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75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752B1
KR100636752B1 KR1020050007907A KR20050007907A KR100636752B1 KR 100636752 B1 KR100636752 B1 KR 100636752B1 KR 1020050007907 A KR1020050007907 A KR 1020050007907A KR 20050007907 A KR20050007907 A KR 20050007907A KR 100636752 B1 KR100636752 B1 KR 100636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opening
switch
opening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786A (ko
Inventor
우에야마히데오
야마모또료오스께
우에노슈운지
사에끼도모야스
호리에무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09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19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091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448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09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920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마케팅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7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방 장치를 이용하여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하는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동원에 통전되면 압박 부재(37)를 돌출하고 상기 도어면을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도어 개방 장치(30)와, 이 도어 개방 장치(30)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출력하는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와, 도어(20a, 20b)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와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스위치(26a, 26b)와, 이 도어 스위치(26a, 26b)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가 출력되어 있을 때에,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도어 개방 장치(30)에 통전하여 도어 개방하는 제어 수단(50)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50)은 도어 개방 장치(30)로의 통전을 도어 스위치(26a, 26b)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된 후에 차단시킨다.
도어 개방 장치, 압박 부재, 도어 개방 스위치, 도어 스위치, 제어 수단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2는 본 발명의 좌우 도어 개방 기구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3은 본 발명의 측정 시간이 짧은 경우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4는 본 발명의 측정 시간이 긴 경우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5는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6은 도5의 도어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7은 좌측 도어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상부면도.
도8은 우측 도어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상부면도.
도9는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좌측 도어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상부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
도11은 본 발명의 도어 개방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3은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도13의 도어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5는 우측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좌측 도어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상부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어 블록도.
도17은 본 발명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본체
20a : 좌측 도어
20b : 우측 도어
21a, 21b : 마그넷 가스킷
22a, 22b : 비이드
23a, 23b : 수납 포켓
25 : 회전 칸막이 부재
26a : 좌측 도어 스위치
26b : 우측 도어 스위치
27a :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27b :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
30 : 도어 개방 장치
31 :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
32 :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
34 : 전자 솔레노이드
37 : 압박 부재
50 : 제어 장치
80 : 부하 검지 수단
81 : 압박식 스위치
82 : 적외선 센서
83 : 중량 센서
본 발명은, 저장실 도어를 압박 부재의 돌출에 따라서 개방하는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는 식생활의 다양화와 함께 수납량도 대형화 경향이 있고, 특히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는 수납 내용적이 400 리터를 넘는 클래스가 주류가 되고, 냉장고 본체의 높이나 폭 치수도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수반하여, 냉장실이나 냉동실, 야채실의 도어도 대형화되어 있고, 특히 저장 용적이 큰 냉장실의 도어 내측에 있어서의 수납 포켓은 높이와 폭 치수의 확대와 함께 안 길이 치수도 증대되어 많은 식품을 수납하는 경향이 있고, 도어 자체가 큰 경우도 있으며, 도어 개방으로 인해 큰 힘을 필요로 하여 힘이 없는 여성이나 고령자인 경우는 부담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으로서, 최근 사용자의 핸들 스위치 조작에 의해 본체측으로부터 노크 핀이 돌출되어 도어면을 압박하고 도어 개방하는 전자 솔레노이드식의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시장에 공급되어 있고, 도어의 개방에 부담을 요하지 않은 상품으로서 평가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러한 종류의 도어 개방 장치로서는, 도어 전방면에 설치된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면, 전자 솔레노이드에 소정 시간 통전되어 초기 위치로부터 압박 부재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도어를 압박 개방하는 동시에, 소정 시간 후는 통전을 차단하여 인입용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인입되고, 스프링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 여닫이식 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단일의 상기 도어 개방 장치를 이용하여 좌우 도어를 동시에, 또는 좌우 도어를 한 쪽씩 도어 개방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1-5967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83673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특허 문헌 1의 도어 개방 장치의 구성에서는, 미리 설정된 전압을 소정 시간에 걸쳐 전자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어의 폐쇄 시간 및 수납 포켓의 적재량 등에 따라서,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변화되면 도어의 개방이 지나치게 약해 충분히 도어 개방할 수 없거나, 한편 지나치게 강해 수납 포켓에 적재되어 있는 식품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장고의 사양 상황, 예를 들어 도어 내에 설치된 수납 포켓의 적재량이나 고내의 냉각에 따라서,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은 변화하지만 상기한 특허 문헌 1, 2의 도어 개방 장치에서는, 미리 설정된 전압을 소정 시간에 걸쳐 전자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것이므로, 도어의 개방이 지나치게 약해 충분히 도어 개방할 수 없거나, 한편 지나치게 강해 수납 포켓에 적재되어 있는 식품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좌우 여닫이식 도어 냉장고에 있어서는, 한 쪽이 개방되어 있는 경우나 회전 칸막이판을 이용하고 있는 형태에서는 도어 개방할 때에 요하는 힘이 변화되지만, 종래에서는 도어 개방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서는 검토되어 있지 않았다.
게다가, 좌우 여닫이식 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 좌우 도어를 한 쪽씩 도어 개방할 수 있는 경우에는, 통상 한 쪽씩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지만, 사용자에 따라서는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장치를 조작하는 것이나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냉장고, 오븐 렌지, 밥솥 등 부엌에서 사용되는 전기제품의 상용 전원은, 일반적으로 과잉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커가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전기제품이 사용되고 있을 때에 양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하면 이 브레이커가 동작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검증은, 종래에 있어서는 행해지고 있지 않고, 사용자의 실정에 맞춰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 중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는 것 이나 동시에 조작되는 것도 상정하여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룬 것이며, 냉장고 도어에 있어서의 수납 포켓의 부하 상태 등에 관계되지 않고, 가장 적절하게 자동 도어 개방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냉장고의 사용 상황 등에 관계되지 않고, 가장 적절하게 자동 도어 개방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좌우 여닫이식 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 또는 동시에 조작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확실하게 도어 개방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와, 구동원에 통전되면 압박 부재를 돌출 상기 도어면을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이 도어 개방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출력하는 도어 개방 스위치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와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도어 스위치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개시하고, 상기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되기까지 통전을 계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통전에 의해 이 좌우 도어를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와, 상기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양방 또는 어느 한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 상기 부하 검지 수단에 의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상기 좌우 도어 개방 장치의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켜 도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통전에 의해 이 좌우 도어를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를 구비하고,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이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이 종료되고 나서,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냉장고를 도어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도5, 도6에 있어서, 주지 구조의 단열 하우징으로 구성된 냉장고 본체(1) 내에는 냉장실(2), 야채실(3), 제물실(4), 내부 온도를 복수 단계로 절환 가능한 절환실(5), 냉동실(6)을 위로부터 차례로 설치하고, 제물실(4) 및 절환실(5)은 좌우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상기 냉장실(2)의 전방면 개구부에는, 좌우 양단부를 각각 피봇 지지한 소위 좌우 여닫이식 도어를 구성하는 좌측 도어(20a)와 우측 도어(20b)를 설치하고, 야채실(3), 제물실(4), 절환실(5) 및 냉동실(6)의 각 전방면에는, 각각의 저장 용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한 인출식의 도어(3a, 4a, 5a, 6a)를 설치하고 있다. 좌우 도어(20a, 20b)의 이면측의 주연부에는 마그넷 가스킷(21a, 21b)을 부착하고 있고, 좌우 도어(20a, 20b)는 그 마그넷 가스킷(21a, 21b)이 냉장고 본체(1)의 플랜지부(1a)에 흡착함으로써 폐쇄 상태로 보유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다른 도어(3a, 4a, 5a, 6a)의 이면측의 주연부에도 마그넷 가스킷을 부착하고 있다.
