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7752B1 -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7752B1
KR100637752B1 KR1020000080177A KR20000080177A KR100637752B1 KR 100637752 B1 KR100637752 B1 KR 100637752B1 KR 1020000080177 A KR1020000080177 A KR 1020000080177A KR 20000080177 A KR20000080177 A KR 20000080177A KR 100637752 B1 KR100637752 B1 KR 100637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fine particles
spinning
metal fine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902A (ko
Inventor
정성훈
오성근
이성철
여상영
Original Assignee
(주)엔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피텍 filed Critical (주)엔피텍
Priority to KR102000008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7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하는 합성섬유는 일반적으로 용융방사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섬유 원료(PET, Nylon, PP 등) 중합칩을 주성분으로 하고, 나노금속분말 등의 물질을 부성분으로 하여 나누어진다.
나노금속분말 등의 부성분을 주성분인 중합칩에 혼합하여, 건조기에서 충분한 건조를 위하여 30분∼1시간 30분에 걸쳐 130∼180℃의 온도로 건조시킨다. 혼합공정은 프로펠러와 같은 기계적인 혼합장치를 이용하여 행해지며, 건조공정은 통상의 건조기(dryer)를 이용한다. 혼합 및 건조공정이 완료되면 방사기에서 용융방사한다. 방사된 필라멘트는 유연제, 대전방지제 등의 필요한 약제처리를 행한 후 일정한 비율로 연신공정을 행한 후 권취한다. 필요에 따라 크림프를 형성시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얻고자 하는 스테이플사를 제조한다.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 합성섬유, 방사, 항균, 전도성 섬유

Description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Synthetic fibers containing nano-scale metal p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제1도는 금속미립자를 혼합하여 방사한 섬유
제2a도는 금속미립자가 가운데 함유된 섬유
제2b도는 제2a도와 같은 합성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제3도는 금속미립자가 사이드에 함유된 섬유
*주요부호의 설명
1 : 금속미립자 2 : 합성섬유
3 : 질소가스 4 : 고분자용융물
본 발명은 합성섬유의 원료인 중합칩에 나노(nano) 스케일의 금속미립자를 혼합하여 방사한 합성섬유로서 항균성 및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합성섬유에 관한 것이다.
중합칩을 용융방사하는 합성섬유를 얻는 방법은 현재까지 섬유의 제조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합성섬유의 제조에 있어, 섬유에서 최종제품까지의 물성과 기능을 보다 우수하며 다양하게 만들려는 많은 노력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섬유의 원료인 중합칩에 항균력이 우수한 1-100nm 크기의 금속미립자와 혼합하여 방사함으로써 종래의 합성섬유보다 보다 우수한 항균성과 전기전도성, 심색성을 갖는 합성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원료 중합칩 약 90∼99 중량 %에 나노금속분말가루 약 1∼10 중량 %를 호파(hopper)에서 혼합한다. 혼합 호파(mixing hopper) 내에서의 혼합은 원료 중합칩을 녹인 후에 금속 미립자를 투입하여 프로펠러와 같은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때 사용되는 금속 미립자는 그 평균입자의 크기가 약 1∼100nm인 순도 99% 이상인 나노 스케일의 금속분말가루이다. 이때 원료를 회전시켜 중합칩에 금속 미립자가 고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금속 미립자를 고르게 부착시켜야 용융방사시 또는 방사후의 섬유로부터 금속 미립자가 분리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금속 미립자가 혼합된 섬유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도 2b는 도 2a의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투입구(11) 및 혼합 노즐(13)을 포함하고 그리고 혼합 노즐(13)은 제1 분지 노즐(13a) 및 제2 분지 노즐(13b)을 포함한다. 원료 중합 칩 90 내지 99 중량%가 투입구(11)로 투입되어 혼합 호퍼(도시되지 않음)에서 용융이 되면 제1 분지 노즐(13a)을 통하여 금속 미립자가 혼합 호퍼로 유입이 된다. 금속 미립자는 평균 입자의 직경이 1 내지 100 ㎚가 되고 순도 99% 이상이 되는 나노 스케일의 입자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2 분지 노즐(13b)을 통하여 질소 가스를 유입시킨다. 금속 미립자의 균일한 부착을 위하여 원료 중합 칩을 회전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균일한 금속 미립자의 부착은 용융 방사 또는 방사 후 섬유로부터 금속 미립자의 분리를 방지한다.
