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868B1 - 우수한 표면 품질을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스트립을 쌍롤로 연속 주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스트립 - Google Patents

우수한 표면 품질을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스트립을 쌍롤로 연속 주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스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868B1
KR100636868B1 KR1020017013393A KR20017013393A KR100636868B1 KR 100636868 B1 KR100636868 B1 KR 100636868B1 KR 1020017013393 A KR1020017013393 A KR 1020017013393A KR 20017013393 A KR20017013393 A KR 20017013393A KR 100636868 B1 KR100636868 B1 KR 10063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rolls
casting
strip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824A (ko
Inventor
크리스띠앙 마르시오니
프레데릭 마쥐리에
쟝-미셸 다마스
프레데릭 데스꺄브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셀러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01011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51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22D11/002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97Accessories therefor for casting in a protected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10mm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연속 주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접 액상 금속으로부터 2개의 냉각된 회전롤간에서 연속 주조한다. 본 발명은 강 조성이 무게비로 %C ≤0.08. %Si ≤1, %P ≤0.04, %Mn ≤2, 17 ≤%Cr ≤20, 8 ≤%Ni ≤10.5, 0.007 ≤%S ≤0.040이고, 용융으로부터 철과 불순물간에 평형이 존재하며, 1.55 ≤Creq/Nieq 비 ≤1.90 이고, Creq(%) = Cr% + 1.37Mo% + 1.5Si% + 2Nb% + 3Ti% 및 Nieq(%) = Ni% + 0.31Mn% + 22C% + 14.2N% + Cu% 이며, 롤의 표면은 단면에 100㎛∼1500㎛의 지름 및 20㎛∼150㎛의 깊이를 지닌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지닌 접촉 딤플을 포함하며, 메니스커스 (meniscus)를 둘러싼 불활성 가스는 강내의 가용성 기체, 이 기체의 혼합물, 이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 부피의 5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수한 표면 품질을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쌍롤로 연속 주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스트립 {METHOD FOR CONTINUOUSLY CASTING BETWEEN TWO ROLLS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RIPS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RESULTING STRIPS}
본 발명은 금속의 연속 주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금속으로부터 직접 페라이트(ferrite)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strip)을 연속 주조하는 것으로서, "쌍롤 주조(twin-roll casting)"라고 하는 공정을 사용하여 그 두께를 수 mm로 한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액상 금속으로부터 직접 탄소강 박판(thin strip) 또는 스테인리스강 박판을 주조하기 위한 공정 개발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공정은 2개의 롤사이에서 전술한 액상 금속을 주조하는 것이며, 전술한 2개의 롤은 그 내부가 냉각되어 있고, 그 수평축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각각 나란히 위치하고, 이들 표면간의 최소 거리는 예를 들면 수 mm로, 주조판에 부여하는 데 바람직한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액상 금속을 포함하는 주조 공간은 2개의 롤의 측면 및 측면 경계판으로 정의하는 데, 전술한 롤의 측면 위에서 스트립이 고형화하기 시작되고, 전술한 측면 경계판은 롤의 양단부에 맞닿아 있는 내화물로 만들어진다. 액상 금속은 롤의 외부 표면에 접촉하여 응고되기 시작하고, 그 위에 고형화한 "셀(shell)"이 형성되며, 이러한 셀들이 "닙(nip)" 영역에서 만나 배열이 만들어진다. 닙 영역은 롤사이의 거리가 최소인 영역을 말한다.
쌍롤 주조법에 따른 박판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경우에 직면하는 주요 문제점 중의 하나는 스트립상에 미세 균열(microcracks)이라고 하는 표면 결함이 생길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러한 균열은 미세하지만, 충분히 사용에 부적합한 냉각 처리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미세 균열은 강의 고형화 중에 형성되며, 약 40㎛의 깊이와 약 20㎛의 직경을 가진다. 이것은 강이 접촉 원주 길이에 걸쳐 롤표면과 접촉시 고형화 조건에 따라 일어난다. 이러한 조건을 2개의 연속적인 단계로 기술할 수 있다. 제1 단계는 롤 표면에서 고상인 강의 셀을 형성하는 액상의 강과 롤 표면간의 초기 접촉에 관한 것이다. 제2 단계는 닙까지의 이러한 셀의 성장에 관한 것이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롤위에 형성된 셀과 결합하여 완전히 고형화한 스트립을 형성한다. 강과 롤표면간의 접촉은 주조 공간을 둘러싼 불활성 가스의 성질, 강의 화학 조성 및 주조롤 표면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모든 이러한 매개 변수들은 강과 롤간의 열전달을 확립하는 데 수반되고, 셀이 고형화하는 조건을 결정한다. 셀은 고형화되고 냉각됨에 따라 수축한다. 이는 특히 δ→γ상변태 정도에 의존하며, 극히 미세한 수준으로 금속 밀도의 실질적인 변화와 함께 발생한다. 이는 주조 금속의 조성에 따라 결정한다. 이러한 수축은 또한 셀 고형화 및 냉각 조건을 변형시킨다.
