 L0≤2ㆍL1 이다. 즉, 이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에서는, 상기 대원호 홈 (12a1) 을 사용한 경우, 슬라이딩 핀 (93) (즉, 동력 전달 수단 (90) 을 탑재한 슬라이드부재 (80)) 의 이동 거리 (L1) 의 약 절반 이하로 카트리지 (2) 의 이동 거리 (L1) 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 에서 도 9 에 도달하는 과정, 즉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이 상기 연결부 (12a4) 의 상기 위치 (a2) 로부터 상기 최내주부 (12a5) 에 도달하는 위치 (a3) 까지는,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은 상기 소원호 홈 (12a2) 에 의해 이동되어진다. 상기 소원호 홈 (12a2) 은 곡률 반경이 작기 때문에, 캠부재 (12) 가 거의 반바퀴 도는 동안에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을 상기 위치 (a2) 로부터 상기 위치 (a3) 까지의 이동 거리 (L2) 를 이동시킨다. 이 때,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입부재 (70) 의 걸림부 (74) 의 이동량, 즉 카트리지 (2) 의 삽입 방향에 대한 이동 거리는 L3 이다. 즉, 이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에서는, 상기 소원호 홈 (12a2) 을 사용한 경우, 슬라이딩 핀 (93) (즉, 동력 전달 수단 (90) 을 탑재한 슬라이드부재 (80)) 의 이동 거리 (L2) 와 카트리지 (2) 의 이동 거리 (L3) 는 거의 같다 (L2≒L3).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의 잇수 (N1) 와 소직경 피니언 기어 (92) 의 잇수 (N2) 는 N1>N2 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소직경 피니언 기어 (92) 가 제 1 래크부 (21a) 를 예를 들어 잇수 n 만큼 회전시키면, 상기 대직경 피니언 기어 (91) 에 맞물리는 제 2 래크부 (62) 를 잇수 (N1/N2)ㆍn (>n) 만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 2 래크부 (62) 를 갖는 가동부재 (60) 및 상기 가동부재 (60) 에 탄성부재 (S2) 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이동부재 (50) 의 Y 방향의 이동량을, 상기 동력 전달 수단 (90), 즉 동력 전달 수단 (90) 을 탑재한 슬라이드부재 (80) 의 Y 방향의 이동량보다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에서는, 슬라이드부재 (80) 의 이동 거리에 대하여 카트리지 (2) 를 2 배 이상의 긴 이동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 (80) 의 Y 방향의 이동 거리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캠부재 (12) 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하면, 카트리지 (2) 는 캠부재 (12) 가 처음으로 반바퀴 도는 동안 (슬라이딩 핀 (93) 이 대원호 홈 (12a1) 안에서 이동하는 동안) 에 이동 거리 (LO) 만큼 이동되고, 나머지 반바퀴를 도는 동안 (슬라이딩 핀 (93) 이 소원호 홈 (12a2) 안에서 이동하는 동안) 에 이동 거리 (L3) 만큼 이동된다. 즉, 카트리지 (2) 의 이동의 대부분을 상기 대원호 홈 (12a1) 이 수행하고 있어, 상기 대원호 홈 (12a1) 은 카트리지 (2) 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반송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이동 거리 (L0) 와 이동 거리 (L3) 의 관계는 L0>L3 이므로, 상기 대원호 홈 (12a1) 쪽이 상기 소원호 홈 (12a2) 보다도 카트리지 (2) 를 고속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카트리지 (2) 를 삽입부 (10A) 에 삽입하면, 카트리지 (2) 를 재빠르게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내부로 끌어 들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대형 (2.5 인치형) 하드 디스크와 같이, 외형 치수가 Y 방향으로 긴 기록 매체 (1) 라도 기록 매체 (1) 를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내부에 끌어 들이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 (2) 의 끼움 커넥터 (3) 가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측의 내부 커넥터 (40) 에 장착될 때에는, 슬라이딩 핀 (93) 이 상기 캠부재 (12) 의 내주측에 형성된 소원호 홈 (12a2) 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은 외주측의 대원호 홈 (12a1) 때보다도 큰 토크로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인입부재 (70) 에는 큰 인입력 (끌어 들이는 힘) 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를 보다 강한 힘으로 끼워 맞추고 또 접속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캠부재 (12) 의 소원호 홈 (12a2) 은, 상기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를 보다 강한 힘으로 장착시키는 접속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핀 (93) 이 상기 소원호 홈 (12a2) 에서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부재 (S2) 의 탄성지지력이 상기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사이의 삽입 부하를 초과하여 상기 끼움 커넥터 (3) 가 내부 커넥터 (40) 의 개구부 (43) 내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에서는, 상기 인입부재 (70) 에 의한 큰 인입력에 추가하여 상기 탄성부재 (S2) 의 잡아 당기는 힘이 보조적으로 작용하여, 더욱 큰 장착력으로 상기 끼움 커넥터 (3) 를 내부 커넥터 (40) 에 대하여 완전하게 끼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기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카트리지 (2) 를 이동시키는 대원호 홈 (12a1) 과 커넥터끼리를 접속시키는 소원호 홈 (12a2) 은 연속하는 제 1 슬라이딩 홈 (12a) 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2) 를 이동시키는 이동 동작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끼리를 접속시키는 접속 동작으로 빠르게 이행시킬 수 있다.