마그넷 가스킷(21a, 21b)의 내측에는, 상하로 연장시킨 한 쌍의 비이드부(22a, 22b)를 각각 형성하고 있고, 이 비이드부(22a, 22b)에는 식품을 수납하는 수납 포켓(23a, 23b)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우측 도어(20b)와 대향하는 좌측 도어(20a)의 비이드부(22a)에는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 도어의 마그넷 가스킷(21a, 21b)이 흡착되어 도어 사이의 간극을 폐색하는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고 있다. 이 회전 칸막이판(25)은 본체 상부에 설치한 핀(1b)이 회전 칸막이판(25)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 내를 좌측 도어(20a)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좌우 도어(20a, 20b)의 전방면부에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와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를 부착하고 있고,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를 압박하면 좌측 도어(20a)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를 압박하면 우측 도어(20b)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된다. 또,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를 압박하면 우측 도어(20b)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압박 조작되었을 때에 온이 되는 상개형(常開型)의 마이크로 스위치 등의 기계적 스위치를 내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포토 인터럽터를 이용한 광학적인 스위치 혹은 자기적인 스위치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1)를 도시하는 상부면도인 도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2)의 좌우 측벽에는 좌우 도어(20a, 20b)의 각각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도어 스위치(26a, 26b)를 설치하고 있다. 이 도어 스위치(26a, 26b)는 버튼(26')이 비이드부(22a, 22b)에 의해 압박되면 도어(20a, 20b)가 폐쇄되었다고 간주하여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고(오프 상태), 도어(20a, 20b)가 개방되어 가면 버튼에의 압박이 서서히 개방되어 오고, 버튼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 돌출되면, 도어(20a, 20b)가 개방되었다고 간주되어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온 상태).
냉장고 본체(1)의 천정부에는 냉장실(2)의 좌측 도어(20a) 및 우측 도어(20b)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시키는 도어 개방 장치(30)를 부착하고 있고, 이 도어 개방 장치(30)는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와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와 병설시키고 있다.
이하에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에 대해 설명한다. 냉장고(1)의 상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는 냉장고 본체(1)의 천정부에 형성된 오목부(1c) 내에 절반 매립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33) 내에 구동원으로서 직류 구동되는 전자 솔레노이드(34)를 수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전자 솔레노이드(34)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코일을 수지 몰드한 코일 유닛(35)과, 이 유닛 내에 이를 관통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제의 플런저(36)와, 이 플런저(36)에 대해 동축 형상으로 고정된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압박 부재(37)를 주된 구성 요소로 한 것으로, 코일 유닛(35)의 코일에 통전되면(이하, 통전 상태라 함) 플런저(36) 및 압박 부재(37)가 도어(20a) 방향으로 압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플런저(36)의 후방부에는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C링으로 이루어지는 플랜지부(36a)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플런저(36)의 주위에는 상기 플랜지부(36a) 및 코일 유닛(35) 사이에서 신장력을 작용시키도록 하여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인입용 스프링(38)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전자 솔레노이드(34)에 통전되면 압박 부재(37)가 전방 으로 돌출되어 좌측 도어(20a)를 압박하고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도록 되어 있고, 통전이 차단되면 인입용 스프링(38)의 스프링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 있다.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는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와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의 전자 솔레노이드(34)에 통전되면, 우측 도어(20b)를 자동적으로 도어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는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보다도 힌지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좌측 도어(20a)에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도어 개방할 때에 요하는 힘이 우측 도어(20b)보다도 요하므로,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의 압박력을 저감시킴으로써, 좌우 도어(20a, 20b)의 도어 개방 속도를 거의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와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를 대칭으로 배치시키는 경우에는, 압박력을 통전 시간이나 공급 전압에 의해 가변시켜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의 압박력을 우측보다 강하게 함으로써, 좌우 도어(20a, 20b)의 도어 개방 속도를 거의 균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우 도어(20a, 20b)의 크기가 다른 경우도, 적절하게 배치 장소나 압박력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어 회로에 대해, 제어 블록도인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50)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로부터, 좌우 도어(20a, 20b)의 도어 개방 상태에 대응하여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가 입력되고,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 장치(50)는, 이러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도어 폐쇄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 또는 우측 도어 개방 회로(52)에 온 신호를 출력한다.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솔레노이드(34)의 일단자는 도시하지 않은 배전압 정류 회로의 플러스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자는 구동용의 FET(61)의 드레인측과 접속하고 있다. 또, 전자 솔레노이드(34)의 양단자에는 다이오드(62)를 병렬로 접속하고 있다.
이 FET(61)는 도어 폐쇄 신호 중에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의 구동 신호가 제어 장치(50)에 입력되면, 제어 장치(50)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제어 전원은, 예를 들어 직류 15V, 구동 전원은, 예를 들어 직류 200V).
FET(61)를 온 오프 구동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50)로부터의 출력측의 단자가 npn형의 제1 트랜지스터(71)의 베이스측과 접속되어 있고, 이 제1 트랜지스터(71)의 컬렉터측은 저항(69)을 통해 pnp형의 제2 트랜지스터(67)의 컬렉터측과 접속되어 제어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동시에, 에미터측은 제2 트랜지스터(67)와 제3 트랜지스터(68)의 베이스측과 접속되고, 또한 저항(70)을 통해 글랜드와 접속되어 있다.