Creq/Nieq 비는 종래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고형화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는 다음의 공식에 따라 Hammar and Swesson 관계를 사용하여 중량%로 계산한다.
Creq(%) = Cr% + 1.37Mo% + 1.5Si% + 2Nb% + 3Ti%
Nieq(%) = Ni% + 0.31Mn% + 22C% + 14.2N% + Cu%
미세 균열과 같이 수용할 수 없는 표면 결함이 존재하지 않고, 건실한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쌍롤 주조 공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럽 특허 EP-A-0 409 645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여기서는 불활성 가스를 롤 표면상에 존재하는 "딤플(dimple)"[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의 에칭된 리세스(recess)]로 정의된 형상과 융합시킨다. 이 불활성 가스는 강내에 30%∼90%의 가용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물이며, 롤 및 액상의 강과 처음 접촉시 딤플(dimple)을 코팅한다. 유럽 특허 EP-A-0 481 481은 1차 페라이트가 δ→δ+ γ변태함에 따라 고형화를 촉진하도록, 화학 조성을 롤상의 딤플 형상에 융합한다. 이 화학 조성에서 δ-Fecal 지수는 δ-Fecal = 3 (Cr% + 1.5Si% + Mo%) - 2.8 (Ni% + 0.5Mn% + 0.5Cu%) - 84 (C% + N%) - 19.8 로 정의하며 5%∼9%의 범위에 있다. 딤플은 종래에 숏 블라스팅(shot blasting) 또는 레이저 기계 가공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전술한 양 특허에서 이러한 딤플을 서로 격리할 필요가 있다.
유럽 특허 EP-A-0 679 114는 롤 표면에 만들어진 원주형 홈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로 인해 표면은 2.5㎛∼15㎛의 거칠기(roughness)(Ra)를 가진다. 이는 1차 오스테나이트로서 강 고형화의 허용 화학 조성과 결합하며, Creq/Nieq 비가 1.6 미만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1차 오스테나이트로의 고형화는 스테인리스강의 고온 균열 민감도 및 스트립에서 종방향 균열이 형성될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EP-A-O 796 685는 고온에서 상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주조를 실시하기 위해서 Creq/Nieq의 비가 1.55이상인 강을 주조할 것을 제안한다. 이는 직경이 100㎛∼1500㎛이고 깊이가 20㎛∼150㎛인 접촉 딤플(touching dimple)을 포함하는 표면을 지닌 롤을 사용하고, 강내의 가용성 가스 또는 이러한 가용성 가스를 주로 하여 이루어진 가스 혼합물로 메니스커스(액상 금속 표면과 롤 표면간의 교점) 주변 영역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거칠기의 침하부(valley)는 고형화 중에 금속 수축 접합을 이루는 반면에, 거칠기의 피크점은 고형화 개시용 공간 역할을 하고 응력을 양호하게 분포시킨다. 그러나 Creq/Nieq 비가 1.7 이상인 경우, 약간의 미세 균열을 언제나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간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 주조 및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한 미세 균열의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주조 스트립 표면상에 미세 균열이 존재시 금속의 황함유량의 영향을 나타내는 곡선을 표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 균열 및 기타 중요 결함이 없는 표면을 지니고, 실시하는 경우 특히 큰 수고를 요하는 주조 조건을 요구하지 않으며, 공정시보다 Creq/Nieq 비가 커진 강을 주조할 수 있도록 박판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주조하는 공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2개의 냉각된 수평롤간에 액상 금속으로부터 직접 10mm 이하의 두께를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연속 주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강의 조성은 중량비로 C% ≤0.08. Si% ≤1, P% ≤0.04, Mn% ≤2, 17 ≤Cr% ≤20, 8 ≤Ni% ≤10.5, 0.007 ≤S% ≤0.040, 나머지는 철 및 용융으로 인한 불순물이며,
1.55 ≤Creq/Nieq 비 ≤1.90 을 만족하고, 이 때,
Creq(%) = Cr% + 1.37Mo% + 1.5Si% + 2Nb% + 3Ti% 및
Nieq(%) = Ni% + 0.31Mn% + 22C% + 14.2N% + Cu% 이며,
롤의 표면은 100㎛∼1500㎛의 직경 및 20㎛∼150㎛의 깊이를 지니고, 단면에 걸쳐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인 접촉 딤플을 가지며,