혼합호파에서 충분히 혼합된 원료물질은 낟알(pellet) 모양으로 다시 나누어져 건조호파(dry hopper)로 압입(壓入)되어 건조시킨다. 이 건조공정의 호파내의 온도는 충분한 건조를 위하여 130∼180℃로 유지시키고 30분∼1시간 30분정도 건조시킨다. 혼합 및 건조공정이 완료된 칩을 용융방사하기 위하여 방사호파(extruder hopper)에 이동시켜 방사기 스크류를 통과시키면서 노즐을 통하여 방사한다. 스크류의 헤드로부터 실린더 및 노즐을 유지하는 온도는 통상의 합성섬유의 방사와 같 이 대단히 중요하다.
방사기를 통과한 용융된 원료물질은 노즐을 통하여 필라멘트상으로 섬유가 제조된다. 방사(紡絲)된 토우(tow)를 권취시 안정성을 부여하고, 연신과 가연 등의 후처리 공정에서 실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유연제와 대전방지제의 침지유에 통과시키면서 1 : 1.5 정도의 비율로 1차 연신하면서 권취한다. 이때 권취 RPM을 재료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해야 사절(絲切) 현상을 배제할 수 있다.
권취된 보빈(bobbin)을 200개 정도로 합하여 건조기에서 150℃로 건조시킨다. 이때 토우중량에 따라 100∼150℃로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여야 한다. 건조된 토우는 연신기에서 적절한 연신비로 연신한다.
2차 연신된 토우는 토우 진입 입출 로울러의 RPM 속도차에 의하여 크림프가 생성된다. 크림프의 수에 따라 섬유의 물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원하는 물성에 따라 적절한 수의 크림프를 부여한다. 크림프가 형성된 섬유는 회전용 절단기에서 적절한 섬유장으로 절단한다.
제조된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는 첨가되는 금속 미립자에 따라 항균성 또는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Claims (3)

  1. 나노 크기의 금속 미립자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합성섬유 원료 중합 칩을 용융시키는 단계;
    상기 용융 과정에서 직경이 1 내지 100 ㎚인 나노 크기의 금속 미립자 및 질소 가스를 원료 중합 칩에 투입시키는 단계;
    금속 미립자와 혼합된 중합 칩을 건조시킨 후 방사하는 단계; 및
    1차 및 2차 연신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원료 중합 칩은 90 내지 99 중량% 그리고 금속 미립자는 1 내지 10 중량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삭제
KR1020000080177A 2000-12-22 2000-12-22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637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177A KR100637752B1 (ko) 2000-12-22 2000-12-22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177A KR100637752B1 (ko) 2000-12-22 2000-12-22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902A KR20020050902A (ko) 2002-06-28
KR100637752B1 true KR100637752B1 (ko) 2006-10-23

Family

ID=2768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177A KR100637752B1 (ko) 2000-12-22 2000-12-22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7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16B1 (ko) * 2002-08-16 2006-05-26 주식회사 우성테크 활성탄을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제조방법
KR101234255B1 (ko) * 2011-01-04 2013-02-18 (주)엔피텍 나노실버입자를 함유한 극세 폴리에스테르 경편 파일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56731B1 (ko) * 2012-01-17 2012-06-15 이종두 실리카를 함유한 광석 중합칩을 이용한 친환경, 난연, 고기능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섬유 및 천연섬유 제조방법
US10619268B2 (en) 2013-11-13 2020-04-14 Illinois Tool Works, Inc. Metal detectable fiber and articles formed from the same
US10753022B2 (en) 2014-07-25 2020-08-25 Illinois Tool Works, Inc. Particle-filled fiber and articles formed from the same
US11542634B2 (en) 2014-07-25 2023-01-03 Illinois Tool Works Inc. Particle-filled fiber and articles formed from the same