제2 트랜지스터(67)의 에미터측은 pnp형의 제3 트랜지스터(68)의 에미터측과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저항(64)을 통해 FET(61)의 소스측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3 트랜지스터(68)의 컬렉터측은 글랜드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저항(64)은 저항(66)과 다이오드(65)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와 병렬로 접속되고, 이 저항(64)과 FET(61)의 게이트 사이는 저항(63)을 통해 글랜드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경우, 제어 장치(50)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면, 제1 트랜지스터(71)가 온이 된다. 그렇게 하면 제2 트랜지스터(67)의 컬렉터측에는 제어 전압이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트랜지스터(67)가 온이 되어 컬렉터 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그리고, 제3 트랜지스터(68)의 베이스측에의 전류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3 트랜지스터(68)가 오프가 되어 FET(61)가 온이 된다. 한편, 제어 장치(50)로부터의 온 신호가 차단되면, 제1 트랜지스터(71)가 오프가 되어 FET(61)의 게이트 잔류 전하에 의해 접지된 저항(70)을 통해, 제3 트랜지스터(68)의 베이스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제3 트랜지스터(68)가 온이 되고 FET(61)의 게이트 전하가 방출되어 FET(61)가 오프가 된다.
또한, FET(61)는 온 시간(펄스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출력 전압을 시간 비율 제어하는 PWM 제어로 구동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FET(61)의 온 신호(PWM 신호)는 사용자의 귀에 들리기 어려운 주파수, 예를 들어 8 kHz 이상으로 하고 있다.
사람의 평균 가청 영역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청역은 4 kHz 부근으로 되어 있고, 이 부근의 PWM 신호로 전자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하면, 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 부재(37)의 선단부는 좌우 도어(20a, 20b)와 접촉하고 있으 므로, 상기 PWM 신호가 좌우 도어(20a, 20b)에 전달되어 진동음이 발생하고, 사용자에게는 소음이라 느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PWM 신호의 주파수가 지나치게 낮으면, 압박 부재(37)를 충분히 돌출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소음이라 느끼는 청역을 제외하여 확실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게, 고주파 수인 8 kHz 이상의 PWM 신호로 설정하고 있다.
또, 우측 도어 개방 회로(52)에 대해서는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와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의 도어 개방 장치(30)의 동작에 대해, 타임차트를 도시하는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좌측 도어(20a)가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 개방 장치(30)의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오프되어 있을 때, 즉 도어 폐쇄 신호가 출력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ta의 타이밍에서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가 압박되어 온이 되면, 제어 장치(5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에 통전한다.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의 구동에 의해 압박 부재(37)는 돌출되어 좌측 도어(20a)를 압박하고, 마그넷 가스킷(21a)의 흡착을 박리하여 tb의 타이밍에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되어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장치(50)는 이 도어 개방 신호를 받으면 좌측 도어(20a)가 마그넷 가스킷(21a)을 박리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이 tb의 타이밍에서 tc까지의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1초 사이 통전하고, 또한 좌측 도어(20a)를 완전하게 도어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될 때까지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확실하게 도어 개방시킬 수 있다.
종래에서는, 도어 개방 스위치가 온이 되면 단지 미리 설정된 전압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2초 내지 0.3초에 걸쳐 전자 솔레노이드에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어의 폐쇄 시간 및 수납 포켓의 적재량 등에 따라서,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변화되면 도어의 개방이 지나치게 약해 충분히 도어 개방할 수 없거나, 한편 지나치게 강해 수납 포켓에 적재되어 있는 식품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힘은 도어 폐쇄 후의 시간 경과에 의해 좌우된다. 도어 폐쇄된 직후보다도, 도어 폐쇄되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쪽이 고내 온도가 저온이 되므로, 고내 공기의 압축에 의해 고내의 압력은 저하되어 대기압과 고내 압력과의 차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외기보다 고내 압력이 낮다는 것은 도어를 개방할 때에 도어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힘이 크다는 것이며, 마그넷 가스킷을 박리하여 도어 개방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힘도 당연히 커지기 때문에, 소정 전압을 동일하게 전자 솔레노이드에 공급해도 도어 개방할 수 없거나 도어 개방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가 있었다.
또한, 수납 포켓에 적재되어 있는 식품의 중량이나 마그넷 가스킷에 오염이 부착되어 있으면, 그 점성에 의해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크게 변화되는 마그넷 가스킷이 박리될 때까지, 구체적으로는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는, 반드시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할 수 있고, 또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크게 변화되지 않은 도어 개방 후는 소정 시간까지 도어 개방 장치로의 급전을 계속시킴으로써, 가장 적절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여닫이식의 냉장고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한 장의 도어라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스위치가 온이 되고 나서 도어 스위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온 하기까지의 ta 내지 tb 사이는 상한치, 예를 들어 1.5초 사이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은 0.2 내지 0.3초이지만, 도어의 전방면에 장해물이 있는 등 도어 개방할 수 없는 상태에서 무제한으로 통전하면, 전자 솔레노이드가 고온화하여 다 태워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생기는 일이 없도록 실험 등으로 얻은 상한치를 설정해 둠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을 검지한 타이밍(tb) 후는 마그넷 가스킷의 박리시보다도 도어 개방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PWM 듀티를 가변하여 출력 전압을 저하시키거나, 도1의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출력 전압을 서서히 저하시키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의 도어가 개방되는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인 도2, 우측 도 어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상부면도인 도8, 우측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측 도어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상부면도인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동일 구성의 것에 대해서는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좌우 도어(20a, 20b)가 함께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느 한 쪽, 여기서는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가 td의 타이밍에서 온이 되면, 우측 도어 개방 기구부(32)에 통전하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20b)가 도어 개방하는 te의 타이밍에서 우측 도어 스위치(26b)가 도어 개방 신호를 온하면, te 내지 tf까지의 소정 시간, 여기서는 0.1초 사이 통전하여 우측 도어(20b)를 개방한다. 이 경우, 우측 도어 스위치(26b)는 계속하여 온 상태가 되어 있다.
어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부압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한 쪽의 마그넷 가스킷(21a, 21b)은 회전 칸막이판(25)에 흡착하지 않으므로, 폐쇄되어 있을 때보다도 필요해지는 힘이 저감된다. 따라서, 폐쇄되어 있을 때와 마찬가지의 힘으로 도어 개방시키면, 압박 부재의 돌출이 지나치게 강해 수납 포켓에 적재된 식품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가 개방되고 나서 통전을 차단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한 쪽이 폐쇄되어 있을 때보다도 짧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tg의 타이밍에서 도어가 개방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의 도어, 여기서는 좌측 도어(20a)를 개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를 온시키면,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의 전자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하여 좌측 도어(20a)를 압박 부재(3, 7)에 의해 압박한다.