메니스커스(meniscus)를 둘러싼 불활성 가스는 강 내 가용성 기체, 이 기체의 혼합물, 또는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 부피의 적어도 50%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이러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스트립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 균열이 없는 스트립 표면을 얻기 위하여 주조 금속 조성, 롤의 표면 마무리 및 메니스커스를 비활성화하기 위한 가스 조성에 관한 조건들을 결합한다. 요구되는 조성에서 주로 새로운 것은 금속이 대개 대하는 양보다 많은 양의 황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므로(그러나 제품의 부식 저항성에 대한 절충점에 비해 높지 않도록), 이러한 함유량은 정밀한 Creq/Nieq 비의 범위와 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첨부한 도면과 함께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액상인 강이 먼저 롤과 접촉하는 조건은 스트립 고형화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를 이루며, 스트립의 표면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주조 스트립상에 미세 균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이들을 잘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롤사이에 위치하는 액상 금속 표면 높이에서의 불가피한 요동은 이러한 제어를 복잡하게 하고, 첫 번째 접촉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에서 불균일성의 근원이 되므로 특히 복잡하다. 셀의 고형화시 다음 단계에서 또다른 불균일성은 고형화중 금속의 수축에 기인하고, 이는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징인 고온 상변태를 일으킨다. 이러한 수축은 미세 균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1은 종방향 단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1)의 시편의 미세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이 스트립(1)은 표면(2)상에 본 발명이 특히 예방하려고 하는 유형의 미세 균열(3)을 가진다. 이 시편에 실시한 금속 현미경 에칭은 미세 균열(3) 주변 및 그 연장선을 따라 위치한 밝은 영역(4)를 드러낸다. 이것은 니켈 및 망간 등의 특정 성분이 풍부한 격리 영역에 대응한다.
롤표면의 액상인 강의 표면 장력에 작용하는 황같은 액상 금속에 표면 활성화 성분을 첨가하는 것은, 금속이 우선 주조롤과 접촉하는 조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이러한 첨가는 롤표면을 양호하게 적셔서 액상 금속 메니스커스의 형상을 실질적으로 안정시킨다. 이것은 첫 번째 접촉 동안 액상 금속과 롤 표면간의 열교환에서 장시간 동안 균일성 및 규칙성을 상당히 개선한다. 발명자는 304형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 주물 박판 스트립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금속 조직부에 생성된 원주형 셀의 두께의 규칙도 측정에 기초하여 이러한 효과를 기술한다. 이러한 두께의 불규칙성은 주조 스트립이 그 표면에 미세 균열을 나타내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명백해진다. 대조적으로, 메니스커스의 레벨이 주조동안 단지 약간만 변하는 것을 의미하는 고형화한 셀의 원주부의 규칙적인 두께는 스트립 표면에 미세 균열이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도 2의 곡선은 50m/분의 속도로 주조 두께가 3mm인 스트립상에서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주조롤의 표면은 80㎛의 평균 깊이 및 1000㎛의 평균 직경을 지닌 접촉 딤플로 인하여 거칠다. 주조강의 조성은 0.02%∼0.06% C, 1.3%∼1.6% Mn, 0.019∼0.024% P, 0.34∼0.45% Si, 18.0%∼18.7% Cr, 8.6%∼9.8% Ni, 0.0005∼0.446% S의 범위내에 존재한다. 이러한 강의 Creq/Nieq 비는 1.79∼1.85로 변한다. 메니스커스를 둘러싼 불활성 기체는 부피로 60%의 질소 및 40%의 아르곤을 포함한다. x축은 금속의 황농도를 나타내고, y축은 주조중 메니스커스 레벨에서의 요동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며, 이는 스트립의 고형화 구조에서 관찰한 원주 영역 두께에서의 표준 일탈을 나타낸다. 동일한 주조 조건하에 기타 원소의 함유량이 비슷하게 유지되면서 금속의 황함유량이 높을수록 메니스커스 레벨에서 요동 크기는 더욱 작아진다. 황함유량이 0.007% 이상인 경우, 이러한 영향은 상당히 감소하는 반면에, 저함유량에서는 영향을 미친다. 스트립 표면에서 미세 균열의 존재는 직접 이러한 요동에 관계되므로, 0.007%의 황함유량 하한이 미세 균열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 필요치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발명자는 대처할 일련의 조건을 결정하므로, 박판 스트립으로서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주조는 스트립 표면에 미세 균열을 형성하지 않고 이루어지며, 이를 위한 조건은 이미 앞서 언급하였다. 다음을 고려하여 이를 적합하게 한다.