또, 카트리지 (2) 의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내부에 대한 장착 동작이 완료되면, 소형 기록 매체 (1) 이거나 대형 기록 매체 (1) 이거나 상관없이, 어느 것에 대해서도 카트리지 (2) 전체를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의 내부로 완전히 끌어 들일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중에 카트리지 (2) 의 일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 데이터 에러나 데이터 파괴 등이 발생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를 갖는 기록 매체의 실시형태로서 리무버블 하드 디스크 (1) 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예를 들어 카트리지 (2) 내에 자기 디스크 대신에 IC 메모리를 내장한 기록 매체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로서는, 가동부재 (60) 를 이동부재 (50) 와 별도로 구성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래크부 (62) 를 이동부재 (50) 의 개구구멍 (51) 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형성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한 쪽이, 상기 탄성부재 (S2) 의 잡아 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끼움 커넥터 (3) 와 내부 커넥터 (40) 를 완전히 끼워 맞출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동 기어 (90) 를 잇수가 다른 2 종류의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는 2 단 기어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 개의 피니언 기어로 이루어지는 이동 기어 (90) 에 제 1 래크부 (21a) 와 제 2 래크부 (62) 가 맞물리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2 단 기어로 한 쪽이, 상기 치수비를 이용하여 이동 기어 (90) 를 탑재한 슬라이드부재 (80) 의 이동량에 대하여 이동부재 (50) 및 가동부재 (60) 의 이동량을 많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원의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로딩 기구를 구비한 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출납이 용이해져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기록 매체 장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 전체를 장치 내부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동작 중의 기록 매체의 일부에 외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어져, 데이터 에러나 데이터 파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가 기록 매체의 높이 방향으로부터 기록 매체의 오목부를 거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특히 기록 매체 장착 장치의 폭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에 경사부를 형성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인입부재의 걸림부가 확실하게 기록 매체측의 오목부를 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기록 매체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규제부가 인입부재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에, 상기 비정상적인 방향에서 기록 매체가 장치 내부로 반송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원의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각 부재마다 전용 기어 기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캠부재를 사용하여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로딩 기구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의 발생 빈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기록 매체의 이동량의 거의 절반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삽입 방향의 장치의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를 오토 로딩 기구에 의해 장치 내에 반송했을 때에, 상기 로딩 기구의 인입력과 탄성부재의 인장력에 의해 큰 장착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기록 매체측 커넥터와 장치 내부의 커넥터를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소직경 기어의 잇수와 대직경 기어의 잇수의 비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동부재 및 가동부재의 이동량에 대하여 이동 기어를 탑재한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부재의 이동량을 기록 매체 및 이것을 유지한 이동부재의 이동량의 절반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더욱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기록 매체의 삽입력에 따라서 이동부재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삽입 감각, 즉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어부가 각 스위치의 상태로부터 장치 전체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장의 발생 빈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제 2 스위치부재 및 제 3 스위치부재를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1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보다 큰 힘으로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를 완전히 끼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기 기록 매체측 커넥터와 장치측 커넥터를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원의 청구항 1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의 외부 접속부가 장치측 커넥터에 끼워질 때에, 기록 매체를 삽입부로부터 내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힘보다도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를 끼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 청구항 14 및 1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회전 캠부재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록 매체를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큰 힘으로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를 끼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청구항 1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탄성부재를 댐퍼로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록 매체를 삽입하면 이동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저항하여 삽입 방 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기록 매체의 삽입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댐퍼 기능을 구비한 경우라도, 제어부가 각 스위치의 상태로부터 장치 전체의 동작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각종 장치 내의 각 동작을 확실히 실행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착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를 갖고,