KR101515208B1 (ko) * 2014-08-05 2015-04-24 이종두 천연 광물에 포함된 광물계 소마티드 캘비 융합 마스터 배치 칩을 이용한 다기능 섬유 제조방법
US10947664B2 (en) 2018-02-19 2021-03-16 Illinois Tool Works Inc. Metal detectable scouring pa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713A (ko) * 1990-11-28 1992-06-27 세끼자와 다다시 플레트형 표시장치의 계조구동회로 및 그 계조구동방법
KR920010713B1 (ko) * 1990-12-29 1992-12-14 주식회사 코오롱 사상발열체의 제조방법
KR960041435A (ko) * 1995-05-30 1996-12-19 백영배 전기전도성 복합섬유
JPH09228241A (ja) * 1996-02-20 1997-09-02 Japan Exlan Co Ltd 抗菌・抗黴繊維とその製造方法
JPH11189912A (ja) * 1997-12-25 1999-07-13 Gunze Ltd 金属粉体含有グリーン繊維とその製造方法
KR20010108526A (ko) * 2000-05-29 2001-12-08 구광시 심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0713A (ko) * 1990-11-28 1992-06-27 세끼자와 다다시 플레트형 표시장치의 계조구동회로 및 그 계조구동방법
KR920010713B1 (ko) * 1990-12-29 1992-12-14 주식회사 코오롱 사상발열체의 제조방법
KR960041435A (ko) * 1995-05-30 1996-12-19 백영배 전기전도성 복합섬유
JPH09228241A (ja) * 1996-02-20 1997-09-02 Japan Exlan Co Ltd 抗菌・抗黴繊維とその製造方法
JPH11189912A (ja) * 1997-12-25 1999-07-13 Gunze Ltd 金属粉体含有グリーン繊維とその製造方法
KR20010108526A (ko) * 2000-05-29 2001-12-08 구광시 심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902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1584B2 (ja) ナノ繊維からなる連続状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
US6949287B2 (en) Polytetrafluoroethylene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1229209A (en) Method of producing non-flammable, high- temperature resistant polyimide fibers
KR100637752B1 (ko) 나노사이즈 금속미립자를 함유한 합성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556948B1 (ko)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 전도성 다섬유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06391A1 (en) Centrifugal spinning process
JP2017507216A5 (ko)
DE1953772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chanisch stabilen polyfilen Filamentbündeln aus Cellulose mit einem sehr hohen Anteil von Zusatzstoffen
CN101307509A (zh) 一种超高分子量聚乙烯纤维纺丝新方法
KR930011324B1 (ko) 바이오 세라믹 섬유의 제조방법
JPH03130413A (ja) 芯鞘型複合磁性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磁性繊維集合体
KR950000736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용융방사하여 사를 제조하는 방법
CN1103386C (zh) 聚酰胺66耐高温抗氧化纤维的制造方法
WO2021097668A1 (zh) 一种黑色海岛网络丝加工工艺
KR100613189B1 (ko) 은 나노 합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836604B1 (ko) 합성수지 마스터 배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2249927A (ja) 短繊維不織布用ポリイ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201008A (ja) 導電性モノフイラメントの製造方法
KR910005543B1 (ko) 대전방지 코스펀사
KR102471577B1 (ko) 기능성 원사 제조방법
JP2004244787A (ja)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86783B1 (ko) 시스-코어 구조의 기능성 원사 제조장치
JPH0429765B2 (ko)
JPS60185811A (ja) 銅粉含有モノフイ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漁業用資材
JP6953741B2 (ja) ポリエチレン繊維、繊維製品、およびポリエチレン繊維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