황함유량이 0.007% 미만인 경우, 메니스커스 레벨의 요동이 너무 크고, 열전달의 불균일성은 특히 Creq/Nieq 비가 1.70 이상인 경우 미세 균열을 형성한다. 이 값 이상에서 메니스커스의 안정성에 대한 황함유량의 영향은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황함유량의 상한을 0.04%로 설정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스트립으로부터 제조한 마무리된 제품의 피팅(pitting) 내식성이 저하될 위험성이 증가한다.
Creq/Nieq 비가 1.55에 가까운 경우, 즉 1차 오스테나이트가 부분 발생하고, 1차 페라이트가 지배적이지 않게 고형화되는 경우, 스트립의 고온 균열이 발생할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인함유량을 0.04% 미만으로 유지해야 한다.
Creq/Nieq 비는 적어도 1.55가 되어야 하고, 이 값 이하에서 강이 1차 오스테나이트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형화하므로, 절대 예방해야할 스트립의 균열 감도를 증가시키고, 종방향 균열 외관을 조장한다. 1.9 이상의 Creq/Nieq 비에 있어서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변태로 인한 수축이 너무 크므로 미세 균열은 불가피하다. 또한, 스트립의 페라이트양은 너무 커지므로, 주조한 스트립으로부터 생산한 마무리된 제품을 형성하는 작업 후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주조강에서의 또다른 분석 조건은 가장 흔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특히 304형 및 이와 유사한 유형에 관한 종래의 것이다. 제조한 스트립상의 미세 균열의 부존재에 의해 확인될 롤표면에서의 고형화 조건 및 액상의 강의 표면 장력을 상당히 변형시키지 않는 가정하에, 앞서 명백히 언급한 것을 제외한 성분은 불순물 또는 미량의 합금 원소로서 강내에 존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니스커스를 둘러싼 불활성 기체의 성질은 강이 롤 표면과 접촉하는 조건, 특히 스트립 표면에서 롤의 거칠기가 "음으로" 이송되는 경로 및 미세 균열이 형성될 위험성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친다. 아르곤 또는 헬륨처럼 강내에 완전히 또는 지배적으로 비가용성 가스가 존재하는 경우, 고형화한 강이 롤 표면의 수축으로 용입이 거의 없다. 따라서 실제 열적출(heat extraction)은 거칠기의 피크점에서만 바로 발생하며, 이것은 롤표면에서 매우 이질적인 적출을 만든다. 이러한 이질성은 수많은 미세 균열의 형성에 이바지한다. 대조적으로 질소, 수소, 암모니아 또는 이산화탄소 등 강내 가용성 가스의 상당한 양을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로, 하물며 대체로 이러한 가스 또는 이 가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면, 강은 롤 표면의 수축부에 잘 용입하여 처음 접촉시 열적출이 상당하다. 또한, 이는 피크부 및 수축부에서 바로 열적출의 이질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모든 것은 미세 균열 형성 위험을 제한한다. 실제로, 금속 조성과 롤의 표면 거칠기에 관하여 기타 요구되는 주조 조건을 고려하면, 강속에 용해된 가스(또는 가스 혼합물) 중 불활성 가스의 함유량 하한은 50%로 설정된다.
전술한 조건은 롤이 그 표면에 직경이 100㎛∼1500㎛이고, 깊이가 20㎛∼150㎛인 접촉 딤플을 가지는 경우에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다.