    상기 로딩 기구가, 상기 기록 매체를 걸어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끌어 들이는 인입부재와, 상기 인입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인입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의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를 거는 걸림부를 갖고, 또한 상기 이동부재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가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오목부에 상방으로부터 들어옴으로써 상기 기록 매체가 걸리고,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기록 매체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의 측부에는, 상기 인입부재의 걸림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긴 구멍과, 상기 걸림부를 상기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는 비걸림상태로 설정하는 지지구멍과, 상기 걸림부를 상기 지지구멍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긴 구멍 안으로 안내하여 상기 오목부를 거는 걸림상태로 유도하는 경사부를 갖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 방향으로 이동한 때에,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지지구멍으로부터 상기 경사부를 하강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오목부를 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멍의 삽입 방향측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강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인입부재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금지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5.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착 완료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를 갖고,
    상기 로딩 기구가, 제 1 슬라이딩 홈을 갖고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캠부재의 제 1 슬라이딩 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슬라이딩 핀을 구비한 이동 기어와, 상기 이동 기어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탑재되어 상기 기록 매체를 거는 인입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의 이동력을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력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환 수단은, 상기 이동 기어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여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에 따른 회전을 발생시키는 제 1 래크부가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일체 또는 별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이동 기어에 맞물려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삽입 방향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제 2 래크부를 가지고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환 수단에 상기 제 2 래크부를 갖는 가동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사이가 제 1 탄성부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어가, 소직경 기어와 대직경 기어가 동축 상에 일체로 형성된 2 단 기어이고, 상기 소직경 기어가 상기 제 1 래크부에 맞물리고, 또한 상기 대직경 기어가 상기 제 2 래크부에 맞물리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맞닿는 피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제 2 탄성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약간 이동된 때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탑재된 상기 슬라이딩 핀의 이동을 허용하는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인입부재에 의해 걸렸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스위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삽입부측인 삽입 대기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2 스위치부재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는 상기 장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3 스위치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에는 제 2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어 핀을 갖는 동시에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에 따라서 상기 제 2 스위치부재와 제 3 스위치부재의 스위치 상태를 전환하는 요동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불완전한 상태로 끼워지고, 이들 사이에 발생한 삽입 부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제한된 후에, 상기 가동부재만이 상기 장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탄성부재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장력이 상기 삽입 부하를 초과한 때에,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완전히 끼워지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3. 삭제
  14. 외부 접속부가 형성된 기록 매체가 착탈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가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외부 접속부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부와 커넥터가 접속되는 장착 완료 위치까지 삽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딩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딩 기구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기록 매체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반송부로서 기능하는 제 1 캠 홈과, 상기 외부 접속부를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제 2 캠 홈이 연속하여 형성된 슬라이딩 홈을 갖고 있고, 상기 제 2 캠 홈이 상기 제 1 캠 홈보다도 상기 기록 매체에 대하여 큰 힘을 작용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 홈은, 상기 캠부재의 외주측에 형성된 곡률 반경이 큰 대원호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캠 홈은 상기 제 1 캠 홈보다도 내주측에 형성된 곡률 반경이 작은 소원호 홈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기구에는, 상기 기록 매체가 맞닿는 피가압부와 상기 기록 매체를 거는 인입부재를 갖고 또한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제 1 캠 홈과 제 2 캠 홈내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핀과, 상기 슬라이딩 핀을 탑재하고 또한 상기 슬라이딩 핀과 함께 이동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딩하는 베이스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삽입 방향과는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캠 홈에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피가압부를 가압하고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탄성부재에 저항하여 상기 삽입 방향으로 약간 이동된 때에, 상기 슬라이딩 핀의 이동을 허용하는 광폭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인입부재에 의해 걸렸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스위치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삽입부측인 삽입 대기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2 스위치부재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기록 매체가 상기 외부 접속부와 상기 커넥터가 끼워지는 상기 장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상기 캠부재의 회전량으로부터 검출하는 제 3 스위치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기록 매체 장착 장치.