그리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넷 가스킷(21a)이 박리가 되어, th의 타이밍에서 좌측 도어 스위치(26a)의 도어 개방 신호가 온이 되면, 이 th의 타이밍으로부터 도어 폐쇄되어 있을 때의 소정 시간보다도 짧고, 단축 시간, 여기서는0.05초 사이 통전하여 ti의 타이밍에서 통전을 종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어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도어가 개방되고 나서 통전을 차단하기까지의 소정 시간을 폐쇄되어 있을 때보다도 짧게 하여 도어 개방력을 저감시킴으로써,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2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전 시간을 단축하는 대신에 PWM 듀티를 가변하여 전자 솔레노이드(34)로의 급전 전압을, 예를 들어 70 % 내지 80 %에 저감시켜 통전해도, 마찬가지로 도어 개방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칸막이판(25)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 여기서는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에 가장 부하가 걸리는 것은 회전 칸막이판(25)을 회전시킬 때이며,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 상태가 되어도, 회전 칸막이판(25)이 회전 중인 경우가 있기 때문에, 우측 도어(20b)가 개방되어 있어도 좌측 도어(20a)에의 도어 개방력은 저감시키지 않은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회전 칸막이판(25)을 갖고 있지 않은 도어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어 개방 스위치가 온이 되고 나서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기까지의 시간이 통전 변경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 을 나타내는 타임차트인 도3, 긴 경우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임 차트인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동일 구성의 것에 대해서는 중복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은 냉장고(1)의 사용 상황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적절하게 도어 개방력을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개방 스위치가 온이 되고 나서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기까지의 시간을 기초로 하여 도어 개방력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 여기서는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에, 사용자에 의해 tj의 타이밍에서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가 온이 되면, 좌측 도어 개방 기구부(31)에의 통전을 개시하여 압박 부재(37)에 의해 좌측 도어(20a)를 압박한다.
이 때, tj의 타이밍으로부터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되기까지의 시간을 제어 장치(50)로 계측해 두고, 이 측정 시간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통전 절환 시간, 예를 들어 0.5초를 비교한다. 이 측정 시간이 통전 절환 시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특히 도어 개방력을 강하게 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여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된 tk의 타이밍으로부터, 통상대로의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1초 또는 소정 시간보다도 짧은 단축 시간, 예를 들어 0.05초 사이 통전하여 t1의 타이밍에서 통전을 종료한다.
한편,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tj의 타이밍으로부터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되기까지의 측정 시간이 통전 절환 시간보다도 긴 경우에는, 도어 개방력 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된 tm의 타이밍으로부터 소정 시간보다도 긴 연장 시간, 예를 들어 0.15초 사이 또는 통상대로의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1초 사이 통전하여 tn의 타이밍에서 통전을 종료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될 때까지 요한 시간을 기초로 하여 통전 시간을 변경하므로, 수납 포켓에 적재된 식품 부하의 영향에 의해 도어 개방에 필요해지는 힘이 변화되어도, 도어 개방 장치의 도어 개방력을 가장 적절하게 가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한 장의 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동시에, 통전 시간의 변경 대신에 PWM 듀티를 가변하여 출력 전압을 증감시켜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일실시예이며, 여러 가지의 조합 및 예시한 수치를 최적화시켜도 좋다. 또한, 도어 개방 장치는 전자 솔레노이드의 통전에 의해 압박 부재를 돌출하는 기구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14는 도13의 냉장고를 도어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도13, 도14에 있어서, 주지 구조의 단열 하우징으로 구성된 냉장고 본체(1) 내에는 냉장실(2), 야채실(3), 제빙실(4), 내부 온도를 복수 단계로 절환 가능한 절환실(5), 냉동실(6)을 위로부터 차례로 설치하고, 제빙실(4) 및 절환실(5)은 좌우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하에,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13의 구성은 전술한 도5에 대해, 다음의 점이 서로 다르다.
우측 도어(20b)의 전방면에는, 저장실의 온도 조정 등을 행하는 조작부(28)를 설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매장용 디스플레이(店頭 展示) 모드도 이 조작부(28)의 조작에 의해, 통상의 냉각 모드와 매장용 디스플레이 모드를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14의 구성은 전술한 도6에 대해 압박식 스위치(81)와 중량 센서(83)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1)를 도시하는 상부면도는 전술한 도7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어 회로에 대해, 제어 블록도인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6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인 도10에 대응한다.
이하에,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제어 장치(50)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로부터, 좌우 도어(20a, 20b)의 도어 개방 상태에 대응하여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가 입력되고,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 장치(50)는 이러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도어 폐쇄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 구동 신호가 입력되면, 후술하는 부하 검지 수단(80)에 의해 출력하는 PWM 듀티를 결정하고, 이 PWM 신호를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 또는 우측 도어 개방 회로(52)를 출력한다.
이하,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 솔레노이드(34)의 일단자는 도시하지 않은 배전압 정류 회로의 플러스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자는 구동용의 FET(61)의 드레인측과 접속하고 있다. 또, 전자 솔레노이드(34)의 양단자에는 다이오드(62)를 병렬하여 접속하고 있다.
이 FET(61)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의 도어 폐쇄 신호 중에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의 구동 신호가 제어 장치(50)에 입력되면, 제어 장치(50)로부터의 PWM 신호에 의해 온이 되도록 되어 있다(제어 전원은, 예를 들어 직류 15V, 구동 전원은, 예를 들어 직류 200V).
다음에, 도16에 있어서, FET(61)를 온, 오프 구동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10에 도시한 전술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 우측 도어 개방 회로(52)에 대해서는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와 동일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부하 검지 수단(80)에 대해 설명한다. 부하 검지 수단(80)은 제어 장치(50) 내에 설치되어 있고, 각 스위치나 센서 등의 입력치 등에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박식 스위치(81)를 좌측 도어(20a) 및 우측 도어(20b)의 수납 포켓(23a, 23b)의 바닥면이나 배면에 설치하고, PET병 등의 음료나 식품이 수납 포켓에 수납되면, 그 식품의 용기 등에 의해 압박식 스위치(81)가 압박되어 식품이 적재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식품이 취출되면 식품에 의한 압박이 개방되기 때문에,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압박식 스위치(81)의 절환에 적외선 센서(82)를 이용해도 좋고,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수납 포켓(23a, 23b)에 적재하는 식품을 조작부(28) 등의 입력에 의해 식품 관리를 행할 수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는,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품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도어 개방할 때의 도어 개방 장치(30)의 동작에 대해, 흐름도인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좌측 도어(20a)의 도어 개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는, 좌측 도어(20a)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 개방 장치(3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오프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오프로 되어 있으면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가 압박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온이 되면 사용자가 좌측 도어(20a)의 도어 개방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부하 검지 수단(80)에 의해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한다.