적용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그 요구를 적절화하기 위하여 주어진다.
제1 실시예
두께가 3mm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롤사이에서 주조한다. 롤의 표면은 평균 직경이 1000㎛이고, 평균 깊이가 100㎛인 접촉 딤플을 가진다. 메니스커스를 둘러싼 불활성 기체는 40%의 아르곤 및 60%의 질소를 함유한다. 강의 조성은 0.02%∼0.06% C, 1.3%∼1.6% Mn, 0.019%∼0.024% P, 0.34%∼0.45% Si, 18.0%∼18.7% Cr, 8.6%∼9.8% Ni, 0.0005%∼0.0446% S의 범위에서 변한다. 강 주조시 Creq/Nieq 비는 1.79∼1.85의 범위에서 변한다. 따라서 스트립상의 미세 균열의 표면 밀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강 주조의 황 함유량과 비교한다. 표 1은 이러한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미세 균열의 표면 밀도에 대한 강의 황함유량의 영향
이 실시예에서 강 주조의 Creq/Nieq 비는 1.79∼1.85이며(따라서 매우 좁은 범위내에서만 변함), 관찰된 미세 균열의 밀도는 강의 황함유량에 크게 좌우되는 것이 분명하다. 0.007% 이상의 황함유량에 있어서 미세 균열은 관찰되지 않는 반면에, 극히 적은 황 함유량에 있어서 미세 균열은 상당량 존재한다. 이러한 결과를 도 2에 곡선으로 도시한다.
제2 실시예
두께가 3.8mm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롤사이에서 주조하며, 각 강의 조성을 표 2에 나타낸다. 롤은 1000㎛의 평균 직경 및 120㎛의 평균 깊이를 지닌 접촉 딤플의 존재로 특징지어진 표면 거칠기를 가진다.
제2 실시예의 강의 화학 조성
이러한 강을 주조하면서, 메니스커스 영역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의 조성을 아르곤 비율 및 질소 비율 각각을 변경함으로써 변화시키고, 주조 스트립상에서 관찰된 미세 균열의 표면 밀도를 수용된 불활성 가스의 다양한 조성에 따라 측정한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황함유량 및 강 주조의 Creq/Nieq 비에 따른 스트립상의 미세 균열의 표면 밀도에 대한 불활성 가스 조성의 영향
이러한 시험은, A강이 만족할만한 Creq/Nieq 비를 가지나 황함유량이 적고, 불활성 가스의 조성에 관계없이 수많은 미세 균열의 형성을 구조적으로 야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불활성 가스의 질소 함유량이 적어도 80%인 경우 미세 균열이 관찰되지 않으므로, C 강은 황함유량이 약간 높고, 이는 스트립의 표면 품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레벨에서의 불활성 가스의 질소 함유량을 유지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운전자가 주조 공장을 정밀 제어하면서 운영할 기회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롤과 금속간의 열전달 강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스트립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롤의 요철부(crown)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불활성 가스의 조성이 종종 바람직한 매개 변수이기 때문이다(EP-A-0 736 350 참조). 따라서 C 강으로 얻은 결과는 0.005%의 황함유량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불활성 가스의 질소 함유량이 적어도 50%인 경우, B 강 및 D 강으로부터 스트립 주조시 미세 균열이 없다. 이러한 황함유량은 각각 0.019% 및 0.039%이며, Creq/Nieq 비는 각각 1.82 및 1.64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는 분명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Creq/Nieq 비가 1.70∼1.90인 강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는 Creq/Nieq 비의 범위가 낮은 강의 경우보다 더 적은 양의 감마형 원소(예를 들면 니켈)를 지닌 강에 대응하므로, 제조시 보다 경제적이다.