KR1020050009175A 2004-02-19 2005-02-01 기록 매체 장착 장치 KR100640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2691 2004-02-19
JP2004042696A JP4317053B2 (ja) 2004-02-19 2004-02-19 記録媒体装着装置
JPJP-P-2004-00042685 2004-02-19
JP2004042691A JP4317052B2 (ja) 2004-02-19 2004-02-19 記録媒体装着装置
JPJP-P-2004-00042696 2004-02-19
JP2004042685A JP4317051B2 (ja) 2004-02-19 2004-02-19 記録媒体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921A KR20060042921A (ko) 2006-05-15
KR100640711B1 true KR100640711B1 (ko) 2006-10-31

Family

ID=3486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175A KR100640711B1 (ko) 2004-02-19 2005-02-01 기록 매체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54756B2 (ko)
KR (1) KR100640711B1 (ko)
CN (1) CN1005114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7011A (ja) * 2004-11-17 2006-06-08 Toshiba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6236439A (ja) * 2005-02-23 2006-09-07 Alps Electric Co Ltd 記録媒体装着装置
JP2006312273A (ja) * 2005-05-09 2006-11-16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346915B2 (en) * 2005-09-09 2008-03-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act and portable optical disc drive
TW201111952A (en) * 2009-09-25 2011-04-01 Pegatron Corp Computer
CN103188905B (zh) * 2011-12-27 2017-04-1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进出机构的电子装置
JP5929273B2 (ja) * 2012-02-07 2016-06-01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装置
TW201424151A (zh) * 2012-12-04 2014-06-16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擴充盒
US9703333B1 (en) * 2016-03-22 2017-07-11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Insertion/ejection assist mechanism for removable storage cartridge system
CN110787335A (zh) * 2019-11-05 2020-02-14 戴维 普外科伤口冲洗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176A (ko) * 2001-04-26 2004-02-1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저장 라이브러리의 휴대용 저장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그리퍼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8817A (en) * 1990-04-27 1993-12-07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computer with keyboard and having display with coordinate input tablet rotatably mounted to face either toward or away from keyboard when closed over keyboard
JP2763384B2 (ja) 1990-06-14 1998-06-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装置搭載ユニット
EP1257162A3 (en) * 2001-05-07 2003-08-13 Pioneer Corporation Prote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against static electricity and erroneous operations
JP4219844B2 (ja) * 2004-04-09 2009-0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176A (ko) * 2001-04-26 2004-02-18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저장 라이브러리의 휴대용 저장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그리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58309A (zh) 2005-08-24
US20050185375A1 (en) 2005-08-25
KR20060042921A (ko) 2006-05-15
US7154756B2 (en) 2006-12-26
CN100511448C (zh)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711B1 (ko) 기록 매체 장착 장치
US6510026B2 (en) Exchangeable storage apparatus, recording medium drive actuator, head drive actuator, and recording medium cartridge
JP2007173473A (ja) 蓋開閉装置
US8064312B2 (en) Disk accommodating device, disk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8023039B2 (en) Image capture apparatus with an operation member for a cover of a connector
KR100673349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US7428740B2 (en) Recording medium drive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recording medium drive apparatus
JP4317052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4317051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4317053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4390759B2 (ja) 記憶媒体装着装置、及び電気機器
CN104517618A (zh) 便携终端用连接托盘装置
US20040228223A1 (en) Disk cartridge and device to which disk cartridge is inserted
JP4360576B2 (ja) 単リール型の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20080136954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KR100764032B1 (ko)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및 기억매체의 로딩방법
JP4264385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4264402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KR100727137B1 (ko) 디스플레이 기기
JP4446162B2 (ja)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4234726A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
JP2002133842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パネル装置及びディスクプレーヤー一体型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
JP2006079774A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2001237111A (ja) 回動操作つまみの回動防止機構
US20060092319A1 (en) Image pickup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