이는 수납 포켓(23a)에, 예를 들어 하중이 무거운 PET병 등의 식품이 적재되 어 있는 경우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서는 도어 개방할 때에 필요해지는 힘이 다르기 때문에, 식품의 유무에 따라서 도어 개방 장치(30)의 도어 개방력을 가변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때, 일정한 출력 전압으로 전자 솔레노이드(34)에 통전해 버리면, 식품이 적재되어 있을 때에는 개방도가 적거나,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기세 좋게 또는 지나치게 개방해 도시하지 않은 힌지부의 회전 스토퍼와 충돌하거나, 돌출음이 커져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스텝 S4에서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거운지 여부를 판단,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이 수납 포켓(23a)에 적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식품이 적재되어 있으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겁다고 판단하여 스텝 S5로 진행하고, 식품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여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도어 개방력을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어 개방 장치(30)에의 PWM 듀티를 높게 설정, 예를 들어 100 %로 설정한다. 한편, 스텝 S6에서는 도어 개방력을 저감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의 PWM 듀티를 낮게 설정, 예를 들어 90 %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7에 있어서, 각각 설정된 PWM 듀티를 기초로 하여,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 통전한다. 이렇게 해서, 좌측 도어(20a)는 적당하게 결정된 도어 개방 장치(30)의 도어 개방력에 의해 압박되어 도어가 개방되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초 경과 후에 통전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겁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도어 개방 장치(30)의 도어 개방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도어 개방 장치(30)의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하거나 하지 않아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식품의 유무를 기초로 하여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도어 개방할 때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구성에서는 좌측 도어(20a)를 도어 개방할 때의 도어 개방 장치(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우측 도어(2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도어 개방력을 증감하는 방법으로서는 통전 시간을 연장하거나 단축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식품의 수량에 따라서 각각의 도어 개방력을 결정해도 좋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 검지 수단(80)을 수납 포켓(23a, 23b)에 적재된 식품의 중량에 따라서,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 포켓(23a, 23b)의 바닥면에 중량 센서(83)를 배치하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중량 센서(83)에 의해 검지된 중량 정보가 제어 장치(50)에 입력되고, 이 중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부하 검지 수단(80)이 도어 개방할 때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검지된 중량이 1 ㎏ 이상이면, 부하가 무겁다고 판단하고, 그 이하이면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어(20a, 20b)에 관한 하중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에 의해, 모두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것이다.
냉장고(1)의 도어(20a, 20b)를 도어 개방하는 힘은, 폐쇄 시간에 의해 좌우된다. 폐쇄된 직후보다도, 폐쇄되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고내 온도 쪽이 저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더불어 고내의 압력은 저하되어 대기압과 고내 압력과의 차가 커진다.
일반적으로, 외기와 고내 압력의 차가 크다는 것은 도어(20a, 20b)를 개방할 때에 폐쇄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힘이 크다는 것이며, 마그넷 가스킷(21a, 21b)을 박리하여 도어 개방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힘도 당연히 커지기 때문에, 소정 전압을 마찬가지로 전자 솔레노이드(34)에 공급해도 도어 개방할 수 없거나, 도어 개방 속도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좌우의 도어 스위치(26a, 26b)가 모두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시간 이상 경과되어 있으면 고내가 부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커지고 있다고 간주하여 도어 개방력을 증가시킨다(예를 들어, PWM 듀티 100 %). 반대로 경과되어 있지 않으면, 부압이 되어 있지 않다고 간주하여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PWM 듀티 70 %).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냉장고가 장기에 걸쳐 도어가 개방되지 않고서 도어 개방할 때에 요하는 힘이 변화되어도 폐쇄 시간에 따라서 도어 개방력을 가변시키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좌우 도어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부하 검지 수단(80)은 전회의 도어 개방시에 있어서의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기까지의 계측 시간과 미리 설정한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도어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고 있는 좌측 도어(20a) 쪽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겁지만, 설치하지 않은 우측 도어(20b)의 마그넷 가스킷(21b)에 오물이 부착되어 있으면, 그 점착력에 의해 우측 도어(20b) 쪽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겁게 되는 경우가 있고, 미리 좌측 도어(20a)로부터 도어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전회의 좌측 도어(20a) 및 우측 도어(20b)의 도어 개방 동작에 있어서의, 각각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조작되고 나서 도어가 개방되기까지의 시간, 구체적으로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가 각각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기까지의 측정 시간을 제어 장치(50)에 기록해 둔다. 그리고,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조작되었을 때에, 이 측정 시간이 짧은 쪽을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한다.
이는, 통상 도어 개방 장치(30)를 이용한 전후는 단기간이므로, 마그넷 가스 킷(21a, 21b)의 오염에 변화는 없고, 전회의 측정 시간을 실제의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쪽의 도어 스위치(26a, 26b)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도어(20a, 20b)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고내가 부압이 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커지고 있지만, 어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는 부압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작아지고 있다.
또한,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생기는 요인으로서, 마그넷 가스킷(21a, 21b)의 박리가 생각되지만, 어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으면 양 도어(20a, 20b)의 대향하는 면의 마그넷 가스킷(21a, 21b)은 이미 박리되어 있으므로,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는 저감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도어(20a) 또는 우측 도어(20b)를 개방할 때에, 다른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으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는 작다고 간주하여 도어 개방력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PWM 듀티 50 %).
상기 구성에 의해, 좌우 여닫이식 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 개방력을 저감시키고 있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1)를 냉각하지 않고 소정의 전기 부품만 운전시키는 매장용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치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매장용 디스플레이 모드는 점두에 있어서의 판매 촉진을 위한 모드이며, 일반적으로 점두에서는 고내를 냉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압축기의 운전은 정지시키고 있지만 고내 등이나 팬 등은 운전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모드에서는, 도어 개방 장치(30)도 구동되도록 설정하고 있지만, 고내가 냉각되고 없으므로, 고내가 부압이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냉각 운전하고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도어 개방력으로 도어 개방 장치(30)를 동작시키면, 도어 개방 속도가 지나치게 강하게 된다. 또한, 점두에서는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도 가볍다.