Claims (4)

  1. 축이 수평인 2개의 냉각롤 사이에서, 액상 금속으로부터 직접, 10mm 이하의 두께를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을 연속 주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강의 조성은, 중량비로 C% ≤0.08, Si% ≤1, P% ≤0.04, Mn% ≤2, 17 ≤Cr%≤20, 8 ≤Ni%≤10.5, 0.007 ≤S%≤ 0.040 이고, 나머지는 철과 용융으로부터의 불순물이며,
    Creq(%) = Cr% + 1.37Mo% + 1.5Si% + 2Nb% + 3Ti% 이고, Nieq(%) = Ni% + 0.31Mn% + 22C% + 14.2N% + Cu% 인 경우, Creq/Nieq 비는 1.55 내지 1.90 이며,
    상기 롤의 표면은 100㎛∼1500㎛의 지름 및 20㎛∼150㎛의 깊이를 지니고 그 단면에 대략 원형 또는 타원형인 접촉 딤플(touching dimples)을 가지며,
    메니스커스(meniscus)를 둘러싼 불활성 가스는 강 내 가용성인 기체 또는 이러한 기체들의 혼합물이거나, 혹은, 상기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의 50% 이상의 부피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req/Nieq 비가 1.70∼1.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활성 가스는 부피로 50%∼100%의 질소 및 50%∼0%의 아르곤 혼합물로 이루어진 연속 주조 방법.
  4. 삭제
KR1020017013393A 1999-04-22 2000-04-12 우수한 표면 품질을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스트립을 쌍롤로 연속 주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스트립 KR100636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5052 1999-04-22
FR9905052A FR2792560B1 (fr) 1999-04-22 1999-04-22 Procede de coulee continue entre cylindres de bandes d'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d'excellente qualite de surface, et bandes ainsi obtenues
PCT/FR2000/000780 WO2000064612A1 (fr) 1999-04-22 2000-04-12 Procede de coulee continue entre cylindres de bandes d'acier inoxydable austentique d'excellente qualite de surface, et bandes ansi obten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824A KR20010113824A (ko) 2001-12-28
KR100636868B1 true KR100636868B1 (ko) 2006-10-19

Family

ID=954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393A KR100636868B1 (ko) 1999-04-22 2000-04-12 우수한 표면 품질을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스트립을 쌍롤로 연속 주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스트립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739383B1 (ko)
EP (1) EP1185387B1 (ko)
JP (1) JP4454868B2 (ko)
KR (1) KR100636868B1 (ko)
CN (1) CN1187148C (ko)
AT (1) ATE229391T1 (ko)
AU (1) AU767990B2 (ko)
BR (1) BR0009894A (ko)
CZ (1) CZ296650B6 (ko)
DE (1) DE60000997T2 (ko)
DK (1) DK1185387T3 (ko)
ES (1) ES2188523T3 (ko)
FR (1) FR2792560B1 (ko)
PL (1) PL194231B1 (ko)
PT (1) PT1185387E (ko)
RU (1) RU2239518C2 (ko)
SI (1) SI1185387T1 (ko)
SK (1) SK286180B6 (ko)
TR (1) TR200103014T2 (ko)
TW (1) TW434058B (ko)
WO (1) WO2000064612A1 (ko)
ZA (1) ZA2001086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06B1 (ko) 2012-12-26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스컴의 생성을 저감시킨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9400B3 (de) * 2003-10-21 2005-06-16 Thyssenkrupp Nirosta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gossenem Stahlband
CN100493745C (zh) * 2006-06-23 2009-06-03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双辊薄带连铸方法
DE102007003548B3 (de) 2007-01-24 2008-09-04 Thyssenkrupp Nirosta Gmbh Gießwalze für eine Zweiwalzengießvorrichtung und Zweiwalzengießvorrichtung
US7975754B2 (en) * 2007-08-13 2011-07-12 Nucor Corporation Thin cast steel strip with reduced microcracking
AU2008100847A4 (en) * 2007-10-12 2008-10-09 Bluescope Steel Limited Method of forming textured casting rolls with diamond engraving
KR101239589B1 (ko) * 2010-12-27 2013-03-05 주식회사 포스코 고내식 마르텐사이트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26121A1 (en) 2011-11-17 2013-05-23 Nucor Corporation Method of continuous casting thin steel strip
KR101360660B1 (ko) * 2011-12-27 2014-02-07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품질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방법
CN103255352B (zh) * 2013-04-19 2015-05-20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超低碳奥氏体不锈钢棒材中提高形成奥氏体的方法
JP6347864B1 (ja) * 2017-03-24 2018-06-27 日新製鋼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スラブの製造方法
CN107030264B (zh) * 2017-04-27 2019-04-26 酒泉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超级奥氏体不锈钢双辊薄带铸轧生产工艺
CN109778077B (zh) * 2017-11-10 2021-01-08 大连华锐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核主泵泵壳材料的冶炼方法
KR102315597B1 (ko) 2018-03-02 2021-10-21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주조편의 제조 방법 및 연속 주조 설비
CN108239724A (zh) * 2018-03-29 2018-07-03 冯满 一种合金钢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40A (ko) * 1989-07-20 1991-02-25 야마모또 센쯔꾸 금속시트의 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9593T3 (de) * 1993-11-18 2005-06-09 Castrip, Llc (N.D.Ges.D. Staates Delaware) Giessen eines kontinuierlichen stahlbandes auf eine oberfläche mit bestimmter rauhigkeit
FR2746333B1 (fr) * 1996-03-22 1998-04-24 Usinor Sacilor Procede de coulee continue d'une bande d'acier inoxydable austenitique sur une ou entre deux parois mobiles dont les surfaces sont pourvues de fossettes, et installation de coulee pour sa mise en oeuv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540A (ko) * 1989-07-20 1991-02-25 야마모또 센쯔꾸 금속시트의 연속주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506B1 (ko) 2012-12-26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스컴의 생성을 저감시킨 쌍롤식 박판 주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88523T3 (es) 2003-07-01
JP2002542039A (ja) 2002-12-10
JP4454868B2 (ja) 2010-04-21
PL351566A1 (en) 2003-05-05
SI1185387T1 (en) 2003-04-30
EP1185387A1 (fr) 2002-03-13
DE60000997T2 (de) 2003-07-17
AU3661800A (en) 2000-11-10
FR2792560B1 (fr) 2001-06-01
ATE229391T1 (de) 2002-12-15
BR0009894A (pt) 2002-01-15
RU2239518C2 (ru) 2004-11-10
CZ20013776A3 (cs) 2002-03-13
EP1185387B1 (fr) 2002-12-11
FR2792560A1 (fr) 2000-10-27
DE60000997D1 (de) 2003-01-23
ZA200108666B (en) 2004-06-30
CZ296650B6 (cs) 2006-05-17
TW434058B (en) 2001-05-16
DK1185387T3 (da) 2003-03-24
SK14602001A3 (sk) 2002-05-09
SK286180B6 (sk) 2008-04-07
PL194231B1 (pl) 2007-05-31
US6739383B1 (en) 2004-05-25
KR20010113824A (ko) 2001-12-28
TR200103014T2 (tr) 2002-03-21
WO2000064612A1 (fr) 2000-11-02
CN1351528A (zh) 2002-05-29
PT1185387E (pt) 2003-04-30
CN1187148C (zh) 2005-02-02
AU767990B2 (en)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868B1 (ko) 우수한 표면 품질을 지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스트립을 쌍롤로 연속 주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른 스트립
AU2008249238B2 (en) Casting steel strip
AU755008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carbon-steel strip by twin-roll continuous casting
US5484372A (en) Compound roll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0647147B1 (ko) 미세 균열이 없는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스트립의 연속주조 방법
JP3922401B2 (ja) 表面に窪みを有する移動壁面上または壁面間での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ストリップの連続鋳造方法と鋳造設備
JP7243405B2 (ja) 冷却ロール、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薄肉鋳片の鋳造方法、及び、冷却ロールの製造方法
JP3030077B2 (ja) 耐クラック性に優れた耐摩耗複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0967B1 (ko) 표면에딤플이형성된하나의가동벽상에서또는두개의가동벽사이에서오스테나이트스테인레스강스트립을연속주조하는방법및이를실행하기위한주조플랜트
KR20060073964A (ko) 주강 스트립 제조 방법
KR100611201B1 (ko) 내거침성이 우수한 열간압연용 원심주조 고속도공구강복합롤
JPH10211548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薄鋳片の連続鋳造方法
KR20010040438A (ko) 고 Si 함유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 주조방법
MXPA01010506A (en) Method for continuously casting between two rolls austenitic stainless steel strips with excellent surface quality and resulting strips
JP2006167726A (ja) 耐摩耗性および耐熱亀裂性に優れる圧延ロール用外層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延ロール
JPH04147748A (ja) Cr,Ni含有鉄基合金の双ロール式連鋳機による鋳造方法
JPH07252597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20030045337A (ko) 스테인레스 강 주편의 제조방법
MXPA01010505A (en) Method for continuously casting ferritic stainless steel strips free of microc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