따라서, 조작부(28)의 조작 등에 의해 매장용 디스플레이 모드가 투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내가 부압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력을 감소함으로써(예를 들어, PWM 듀티 70 %),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한 측의 도어가 도어 개방된 상태에서, 다른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 만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의 적재의 유무, 고내가 부압이 아닌가 또는 어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해 변화하지만 회전 칸막이판(25)을 회전시키는 것이 도어 개방할 때에 걸리는 부하의 요인 중 하나가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한 좌측 도어(20a)를 확실하게 도어 개방시키기 위해 도어 개방 장치(30)의 도어 개방력을 설정하지만 회전 칸막이판(25)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장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다른 요인에 의해 도어 개방력을 증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한 측의 도어가 도어 개방된 상태에서, 다른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만,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한 측의 도어를 확실하게 도어 개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른 쪽의 도어는 냉장고의 사양 상황 등에 따라서 도어 개방할 수 있으므로, 가장 적절하게 도어 개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이며,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솔레노이드(34)에의 통전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차단하도록 되어 있지만, 통전을 개시한 후에 도어 스위치가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통전을 차단해도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14는 도13의 냉장고를 도어 개방시킨 상태를 도시 하는 것이다. 이 도13, 도14에 있어서, 주지 구조의 단열 하우징으로 구성된 냉장고 본체(1) 내에는 냉장실(2), 야채실(3), 제물실(4), 내부 온도를 복수 단계로 절환 가능한 절환실(5), 냉동실(6)을 위로부터 차례로 설치하고, 제물실(4) 및 절환실(5)은 좌우로 나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하에,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13에 있어서, 우측 도어(20b)의 전방면에는 저장실의 온도 조정 등을 행하는 조작부(28)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의 냉장고(1)를 도시하는 상부면도는 전술한 도7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어 회로에 대해, 제어 블록도인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 장치(50)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로부터, 좌우 도어(20a, 20b)의 도어 개방 상태에 따라서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도어 폐쇄 신호가 입력되고,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된다.
이하에,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또, 우측 도어 개방 회로(52)에 대해서는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와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좌측 도어 개방 회로(51)와 우측 도어 개방 회로(52)는,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시키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기 회로에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공통 모드 초크 코일로 구성되는 노이즈 필터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도어 개방 회로(51, 52)가 공통의 라인을 갖고 있으면, 모든 전류가 이 공통 모드 초크 코일에 흐르기 때문에, 이 코일을 대형화하여 노이즈 필터 회로의 전류 용량을 확보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전기적으로 독립시키고 있으면, 전류 용량을 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도어 개방할 때의 도어 개방 장치(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 좌측 도어(20a)와 좌측 도어(20b)를 개방시키는 동작은 동일하기 때문에, 좌측 도어(20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좌측 도어(20a)가 도어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도어 폐쇄 신호가 출력되고 있을 때, 즉 오프가 되어 있을 때에 사용자에 의해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가 압박되어 온이 되면, 제어 장치(5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 통전한다.
이 때, 압박 부재(37)는 돌출되어 좌측 도어(20a)를 압박하고, 마그넷 가스킷(21a)의 흡착을 박리하여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되어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한다. 통상,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가 온이 되고 나서,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되기까지의 시간은 0.2초 내지 0.3초이다.
제어 장치(50)는 이 도어 개방 신호를 받으면 마그넷 가스킷(21a)을 박리하 여 소정의 위치까지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인정되고, 이 타이밍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1초간 통전하여 좌측 도어(20a)를 완전하게 도어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하고 있을 때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에 대해,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 통전하고 있을 때에,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가 조작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텝 S11에서는, 좌측 도어(20a)와 우측 도어(20b)가 개방되어 있으면 도어 개방 장치(30)를 동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가 함께 오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스텝 S11), 오프가 되어 있으면 스텝 S12로 진행한다. 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다른 쪽의 도어 스위치가 조작되면 통상대로, 다른 쪽의 도어측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도어 개방에 걸리는 부하가 가벼워지고 있으므로,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켜도 좋다.
스텝 S12에서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 또는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스텝 S12), 조작되면 사용자에 의해 도어 개방이 요구되고 있다고 판단하여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즉 동시에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동시에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스텝 S13), 조작되면 스텝 S14로 진행하고, 조작되지 않으면 스텝 S15로 진행 한다.
스텝 S14에서는, 한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0.02초 경과되었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14). 즉, 동시라고 해도 사용자의 조작에는, 통상 타임 러그가 있기 때문에, 한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면, 동시에 조작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지 않으면, 동시에 조작되지 않다고 판단하여 스텝 S15로 진행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측의 도어 개방 장치(30), 여기서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의 통전을 개시시킨다(스텝 S15). 한편, 이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소정 시간은 도어 개방 장치(30)에의 통전을 행하지 않은 시간이기 때문에, 너무 긴 시간으로 설정하면 도어 개방 스위치를 조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도어 개방 장치(30)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0.05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 S16에서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의 통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스텝 S16). 구체적으로는, 통전을 개시하여 좌측 도어 스위치(26a)가 온이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27), 여기서는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가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의 통전 중에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스텝 S17), 조작되어 있으면 스텝 S18로 진행하여 조작된 측의 도어 개방 장치(30), 여기서는 우측 도어 개방 장치(32)에 통전을 개시한다(스텝 S18).
즉,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 중에는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어도,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의 통전이 종료될 때까지는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좌우의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이 겹치는 일 없이, 지나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는, 좌우의 도어 개방 장치가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가 있고, 이하에 동시에 조작된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9에서는, 좌우 도어(20a, 20b)의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판정한다(스텝 S19). 일예로서는, 일반적으로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고 있는 쪽이 회전시킬 때에 걸리는 부하가 크기 때문에,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고 있는 좌측 도어(20a)를 개방할 때에 부하가 무겁다고 판단한다.
스텝 S20에서는, 스텝 S19에서 판단한 부하가 가벼운 도어측으로부터 통전을 개시시킨다(스텝 S20). 여기서는, 우측 도어(20b)에는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지 않고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좌측 도어(20a)보다도 가볍기 때문에, 우측 도어 개방 장치(32)에의 통전을 개시하여 우측 도어(20b)를 개방시킨다.
이 때,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27b)보다도 먼저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27a)가 동시에 간주되는 정도로 조작되었다고 해도 우측 도어 개방 장치(32)로부터 통전을 개시시켜 우측 도어(20b)로부터 도어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스텝 S21에서는, 스텝 S16과 마찬가지로 좌우의 도어 개방 장치(31, 32)에의 통전이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우측 도어 개방 장치(32)에의 통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스텝 S21), 통전이 종료되면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스텝 S16에서 판단된 부하가 무거운 도어에의 통전을 개시시킨다(스텝 S22). 여기서는, 좌측 도어(20a)를 개방시키기 위해 좌측 도어 개방 장치(31)에의 통전을 개시시킨다.
이와 같이,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시키는 이유는,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어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경우에는, 적어도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지 않으면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이 개시되지 않으므로, 부하가 무거운 도어측으로부터 통전시켜 버리면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기까지 시간이 요하고(예를 들어, 0.5초 내지 1.5초), 좀처럼 다른 쪽의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시에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조작되어도,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확실하게 도어 개방 장치(30)를 동작시켜 도어 개방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어도, 통전이 종료될 때까지는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는 통전을 행하지 않으므로, 좌우의 도어 개방 장치의 통전이 겹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용 전원의 브레이커의 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 스위치가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도어 개방할 때에 부하의 이러한 회전 칸막이판을 설치하지 않은 도어로부터 도어 개방시킴으로써,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 없이 확실하게 도어 개방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에, 좌우 도어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 장치(50) 내에는 부하 검지 수단(80)을 마련하고 있고, 각 스위치나 센서 등의 입력치 등에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식품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수납 포켓(23a)에, 예를 들어 하중이 무거운 PET병 등의 식품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서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다르고,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지 않은 냉장고의 형태로서는 물론, 본 실시예와 같이 설치하고 있는 냉장고의 형태에 있어서도, 식품의 유무에 따라서는 설치하지 않은 쪽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거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압박식 스위치(81)를 좌측 도어(20a) 및 우측 도어(20b)의 수납 포켓(23a, 23b)의 바닥면이나 배면에 설치하고, PET병 등의 음료나 식품이 수납 포켓에 수납되면, 그 식품의 용기 등에 의해 압박식 스위치(81)가 압박되어 식품이 적재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식품이 취출되면 식품에 의한 압박이 개방되 기 때문에,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압박식 스위치(81)의 절환에 적외선 센서(82)를 이용해도 좋고,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수납 포켓(23a, 23b)에 적재하는 식품을 조작부(38) 등의 입력에 의해 식품 관리를 행할 수 있는 냉장고에 있어서는,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식품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동작으로서는, 스텝 S19에 있어서 부하 검지 수단(80)에 의해 좌측 도어(20a), 우측 도어(20b)의 식품의 유무를 검지하여, 좌우 도어(20a, 20b)의 한 쪽에 대해 식품이 적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다른 쪽의 도어에 대해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쪽의 도어를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한다. 또한, 좌우 도어(20a, 20b) 모두 식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식품이 적재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회전 경계판(2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도어를 부하가 무겁다고 판단해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좌우 도어의 부하를 각각 검지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시킬 수 있다.
또, 식품의 유무를 복수 검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식품 수에 따라서 부하를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식품의 유무뿐만 아니라, 수납 포켓(23a, 23b)의 바닥면에 중량 센서(83)를 배치하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중량 센서(83)에 의해 검지된 중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좌우 도어(20a, 20b)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도록 하면, 식품 의 유무보다도 정확하게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좌우 도어에 걸리는 부하를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부하 검지 수단(80)은 전회의 도어 개방시에 있어서의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기까지의 계측 시간과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을 비교하여, 도어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 회전 칸막이판(25)을 설치하고 있는 좌측 도어(20a) 쪽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겁지만, 설치하지 않은 우측 도어(20b)의 마그넷 가스킷(21b)에 오물이 부착되어 있으면, 그 점착력에 의해 우측 도어(20b) 쪽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무겁게 되는 경우가 있고, 미리 좌측 도어(20a)로부터 도어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있다.
그래서, 전회의 좌측 도어(20a) 및 우측 도어(20b)의 도어 개방 동작에 있어서의, 각각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조작되고 나서 도어가 개방되기까지의 시간, 구체적으로는 좌측 도어 스위치(26a) 및 우측 도어 스위치(26b)가 각각 도어 개방 신호를 출력하기까지의 측정 시간을 제어 장치(50)에 기록시켜 둔다. 그리고, 도어 개방 스위치(27a, 27b)가 조작되었을 때에 스텝 S19에 있어서, 이 측정 시간이 짧은 쪽을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한다.
이는, 통상 도어 개방 장치(30)를 이용한 전후는 단기간이기 때문에, 마그넷 가스킷(21a, 21b)이 오염에 변화는 없으며, 전회의 측정 시간을 실제의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와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여러 가지의 조합, 냉장고의 형태에 따라서 예시한 수치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 장치(30)에의 통전은 도어 스위치가 온이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종료되도록 되어 있지만,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초 사이, 통전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 중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를 조작되었을 때, 또는 동시에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도어 개방 장치의 동작 방법이기 때문에, 회전 칸막이판(25)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좌우 여닫이식 도어의 냉장고에도 적응 가능하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 도어의 부하 상태에 따라서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크게 변화되는 마그넷 가스킷이 박리될 때까지, 구체적으로는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는 반드시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할 수 있고, 또 도어 개방에 요하는 힘이 크게 변화되지 않은 도어 개방 후는 소정 시간 통전하여 도어 개방 장치로의 급전을 차단함으로써, 가장 적절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의 사용 상황에 의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를 검지하여 도어 개방 장치의 도어 개방력을 적절하게 가변하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좌우 여닫이식 도어의 냉장고에 있어서,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 또는 동시에 조작되었다고 해도 지나친 전류가 흐르지 않고 확실하게 도어 개방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도어와, 구동원에 통전되면 압박 부재를 돌출하고 상기 도어면을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이 도어 개방 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출력하는 도어 개방 스위치와, 상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여 도어 개방 신호와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는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도어 스위치로부터 도어 폐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개시하고, 상기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될 때까지 통전을 계속시키고,
    도어 개방 장치로 통전할 때에 구동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기까지의 시간이 미리 설정된 통전 변경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소정 시간을 짧게 또는 통전 전압을 낮게 하여 통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이 좌우 도어면을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 좌우 도어 개방 장치를 각각 구동시키는 좌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와, 상기 좌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여 각각의 도어 개방 신호와 도어 폐쇄 신호를 출력하는 좌측 도어 스위치 및 우측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좌우 도어 스위치로부터 함께 도어 폐쇄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쪽의 상기 도어 개방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되면 대응하는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개시하고, 상기 대응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될 때까지 소정 전압에서 통전을 계속시키는 동시에,
    이 좌우 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한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의 상기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또는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로부터 구동 신호가 출력된 경우에는, 대응하는 좌측 도어 스위치 또는 우측 도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방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상기 소정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 경과될 때까지, 또는 소정 전압보다도 낮은 전압으로 통전을 계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통전에 의해 이 좌우 도어를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와, 상기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부 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양방 또는 어느 한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 상기 부하 검지 수단에 의해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였을 때는 상기 좌우 도어 개방 장치의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켜 도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부하 검지 수단은 양방 또는 어느 한 쪽의 도어에 설치된 수납 포켓에 적재된 식품의 유무에 의해,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부하 검지 수단은 양방 또는 어느 한 쪽의 도어에 설치된 수납 포켓에 중량 센서를 구비하고, 이 중량 센서에 의해 검지한 중량을 기초로 하여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부하 검지 수단은 좌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좌측 도어 스위치 및 우측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좌우 도어 스위치에 의해 검지한 양방의 도어의 폐쇄 시간을 기초로 하여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4항에 있어서, 부하 검지 수단은 좌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좌측 도어 스위치 및 우측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전회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 고 나서, 조작된 측의 도어 스위치가 도어 개방 상태를 검지하기까지의 측정 시간을 기초로 하여, 도어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통전에 의해 이 좌우 도어를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와, 상기 좌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좌측 도어 스위치 및 우측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이 좌우 도어 스위치에 의해 어느 한 쪽의 도어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의 도어를 개방할 때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여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또는 우측 도어 개방 장치의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켜 도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통전에 의해 이 좌우 도어를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와, 냉장고를 냉각하지 않고 소정의 전기 부품만 운전시키는 매장용 디스플레이 모드를 구비하고,
    이 매장용 디스플레이 모드 중에, 양방 또는 어느 한 쪽의 좌우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여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또는 우측 도어 개방 장치의 도어 개방력을 감소시켜 도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에 설치되어 그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회전하여 도어 폐쇄시에 대향하는 간극을 폐색하는 회전 칸막이판을 설치하고, 이 회전 칸막이판을 설치하지 않은 측의 도어를 개방할 때에만,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볍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본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좌우 여닫이식의 좌측 도어 및 우측 도어와, 통전에 의해 이 좌우 도어를 각각 압박하여 도어 개방하는 좌측 도어 개방 장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각각의 좌우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시키는 좌측 도어 개방 스위치 및 우측 도어 개방 스위치를 구비하고,
    한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이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이 종료되고 나서, 다른 쪽의 도어 개방 장치에 통전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좌우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거의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도어 개방할 때의 부하가 가벼운 도어측의 도어 개방 장치로부터 통전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에 설치되어 그의 개폐 동작에 따라서 회전하여 도어 폐쇄시에 대향하는 간극을 폐색하는 회전 칸막이판을 설치하고, 좌우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회전 칸막이판을 설치하지 않은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도어의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부하 검지 수단을 마련하고, 좌우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거의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부하가 가벼운 쪽으로부터 도어 개방 장치로의 통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부하 검지 수단은 좌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좌측 도어 스위치 및 우측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고, 전회의 도어 개방 스위치가 조작되고 나서, 조작된 측의 도어 스위치가 도어 개방 상태를 검지하기까지의 측정 시간을 기초로 하여, 도어 개방시에 걸리는 부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07907A 2004-01-29 2005-01-28 냉장고 KR100636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0914A JP4151966B2 (ja) 2004-01-29 2004-01-29 冷蔵庫
JP2004020910A JP2005214487A (ja) 2004-01-29 2004-01-29 冷蔵庫
JPJP-P-2004-00020914 2004-01-29
JP2004020911A JP4109206B2 (ja) 2004-01-29 2004-01-29 冷蔵庫
JPJP-P-2004-00020911 2004-01-29
JPJP-P-2004-00020910 2004-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86A KR20050077786A (ko) 2005-08-03
KR100636752B1 true KR100636752B1 (ko) 2006-10-20

Family

ID=3489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907A KR100636752B1 (ko) 2004-01-29 2005-01-28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636752B1 (ko)
CN (1) CN100370201C (ko)
TW (1) TW2005353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9720B2 (ja) * 2009-03-26 2013-08-21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CN102141335A (zh) * 2011-02-25 2011-08-03 海尔集团公司 多门冰箱
JP6165604B2 (ja) * 2013-11-29 2017-07-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326221B2 (ja) * 2013-11-29 2018-05-16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4061741B (zh) * 2014-06-03 2016-08-1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自动开门装置及具有它的冰箱
JP6672625B2 (ja) * 2015-07-16 2020-03-2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ラインシステム
CN106352652B (zh) * 2016-08-30 2019-01-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对开门冰箱及其竖梁导向装置
CN106225403A (zh) * 2016-08-30 2016-12-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对开门冰箱及其竖梁导向装置
CN106642880A (zh) * 2016-11-10 2017-05-1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对开门冰箱
KR20220013189A (ko) * 2020-07-24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675A (ja) * 1999-08-19 2001-03-06 Toshiba Corp 冷蔵庫
CN2426508Y (zh) * 2000-06-09 2001-04-11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电冰箱门自动开启装置
CN2443126Y (zh) * 2000-10-20 2001-08-15 海尔集团公司 电磁式自动开门装置
JP3880821B2 (ja) * 2001-09-06 2007-02-14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扉開放装置
JP3922939B2 (ja) * 2002-03-05 2007-05-30 株式会社東芝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94511B (ko) 2008-03-11
CN100370201C (zh) 2008-02-20
TW200535389A (en) 2005-11-01
CN1648560A (zh) 2005-08-03
KR20050077786A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752B1 (ko) 냉장고
JP2006250485A (ja) 冷蔵庫の扉装置
EP1077354B1 (en) Door opening device mounted on a food storage apparatus such as a refrigerator
JPH05296647A (ja) 冷蔵庫
KR20200045798A (ko)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JP4151966B2 (ja) 冷蔵庫
JP3998563B2 (ja) 冷蔵庫
JP4901555B2 (ja) 冷蔵庫
JP4109206B2 (ja) 冷蔵庫
JP4093585B2 (ja) 冷蔵庫
JP2008032323A (ja) 冷蔵庫
JP3922940B2 (ja) 冷蔵庫等の扉開閉装置
JP3708765B2 (ja) 冷蔵庫
JP2005214487A (ja) 冷蔵庫
JP2001059675A (ja) 冷蔵庫
KR100540088B1 (ko) 냉장고
JP3850201B2 (ja) 冷蔵庫の扉装置
JP2006046742A (ja) 冷蔵庫の扉装置
KR200299890Y1 (ko) 도어열림 경보기능을 구비한 김치냉장고
JP7215926B2 (ja) 貯蔵庫
JP2008275205A (ja) 冷蔵庫
JP7285086B2 (ja) 貯蔵庫
JP7237651B2 (ja) 貯蔵庫
EP1901014A2 (en) Refrigerator and safety control method thereof
CN215169145U (zh) 一种保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3